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방송 뉴스 도식의 발견

        이준웅(June Woong Rhee),황유리(Yoo Ri Hwang) 한국방송학회 2004 한국방송학보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방송뉴스의 내용적이며 구성적인 특징을 ‘한국형 방송뉴스 도식’ 이라고 개념화하고 이 도식의 특징을 설명한 후, 이러한 뉴스 도식이 지배적으로 등장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이유를 규명하려는 데 있다. 한국형 뉴스 도식은 뉴스 아이템 평균 길이가 약 75초이며, 앵커의 도입 문장 2개 이후 기자의 리포팅이 약 7개의 문장으로 구성되고 기자 리포팅 가운데 인터뷰가 한 두 개 삽입되는 획일화된 구성방식을 따른다. 한국 방송뉴스는 또한 주제적으로 보면 정치 뉴스에 편중되어 있으며 구성에 있어서 심층성이 떨어진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 연구는 먼저 뉴스 내용분석을 통해 이러한 한국형 방송뉴스 도식을 확인했다. 그리고 한국형 방송뉴스 도식이 방송뉴스의 제작 요인과 뉴스 수용자에 대한 뉴스 제작자의 인식에 의해 강화된다고 보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 방송사 기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수행해서 한국 방송뉴스의 도식적 특징의 원인을 규명하려 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근거로 방송뉴스 도식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했다. This study explored the ways in which the thematic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Korean broadcasting news are constructed into a news scheme. Comparisons of the thematic and formal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and Western broadcasting news were made to identify the Korean broadcasting news scheme. Content analysis of Korean and Western news revealed that the thematic concentration on domestic politics and the lack of 'indepth analysis' in reporting were one of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broadcasting news.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plain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Korean broadcasting news scheme is strengthened. Using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Korean reporters, this study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onstraints and the journalists' expectation of the news audience's behavior influenced the Korean broadcasting journalists' dependence on the news scheme.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reform of the news production system in Korea

