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드론과 지상 LiDAR를 활용한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 융합 기반의 건물 실내외 모델링

        이준구,서용철 한국측량학회 2022 한국측량학회지 Vol.40 No.6

        In this study, the indoor and outdoor data of the building were acquired using various sensors, and the characteristicsof the result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by utilizing these results in the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it wasattempted to present an effective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digital twin. A new building was selected as aresearch target, and data were acquired using drone images, drone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andground LiDAR. According to the data acquisition method, data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 couldbe obtained, and a point cloud type of performance could be generated through data processing. The maximummatching error of the point cloud data acquired for each station of the terrestrial LiDAR data was analyzed, and theaccuracy of the drone image and drone LiDAR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terrestrial LiDAR data. As a resultof the accuracy analysis based on the terrestrial LiDAR data, the drone image showed accuracy within 0.04 m in thehorizontal direction and 0.066 m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rone LiDAR showed accuracy within 0.07 m inthe horizontal direction and 0.06 m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it was found that the drone images showedhigher accuracy than the drone LiD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GSD (Ground Sample Distance),but the drone LiDAR showed higher accuracy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uild data on theindoor and outdoor of a building through the fusion of drone images or drone LiDAR and ground LiDAR data. Theconvergence of drone images, drone LiDAR, and ground LiDAR data used in research will be an effective way tocreate data such as modeling and drawing of buildings or facilities. 본 연구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건물의 실내외 데이터를 취득하고, 공간정보 구축에 활용함으로써 디지털 트윈을 위한 효과적인 데이터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신축 건물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드론 영상, 드론LiDAR 및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자료처리를 통해 포인트클라우드 형태의 성과물을 생성할 수 있었다. 지상 LiDAR 데이터의 각 스테이션 별로 취득된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에 대한 최대 정합오차를분석하고, 지상 LiDAR 데이터를 기준으로 드론 영상 및 드론 LiDAR 데이터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정확도 분석결과 지상 LiDAR 데이터를 기준으로 드론 영상은 수평방향 0.04m, 수직방향 0.066m, 드론 LiDAR는 수평방향0.07m, 수직방향 0.06m 이내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드론 영상의 경우 GSD (Ground Sample Distance)에 따라서수평 방향에 대해 드론 LiDAR보다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지만 수직 방향은 드론 LiDAR가 더 높은 정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드론 영상 또는 드론 LiDAR와 지상 LiDAR 데이터의 융합을 통해 효과적으로 건물 실내외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었다. 연구에 사용된 드론 영상, 드론 LiDAR 및 지상 LiDAR 데이터의 융합은 건물 또는 시설물에 대한 모델링과 도면의 생성을 위한 효과적인 데이터 구축 방안이될 것이다.

      • KCI등재

        암반사면 위험블록 모니터링을 위한 지상 LiDAR의 활용

        송영석,이춘오,오현주,박준효 대한지질공학회 2019 지질공학 Vol.29 No.3

        The displacement monitoring of unstable block at the rock slope located in the Cheonbuldong valley of Seoraksan National Park was carried out using Terrestrial LiDAR. The rock slopes around Guimyeonam and Oryeon waterfall where rockfall has occurred or is expected to occur are selected as the monitoring section. The displacement monitoring of unstable block at the rock slope in the selected area was performed 5 times for about 7 months using Terrestrial LiDA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placement based on the Terrestrial LiDAR scanning, the error of displacement was highly influenced by the interpolation of the obstruction section and the difference of plants growth. To minimize the external influences causing the error, the displacement of unstable block should be detected at the real scanning poin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splacement of unstable rock at the rock slope using the Terrestrial LiDAR data, the amount of displacement was very small. Because the amount of displacement was less than the range of error, it was difficult to judge the actual displacement occurred. Meanwhile, it is important to select a section without vegetation to monitor the precise displacement of unstable rock at the rock slope using Terrestrial LiDAR. Also, the PointCloud removal and the mesh model analysis in a vegetation section were the most important work to secure reliability of data.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천불동 계곡에 위치한 암반사면의 낙석 위험블록을 대상으로 지상 LiDAR 를 이용하여 변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 지점은 기존에 낙석이 발생되었거나 낙석발생이 예상되는 귀면암 인근 및 오련폭포 인근 암반사면을 선정하였다. 대상 지점의 암반사면 위험블록에 대한모니터링은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약 7개월 동안 5차례 촬영을 진행하였다. 지상 LiDAR 촬영 결과를 토대로 변위량을 분석한 결과 폐색영역의 보간을 통해 발생한 오차와 식생 활력도의 차이에 의한 오차가 분석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외부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실제 촬영지점을 대상으로 변위량을 탐지하여야 한다. 대상구간 암반사면 위험블록에서 지상 LiDAR 촬영 및 변위량을 분석한 결과 변위량이 매우 작게 발생하였으며, 대부분 오차범위 아래의 변위량을 보이므로 실제 변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한편,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암반사면 위험블록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식생이 없는 구간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식생이 존재하는 구간의 PountCloud 제거 및 Mesh Model 분석은 데이터 신뢰성 확보에 가장 중요한 항목임을 알 수있다.

