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잡지『변태심리(変態心理)』특집호 속 소년범죄 연구 「불량소년연구호」(1918)·「소년교양문제호」(1924)를 중심으로

        남상현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4 일본연구 Vol.41 No.-

        본고는 변태심리 의 특집호에 나타난 다이쇼기의 소년범죄를 분석하였다. 「불량소년연구호」에서는 불량소년이 되는 원인과 감화사업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불량소년이 되는 원인은 개인적 원인과 사회적 원인이 있는데, 개인적 원인은 정신적 결함과 선천적 요인 및 유전에 의한 것을 원인으로 꼽았다. 이를 통해 변태심리 가 소년범죄의 원인을 ‘정신의학’과 ‘심리학’, ‘우생학’과 같은 서구에서 유입된 근대 과학에 맞춰 설명하고, 근대화되던 일본 사회의 논의를 흡수하여 공론화하려는 선구적인 역할을 자처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사회적인 원인으로는 다이쇼기 이전의 인습적인 행위부터 서구문물 유입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로 인한 문제를 제기하였는데 이는 사회환경의 변화와 감화를 통해 소년들을 개량할 수 있다는 사고로 이어지면서 감화사업을 향한 관심으로 이어진다. 감화사업이란 소년들을 ‘징치’가 아닌 ‘감화(교육)’을 통해 개선하고 재범을 저지르지 않도록 조치해야 함을 뜻한다. 도메오카가 범죄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소년들을 개량하는 감화교육 자체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면 오가와는 범죄 이후 재범을 방지하기 위한 감화 시설의 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정학교를 설립하며 감화 교육시설 정립의 일선에서 활약한 도메오카와 당시 구 소년법의 성립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 오가와의 기사를 적극적으로 실으면서 일본 사회에 감화사업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고자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소년교양문제호」에서는 첫째로는 소년범죄를 줄이고 소년들을 올바르게 교육하기 위한 방책으로서 서구의 사회 제도들을 소개하며 일본에도 사회복지 사업과 제도의 양성이 필요하다고 피력하는 기사를 다룬다. 둘째로는 학교 교육으로 불량소년을 다루는 방법을 얘기하는데, ‘멘탈 테스트’와 같은 입시시험과 아동의 심리, 아동의 개성에 주목하고 학교 교육 제도에서 벗어난 교육의 필요성을 주창한다. 이와 같은 기사들은 1920년대 다이쇼 자유교육운동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자유교육운동과 불량소년을 연결하여 사고하는 점에서 기존의 교육 연구 관점과는 다른 관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보듯 변태심리 는 기존의 사회학에서 분석하였던 소년범죄의 현실적인 양상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논의를 함께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본고는 변태심리 의 특집호를 통해 소년범죄를 신체와 유전의 문제로 다룬다거나 감화법과 구 소년법의 제도 성립을 전후로 하여 나타난 교육론에 관한 비판적 사고를 살펴보며, 다이쇼기 일본 사회에 유입되던 서구 담론과 소년범죄를 중심으로 근대의 탄생을 재조명하고 소년 문제를 둘러싼 당대의 논점과 사회학 연구에서는 미처 보지 못했던 이면까지 들여다볼 수 있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This paper analyzed the juvenile crimes of the Taishō era that appeared in special issues of Hentai Shinri. In the “A Research of Delinquent Boys,” the main contents were about the causes of becoming a delinquent boy and the project of reformatories. The causes of becoming a delinquent boy include personal and social causes. Personal causes include mental defects, congenital factors, and genetics. It can tell that Hentai Shinri had a pioneering attempt to absorb discussions of modernizing Japanese society and to make them public through explaining the causes of juvenile crime in a way of modern science introduced from the West, such as ‘psychiatry’, ‘psychology’, and ‘eugenics.’ As social causes, the problem was raised from conventional behavior before the Taishō era to social changes caused by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These led to the idea that boys can be improved through edification leading to interest in the reformatories business. The reformatories business means that the boys should be improved through ‘Edification (education)’ rather than ‘Punishment’ and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them from re-offending. While Tomeoka expressed the importance of reform education itself to improve boys in order to prevent crimes in advance, Ogawa argues that the establishment of reformatories facilities to prevent recidivism after a crime must come first. It can be seen that efforts were made to convey correct knowledge about the reformatories project to Japanese society by actively publishing articles by well-known scholars. Meanwhile, the “The Problem of Juvenile Refinement”, First, it introduced Western social welfare systems as a way to reduce juvenile crime and educate boys properly, and featured an article that expresses the need for social welfare projects and training in Japan as well. Second, there are articles dealing with school education and delinquent boys. These articles, can be understand as influenced by the Taisho New Education Movement of the 1920s, focused on entrance exams, children’s psychology, and children’s individuality, and advocate education outside of the school education system.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through a special issue of Hentai Shinri it presented not only the problems of delinquent boys in those days but also the discussions based on various theories that exist hidden side of the social studies.