      • 한국의 방송문화 산업과 漢流

        최양수(崔良洙)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Vol.- No.-

        최근 수년간 한국문화가 중국에서 대단한 인기를 얻고 있다. 중국TV들은 한국 드라마를 즐겨 방송하고 극장에서는 한국영화 행사를 자주 가진다. 각종 공연장에서는 한국의 연극, 음악, 무용들이 공연되고 있다. 체육관도 마찬가지다. 한국의 유명한 미남, 미녀 연예인들이 자유분방하고 아름다운 목소리로 한국의 대중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관계자들은 이를 한국바람(漢風), 한국물결(漢潮), 한국유행(漢流) 등으로 다양하게 부르고 있다. 이는 최근 베이징 문화계의 한 테마로 자리 잡았다. 중국에서 일기 시작한 한국문화 바람은 대부분 대중문화 범주에 속하나 이웃나라 문화의 자랑스러운 성공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에서는 이론이 없다.(중략) 한국 드라마에서 나타난 유행과 휴머니즘, 사회세태 반영 및 문화적 함의는 동방문화 특유의 멋과 끝없는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이것이 바로 중국에서 한류열기가 뜨겁게 불 수 있도록 만든 진정한 요인이다(人民日報, 2000. 11. 4). 지난 97년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가 12억 중국인이 모두 시청하는 CCTV에서 방송되어 중국 TV 사상 인기 3위를 기록하였다(조선일보, 2000. 3. 3.) 한국의 인기배우인 김희선은 지난해부터 방송되는 중국의 대표적 IT그룹인 TCL의 휴대전화 달말기 광고에 모델로 출연하였다. 일반 노동자 월급의 1,000년분에 해당하는 1,000만 위안(16억원)의 광고 출연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 대중문화의 유행을 일컫는 중국 내 한류의 실체에 대한 논쟁이 언론계를 중심으로 뜨겁게 전개되고 있다. 중국 내 한류가 거대한 하나의 트렌드로 형성돼 상당 기간 유행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관측이 있는가 하면 한류는 지엽말단적인 것으로 언젠가는 끝날 미풍에 불과하고 한류 마니아들도 일부 수준 낮은 10대에 한정되어 있다는 냉소적 전망이 교차하고 있는 것이다. 일부 비관적인 매체들은 일부 계층에 한정된 이 유행이 1-2년 내에 소리없이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을 하기도 한다(홍순도, 2001. 관훈저널, 81호 겨울, 관훈클럽). 위의 글은 한류현상과 그에 관한 논의의 일단을 정리한 것이다. 이 논문은 근년에 일고 있는 한류현상의 원인을 분석하는 것을 그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 한국 대중문화가 인기를 얻는 원인은 문화적 할인(cultural discount)이나 문화적 근접성 등의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들은 왜 이 시점에서, 그리고 한국의 문화상품이 중국에서 인기를 얻는가에 대한 설명을 하는 데는 제한적이다. 현실적으로는 정치적인 요인을 들 수 있다. 올해는 한국과 중국의 역사적인 수교 10주년을 맞는 해다. 양국간의 우호적인 관계의 진전은 문화상품의 교류를 제한하는 정부의 규제나 국민의 인식의 장벽을 상당부분 허물어왔다. 이러한 장벽이 완전히 제거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중국의 WTO 가입은 과거의 규제상황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어렵게 만들 것이다. 또 다른 현실적인 요인은 경제적인 측면이다. 한국은 정보통신 분야 등을 위시하여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이루어 왔고 중국의 경제발전은 더욱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경제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방송과 영상매체의 채택이 이루어지고 광고 시장은 또한 양국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매체와 채널의 확장은 컨텐트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이는 양국간의 문화상품의 교류를 증대시켜왔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적인 요인을 고려하더라도 여전히 왜 이 시점에 한국의 문화상품이 중국에서 경쟁력을 갖는 가에 대해서는 충분한 설명을 하기 어렵다. 연구자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한국 방송관련 산업의 특수성을 주목하고자 한다. 한국 방송산업의 역사적인 전개와 특히 최근 10년간의 변화는 한국 TV 프로그램의 경쟁력을 제고 시켰고 이는 관련 여타 영상산업의 변화와도 맞물려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론적인 논의와 함께 상황 변화에 대한 현실적인 고려, 그리고 핵심적으로는 한국 방송산업의 특수성을 관련 자료와 함께 다루고자 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이와 같은 논의를 발전적으로 정리하고 한류현상에 대한 주요 쟁점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다루고자 한다. 한국 방송관련 산업의 경쟁력 증가에는 다음과 같은 역사적인 배경과 원인이 있다. (1) 군사정권 시기에 정부는 방송을 통제했고 정치적인 충성에 대한 대가로 경제적인 보상을 통해 각 방송사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 (2) 이는 방송사가 유능한 젊은 인재를 채용할 수 있게 하였고 시설과 기자재에 대한 투자도 충분하였다. (3) 민간 정부 설립 이후에 방송관련 산업의 자유화(liberalization)는 새로운 채널과 뉴미디어 산업을 창출하였고 이는 경쟁의 증가로 이어졌으며 경쟁의 증가는 방송사의 효율적인 경영과 프로그램 제작비의 상승을 가져왔다. (4) 그 결과로 한국 텔레비전 프로그램, 특히 드라마의 대중성과 경쟁력은 빠른 속도로 높아졌다. (5) 최근 한국 프로그램이 수입 프로그램에 갖는 경쟁력은 매우 높아져 각 방송사는 전체 프로그램의 20% 상한선보다 훨씬 못 미치는 수입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있다. (6)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인기는 한국적인 내용에 대한 선호도를 높여 한국 영화의 인기로 이어졌다. 한국 영화에는 최근 많은 투자자본과 젊고 우수한 인재들이 몰려서 투자와 시장성과의 선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 KCI우수등재

        넷플릭스를 통한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글로벌 소비 연구

        김도경(Dokyung Kim),장문경(Moonkyoung Jang),백현미(Hyunmi Baek) 한국방송학회 2021 한국방송학보 Vol.35 No.6