      • KCI등재

        UAS와 지상 LiDAR 조합에 의한 수직 구조물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

        강준오,이용창 한국국토정보공사 2019 지적과 국토정보 Vol.49 No.2

        Recently, as a part of the prod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by smart cities, three-dimensional reproduction of structures for reverse engineering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particular, terrestrial LiDAR is mainly used for 3D reproduction of structures, and 3D reproduction research by UA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both technologies produce blind spots due to the shooting angle. This study deals with vertical structures. 3D model implemented through SfM- based image analysis technology using UAS and reproducibility and effectiveness of 3D models by terrestrial LiDAR-based laser scanning are examined. In addition, two 3D models are merged and reviewed to complement the blind spot. For this purpose, UAS based image is acquired for artificial rock wall, VCP and check point are set through GNSS equipment and total station, and 3D model of structure is reproduced by using SfM based image analysis technology. In addition, Through 3D LiDAR scanning, the 3D point cloud of the structure was acquired, and the accuracy of reproduction and completeness of the 3D model based on the checkpoint were compared and reviewed with the UAS-based image analysis results. In particular, accuracy and realistic reproducibility were verified through a combination of point cloud constructed from UAS and terrestrial LiDAR. The results show that UAS – based image analysis is superior in accuracy and 3D model completeness and It is confirmed that accuracy improves with the combination of two method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UAS and terrestrial LiDAR laser scanning combination can complement and reproduce precise three-dimensional model of vertical structure, so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safety diagnosis and maintenance management. 최근 스마트 시티에 의한 공간정보 제작의 일환으로 역설계를 위한 구조물의 3차원 재현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구조물 3차원 재현에 지상 LiDAR가 주로 사용되며 UAS에 의한 3차원 재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두 기술 모두 촬영각에 의한 사각지대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수직구조물을 대상으로 UAS를 활용한 SfM기반 영상해석 기술을 통해 구현된 3D 모델과 지상 LiDAR 기반의 레이저 스캐닝에 의한 3D 모델간의 재현성 및 효용성을 검토하고 사각지대 보완을 위해 2가지 3D 모델을 조합 검토한다. 이를 위해 인공암벽을 대상으로 UAS 기반 영상을 취득하고 GNSS 장비와 토탈 스테이션을 통해 수직면 기준점(VCP) 및 점검점을 설정, SfM 기반 영상해석 기술을 활용하여 구조물의 3D 모델을 재현한다. 또한, 지상 LiDAR 스캐닝을 통해 구조물의 3D 측점 군을 취득하고 점검점을 기준으로 재현의 정확도와 3D 모델의 완성도를 UAS 기반 영상해석결과와 비교・검토하였다. 특히, UAS 및 지상 LiDAR로부터 구축한 측점 군의 조합을 통해 정확도와 실감 재현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정확도 및 3D 모델 완성도에서 UAS 기반 영상해석이 우수하였고, 두 방법의 측점 군 조합으로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UAS 및 지상 LiDAR 레이저 스캐닝 조합방법으로 수직구조물 대상 정밀 3차원 모델의 사각지대 보완・재현이 가능하므로 공간정보 구축, 안전진단 및 유지보수 관리에 효율적인 사용이 기대된다.

      • KCI등재

        지상 LiDAR를 활용한 침엽수림의 수고 및 흉고직경 측정

        고병준,박세익,박희정,이상현 한국환경과학회 2022 한국환경과학회지 Vol.31 No.6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tilization of terrestrial light detection and ranging for forest inventory in coniferous forests. Heights and diameter of the stand trees were measured manually using the traditional measurement method and the method using terrestrial LiDAR. The results of two metho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evaluate accuracy and feasibility. The terrestrial LiDAR used fixed and handy types to compare the accuracy between different operational methods. Comparative analyses used a paired t-test and Bland-Altman plot analysis. In the case of tree heights, the average of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method and terrestrial LiDAR for each plot was 0.81 m, -0.07 m, and 0.13 m for fixed type; 2.88 m, 1.19 m, and 0.93 m for the handy type. In the case of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 the averag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methods and terrestrial LiDAR for each plot was 0.13 cm, -0.66 cm, and –0.03 cm for fixed type; 2.36 cm, 2.13 cm, and 1.92 cm for the handy type. The values from the method using the fixed type was highly consistent with that using the traditional measurement methods; the average difference was closer to zero. The crown density influences the precision of the height measurement using terrestrial LiDAR in coniferous forests.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verifying the accuracy of terrestrial LiDAR in forests and on expanding the utilization of terrestrial LiDARs according to their operational methods.