      • KCI등재

        고베연속아동살상사건(神戸連続児童殺傷事件)으로 인한 작가의 인식 변화 고찰 - 유미리(柳美里)의 골드러시(ゴールドラッシュ)를 중심으로 -25)

        남상현 대한일어일문학회 2019 일어일문학 Vol.81 No.-

        With the emergence of vicious crimes by young 14 year-old boy, the Kobe children murders(in short, Kobe case) in 1997, japanese society got shocked and had been changed in many ways. Naturally, this influenced to the authors and novels got gradually changed. In this thesis, I'm going to search for the influences that changes author's perceptions and novels context by studying the Gold Rush written by Miri Yu. The reason I chose the Gold Rush is because Miri was deeply affected by the Kobe case and wrote it as an answer for the boys for the first time. Miri describes boy's inner feelings in details telling that she sympathized with Kobe case's offender boy. In Gold Rush she dealt with not only the social problems that a boy absorbs and explodes as a murder, but also the thought and inner side of boys leading up to the crime. This means the perception of juvenile crime has changed from social problem to personal inner side problem. The problems focused on personal matters, Miri tries to find the answer. First, she argue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who can support the boys. Second, for the strong relationship, it is important for the boys to realize that there is the responsibility and the consequences the boy needs to bear after the crime. Especially, giving the opportunity to make boys feel the responsibility, she emphasis the crimes comes from the boys personal sin, which is the difference from the novel before the Kobe case. Gold Rush is the first novel that Miri wrote about the social issue. In addition, it focused on boy's personal inner side problem rather than social problem. These changes could represent the changes of author's perception after the Kobe case, and it is valuable that the Gold Rush is the first literature that could range over the alterations.

      • KCI등재

        머신러닝 기법을 통한 대한민국 부동산 가격 변동 예측

        남상현,한태호,김이주,이은지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0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0 No.6

        최근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다. 과거 주거환경으로만 여겨지던 부동산은 끊임없는 수요 증가로 안정적인 투자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시장의 경우 인구 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1인 가구의 증가 및 대도시 로의 인구 유입이 가속화되며 수도권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고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미래 부동산 시장의 전망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개인의 자산 관리 뿐 아니라 정부 정책 수립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과거 부동산 매매 데이터를 학습해 미래 부동산 시세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한국감정원과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대한민국 부동산 매매 시세 데이터를 활용하 였으며 지역별로 2022년도 평균 매매가 예측치를 제시한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오픈소스 형태로 공개하여 다양한 형태 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Recently, the real estate is of high interest. This is because real estate, which was considered only a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past, is recognized as a stable investment target due to the ever-growing demand on i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domestic market, despite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influx of people to large cities are accelerating, and real estate prices are rising sharply around the metropolitan area. Therefore, accurately predicting the prospects of the future real estate market becomes a very important issue not only for individual asset management but also for government policy establishment.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program to predict future real estate market prices by learning past real estate sales data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he data on the market price of real estate provided by the Korea Appraisal Board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ere used, and the average sales price forecast for 2022 by region is presented. The developed program is publicly available so that it could be used in various forms.

