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미권의 영화형 TV 드라마 시리즈 고찰

        남명희(Nam Myoung Hee) 한국영화학회 2008 영화연구 Vol.0 No.36

        TV shows are usually judged as social phenomenons or flow or style, not an art work itself. In this article, TV shows, especially drama series, are valuable as an art work and they share the similar critical field with films. TV shows and films are similar with these reasons: I. The both are moving-image storytelling media. 2. Some TV shows are has the cinematic visuality. 3. Mini-series are in the middle of TV and film. 4. There are high budget production of prime time series. Films and TV shows are grown up by different medium and they improve different narrative structure, but they are closest media with the same moving-image storytelling one. There are two televisuality in TV shows since 1980s: the videographic and the cinematic. Especially, the cinematic TV shows have feature-style cinematography. Mini-series is treated as a big event or Joss-leader of TV: its high-budget production value allows the cinematic experience to the viewers, and its longer running time than film allows more elaborate plot lines. Same things happened in prime time TV drama shows. Prime time TV shows are improved on fictional and technical ways since 1980s. Prime time TV shows treat various subjects, and even challenge politically sensitive ones. Cinematic TV shows are grown up as film, and they can be valued on same critical field. There is no good or bad, high or low status with films and TV shows in time of culture convergence. Acceptors, who are sum of all cultural viewers and listeners and fans, are treats them as a same medium.

      • KCI등재

        미국식 TV 드라마 시리즈의 시즌제도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페이즈 비교

        남명희(Nam, Myoung Hee)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7

        이 글에서는 미국 TV 드라마 시리즈에서 ‘큰 줄거리’와 ‘단독 에피소드’를 시즌 안에서 분배하고 배치하는 연재법을 살펴보고, 이 방식이 마블 영화사가 제작한 일련의 작품들에서도 보임을 설명한다. 일련의 작품을 하나의 시리즈로 간주할 수 있는 기반은 제작진이 전체 구조를 중장기적인 사전 기획에 맞췄기 때문이며, 이러한 작법 경향은 매체를 떠나 유사성을 보일 것이다. TV 시리즈에서 이야기의 완급을 관찰할 수 있는 단위가 시즌이라면, 마블 영화에서는 페이즈가 있는데, 이 둘은 일정 기간 내에 일정 수의 작품을 한 묶음으로 편성하고 공개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마블 영화의 큰 줄거리는 다수의 인물이 모여 핵심사건이 전개된다는 점에서 〈어벤저스〉 시리즈가, 한 편 안에서 플롯이 완결되는 단독 에피소드는 단독 히어로 영화가 해당할 것이다. 초기에는 단독 에피소드가 강하다가 후반에는 연속극이 강화되는 현상, 핵심 사건을 진행하면서도 단독 에피소드로 전체의 완급을 조절하는 방식은 TV 시리즈와 마블 영화 모두에서 발견할 수 있다. 마블 영화 세계관(Marvel Cinematic Universe, MCU)의 성공은 일련의 작품들이 한 세계에서 벌어진다는 ‘세계관’의 개념을 일반대중에 전파했으며, 다수의 영상물이 대중에게 하나의 시리즈로 인식되는 기획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미국 TV 산업의 시즌 제도를 이해하는 것은 시리즈 영화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세계관을 다루는 중장기적 작품 기획 면에서 일종의 원형을 제공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about a comparison of allocation methods which mythology’ and ‘stand-alone episode’ within schedule on US TV shows industry and Marvel’s feature films. The base idea to perceive several contents as a one is by the filmmakers who prearranged whole narrative under mid-to long-term schedule. And such narrative tendency would show the similarities despite media difference. Season in TV industry can be a unit which shows fast and slow flow in narrative, then phase in Marvel Cinema does. Both are similar as a method of grouping several works in limited schedule. Avengers series can be mythology ones which has overarching plot, and other solo heroes films can be stand-alone episodes. At the start of unit(season or phase), stand-alone episodes stand out. But at the near of end, serialized mythology ones stand out and stand-alone episodes work as filers for balance. Such patterns are seen in both TV shows and Marvel Cinema. The success of MCU(Marvel Cinematic Universe) spreads the concept of “universe” to mass culture, and it proved the importance of planning to convince the audience to perceive several contents as a one. To understanding ‘season’ in US TV show industry, it helps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in feature film series. And it will provide a kind of prototype to handle the ‘universe’ contents.