        글로벌 OTT 플랫폼을 통한 방송 프로그램의 해외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한국 콘텐츠의 해외 소비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해졌다. 이 연구는 글로벌 OTT 플랫폼인 넷플릭스를 통해 유통되는 한국 방송 프로그램이 해외에서 어떻게 소비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플릭스패트롤에서 제공되는 80개국의 넷플릭스 TOP 10 방송 프로그램의 일별 시청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한국방송 프로그램 글로벌 소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동아시아 국가들이 가장 많이 한국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었으며, 문화적 거리와 지리적 거리가 가까운 국가일수록 한국 방송 프로그램을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센조’와 ‘좋아하면 울리는’과 같은 몇몇 한국 방송 프로그램은 동아시아를 넘어서 다양한 국가에서 소비되며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넷플릭스가 기획 · 편성한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경우 동아시아를 넘어 다양한 국가에서 소비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지상파 방송사가 기획 · 편성한 콘텐츠는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소비가 이루어졌으며, 그렇지 않은 콘텐츠에 비해 해외 소비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진출 확장과 신규 시장 공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untries that consumed Korean TV shows as well as content features consumed internationally in Netflix, one of popular global OTT platforms. For this, we collected and analyzed viewing data of Netflix TOP 10 broadcast programs in 80 countries on Flixpatrol.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nsumption status of Korean TV shows confirmed that East Asian countries consumed Korean TV shows the most, and the closer cultural distance and geographical distance are, the higher the consumption rate of Korean TV shows. In addition, the result of analyzing Korean TV shows was confirmed that "Vincenzo" was the most consumed Korean content overseas, "Love Alarm" was consumed in the most countries, and "More Than Friends" was the least consumed content in East Asia.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that affects international consumption, when Netflix planned/organized, the number of consuming countries was large and the consumption ratio in East Asia was low. On the contrary, the content planned/organized by terrestrial TV networks was found to be small in consumption and the number of countries consuming, while the consumption ratio in East Asia was high. We expect this study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strategies for global expansion of Korean contents by targeting new global markets.