      • KCI등재

        손원평 『아몬드』(2017)의 일본 수용 고찰― 소년범죄를 중심으로 ―

        남상현 한국일본학회 2022 日本學報 Vol.- No.131

        Almond by Sohn Won-pyung won the unprecedented first place in the 17th Japanese Booksellers Award’s ‘Part of Translated novels’ in 2020. The K-Literature boom may be one of the external reasons for this award, In the present work, I tried to focus on the Juvenile delinquency described in Almond. Two boys named Yun-jae Sun and Gon are mentioned in Almond. Yun-jae Sun had difficulty in feeling emotions, and Gon had a dark scar to become a delinquent boy. Because these boys matched with what nowadays Japanese people are afraid of, such as Juvenile serial murders or Psychopath, Almond was able to trigger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reader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boys did not commit any crime at the end. This leaves two impacts on the Japanese readers. First, Almond pointed out certain juvenile problems which are avoided in the name of psychopath. Second, Almond provided the comfort and healing from a positive perspective and happy ending,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recent Japanese juvenile crime novels or Iyamisuv (eww mystery). This means that Almond pointed out and solved the problems which could not be solved by Japanese own novels. Focusing on juvenile delinquency might be unusual in K-literature studies. Keeping the current study as a base, I believe the K-literature study can expand its research field. 2020년, 일본에서 손원평의 『아몬드』가 한국소설로서는 이례적으로 제17회 서점대상 「번역소설부문」 1위를 수상하였다. K-문학의 붐이라는 외부적 현상을 무시할 수 없지만, 본고는 그 원인을 일본의 소년범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아몬드』에는 감정표현불능증을 앓고 있는 소년 선윤재와 비행 소년이 되어버린 소년 곤이가 등장한다. 이들은 소년의 비행과 범죄를 둘러싼 공포가 여전히 도사리고 있는 데다가 사이코패스라는 뇌 기능의 문제까지 지적되고 있는 일본 사회가 느끼는 불안에 딱 맞는 소재로 일본 독자의 흥미를 촉발하였다. 중요한 점은 우려와 달리 소년들은 범죄로 치닫지 않았다는 것이다. 소설의 전개에 따라 일본의 독자는 1. 소년들의 문제를 사이코패스와 같이 어려운 용어를 핑계로 해결을 미루는 사회적 풍조의 문제점을 자각하고, 공감이라는 해결 가능성과 위안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2. 최근 일본의 소년범죄소설에서 보이는 이야미스적인 양상 혹은 해결 불가능성을 지닌 결말과는 다른 긍정적인 시선에서 『아몬드』가 주는 위로와 치유를 받을 수 있었다고 본다. 『아몬드』는 소년범죄라는 유사한 사회적 문제를 한국이라는 낯선 공간에서 해결해나가는 이야기를 보였다. 즉, 자국의 소설로는 해결하지 못하였던 문제를 한국의 작품을 통해 지적하고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기회의 장으로 활용한 것이다. 『아몬드』에서 발견한 문학적 해결 가능성과 위로의 힘은 K-문학이 일본에서 수용되는 일환으로 연구될 가치가 있다. 이에 향후 K-문학 연구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확장될 가능성에 본고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피드백이 없는 유체진동기에서 분사되는 Sweeping jet의 유동 특성

        남상현,김동욱,김경천,Nam, Sanghyun,Kim, Donguk,Kim, Kyung Chun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20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Vol.18 No.1

        This paper presents flow characteristics of a sweeping jet issued by a feedback-free fluidic oscillator. Overall flow characteristics of feedback-free sweeping jet (FFSJ) were analyzed using flow visualization. The feedback-free sweeping jet has a sinusoidal external flow pattern. The oscillating frequency of the FFSJ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sweeping jet at the same Reynolds number. Flow structure and turbulenc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sing time-resolved particle image velocimetry (TR-PIV). In instantaneous velocity fields, the flow did not stay at ends but changed the direction continuously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sweeping jet. Velocity distributions at each plane which were extracted from mean velocity field has Gaussian distribution, which is similar with a circular jet. The sweep angles were constant as 45° at all Reynolds numbers in the high flow rate regime.

      • 다양한 형태의 생 비골 이식술을 이용한 경골의 재건

        남상현,김범진,고성훈,정윤규,Nam, Sang-Hyun,Kim, Bom-Jin,Koh, Sung-Hoon,Chung, Yoon-Kyu 대한미세수술학회 2006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5 No.1