      • KCI등재

        한국 드라마 <소년심판>의 성공과 한계 고찰- 일본 소설·드라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남상현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4

        The Korean TV series Juvenile Justice was released on Netflix in February 2022. The series achieved high ratings; however, considering its ripple effect, some areas could have been improved upon. To assess its shortcomings, I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with Japanese juvenile crime novels and TV series. Japanese works are a suitable comparison target in three ways. First, since the 1997 Kobe Child Murders, various juvenile crime issues have been discussed fo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in both countries through novels and TV series. Second, both have similar juvenile criminal laws. Third, comparable juvenile crimes have occurred in both countries. Although Juvenile Justice spread awareness of how juvenile offenders could be treated more humanely, the prejudice shown toward the offender’s families is concerning. Japanese TV series Soredemo ikite yuku(2011), and Tegami(2018) showed that discrimination is inevitable against the families of offenders; however, the series show the families undergoing self-reflection, realizing the need for change, and taking steps to improve. So why did Juvenile Justice place most of the blame on the offender’s families? It is because of a lack of interest toward the mind of juvenile offenders and little faith in his rehabilitation. Also, the series offered no specific follow-up plans that could be trust. Various Japanese works have already pointed out these problems and presented possible solutions for them. Therefore, through this analysis,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a shift in Korean perception for the juvenile offenders were reviewed. Finally, with this article as a momentum, I hope that future Korean TV series dealing with juvenile crimes will take the recommendations so that the series can become a bit freer of social prejudice. 2022년 2월 넷플릭스에서 한국 드라마 <소년심판>이 공개되었다. 소년범죄를 향한 문제점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소년심판>은 성공적인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소년심판>이 가지는 파급력을 고려했을 때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하여 일본 작품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심사숙고하는 과정을 가졌다. 일본은 1997년 발생한 고베아동연속살상사건을 계기로 소년범죄를 둘러싼 다양한 문제가 소설과 드라마를 통해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쳐 논의되어왔다. 또한, 소년법이 한국과 유사하고 소년범죄 사건 역시 유사하게 발생하며 문제시되었다는 점에 비교 대상으로서 가치가 충분하다. <소년심판>은 가해자 소년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사회적 논의를 대중적으로 확산시켰다. 다만, 가해자 가족을 향한 시선에 편견이 담겨있다는 우려를 지울 수 없다. 이에 일본의 TV 드라마 <그래도, 살아간다>(2011)와 <편지>(2018)를 통해 가해자 가족에 대한 차가운 시선과 차별이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개선이 필요하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일본 사회에 조금씩 퍼지고 있다는 사실을 비교하였다. 그렇다면 <소년심판>이 가해자 가족에게 부담을 짊어지우는 원인은 무엇인가. 첫째, 소년 개인을 향한 관심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둘째, 소년의 갱생에 대한 믿음이 희미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소년들이 변화해서 사회에 적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사후 대책 제도에 대한 해답이 구체적으로는 나와 있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은 가족과 부모에게 부담을 지우게 된 것이다. 일본의 작품에서는 이미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한 작품이 선행되어 있으며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사고 변화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고는 <소년심판>과 일본의 TV드라마 및 소설을 비교 분석하며 소년범죄에 대하여 양국이 가지는 문학적 관점을 시사하고 사고의 확장을 도모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시작으로 앞으로 한국 사회에 등장할 소년범죄를 소재로 하는 드라마가 사회적 편견에서 벗어난 드라마로 발전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중국 영화·드라마 중 방언의 언어 이미지 연구

        王莉宁 ( Wang Lining ),潘莹莹 ( Pan Yingying ),민경만 ( Min Kyungm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2 中國硏究 Vol.91 No.-

        This paper is a translation of < Study of the Language Image of Dialects in Movies and TV Series > published in 2021 by Wang Lining and Pan Yingying. Based on linguistic data selected from 400 movies and TV series,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ypes, varieties, and time distribution of dialectal movies and TV series over the last decade or so and analyzes the social variables of 620 dialect users in these movies and TV series. The findings reveal that Cantonese, Southwest Mandarin, Zhongyuan Mandarin, and Northeast Mandarin are more frequently used than others in movies and TV series. These dialects have become important language resources being utilized for literary expression of local characteristics. Since 2016, the number of dialectal movies and TV seri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ir social images have been improved, and their economic benefits have been attractive; the socio-economic status of dialect users is embodied in social factors such as “middle-aged”, “male”, “manual worker”, “low literacy”, “rural township” and “comedy”; these factors function as contributors in constructing the current language image of dialects in movies and TV series. The article argues that the creation and dissemination of language image must conform with maintaining the major status of the ‘National Commonly Used Language and Characters’; at the same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protecting and inheriting dialectal cultures, the language image of dialects in movies and TV series should be prevented from being stereotyped.