      • 디지털 시대, 한국 방송의 현황과 과제

        김정기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Vol.- No.-

        디지털 시대의 도래 현대사회에서 미디어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시공간이 되었다. 사회적 의사 형성과 결정 및 집행을 산출하는 수단일 뿐만이 아니라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는 여가생활의 대부분을 점령함으로써 현대인의 삶의 질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한국도 중국도 예외는 아니다. 오히려 그 정도에서 더 빠른 변화를 보여왔다. 디지털은 뉴미디어를 대표하는 테크놀로지이다. 뉴미디어 테크놀로지 중에서 가장 앞선 것으로 새로운 기술과 환경을 창조하고 있다. 디지털이 가지는 변화의 폭과 넓이는 다양하고 무궁하다. 그것은 뉴미디어로서 디지털이 완성된 개념이 아니고 계속 개발되고 발전될 수 있는 현재진행형으로서의 포괄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디지털의 무한한 가능성과 그 종착역에 대해 누구도 단정할 수 없을 것이다(김정기, 1997). 디지털은 이제 단순히 기술의 의미를 넘어 우리 삶의 환경과 양식이 되고 있다.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형성에 그치지 않고 삶의 터전으로 인간의 의식과 행위를 규정할 만큼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기존의 신문과 텔레비전 등의 아날로그 미디어가 인간과 세상을 지배하고 변화시킨 것보다 디지털 미디어는 더 많은 더 빠른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디지털 기술에 의해 방송의 고기능화가 실현됨에 따라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체제를 디지털 체제로 전환하는 것은 한 국가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수용자와 시청자의 복지 증진을 위한 방송정책 차원에서 중요한 국가 정책 목표가 되었다. 또한 방송의 디지털화는 방송관련 장비산업이나 소프트웨어 영상산업에도 엄청난 규모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기 때문에 방송 정책 차원에서 뿐만이 아니라 산업경제적 차원에서도 국가의 정책적인 주요 과제로 추진되고 있다(강상현, 2000). 디지털 방송의 특성 디지털 방송은 새로운 방송신호전송 기술로 다채널화, 고화질, 고음질화, 다기능화라는 점에서 아날로그방송과는 차원이 다른 고품격의 방송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의 구체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채널화: 방송의 디지털화가 의미하는 특성 중 하나는 방송의 다채널화이다. 디지털 신호는 압축되어 보내질 수 있고 디지털 TV에서는 압축신호를 풀어서 읽을 수 있기때문에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한개의 채널에 해당되는 대역폭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채널을 서비스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압축기술은 ‘전파의 유한성’이라는 대전제가 사라짐을 의미할 만큼 방송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가용채널을 현재보다 훨씬 확대시켜 주는 것이다. 고품질화: 디지털 방송의 두번째 특성은 고품질의 영상과 음향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텔레비전의 영상에 현실감과 생생함을 놀랍도록 증대시킨다는 점이다. 디지털 기술의 신호 재생능력은 프로그램의 제작과 편집 및 전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송신호의 질적 저하를 근본적으로 개선시켜 주기 때문이다. 디지털 신호는 정보로서의 기호, 숫자, 문자, 음성, 화상 등 모든 것을 0과 1만으로 표현하고 이들 사이의 간격이 넓어 전송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잡음이 섞인다 할지라도 수신단계에서 '0'을 '0'으로, '1'을 '1'로 쉽게 복원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질적인 면에서 손실이 거의 없는 것이다. 이 같은 특성이 디지털 TV에서 출연자 얼굴의 땀구멍까지 볼 수 있는 고화질 화상과 CD 수준의 고음질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고품질화 특성이다. 다기능화: 방송의 디지털화가 가져올 가장 중요한 특성은 TV의 다기능화로 쌍방향 텔레비전의 출현이다. 이는 여러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안에 패킷 형태로 다중하여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다중화 전송(multiplexing transmission)이란 하나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다수의 방송채널을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디지털 방송의 다중화는 한 개의 영상신호와 다수의 음향신호, 그리고 데이터 신호가 결합된 프로그램 전송스트림이 하나의 채널을 구성하며, 이 채널을 여러 개 묶어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전송하는 것이다. 시청자와 텔레비전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환경은 텔레비전을 컴퓨터와 같은 지능을 갖는 종합정보미디어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일방적으로 프로그램을 전송받던 생각없고 무분별한 수동적 시청자에서 선택하고 평가하는 능동적 이용자로 변모시킬 수 있는 미디어환경을 제공하게 된 것이다. 상호작용성의 의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은 향후 미디어와 수용자의 관계에 엄청난 영향과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아날로그 미디어 환경에서는 불가능하였던 메시지의 내용이나 형태에 대한 통제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메시지 생산자와 수용자간에 역할 교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정보의 개인화를 가능하게 하고, 수용자로 하여금 보다 능동적으로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몰입하게 하여, 미디어와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거의 무한한 수준의 다양한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이 지니는 상호작용성을 가능하게 하는 특성은 다음을 포함한다(김주환, 2001, p. 14-15). 첫째, 완전복제성 (perfect duplicability)은 말 그대로 디지털 정보가 완벽하게 복제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하나의 디지털 정보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전혀 새로운 영역에 존재하게 됨을 뜻한다. 둘째, 즉각적 접근가능성(random accessibility)은 검색어 등을 사용하여 즉시 검색해 볼 수 있음을 뜻한다. 디지털 정보는 그 자체가 하나의 인덱스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아날로그 정보와 구분된다. 수많은 각종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되고 있는 것도 디지털 정보의 즉각적 접근가능성 덕분이다. 셋째, 네트워크성(networkability)은 디지털 미디어가 유무선의 연결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음을 뜻한다. 물론 그러한 연결망의 범위는 한 개인의 몸에서부터, 가정, 회사, 공동체, 국가, 나아가 전지구가 될 수 있다. 넷째, 복합성(multimodality)은 문자, 사운드, 화상 등 여러 가지 종류의 디지털 정보가 한데 어울어져 하나의 텍스트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 미디어는 처음 멀티미디어라고 불릴 정도로 복합매체성은 초기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복합매체성은 디지털 정보가 동등한 질(homogeneous)을 갖기 때문에 가능하다. 다섯째, 조작가능성(manipulatability)은 디지털 정보의 완전복제성과 즉각적접근가능성의 결과로 생긴 일종의 “편집가능성”이다. 물리적 사물의 고정적 형태에 의존하는 아날로그 정보는 조작과 변환에 물리적 제약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는 어떤 형태의 정보든 얼마든지 조작할 수 있다. 디지털 인터액티브 텔레비전 방송의 디지털화, 텔레비전과 인터넷의 융합, 디지털 셋탑박스, 케이블모뎀, 전화선을 이용한 DSL(digital subscriber lines) 등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기술의 개발과 시청자와의 상호작용성을 가능하게 하는 특성으로 인터액티브 텔레비전이 등장하게 되었다. 인터액티브 TV는 데이터방송을 포함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큰 특징이 있다. 이러한 부가서비스는 할당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여유 주파수를 사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영상ㆍ음성ㆍ데이터를 보내는 방송 서비스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동형 부가 데이터 서비스 (예: 스포츠 프로의 선수 경력, 오락 프로의 등장인물 관련 정보, 프로그램 관련 게임이나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고, 프로그램과는 무관한 독립행 서비스(예: EPG, 날씨ㆍ주식 정보ㆍ열차나 항공기 시간 표 등의 디지털 텍스트 서비스 등)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향 채널을 사용하는 데이터방송 서비스의 경우에는 사청자가 특정 프로그램을 보면서 퀴즈 쇼나 홈 배팅(betting), 실시간 여론조사 등에 참여할 수도 있고 TV전자상거래(T-commerce)나 홈쇼핑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터넷 이용시와 같이 홈뱅킹, 전자메일, 채팅 및 동호회/커뮤니티 참가도 가능하다(강상현, 2001). 한국 디지털 방송 현황 21세기 방송 변화의 핵심 화두가 되고 있는 방송의 디지털화는 한국의 경우도 미국방식인 ATSC(8VSB) 방식을 정보통신부에서 1997년 11월에 채택하여 2000년 8월까지 방송사 공동으로 실험방송을 한후 SBS가 8월 31일, KBS가 방송의 날인 9월 3일부터 시험방송을 하였다. 그리고 2001년 3대 지상파 방송인 SBS가 10월 26일, KBS와 MBC가 각각 11월과 12월 주당 10시간의 디지털 본 방송을 시작하였다. 지상파의 디지털 방송은 광역시 방송사는 2003년, 도청 소재지 방송사는 2004년, 기타 시, 군 구 방송사는 2005년까지 디지털 방송을 시작해 2010년에는 현재의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을 모두 디지털로 전송할 예정이다. 케이블 TV의 경우는 현재 SO들이 공동출자로 디지털추진위원단을 구성해 디지털 송출 장비 등을 집중시킨 디지털미디어센터를 건립해 디지털 방송을 준비중이다. 한국의 국내 시청자들이 디지털 방송의 시작을 실감하게 된 것은 2002년 3월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가 전국을 가 시청권역으로 24시간 디지털 본 방송을 시작하면서부터이다. 현재 한국에서의 디지털 방송과 관련하여 현황을 요약하면, SD급, HD급이