        Twelve cases in eleven patients with segmental bone defects were treated with contralateral fibula free flap and ipsilateral island fibula flap in an antegrade, retrograde or bidirectional flow fashion. Five cases were managed with free flaps and seven were with ipsilateral fibula island transfer. Among seven cases, antegrade fashion was three, retrograde was three, and bidirectional was one. All patients were related with open tibial fractures and its sequelae except one who had open foot bone fracture. According to Gustilo's classification, ten patients were type IIIb and one was type IIIc. Basically, antegrade-flow flaps based on the peroneal vessels as in the conventional free flap were used for the proximal or middle one-third tibial defects. On the contrary, retrograde-flow flaps based on the communicating branch between the peroneal and posterior tibial vessels were used for the middle or distal one-third of the tibia. Bidirection-flow flap based on intact peroneal vessels were used for the middle portion of the tibia. The patients who have undergone ipsilateral fibula island flap had one of the following problems: a previously failed free flap, below-knee amputation of the opposite leg because of open tibial fracture, refusal to use the contralateral sound leg, or poor general condition to stand a lengthy operation. Six of the patients who have got ipsilateral fibula island flap also had an associated fibula fracture on the same leg, which was ultimately used as one of the osteotomy sites. The follow-up period was from 1 to 10 years. Two cases of free flap were failed: one patient had below-knee amputation and the other patient had ipsilateral fibula transfer. Other cases were successful and excellent hypertophy of the transferred fibula was achieved. Time to bone union ranged from 4 to 11 months. Time to full weight bearing was from 5 to 13 months after surgery. All of the transferred fibulas showed hypertrophy after weight bearing. In one case, stress fracture was developed during ambulation, which was healed conservatively. Nonunion occurred in two cases, which were treated with a long leg cast and cancellous bone graft, respectively. Length discrepancy of the legs was noted. The limb was shorter by an average 0.5 cm in three cases, longer by 1.1 cm in one case. In the case of island fibula transfer, limited arc of rotation was not a problem. Other disabling complications were not seen. We believe that these diverse modalities using a vascularized fibula will make us more comfortable to handle major bone defects.

      • KCI등재

        한국 드라마 <소년심판>의 성공과 한계 고찰- 일본 소설·드라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남상현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4

        The Korean TV series Juvenile Justice was released on Netflix in February 2022. The series achieved high ratings; however, considering its ripple effect, some areas could have been improved upon. To assess its shortcomings, I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with Japanese juvenile crime novels and TV series. Japanese works are a suitable comparison target in three ways. First, since the 1997 Kobe Child Murders, various juvenile crime issues have been discussed fo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in both countries through novels and TV series. Second, both have similar juvenile criminal laws. Third, comparable juvenile crimes have occurred in both countries. Although Juvenile Justice spread awareness of how juvenile offenders could be treated more humanely, the prejudice shown toward the offender’s families is concerning. Japanese TV series Soredemo ikite yuku(2011), and Tegami(2018) showed that discrimination is inevitable against the families of offenders; however, the series show the families undergoing self-reflection, realizing the need for change, and taking steps to improve. So why did Juvenile Justice place most of the blame on the offender’s families? It is because of a lack of interest toward the mind of juvenile offenders and little faith in his rehabilitation. Also, the series offered no specific follow-up plans that could be trust. Various Japanese works have already pointed out these problems and presented possible solutions for them. Therefore, through this analysis,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a shift in Korean perception for the juvenile offenders were reviewed. Finally, with this article as a momentum, I hope that future Korean TV series dealing with juvenile crimes will take the recommendations so that the series can become a bit freer of social prejudice. 2022년 2월 넷플릭스에서 한국 드라마 <소년심판>이 공개되었다. 소년범죄를 향한 문제점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소년심판>은 성공적인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소년심판>이 가지는 파급력을 고려했을 때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하여 일본 작품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심사숙고하는 과정을 가졌다. 일본은 1997년 발생한 고베아동연속살상사건을 계기로 소년범죄를 둘러싼 다양한 문제가 소설과 드라마를 통해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쳐 논의되어왔다. 또한, 소년법이 한국과 유사하고 소년범죄 사건 역시 유사하게 발생하며 문제시되었다는 점에 비교 대상으로서 가치가 충분하다. <소년심판>은 가해자 소년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사회적 논의를 대중적으로 확산시켰다. 다만, 가해자 가족을 향한 시선에 편견이 담겨있다는 우려를 지울 수 없다. 이에 일본의 TV 드라마 <그래도, 살아간다>(2011)와 <편지>(2018)를 통해 가해자 가족에 대한 차가운 시선과 차별이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개선이 필요하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일본 사회에 조금씩 퍼지고 있다는 사실을 비교하였다. 그렇다면 <소년심판>이 가해자 가족에게 부담을 짊어지우는 원인은 무엇인가. 첫째, 소년 개인을 향한 관심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둘째, 소년의 갱생에 대한 믿음이 희미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소년들이 변화해서 사회에 적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사후 대책 제도에 대한 해답이 구체적으로는 나와 있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은 가족과 부모에게 부담을 지우게 된 것이다. 일본의 작품에서는 이미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한 작품이 선행되어 있으며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사고 변화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고는 <소년심판>과 일본의 TV드라마 및 소설을 비교 분석하며 소년범죄에 대하여 양국이 가지는 문학적 관점을 시사하고 사고의 확장을 도모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시작으로 앞으로 한국 사회에 등장할 소년범죄를 소재로 하는 드라마가 사회적 편견에서 벗어난 드라마로 발전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일본의 소년범죄소설과 속죄의식 - 『천사의 나이프』와 『속죄의 소나타』, 『속죄』를 중심으로 -