      • KCI등재

        사전지식과 태도 및 시청동기가 한국시청자의 중국드라마 시청에 미치는 영향

        김병현(Kim, Byung Hyun),장병희(Chang, Byeng Hee)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엘라스머(Elasmar, 2003)의 수입미디어에 대한 감수성 모형(the model of susceptibility to imported media)을 이용하여, 중국드라마를 대상으로 영상물 제작국에 대한 사전지식과 태도가 드라마 시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제 시청자의 시청선택을 분석하고자 마니아층이라 할 수 있는 중국드라마 인터넷 동호회 회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국드라마의 시청동기는 요인분석을 통해 배우/이야기 매력, 중국에 대한 호기심, 습관적 시청, 볼거리 등 4가지 동기로 요약되었다. 둘째, 시청자가 중국에 대해 가지고 있는 사전지식 및 태도의 일부 변수(중국어 이해도, 중국에 대한 태도, 중화권 콘텐츠 경험, 중국 콘텐츠(전통)에 대한 태도)은 중국드라마의 시청동기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시청자가 중국에 대해 가지고 있는 사전지식의 일부 변수(중화권 콘텐츠 경험) 및 시청동기(배우 이야기 매력)가 중국드라마 시청량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시청자가 영상물 제작국에 대해 갖고 있는 사전지식 및 태도에 따라서 시청동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시청자의 사전지식 및 태도와 시청동기에 따라 시청량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resent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existing Knowledge and Attitude of a Korean audience about China on consumption of Chinese TV series. Adopting the model of Susceptibility to Imported Media(SIM) proposed by M. Elasmar, a survey of Korean fans of Chinese TV Series was launched to analyze actual patterns of consumption of Chinese TV series. The analyses showed that Korean fans’ viewing motives of Chinese TV series broke into appeal of actors(actresses) or stories, curiosity for China, habitual viewing and appeal of spectacles. Secondly, the existing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audience about China affected their viewing motives of Chinese TV series. Thirdly, the existing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China and viewing motives affected the amount of consumption of Chinese TV Series. Especially, audiences of Chinese TV series who are appealed by actors or stories tended to have a bigger amount of viewing of Chinese TV Series.

