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 특허법상 ‘발명’의 개념에 관한 고찰

        박준석 ( Jun Seok Park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서울대학교 法學 Vol.54 No.3

        종전까지 특허법 서두의 장식적 규범에 불과하였던 ‘발명’의 정의는 컴퓨터프로그램이나 생명공학 산물이 출원되기 시작한 이래 어떤 면에서는 진보성 문제 이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었다. 컴퓨터프로그램 등을 발명의 개념 안에 세계 최초로 포섭한 뒤 그런 태도를 따른 것을 다른 국가들에도 요구하였던 미국과는 달리, 한국의 입장에서는 미국 등 선진제국에 의한 외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우리의 발명 개념을 정립하는데 일정부분 수동성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2010년 Bilski 판결과 2013년 Myriad 판결에 의해 미국은 종전보다 발명의 개념을 다소 축소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등 외국에서 발명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한 뒤 그들과 정당하게 협상하는 한편 한국 사정에 가장 부합한 발명 개념을 스스로 정립해나가는 노력이 현재 절실하다. 이 글에서는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서 고도한 것”이라고 발명을 정의내리고 있는 한국 특허법 제2조 제1호의 여러 문제점을 차례로 고찰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발명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발명이 완성되었는지 여부는 서로 판단의 성질이 상이한 것임에도 ‘발명의 성립성’이란 상위개념을 통하여 이것 들을 하나로 묶는 것은 심각한 혼란만 초래한다고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자연법칙에 일응 어긋나는 기재를 담은 출원이더라도 발명이 아니라면서 배척할 것은 아니라고 고찰함에 있어 종전의 논쟁과 전혀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나아가, 제2조 제1호의 위와 같은 문구 중 ‘고도한 것’이란 표현은 법체계상의 혼란만 가져오므로 삭제되어야 마땅하다는 점, ‘창작’이란 문구는 저작권법상 핵심개념을 가리키는 동일한 문구와 혼동될 수 있으므로 다른 표현으로 치환함이 합리적이라는 점을 각각 논증하였다. 이 글의 나머지 부분은 제2조 제1호의 전부, 혹은 적어도 ‘자연법칙의 이용’이란 문구를 삭제하자는 일본과 한국에서의 유력설을 소개한 다음 그런 주장이 부당함을 밝히는데 집중하였다. 그것을 위하여, 위 조항의 유래를 한국, 일본, 독일 순으로 역으로 거슬러 올라가 추적하는 한편 그것들과 전혀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는 미국의 상황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고찰을 진행하였다. 우리가 거의 그대로 추종한 일본 특허법 제2조 제1항은 19세기 독일 법학자 Kohler의 학설상 정의를 수용한 것 이었다. 원래 그의 정의에서 중시되었던 발명의 ‘기술적 속성’이란 특징이 그 이후 지금까지 독일에서는 발명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 취급되고 있다. 한편 독일에서는 ‘발견’을 일단 발명에서 제외될 대상으로 정하면서도 독일 특허법 제1조 제4항이 명시한 대로 ‘발견 그 자체’가 아닌 경우라면 기술적 속성이 인정되어 발명으로 취급될 수 있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런 독일의 태도는 유럽연합에까지 수용되었다. 반면 미국에서는 특허법의 명문 규정으로 ‘발견’도 발명의 개념에 포섭됨을 일응 긍정하고 있지만 판례법은 자연법칙, 자연현상, 추상적 아이디어 등 3가지는 발명의 개념에서 제외한다는 ‘자연법칙 예외’ 이론을 해석상 기준으로 확고하게 수립하여 왔다. 이처럼 ‘발견은 발명인가’라는 중요한 질문에 대한 첫 대답으로 독일?유럽연합은‘아니오’로, 미국은 ‘예’라고 각각 답하여 완전히 상반된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출원대상이 발명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 (독일?유럽연합에서는) 그것이 기술적 속성을 가져 여전히 발명의 원칙적 형태에 속하는지를 가리는데, (미국에서는) 그것이 자연법칙이라는 예외적 대상인지를 가리는데 각각 가장 중점을 두고 있어, 결국 ‘원칙’ 내지 ‘예외’라는 상반된 측면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이렇게 독일 등과 미국이 서로 상반된 시각을 가지고 발명 개념을 정립하고 있음에도 일본의 저명학자들은 이 점을 간과하고 독일의 사고방식을 가지고 미국의 동향을 이해하려 하였다. 당장 미국의 급증하는 영향력에 슬기롭게 대처하기를 바란다면 한국의 논의에서 그런 잘못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 이 글의 종반부에서는 한국의 발명 정의조항 중 ‘자연법칙의 이용’ 부분은 삭제되기보다 그대로 유지되어야 타당함을 논증하였다. ① 이 부분 문구는 미국에서는 물론 독일?유럽연합에서조차 거의 동일한 문구가 기술적 속성의 핵심요소로 인정되고 있어 현재 발명 개념에 있어 보편적 요소인 점, ② 독일?유럽연합이 채용한 ‘기술적 속성’으로 모든 발명을 통합하여 설명할 수 있었던 19세기 산업화 과정의 시점에서와 달리, 산업화가 이미 완성된 현대에 새롭게 등장한 컴퓨터프로그램이나 생명공학 산물 등이 발명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기준으로는 미국에서 채택된 ‘자연법칙 예외’ 기준이 휠씬 유용하고 간명하다는 점 등을 그 근거로 한다. 마찬가지로 한국의 발명 정의조항 중 ‘기술적 사상’ 부분도 역시 유지되어야 타당하다고 분석하였다. ① 이 부분은 통합적 기준이라는, 함부로 버리기 힘든, 장점이 있는 점, ② 미술품 같은 저작물과 구별되는 특허 발명 본연의 성격을 잘 드러낸다는 점 등 때문이다. The definition for an invention has become a hotter issue than non-obvious issue in some aspect since the prosecution for computer program and biotechnology products did begin even though the definition had been just a decorative norm occupying the front of each country`s patent law. Unlike the United States that recognized the computer programs as one of inventions first in the world and has forced other countries to adopt the same attitude, Korea has inevitably a kind of passivity in establishing its definition for an invention as far as it is not free of the external pressure from much mor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etc. In this regar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U.S. has recently shrunk by U.S. Supreme Court decisions in Bilski case (2010) & Myriad case (2013). In this situation, sincere effort is urgently needed to establish Korean own definition for an invention which should be suitable for our own situation while properly negotiating with the United States and other foreign countries after correctly identifying of how they define an invention in their patent laws. This article tries to capture several problems one by one which are found in Article 2, paragraph 1 in the Korean Patent Act where an invention is defined as “the highly advanced creation of a technical idea using the law of nature.” First, since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nature between to determine whether something can belong to an inven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an invention is not uncompleted, tying those two determinations together under one superordinate concept as so-called