      • KCI등재

        지상 LiDAR를 이용한 위험관리사면의 변위 모니터링

        박재국 한국방재학회 201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0 No.6

        One of the ways to minimize damage by a slope collapse is to set up preventive measures in advance by measuring displacements in a slope and predicting a collapse.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t technologies developed to predict a collapse with diverse measuring equipment. Especially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utilize terrestrial LiDAR, a high-tech imaging equipment to measure displacements on a scope. Terrestrial LiDAR generates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bout an object with millimeter-level accuracy from hundreds of meters away and has been used in an array of fields including restoration of cultural assets, three-dimensional modeling, and making of topographic maps. In recent years, it has been used to measure displacements in structure as well. This study monitored displacements in slopes of high collapse risk with terrestrial LiDAR. As a result, it was able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errestrial LiDAR to the field, and proposed monitoring methods. 사면붕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사면의 변위발생을 계측하고 붕괴를 예측하여 사전에 방재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계측장비들을 활용하여 붕괴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면의 변위발생을 계측하기 위해 첨단 촬영 장비인 지상라이다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지상 LiDAR는 수백 미터의 거리에서도 수 mm의 정확도로 대상물의 3차원 정보를 획득 할 수 있기 때문에 문화재 복원, 3차원 모델링, 지형도 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구조물의 변위계측에도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상라이다를 이용하여 붕괴위험이 높은 위험관리사면을 대상으로 변위 모니터링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상라이다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동일평면상에 있는 지상 LiDAR 자료의 오차조정 자동화 기법

        최승욱(Choi Seung Uk),최승필(Choi Seung Pil),조지현(Jo Jee Hyun),김익재(Kim Ik Jae),김욱남(Kim Uk Nam) 한국지적학회 2014 한국지적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동일평면상에 있는 점군자료를 얻었다. 여기서 얻어진 점군자료를 대상으로 최소제곱원리에 의한 회귀분석을 함으로써 평면방정식의 계수들을 구하였다. 그리고 기준이 되는 평면에 일치하도록 실험대상평면을 회전하고 평행이동을 시킴으로써 점군자료들의 오차조정을 자동화 하였다. 지상 LiDAR의 점군자료를 분석한 결과, 조정효과가 2∼5mm정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상 LiDAR에서 얻어지는 많은 점군자료들에 대하여 자동으로 오차조정이 가능해 질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obtained point cloud data lied on coplanar through terrestrial LiDAR. With the point cloud data obtained here, coefficient of the plane equation is calcula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by a least squares principle. In order to correspond with standard plane of point cloud Data from total station, the experimental target plane from point cloud data obtained from terrestrial LiDAR automate the adjustment of the error through the rotation and parallel move. With the adjusted results from point cloud data of terrestrial LiDAR, the adjusted effect was about 2∼5m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is be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error with respect to a number of point cloud data obtained by the terrestrial LiDAR

      • KCI등재

        디지털 산림자원정보 구축을 위한 최적의 지상LiDAR 스캔 경로 분석

        고치웅 ( Chi-ung Ko ),임종수 ( Jong-su Yim ),김동근 ( Dong-geun Kim ),강진택 ( Jin-taek Kang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7 No.2