      • KCI등재

        90년대 이후 한국 방송학 연구의 성찰

        정재철(Chung Jae-Chorl)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1

        본고는 90년대 이후 다매체 다채널 시대 속에서의 한국 방송학 연구의 전체적인 연구경향을 주제분포나 연구방법의 분포 등으로 양적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주요 연구주제에 속하는 대표적 연구사례들의 연구경향을 통시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오늘날 한국 방송학 연구의 전반적인 연구경향을 진단하고, 이를 통해 한국 방송학 연구의 이론적 지식 축적과 사회적 현실개입이 어떠한 경향성을 띠로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성찰한다. 연구결과, 한국 방송학 연구는 기존의 전통적인 방송학 연구의 패러다임을 극복해야할 많은 연구과제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변화, 효과 연구의 인식론적, 존재론적, 방법론적 관점의 변화 양상에 따른 한국적 방송학 이론의 개발은 시급한 과제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major research trends in Korean broadcasting studies since the early 1990s and reflects on which direction contemporary scholars studying in Korea needs to pursue. Because of the fundamental shift in the paradigm of communication and the development in the media technologies in the 90’s, scholars studying broadcasting in Korea have had much attention on the reforming nature of media technologies and its social consequence. In this context, the analytical focus of this paper was first placed on examining quantitatively both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and, second, examining qualitatively the research trends of major subjects by the careful reading of representative broadcasting studie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90’s broadcasting studies in Korea are as follows: 1) the expansion of the study on television text criticism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television program research, 2) the new formation of research trend to the approach of cultural studies to study audiences along with traditional audience studies, 3) the new formation of research trend to study the media economy, 4) the formation of various research trends to study broadcasting policys and media effects. 5) the emergence of export groups to study various broadcasting subject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1) the necessity to establish effective broadcasting policies for cable TV, digital (satellite) TV and local TV, 2) the necessity to develop broadcasting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by korean scholars.