the invention establishment requirement has caused just huge confusion. Next, by taking quite different approach from the previous ones, this article shows that it is not reasonable to reject an application on the ground of non-invention even though such application includes a description in the specification contrary to the laws of nature. Furthermore, among the phrases in Article 2, Paragraph 1, the word “highly advanced” should be deleted in the amendment because the word just invites contextual confusion in patent law system, and the word “creation” should be substituted with more appropriate word since the ‘creation’ shall be confused with the same phrase a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copyright law. The rest of this article focuses on revealing unreasonableness of the seemingly plausible argument in Japan & Korea which suggest that the whole definition for an invention in Article 2 of each Patent Act or at least the phrase “using the law of nature” should be deleted, after this article take a whole view of such arguments. For such purpose, this article traces backwards the origin of the Article 2, Paragraph 1 in the Korean Patent Act from Korea thorough Japan to Germany while comparing the situations in those countries with that in U.S. where a totally different perspective has been adopted. Article 2, Section 1 in the Japanese Patent Act which was deadly followed by the Korean Patent Act is the result from that Japanese legislators adopted the theoretical definition for an invention by Kohler, a 19th century German jurist. The technical character in an invention which was given emphasis on by the original definition of Kohler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of an invention in Germany so far. One the one hand, in Germany, ‘discovery’ is defined as one of several objects which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cope of invention while some discovery still would be treated as an invention if it is not ‘discovery itself’ as provided in the German Patent Act, Article 1, Section 4 and has the technical character. This attitude of Germany has been followed by European Union in almost same manner. On the other hand, in the United States, the Patent Act expressly provides that ‘discovery’ will tentatively fall under the definition of an invention while U.S. case law has firmly built up an interpretational principle, the law of nature exception saying that the law of nature, natural phenomena and abstract idea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definition of an invention. As see above, Germany & EU and the United States are taking completely opposite approaches in giving the first answer as NO (in Germany & European Union) or Yes (in the United States) to the important question ‘a discovery can be an invention?’ Also, Germany & EU and the United States tend to concentrate their each attention on opposite sides in determining whether a particular application could be an invention: such application could still fall under the original form of an invention which should have technical character (in Germany & European Union), and such application could now fall under the exceptional object such as the law of nature (in the United States). Famous Japanese scholars did overlook this important point that Germany & EU and the United States has built up their each definition for an invention from opposite legal perspectives, and the Japanese scholars made a mistake by interpreting the related situation in U.S. with the German perspective. Such a mistake should not be repeated by the Korean scholars if we really want to respond wisely the surging impact of U.S. patent law in Korea. In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it will be demonstrated that the phrase “using the law of nature” in the Korean Patent Act, Article 2, Paragraph 1 should be rather maintained than deleted in the amendment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is phrase is now recognized as a universal element of an invention not only in the United States but also in Germany & EU where the almost similar phrase is essential part of the technical character. Second, than the standard of the technical character from Germany & EU, the standard of law of nature exception from U.S. is better and easier to apply in fully industrialized society today when controversial new applications such as computer software and biotechnology production come on, differently than in the industrializing society in 19th century when all application doubtlessly had the technical character. Likewise, the remaining phrase “a technical idea” in the Korean Patent Act, Article 2, Paragraph 1 should be also rather maintained than deleted in the amendment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is part is a unified standard for any invention and this advantage is not ignorable. Second, it well exposes inherent nature of any invention which is clearly distinct from works of art.