      • KCI등재

        2000년대 초반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공간 이미지 고찰

        윤석진(Suk-jin, Yu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2 No.-

        TV드라마의 공간은 물질적이고 불균등적이며 정치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현실 공간에 대한 시청자의 의식에 영향을 주는 경향이 강하다. 본고에서는 HDTV 등과 같은 새로운 영상시스템의 개발로 TV드라마의 표현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던 2000년대 초반의 미니시리즈 드라마 3편을 대상으로 TV드라마의 공간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진실〉, 〈맛있는 청혼〉, 〈명랑소녀 성공기〉 등은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당해 연도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미니시리즈 드라마들이다. 분석 결과, 3편의 미니시리즈 드라마들은 기본적으로 ‘무대’라는 공간을 설정하여 등장인물의 존재감과 변신, 그리고 극적 상황을 흥미롭게 만들면서 등장인물의 상징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신데렐라나 캔디 유형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여성상을 구현한 등장인물들이 ‘지하방, 재래시장, 옥탑방’처럼,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적 약자를 상징하는 공간에 거주한다는 극적 설정은 각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대 초반 당해 연도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3편의 미니시리즈 드라마들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대립 구도를 표상하기 위해 공간을 구성하고 그 속에 주요 등장인물을 배치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고찰한 바대로, TV드라마의 공간은 등장인물의 성격 표상과 사건 전개에 요한 극적요소이자 주제 의식의 현현(顯現)에 기여하는 상징적인 장치이다. 따라서 TV드라마의 공간 이미지 분석을 통해 TV드라마의 관습적 공간 구성 방식이 대중의 현실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대부분의 TV드라마가 ‘서울’을 주요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대도시’에 대한 대중의 동경을 심화시키고, 동시에 ‘지방’에 대한 그릇된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등 공간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spatial composition of TV dramas is a sort of signifier showing materialistic, inequal and political feature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spatial images of TV dramas centering on three TV miniseries in the early 2000s when a fundamental change began to happen in expression methods in TV dramas du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image system such as High Definition Television (HDTV). The TV miniseries under the study 〈Truth〉, 〈A Delicious Proposal〉, and 〈Success Story of A Bright Girl〉 had gained the highest viewing figures during the period from 2000 to 2002. The study showed that the three miniseries basically set up a space ‘Stage’ and unfolded characters’ existence, transformation, and dramatic situation in interesting ways to effectively deliver things they represent. Moreover it is worthy of notice the dramatic setting where the independent women, breaking away from the typical characters like Cinderella and Candy, lived in spaces ‘basement room’, ‘traditional market’, and ‘rooftop house’ representing economically disadvantaged group in a capitalistic society. That is, the tree miniseries with the highest viewing figures in the early 2000s worked out a strategy of constructing such spaces to show the conflict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 and arranging mai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paces of TV dramas are a dramatic element necessary for representing characters’ personality and unfolding events as well as a symbolic device contributing to subject matter being manifest.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images of TV dramas, their conventional spatial composition methods are available of finding out the influence on the general public’s reality perception. In particular, it is needed to pay special attention in distorting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to spaces as most of TV dramas set up Seoul as a main spatial background so that viewers’ desire for ‘large cities’ may be more deepened while wrong stereotypes to ‘the regions’ may be increased.

      • KCI등재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경구피임제 TV광고의 여론 및 감정 분석 : ‘머시론’ TV광고를 중심으로

        김은이,송민호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광고PR실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경구피임제 TV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및 감정의 변화 양상을 측정하기위해 소셜 빅데이터를 추출하여 연관어 및 감정어의 동향을 시계열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초기 ‘머시론’ TV광고에 대해 긍정적 연관어가 주류를 이룬 반면, 2015년 5월1일 이후부터는 TV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부정적 여론이 급증하면서 광고 내용을 비판하는 연관어의 언급량이 급증하였다. 광고 내용을 비판하는 연관어는 광고 내용뿐만 아니라 남성 피임 제품의 TV광고와 비교하면서 남녀 모두에게 피임에 대한 인식 전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감정어 분석에서도 2015년 4월 30일까지 광고 내용에 대한 긍정적표현이 다수 등장하였으나, 2015년 5월 1일 이후부터 부정적 감정어가 압도적으로 많이나타났다. 연관어 분석 결과와 같은 맥락에서 피임에 대한 책임을 전적으로 여성에게 전가하는 내용의 TV광고에 대한 불편한 감정과 더불어 남성 피임의 현실을 지적하거나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경구피임제 TV광고 제작을 위해 고려해야 할 실무적 사안을 제안하였다. Based on time series analyses of social big data on ‘Merceron’ TV advertising of Oral Contraceptive, this study investigates patterns of recipients’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s when they are exposed to the TV advertising then identifies trends of both association and emotion words. We find that positive associational words regarding Merceron TV advertising appeared in the early stage, then there was a big upsurge in the volume of critical comments on the content of the advertising ever since May 01, 2015 as the negative opinion of the TV advertising increased. We also find that associational words not only criticized the content of the advertising but also emphasized the awareness enhancement for both men and women by comparing that of the male contraceptive products. In analysis of emotional words, many positive expressions about the content of ads appeared until April 30, 2015, but overwhelmingly negative emotional words emerged ever since May 1, 2015. The analysis of associational words shows uneasy feelings about passing responsibility of contraception entirely to female,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male contraception instead. Overall, this study suggest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production of TV advertisements on gender-sensitive products like oral contraceptives.