      • 중국산 수입 TV 드라마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 ‘황제의 딸’과 ‘노방유희’ 수용자 비교분석

        최양호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Vol.- No.-

        1. 문제 제기 중국에서는 韓流 열풍이 불고 있다. 중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던 한국 TV 드라마 안재욱ㆍ최진실의 〈별은 내 가슴에〉, 그리고 안재욱ㆍ베이비 복스 등의 중국 콘서트는 한류 열풍이 결코 지나가는 바람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허진(2002)은 ‘중국의 한류현상과 한국 TV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에서 한국 드라마가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는 한국 드라마의 내용이 중국 수용자들의 기호에 부합했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그렇다면, 역으로 한국 수용자들은 중국 TV 드라마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를 밝히는 것도 중국과 한국의 방송프로그램 교류에 매우 유익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방영되고 있는 중국 프로그램들에 대한 수용자들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경험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중국산 수입프로그램에 대한 한국 수용자들의 이용과 충족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또한 경인방송의 중국산 수입프로그램 관련 게시판에 올려 있는 글들을 분석하였다 2.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중국드라마를 애청하는 한국 시청자들의 이용과 충족에 관해 경험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한국의 지상파 방송사중에서 중국산 수입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방영하고 있는 경인방송(itv) 인터넷 사이트에는 별도로 ‘중국프로그램’ 메뉴가 있을 정도다. 현재 경인 방송 사이트에 소개된 중국 방송 프로그램으로는 ‘황제의 딸’(일 오전 10시30분), ‘희옥공주’(토ㆍ일밤 9시5분), ‘협녀틈천관’, ‘노방유희’등이 있는데, ‘대본’, ‘방송보기’, ‘게시판’, ‘등장인물’, 그리고 ‘자료실’등이 있어서 시청자들이 각 프로그램에 대해 소상하게 알 수 있다. 심지어, ‘황제의 딸’ 경우에는 한국 시청자들의 호응으로 6월 2일부터 앙코르 방송을 하고 있으며, 독자적인 홈페이지를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한국에 중국 드라마 돌풍을 몰고 온 드라마이다. 그 게시판에는 60,000건 이상의 글들이 올라와 있을 정도로 중국드라마에 대한 한국 시청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황제의 딸’에 대한 한국 시청자들의 수용동기를 알아보기 위해 홈페이지 게시판에 올려져 있는 글들을 분석하였으며, 이용과 충족관련 항목들을 사용하여 수용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황제의 딸’은 시대극이기 때문에 시대극이라는 영향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 현대물인 ‘노방유희’에 대해서도 게시판 분석과 이용과 충족 관련 항목들을 사용하여 수용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앞에 논의한 내용들을 토대로 연구문제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한국 시청자들이 중국산 수입 TV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동기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중국 시대극 ‘황제의 딸’과 중국 현대극 ‘노방유희’를 이용하는 한국 시청자들의 이용 동기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3. 한국 시청자들이 중국 TV드라마와 한국 TV드라마간에 문화적 차이가 존재한다고 인식할 것인가? 이 연구 문제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또한 경인방송의 중국산 수입프로그램 관련 게시판에 올려져 있는 네티즌의 글들을 분석하였다.