      • KCI등재

        일본 최고재판소의 균등침해요건 중 “비본질적 부분 요건”의 의미

        구대환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지식재산연구 Vol.11 No.4

        The first test of the doctrine of equivalents in Japan (i.e. the test of “pertinence to non-essential part”) requires the patentee to prove that the allegedly infringing invention does not replace an “essential part” of the patent. In order to adopt the doctrine of equivalents the allegedly infringing invention has to replace only non-essential parts of the patented invention. Japan’s courts interpreted “essential part” to mean the “characterizing part” of an invention, constituting the “problem-solving principle” of the patented invention. The term “essential part” can be seen as the patented invention’s specific part and technical idea. However, Japan's lower courts typically considered an “essential part” of an invention as essential elements constituting the patented invention and did not apply the doctrine of equivalents when an essential element was changed. Recently, the IP High Court did not consider the replacement of a constituent element of the patented invention as the alteration of an “essential part” of the patented invention since this replacement did not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atented invention. This interpretation practically equates the test of “pertinence to non-essential part” in Japan with the test of “identity of problem-solving principle” in Korea. 일본 균등론의 첫 번째 요건(즉, “비본질적 부분의 요건”)은 확인대상발명이특허발명의 “본질적 부분”을 치환하지 않았을 것을 요구한다. 균등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확인대상발명은 특허발명의 “비본질적 부분”만을 치환해야한다는 것이다. 일본 재판소는 “본질적 부분”을 특허발명의 “문제해결의 원리”(즉, “기술적사상”)를 구성하는 발명의 특징적 부분을 의미한다고 해석하였다. “본질적부분”을 특허발명의 “특정 부분”과 “기술적 사상”으로 정의한 것이다. 그러나사실상 일본 하급법원들은 “본질적 부분”을 특허발명을 구성하는 필수 구성요소로 간주하고 구성요소가 치환되면 균등론을 적용하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지적재산고등재판소는 특허발명의 구성요소에 변경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변경이 특허발명의 핵심적 “기술적 사상”을 변경시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를 특허발명의 “본질적 부분”에 대한 변경으로 보지 않고 균등론을 적용하였다. 일본 지적재산고등재판소가 “비본질적 부분의 요건”에 대하여 이처럼 해석한 것은 일본의 “비본질적 부분의 요건”을 우리 대법원의 “문제해결원리의 동일성 요건”과 실질적으로 동일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균등침해의 적극요건(대상판결: 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2후1132 판결)