        본 연구는 LiDAR 센서의 산림자원조사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제주 절물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삼나무의 개체목 탐지, 흉고직경과 수고를 측정하여 전통적인 산림자원조사와 정확성과 효율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백팩형 지상라이다(Backpack Personal Laser Scanning; BPLS)는 Greenvalley International 社의 Model D50을 사용하였다. 최적의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표준지의 밀도와 작업 효율성을 고려한 LiDAR스캔의 표본추출방법을 7가지로 구분하였다. 분석은 개체목 변수 측정의 정확성을 파악하고 요소작업별 시간과 전체 분석시간을 조사하여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백팩형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입목 탐지율은 모든 패턴이 100%로 나타났다. 정확성은 패턴5(흉고직경: RMSE: 1.07 cm, Bias: -0.79 cm, 수고: RMSE: 0.95 m, Bias: -3.2 m)와 패턴7(흉고 직경: RMSE: 1.18 cm, Bias: -0.82 cm, 수고: RMSE 1.13 m, Bias: -2.62 m)이 현장조사 방법으로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 정확성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BPLS와 현장조사를 이용하여 1 ha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걸린 시간을 환산한 결과 BPLS는 약 115분~135분이 소요되며, 현장조사방법은 375분~1,115분으로 BPLS를 이용한 방법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층식생이 적고 비교적 관리가 잘 된 인공 침엽수림에서는 BPLS 장비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산림자원조사가 가능하며, 앞으로 다양한 임분 조건에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a LiDAR sensor to forest resources inventories by comparing data on a tree’s position, height, and DBH obtained by the sensor with those by existing forest inventory methods, for the tree species of Criptomeria japonica in Jeolmul forest in Jeju, South Korea. To this end, a backpack personal LiDAR (Greenvalley International, Model D50) was employed.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the data collection, patterns of collecting the data by the sensor were divided into seven ones, considering the density of sample plots and the work efficiency. Then, the accuracy of estimating the variables of each tree was assessed. The amount of time spent on acquiring and processing the data by each method was compar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rate of detecting standing trees by the LiDAR was 100%. Also, the high statistical accuracy was observed in both Pattern 5 (DBH: RMSE 1.07 cm, Bias -0.79 cm, Height: RMSE 0.95 m, Bias -3.2 m), and Pattern 7 (DBH: RMSE 1.18 cm, Bias -0.82 cm, Height: RMSE 1.13 m, Bias -2.62 m), compared to the results drawn in the typical inventory manner. Concerning the time issue, 115 to 135 minutes per 1ha were taken to process the data by utilizing the LiDAR, while 375 to 1,115 spent in the existing way, proving the higher efficiency of the device. It can thus be concluded that using a backpack personal LiDAR helps increase efficiency in conducting a forest resources inventory in an planted coniferous forest with understory vegetation, implying a need for further research in a variety of forests.

      • KCI등재

        지상 LiDAR를 이용한 토공 사면의 안정성 평가

        김희규 ( Hee Gyoo Kim ),노태호 ( Tae Ho Roh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7 No.3

        건설공사에서 흙을 주재료로 하는 비율은 상당히 많으며, 구조물의 형태 및 기초 등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토공은 사회기반시설의 중요 구조물을 구성하고 이러한 구조물들은 시공 시행당시 보다 완성된 형태의 안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공에서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는 사면에 대한 안정성 평가 자료를 지상 LiDAR로 취득할 경우의 정확도, 경제성,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 실험을 통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토털스테이션과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관측한 결과, 수평위치오차 RMSE는 ±2.2cm, 수직위치오차 RMSE는 ±3.0cm로 분석되었으며, 공공측량 작업 규정의 허용범위와 비교한 결과 충분히 정확도를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토공 사면의 안정평가 자료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검토단면의 추출을 지상 LiDAR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추출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추출 결과들은 토공 사면 안정평가자료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리라 판단된다. The ratio of using soil as the main material in construction is quite numerous, and it covers many parts in forms and bases of the structure. Thus, the earthwork forms many structures for social infrastructure, and the stability of these structures is most crucial when completed than under construction. This study executed a field experiment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utility of the slope, which is an important part in earthwork, when terrestrial LiDAR is obtain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s the result of the observation using Total Station and terrestrial LiDAR, the horizontal error RMSE was ±2.2cm, and the vertical error RMSE was ±3.0cm. A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errors and permissible range of public surveying regulation, it sufficiently secure the accuracy. Also, the extraction of the check section, which covers the most important part among the stability checks could be scientifically and rationally processed, and these extraction results are expected to be provided as important basic materials for the earthwork slop stability evaluation.