      • KCI우수등재

        지역방송 시사보도 프로그램 시청 효과 분석을 통한 지역방송 위기극복 전략 연구 : 방송 시청, 지역 및 지역방송 인식, 정치참여 변인을 중심으로

        최진호,이정기 한국방송학회 2022 한국방송학보 Vol.36 No.5

        This study set out to test the viewing effects of Big Bunker, which is a program covering current events by Busan MBC and Daegu MBC that is considered to embody locality rights and help local broadcast overcome its crisis.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intention of viewers to continue watching local broadcast programs reporting on current events, their preference for local broadcasts, and factors impacting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politics. The findings show that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s of watching a reporting program on current local events tended to have a higher intention to keep watching such programs and a greater preference for them than those who had no such experiences. The former had a higher intention to keep watching such programs and a greater preference for them according to their positive evaluations of the degree of deliberative integration and the locality of the programs after watching them and their higher perceptions of locality identity and community involvement.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ocal politics also grew according to the increased degree of deliberative integration after watching programs and the higher perceptions of community involvement. These findings imply that journalism embodied based on locality can increase the industrial and political effects of a local broadcast 본 연구는 지역방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성을 잘 구현하고 있다고 평가받는 부산·대구 MBC의 시사보도 프로그램 <빅벙커>의 시청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지역방송의 시사보도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 시청의사, 지역방송 선호도, 지역민의 정치참여 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봤다. 연구결과, 지역 시사보도 프로그램 <빅벙커> 시청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지역방송(MBC) 시사보도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 시청의사와 지역 방송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시청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경우, 방송 시청 후 숙고적 통합의 정도가 높을수록, 해당 프로그램의 지역성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응답자의 지역 정체성 인식과 지역사회 관여도 인식이 높을수록 지역방송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지속 시청의도와 지역방송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을 확인했다. 또한 시청 후 숙고적 통합의 정도가 높을수록, 응답자의 지역사회 관여도 인식이 높을수록 지역 정치참여 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성을 토대로 구현된 저널리즘이 지역방송의 산업적·정치적 효과를 높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근거해 지역방송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몇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 KCI우수등재

        공영방송의 재원구조와 문화적 임무수행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 프랑스 공영방송의 재원구조 개혁 사례를 중심으로

        송영주(Yung-Joo Song) 한국방송학회 2020 한국방송학보 Vol.34 No.4

        디지털 환경에서 공영방송의 차별성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개선이 시도되고 있다. 2009년 프랑스 정부는 광고 수익의 축소가 공영방송의 차별성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제 하에 공영방송의 재원구조 개혁을 시도했다. 이 사례는 정부규제라는 외적 요인이 유사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공영방송의 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프랑스의 공영방송 개혁에는 문화적 역할이 중심적이었던 만큼, 이 논문에서는 프랑스 공영방송이 추구하는 문화적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광고수익의 축소 이후 문화적 편성의 변화에 대해 검토했다. 개혁 후 공영방송의 문화적 편성을 다수주의적 편성과 다원주의적 편성 모델, 문화 민주주의와 문화의 민주화 관점에서 점검해본 결과, 공영방송의 광고수익 축소와 문화적 편성에는 직접적이고도 가시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기는 힘들었다. 프랑스 공영방송은 제도적으로 강화된 규정을 문자 그대로 따를 뿐, 공영방송의 철학을 실행에 옮기고 있지는 않았다. 따라서 2009년 프랑스 공영방송 개혁 사례는 공영방송의 차별성이 제도적 개선만으로 강화될 수 없다는 것을 반증하는 사례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The digitization brought PSB to redefine their raison d’être. The PSBs around the world try to strengthen their remits by more enforced regulatory frameworks for instance, by changing their financing structur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reform of France Télévisions in 2009. By reducing the advertising revenue from the funding model, the improvement of the distinctiveness was expected. However, the new funding scheme seems to have no direct and visible effect on cultural programming after the reform. The research concludes that the distinctiveness of the PSB is difficult to be achieved by only changing the funding model but depends on various factors which have to be apprehended and determined by the PSB itself.

      • KCI등재

        한국형 CIPs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중소기업의 최소 물류비용 분석

        김일권,정종필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1

        최근 한국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CPS, 빅데이터, 5G, IIoT, VR/AR, 복화 운송 AI 알고리즘 등의 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CIPs(Connected Industrial Parks) 아키텍쳐가 제안되고 있다.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미국, 유럽, 일본 등의 해외 선진국 기업들 보다 기술 경쟁력에서 앞서 있지 않은 면들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기술 연구 개발에 많은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후발 주자로서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 수익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재무적으로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수익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매출을 증대시키는 것 보다 레버리지 효과성이 높다. 본 논문은 한국 CIPs에 위치한 중소기업들의 비용 절감을 통한 수익성 개선을 주요 과제로 하였다. 한국 CIPs에 위치한 중소기업들의 비용 절감을 위한 방안으로서 VJP(Vehicle Junction Problem)를 주목하였다. 한국형 CIPs 결제 시스템을 통한 중소기업의 최소 물류 비용 달성 방법을 분석하였 다. 새로운 한국형 CIPs결제 시스템의 세부 항목을 크게 4가지 “업무(Business)”, “데이터(Data)”, “기술(Technology)”, “자금(Finance)”로 구분하여 정리한다. CIPs 결제 시스템의 성과 분석 방법으로 CBA(Cost Benefit Analysis)을 사용한다. Recently, various connected industrial parks (CIPs) architectures using new technologies such as cloud computing, CPS, big data, fifth-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5G, IIoT, VR-AR, and ventilation transportation AI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in Korea. Korea'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do not have the upper hand i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an overseas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For this reason, Korea'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ave to invest a lot of money i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As a latecomer, Korean SMEs need to improve their profitability in order to find sustainable growth potential. Financially, it is most efficient for small and medium-sized Korean companies to cut costs to increase their profitability. This paper made profitability improvement by reducing cost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CIPs in Korea a major task. VJP (Vehicle Action Program) was noted as a way to reduce cost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CIPs in Korea. The method of achieving minimum logistics costs for small businesses through the Korean CIPs payment system was analyzed. The details of the new Korean CIPs payment system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Business", "Data", "Technique", and "Finance". Cost Benefit Analysis (CBA) was used as a performance analysis method for CIPs payment systems.