        정택수 사법발전재단 2014 사법 Vol.1 No.30

        The subject case can be evaluated as a progressive succession of the legal principles on affirmative requirements for infringement of equivalence, which have been affirmed in a consistent line of Supreme Court precedents, from Supreme Court Decision 97Hu2200 decided July 28, 2000, to Supreme Court Decision 98Hu836 decided June 15, 2001, and to Supreme Court Decision 2007Hu3806 decided June 25, 2009. First, the subject case summarized the expression concerning the disputed point of equivalence by the term, “variant” components. The greatest significance of the subject case lies in demonstrating that the first requirement (identity of the problem-solving principle) can be determined by substantively researching the “core of the technical idea” upon which the “unique problem-solving method” of the relevant patented invention is based, without reducing the first requirement to concepts such as “nonessential part” or “distinctive component.” Second, the subject case provided a typical model for affirming the second requirement by stating that, although the adoption of common technical means unrelated to the core technical idea may cause different secondary effects, both resulting effects may still be viewed as substantively identical. The subject case no longer determined the identity of purpose as an affirmative requirement for infringement of equivalence. Finally, the subject case summarized the explanation of legal principles on the third requirement, and postponed the explanation concerning the base point in time and the specific method to determine the third requirement, as they were not in dispute in the case. In sum, by resolv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fficulties which could have made the first requirement an excessive barrier to acknowledging equivalence, the subject case implies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likewise accumulate specific precedents in a balanced manner as to the second and third requirements as affirmative requirements for infringement of equivalence. 대상판결은 대법원 2000. 7. 28. 선고 97후2200 판결로부터 대법원 2001. 6. 15. 선고 98후836 판결과 대법원 2009. 6. 25. 선고 2007후3806 판결에 이르기까지 확인해 온 균등침해의 적극요건에 관한 법리를 발전적으로 계승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먼저 대상판결은 구성의 ‘변경’이라는 용어로 균등이 문제되는 영역에 관한 표현을 정리하였다. 대상판결은 과제해결원리의 동일성이라는 제1 요건에 관하여 ‘비본질적 부분’ 또는 ‘특징적 구성’이라는 개념으로 환원함이 없이 특허발명에 ‘특유한 해결수단’이 기초한 ‘기술사상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실질적으로 탐구하는 방법으로 제1 요건을 판단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가장 중요한 의의가 있다. 또한 대상판결은 기술사상의 핵심과 관련 없는 관용적 기술수단을 채택함에 따른 부수적인 효과의 차이가 있더라도 작용효과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고 명시함으로써 제2 요건을 긍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유형을 제시하였고, 한편 목적의 동일성을 균등침해의 적극요건으로 더 이상 판시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대상판결은 구성변경의 자명성이라는 제3 요건에 관한 법리설시를 정리하고 그 판단의 기준시점과 구체적인 판단방법에 관하여는 사건의 쟁점이 되지 아니한 관계로 설시를 유보하였다. 요컨대 대상판결은 제1 요건이 균등침해를 인정하는 데에 과도한 장벽이 될 수도 있었던 이론적·실무적 난점을 해소함으로써 장차 균등침해의 적극요건으로서 제2 요건과 제3 요건에 관한 구체적인 판단사례도 균형 있게 축적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수치한정발명에 대한 선사용권의 성립요건 고찰 : 일본지적재산고등법원의 판결을 중심으로