        남상현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6

        현대 일본사회는 소년범죄에 관하여 엄벌주의의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그러나 보호주의 원칙의 소년법에 의하여 가벼운 형벌을 받는 소년들은 사회로 복귀한다. 본고는 소년들이 사회에 복귀하였을 때 가장 필요한 속죄의식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1997년 고베연속아동살상사건은 특히 가해자 소년들의 문제와 함께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집중시켰다. 결과, 2000년 이후 속죄교육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2015년 사회로 복귀한 고베연속아동살상사건의 소년A는 범행수기인 『절가』를 출판하며, 소년에게 필요한 속죄의식의 부재를 알렸다. 본고는 이러한 사회적 경향에 입각하여 소년범죄소설 세편을 통하여 소년들에게 요구되는 속죄의식의 양상과 그 궁극적인 목표를 살펴보았다. 『천사의 나이프』와 『속죄의 소나타』에서는 소년들의 갱생이란 단순히 사회에 복귀하여 성공한 삶을 살며, 재범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며, 피해자와 그 가족에게 속죄의식을 가지고 용서를 구하며 평생에 걸쳐 행동으로서 보여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로서 비로소 가해자 소년 역시 진정한 시민으로서 거듭날 수 있다는 것을 알렸다. 한편, 『속죄』에서는 피해자의 용서 역시 중요하다는 점을 알린다. 가해자의 속죄와 그 행동을 전제로 피해자는 사건에 대하여 용서함으로서 가해자의 지배력에서부터 벗어나며, 궁극적으로 2차적인 피해를 막게 됨으로서 진정한 사건의 종결을 맞이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즉, 소년범죄의 진정한 해결을 위하여서는 엄벌주의로 인한 강력한 법적인 처우뿐 아니라 그 시작에 가해자가 간직해야 할 속죄의식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하며 이야말로 진정한 사건의 해결을 맞이한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소설 속 속죄의식의 분석연구는 윤리의식의 함양이라는 문학적 역할을 보여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Japanese society in these days is becoming increasingly strict about juvenile delinquency. However, under the protectionist principle of juvenile law, boys who receive minor punishment are allowed to return to society.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onsciousness of atonement most needed when boys return to society. In 1997, The Kobe Children Murders focused on the problems of the boys, especially those who were victims. As a result, “atonement education” was adopted after 2000. Ironically, however, the boy from Kobe, who returned to society, published the non-fiction work Zekka in 2015, and showed the lack of a sense of atonement. Based on this situ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atonement required for boys and the ultimate goals by analyzing three juvenile crime novels. In Tenshi no Naifu and Shokuzai no Sonata the rehabilitation of the boys did not involve them returning to society, living a successful life, or committing a crime again. Instead, the boy should be required to ask for forgiveness with a sense of atonement to the victim and their family and this should be seen as a lifelong act. Meanwhile, Shokuzai informs that the victim's forgiveness is also important. On the premise of the perpetrator's atonement and their actions, the victim expressed the conclusion that by forgiving the perpetrator, they could free themselves from the feeling of dominance and ultimately brought a definite end to the case. Furthermore, it is worth noting that the study about the consciousness of atonement in these novels shows the literary role of ethical literary cri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