      • KCI등재

        지상파 방송사 이미지와 시청자 태도와의 관계 분석

        이우승(Woo-Seung Lee),안재현(Jae-Hyun Ahn) 한국방송학회 2004 한국방송학보 Vol.18 No.4

        본 연구는 한국 방송시장을 주도하는 지상파 방송3사(KBS, MBC, SBS)에 대한 시청자의 이미지 차이를 분석하고, 방송사에 대한 시청자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이미지 구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방송사의 이미지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는 프로그램에 나타난 방송사의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과정 자체에 중점을 두고 있어 시청자와 방송사 이미지간의 관계가 연구에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수용자 행위와 방송사의 행위간의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고려되지 않았다는 관점에서 이미지를 방송사가 형성하고자 의도하는 내용과 수용자에 의해 형성되고 관리되는 이미지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상호작용적 측면에서의 이미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시청자가 갖는 방송사에 대한 이미지와 방송사가 외부, 즉 시청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방송사가 매년 발표하는 10대 기획을 분석하였다. 지상파 방송3사의 이미지 마케팅 전략을 분석해 본 결과 사회적 행동요소를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시청자들이 방송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구성요소는 사회적 행동요소 보다는 기업적 행동요소인 것이었다. 따라서 향후 방송사들은 다채널 시장 환경에서 자사에 대한 시청자들의 우호적인 태도 형성을 위해서는 기존의 이미지마케팅 전략을 보완하고 기업적 행동요소를 강조하는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공익적 성격과 사회 공헌적 방송철학에 근거한 지상파방송의 이미지 마케팅이 공익과 사회 공헌에만 치중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수용자들은 방송사에 대한 이미지를 새로운 제작기법을 얼마나 활용해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는가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적 행동요소에 해당되는 새로운 프로그램 제작기법 개발과 디지털 첨단기술을 이용한 프로그램 제작과 기업적 행동 결과물인 프로그램의 질이 방송사에 대한 시청자들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is the analysis of the viewers attitudes about the 3 major broadcasting stations(KBS, MBC, SBS) in Korea, also this research analyzes factors that viewer attitudes have on the contents of the broadcasting stations. In previous research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broadcasting stations were not considered in their analysis, so this research will focus on the positive interaction of the audience an the broadcasting station, especially the differences between what the broadcasting stations wants to project in its images and the its viewers attitude toward them.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viewer attitude and what the broadcasting stations want to project with its image, we research the annual 10 goals of the stations. According to analyzed image marketing strategies of the 3 major broadcasting stations, their main goal is in changing the social attitudes of its viewers with its content. but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the viewers attitude toward that goal is that the stations agenda is greatly influenced by big corporations. Therefore in order to make viewer attitudes more friendly in this atmosphere of multi-channel television, the major broadcasting stations need to complement the existing image marketing strategy and pursue strategy of marketing communication which emphasizes on the acts that factor in relation to big corporation. The image marketing activities of the major broadcasting stations which are based on public benefit tendency and social contribution broadcasting philosophy have a tendency to emphasize good for the public and social contribution too much. But viewers are not concern with the stations reaching out and trying to do good for the public they are more focused on whether the broadcaster made programs by using newer manufacture technology. We need to bear in min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at the quality of programs which are made by using newer manufacture technology affect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s of viewers toward broadcasting s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