        신상훈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0 지식재산연구 Vol.15 No.2

        In this paper, a current controversial appeal decision from the Intellectual Property High Court of Japan is re-examined. The current decision is that a worker, who is a prior user, should be awar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atented invention in advance to secure the prior user right. It is considered that the reason the decision on this case requires the technical idea from a worker, who is a prior user, is for a logical consistency in determining the prior user right and invalidity of the patented invention. 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numerical limitation invention, awareness by the prior user of the technical idea should be interpreted more flexibly than the determination of patentability.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ruling in this case, there are arguments for the relaxation of the requirements to establish the prior user right for the numerical limitation invention. However, the numerical limitation invention is one of the invention categories, and is granted through strict examination. Moreover, in terms of fairness between patent holders and workers, it is unnecessary to relax the requir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rior user right for the numerical limitation invention. 본고에서는 선사용권의 성립을 위해서 실시자인 선사용자에게도 특허 발명에 관한 기술적 사상을 인식하고 있을 것을 요구하여 논란이 된 일본지적재산고등법원의 판결을 재검토하였다. 본건 판결은 특허 발명에 대한 선사용권과 특허의 무효가 동시에 판단된 사건이며, 본건 판결의 특허 발명은 의약 발명인 동시에 수치한정발명인 특별한 사례이다. 그 결과 선사용권의 성립요건이 종전보다 한층 엄격하게 판단되었다. 본건 판결이 수치한정발명에 대한 선사용권의 성립요건으로서, 실시자인선사용자에게 기술적 사상을 요구한 것은 선사용권과 무효의 판단에 논리적일치성을 위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수치한정발명의 경우라도, 선사용자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인식은 특허 발명의 특허성 판단보다 유연하게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 결과, 선사용자가 실시 또는 준비 중인 발명의 범위가특허 발명의 수치 범위에 해당하게 되면, 선사용자의 특허 발명에 대한 기술적 사상의 인식 여부와 관계없이, 선사용권을 인정하여 실시자의 계속적인실시를 보장해야 한다. 한편, 수치한정발명에 대한 선사용권의 성립요건으로 선사용자의 특허 발명에 대한 기술적 사상의 인식을 요구한 본건 판결과는 달리, 퍼블릭 도메인관점에서 수치한정발명에 대한 선사용권의 성립요건을 완화하자는 학설이있다. 그러나 수치한정발명도 발명의 카테고리 중 하나인 점, 엄격한 심사를거쳐 부여되는 점 및 특허권자와 실시자 사이의 공평의 관점을 고려할 때, 수치한정발명에 대한 선사용권의 성립요건 완화는 불필요하다.

      • 인공지능기술과 우리나라 특허법의 발명의 성립성

        박형수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9 Law & technology Vol.15 No.5