      • KCI등재

        TV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의 여성주의적 서사

        김미라 한국극예술학회 2017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6

        고령화 사회가 도래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노인여성은 연령과 성별에 의해 차별을 받는 이중적 소수자로서, TV드라마 등에서도 젊은 주인공의 어머니나 할머니 등의 역할에 머무르며 주변부로 밀려난 채 배제돼 왔다. 또한 미디어는 이들을 단지 늙고 쇠약한 ‘돌봄’과 ‘시혜’의 대상으로 묘사하거나, 가족 이기주의에 함몰돼 갈등을 유발하고 이치에 맞지 않는 말과 행동을 하는 주책맞은 노인으로 묘사하는 등 부정적이고 정형화된 이미지를 재현해 왔다. 본 연구는 미디어의 이러한 재현방식이 노인여성에 대한 왜곡된 사회적 담론을 양산하고 세대간 갈등을 불러올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 노인여성을 전면에 내세워 큰 호응을 받았던 TV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를 대상으로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서사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디마프>는 초등학교 동문 관계인 이들 노인여성들이 ‘노인’이 아닌, 삶의 지혜와 경륜을 갖춘 ‘어른’으로 여전히 독립적이고 주체적으로 각자의 삶을 치열하게 살아내며 주변을 돌보고 배려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기존의 재현관습에서 벗어나 전혀 다른 노인여성의 이미지와 노인담론을 생산하였다. 뿐만 아니라 혈연관계보다도 끈끈한 여성들 간의 ‘우정’과 ‘자매애’를 통해 친구와 선후배간에, 모녀간에, 그리고 신구세대간에 서로의 상처를 보듬으며 갈등을 풀어가는 서사는 ‘여성연대’와 여성주의적 글쓰기의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Despite the fact that Korea is now an aging society, elderly women still face double discrimination, being in the minority as a woman and as an elderly person. As such, in TV dramas, elderly women remain in supporting roles as the mother or grandmother of a young main character. The media have also continued to portray elderly women as old and weak people who are in need of “care” and “welfare”, or they are introduced in a stereotypical, negative way, such as the obsessed family centric matriarch that cause conflicts or the silly old fool who contradicts herself in her actions and words. This study conducted a narrative analysi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of the TV drama series <Dear My Friends>, which was praised for using elderly women as main characters, under the premise that the media’s portrayal of elderly women can create distorted social discourse and incur generational confli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und that the drama series <Dear My Friends> depicted the elderly women, who are elementary school classmates, in ways which are drastical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representation of elderly women, by portraying them not as “elderly”, but wise and experienced “adults” who are independent individuals and living each day to the fullest while taking care and consideration of others around them. In addition, the narrative of female friends, seniors and juniors, mothers and daughters, and multi-generations helping each other through pain and resolving conflicts using their stronger-than-blood “friendships” and “sisterhood”, has suggested possibilities and direction of “female solidarity” and female-oriented writing.

      • KCI등재

        A Life-Cycle Model of Drama TV Series Using Google Trends Data

        권대현,전덕빈,김효영 한국경영과학회 2021 한국경영과학회지 Vol.46 No.2

        Increased time-shifted TV viewing practice undermines the role of traditional viewer ratings in gauging consumer interests in primetime TV drama. This paper introduces Google Trends data as a supplementary measure of popularity and proposes a lifecycle model for describing the pattern of search activity related to TV drama shows. The model is accomplished by developing three models that deal with the different phases (i.e., prerelease, on-season, and post-season period) that a TV drama series goes through. In our empirical analysis, we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odel provides an apt description of the diffusion pattern of consumer search activity related to a primetime TV drama series. We also show that the search volume that accumulated during the pre-season period has predictive power to expect the level of consumer interest in the upcoming season premiere. We also find that the release of the following seasons of a drama series accompanies the search for its previous seasons because of her reciprocal spillover effects. Our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the online search activity of consumers in the TV drama industry.

      • KCI등재

        지상파 TV의 시즌제 드라마 도입 방안 연구

        유건식,정해룡 한국방송학회 2019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20 No.1

        This research tried to find successful ways for TV series in a situation where ratings of terrestrial TV dramas declines and profitability lowers. This study employs in-depth interviews with 17 drama writers, chief producers, directors, production CEOs and manager who had previously worked with TV seri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desirable that the drama of the Korean season should appear as the same character as the previous actor rather than the title. The main advantage of the season is the popularity of the first season, stable ratings and profitability, which is called ‘brand effect. Most of interviewers preferred mixed story between serial and episodic types because of the existing viewing habits of viewers in Korea. Several ways are needed to produce TV series in Korea: the producer centering system, co-creation, co-directing, improvement of the development process for a scenario, the combination of proven creativ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