      • KCI등재

        드론과 지상 LiDAR를 이용한 급경사지 재해위험성 평가·분석

        김성삼(Kim, Seong Sam),김다진솔(Kim, DaJinSol),신동윤(Shin, Dong Yoon),노현주(Nho, Hyun Ju)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8 No.4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로 인해 홍수, 산사태, 토사 유출과 같은 자연재난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63% 이상이 산지라는 지형적 특성 때문에 사면 재해에 매우 취약해 여름철 집중호우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드론맵핑과 지상 light detection and ranging(LiDAR) 측량을 활용한 급경사지 위험성 현장조사·평가 적용성에 관한 연구로서 이를 위해 소형 상업드론으로 대상 사면과 주변의 드론 영상을 취득하고 지상기준점 측량을 수행한 후 드론맵핑을 수행하였다. 또한, 급경사지 크랙 길이, 기반암 풍화상태 등 상세한 지질특성 자료 수집과 정량적인 위험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대상 사면을 대상으로 지상 LiDAR 측량을 병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드론맵핑과 지상 LiDAR 측량성과를 활용하여 간이식 계측장비와 육안 현장조사에 의존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정량적이고 종합적으로 급경사지 재해위험성을 평가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frequent abnormal weather cause by the recent climate change, the natural disaster-derived damages such as flooding and runoff water, landslide, and debris flow have been increased every year. Korea is known as to be very vulnerable with landslide disasters because more than 63% of the country is mountainous and it suffers from unpredictable localized heavy rainfalls during monsoon season. This paper presents the applicability for field survey and the risk assessment of steep slope using drone mapping and terrestrial LiDAR surve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firstly acquired the aerial imagery of steep slope site by small UAVs and conducted ground control points surveying using RTK-GNSS and then drone mapping process. In order to collect more detailed geological data and analyze quantitatively damage of steep slopes (crack length and bedrock weathering status etc.), we scanned steep slope area using terrestrial LiDAR system. In conclusion, we suggested an advanced approach for evaluate comprehensively and quantitatively the risk of steep slope with outputs of UAV photogrammetry and 3D point clouds derived from terrestrial LiDAR data, comparing with a conventional approach which depended on simple observation equipment and visual inspection.

      • KCI등재

        대조차 만리포 해안의 지상 LiDAR와 MBES를 이용한 정밀 지형/수심 측량 및 조간대 접합을 통한 정밀 지형도 작성

        심재설,김진아,김선정,김상익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0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2 No.1

        In this paper, we have constructed high-resolution topographical map of macro-tidal Malipo beach through integration of terrestrial LiDAR measurement and MBES survey data at inter-tidal zone. To acquire the enough information of inter-tidal zone, we have done terrestrial LiDAR measurement mounted on the roof of vehicle with DGPS through go-stop-scan method at the ebb tide and MBES depth surveying with tide gauge and eye staff measurement for tide correction and MSL calculation at the high tide all together. To integrate two kinds of data, we have unified the vertical coordination standard to Incheon MSL. The mean error of overlapped inter-tidal zone is about 2~6 cm. To verify the accuracy of terrestrial LiDAR, RTK-DGPS measurement have done simultaneously and the difference of Z value RMSE is about 4~7 cm. The resolution of Malipo topographical map is 50 cm and it has constructed to DEM (Digital Elevation Model) based on GIS. Now it has used as an input topography information for the storm-surge inundation prediction models. Also it will be possible to use monitoring of beach process through the long-term periodic measurement and GIS-based 3D spatial analysis calculating the erosion and deposition considering with the artificial beach transition and coastal environmental parameters. 본 논문에서는 지상 LiDAR 및 MBES(다중빔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정밀 지형 및 수심측량을 실시하였고, 조간대 영역의 육도-해도 접합을 통하여 대조차 해안인 만리포에 대한 정밀 지형도를 작성하였다. 제한된 시간내에 조간대 영역의 충분한 지형정보 획득을 위하여 간조시 지상 LiDAR 및 DGPS를 차량지붕에 탑재하여 이동•정지•스캐닝의 해변 전체의 지형정보를 획득하였고, 이와 동시에 만조시 MBES를 통하여 수심측량을 실시하였으며 조위계 설치와 목측을 통한 조위관측의 병행을 통하여 수심보정자료 및 만리포의 평균해면 추산자료로 사용하였다. 조간대 정합을 위해 지형 및 수심자료의 수직좌표계 기준면은 인천 평균해면으로 단일화하였으며, 조간대 평균 중첩오차는 약 2~6 cm 이내로 나타났다. 또한 지상 LiDAR 자료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RTK-DGPS 측량을 동시에 실시하여 수직좌표값을 비교한 결과 평균 제곱근 오차가 약 4~7 cm 이내로 나타났다. 정밀지형도 작성은 GIS 기반 자료처리를 통하여 50 cm 해상도를 갖는 수치표고자료로 생산하였으며, 이는 현재 연안지역 침수범람 예측을 위한 폭풍해일 침수범람 예측모델의 정밀 입력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장기간에 걸친 주기적 측량 자료와 측량 시의 인위적 해변 변화량 및 해양환경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3차원 공간분석을 실시한다면 침•퇴적양의 정확한 산출을 통하여 연안 모니터링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