        우리나라 특허법은 “자연법칙의 이용성”을 기준으로 발명의 성립성을 판단하고 있다. 또한 법원은 발명의 성립성을 판단할 때 발명에 기술적 특성이 있는지, 발명이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효과를 가져다주는지, 혹은 그러한 효과를 가져다주는 기술적 수단이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드웨어 내부 또는 외부에서 물리적 변환을 야기하는 경우에 자연법칙의 이용성을 인정한 판례가 있었다. 또한 소프트웨어에 의한 정보처리가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상에 구체적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발명의 성립성 기준으로 삼은 바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발명의 성립성은 일본, 미국 및 유럽의 발명의 성립성과 어느 정도 유사한 점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공지능기술이 우리나라 특허법 하의 발명의 성립성과 다음과 같은 면에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첫 번째, 인공지능의 메커니즘은 설명하기가 어려워, 명세서에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요구하는 발명의 성립성 법리를 만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두번째, 인공지능이 과학, 공학, 컴퓨터 등 기술적 분야뿐만 아니라 언어학, 문학, 경제학 등의 비기술적 분야에 적용됨에 따라 기술적 특성이 있어야 발명으로 인정하는 발명의 성립성 법리와 부딪칠 수 있다. 세 번째, 인공지능이 약한 인공지능에서 강한 인공지능으로 발전함에 따라 추상적 아이디어 또는 인간의 정신적 프로세스를 범용 컴퓨터에 단순히 적용한 것에 불과하다는 이유로 인공지능 발명의 성립성을 부정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잠재적 갈등은 우리나라 특허법의 발명의 폭넓고 유연한 정의에 의해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입법부에 의해서 주도되는 특허법의 대대적인 개정 없이도, 사법부 또는 특허청이 특허법의 “자연법칙의 이용성” 문구를 유연하게 해석, 발명의 외연을 넓힘으로써 인공지능기술을 포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article studies a potential conflict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ventions and the Korean jurisprudence of patentability (or patent-eligibility). Article 2(1) of the Korean Patent Act defines an invention as “the highly advanced creation of technical ideas utilizing the law of nature.” Among others, Korean patent law determines patentability of an invention based on whether the invention “utiliz[es] the law of nature.” Abstract ideas and human mental steps are excluded from patentable subject matter as they do not “utiliz[e] the law of nature.” More specifically, when determining the patentability of the invention, the Korean Patent Office and the Korean courts focus on 1) whether the invention has a technical character, 2) whether the invention has specific and practical effects, and 3) whether the invention has technical means to bring about such effects. According to case law, an invention is held to be patentable when the invention physically transforms an object to another within or outside hardware. In addition, an invention is deemed patent-eligible when the invention specifically implements information processing by software to hardware or a computer. The Korean jurisprudence of patent-eligible subject matter seems to share some similarities with that of Japa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With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AI invention may be at odds with the Korean jurisprudence of patent-eligible subject matter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it is hard to explain the mechanism of AI, while the specification of an AI patent should specifically describe the invention in detail in order for the invention to be patentable. Second, AI is applied to non-technical fields such as linguistics, literature and economics, as well as technical fields such as science and engineering. Such a broad application of AI technology may be inconsistent with the jurisprudence of patent-eligibility, which requires that inventions have technical characteristics to be patent-eligible. Third, as AI evolves from weak AI to strong AI, Korean courts are likely to deny the patentability of AI invention on the ground that the invention merely applies an abstract idea or a human mental process to a general-purpose computer without an inventive concept. Fortunately, the potential conflict could be resolved by a flexible interpretation of the term “invention” under the Korean Patent Act. Without a revision of the Patent Act by the legislature, Korean courts and the Korean Patent Office should be allowed to broadly interpret the phrase “utilizing the law of nature” of the Patent Act, expanding the scope of the term “invention” to include AI technology.

      • KCI등재

        기술혁신과정에서 판매담당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활동에 관한 연구

        송기탁 ( Kitak Song ),임채성 ( Chaisung Lim ) 한국생산성학회 2016 生産性論集 Vol.30 No.3

        It is well known that dealing with technical aspects of new product idea is a core role to R&D. On the other hand, the core role of salespeople is to sell product or share customer``s technological needs to R&D people who are in charger of developing products. Although salespeople in high technology is also contributing by technolog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sharing, existing studies have not shown enough of factors which give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activity in technology innovation process so far. So,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factors can give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activity. This study has been done by empirical study examining 121 semi-conductor salespeople in Korea. Several factors were also inspected which give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activity like generation of technological idea for product. The first is salespeople``s competence(prior knowledge) and it gives positive impact on generation of technological idea for product. The second is salespeople``s informal R&D activity and it also gives positive impact on generation of technological idea for product.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clearly showed for salespeople to involve in technology innovation process. Especially, salespeople``s informal R&D activity gives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activity is the most important study result. In addition, by extending the domain of R&D and applying it to salespeople, it was verified there is a positive causality between salespeople and innovative activity. So, further studies on innovative activities played by salespeople in technology innovation process are needed.

      • KCI등재

        Utilization of Contradiction for Creating Design Alternatives in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양진국,백한기,문성우 대한토목학회 2014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8 No.2

        The design review in a Value Engineering (VE) workshop generates ideas for alternative construction designs that, if adopted,would improve the function of the original design. Each alternative conceived during idea generation will usually carry somebeneficial and some adverse effects that must be traded off against each other when deciding whether or not to adopt the design. The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tradiction in idea creation, and use them to create better designalternatives in construction VE. An Idea Breakdown Structure (IBS) is applied as the principle of problem solving. A contradictiontable is then set up to overcome contradictions in construction design. A case study shows that balanced contradiction produces betteralternatives in construction VE.

      • KCI등재후보

        비기술적 특징을 포함한 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관한 연구 -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관련 발명을 중심으로 -

        김동욱 충남대학교 세종지적재산권연구소 2021 The Journal of Law & IP Vol.11 No.1

        컴퓨터 관련 발명의 특허요건 판단에 있어서, 미국식 접근법은 추상적 아이디어 등에 대해 발명의 성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EPO식 접근법은 하드웨어의 이용이 있으면 발명은 성립한 것으로 인정하지만, 진보성 판단 단계에서 ‘비기술적 특징’을 배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발명의 성립성에 대해서는 EPO식 접근법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진보성 판단에 있어 ‘비기술’을 구분하는 법리가 없었다. 즉, 우리나라에서는 컴퓨터 관련 발명에 대해서 ‘발명의 성립성’의 문턱이 낮고, 특허권의 허여(許與) 여부를 진보성 영역에서만 해결하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비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은 AI·IoT 관련 발명에 대해서 우리의 특허요건 판단 기준이 적절한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EPO식 접근법을 우리 법리상에 적용하는 ‘3단계 테스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특허요건 판단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들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판단하는 방식이다. 1단계로서, ‘발명의 성립성’은 ‘하드웨어의 존부’에 따라 판단하므로, ‘하드웨어’라는 물리적 구성만을 먼저 추출한다. 2단계로서, 1단계에서 추출한 하드웨어의 기술적 기능을 분리해 낸 후, 하드웨어들의 기술적 기능이 범용의 기능만을 갖는 것인지, 그 이상의 특별한 기술적 특징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3단계로서, 2단계에서 고려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비기술적 특징’에 의한 기여 및 그 기여에 의한 작용효과를 판단한다. 먼저, ‘비기술적 특징’의 기술적 기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대상 출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비추어 ‘비기술적 특징’이 청구항 발명에 어떤 기술적 기여가 있는지 검토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물리적 변화가 의미 있는 기술적 사항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비기술적 특징 등’에 의해 ‘기술적 특징’에 물리적 변화가 야기되고, 그러한 변화가 ‘작용효과’가 있다고 인정된다면, “유기적 결합에 의해 상호 작용하는 상호 협동”을 인정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3단계 테스트’는 EPO의 Comvik 접근법과 달리 ‘비기술’을 배제하는 방식이 아닌 확실한 ‘기술’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테스트를 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우선순위에 따라 ‘일단’ 배제되었던 ‘비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3단계에서 기술적 특징에 대한 기여 및 그에 의한 작용효과를 고려함으로써, 기술적 특징만으로 선행발명과의 대비를 통해 진보성 판단을 먼저 수행해 본다는 점, 그리고, ‘기술’과 ‘비기술’을 구분함으로써 ‘유기적 결합’을 구체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설계VE의 효율적인 아이디어발상을 위한 TRIZ의 활용방안

        정영일(Jung Young-Il),서용칠(Seo Yong-Chil),구교진(Koo Kyo-Jin),현창택(Hyun Chang-Taek) 대한건축학회 2003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19 No.8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VE(Value Engineering)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tools available to achieve the required function at minimum cost, without sacrificing needed quality. However, using the brainstorming method in VE study has a certain limitation on creative thinking. This limitation can be overcome by application of TRIZ, a 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It is one of the most reliable methods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products, define the problems to be focused, and provide the effective solution. This study describes "Design Phase VE/TRIZ" which is the application of TRIZ tools into VE to enhance the methods of the creativity phase on VE job-plan. and then proposes how to use TRIZ tools for achieving the desired goals success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