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orrance의 창의적 사고 검사에 대한 구성개념 타당도 분석

        강윤정,이순묵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3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어오고 있는 ‘Torrance의 창의적 사고 검사(TTCT)’의 구성개념타당도에 관련하여 요인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Torrance의 창의적 사고검사 평가 요인들의 과제별 세부측정치들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얻은 결과가 안정적으로 나타나고 요인의 분산이 유의미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대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TTCT에서 산출된 11개의 과제별 세부측정치들은 TTCT의 과제효과를 나타내는 2개 요인과 인지적 개념을 나타내는 1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Torrance의 창의적 사고검사 차원성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TTCT가 단일차원성을 가지는지, 다차원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논쟁이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1요인모형과 2요인모형은 분석 수준이 문항수준이 아닌 소척도(subscale)이므로 내용요인과 과제요인이 분리되지 않는 모형이었다. 그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내용요인으로서 ‘확산적 사고’요인, 과제요인으로서 ‘그림완성과제’요인 및 ‘선 더하기과제’요인이 추출되었다. 이것은 TTCT에서 측정되는 구성개념이 현재의 자료에서는, Torrance의 주장과 달리 1차원이며 아울러 측정치는 확산적 사고라는 인지(cognition)만 측정하지 않고 과제요인까지 측정하는 상황인지적 도구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TCT, which showed ongoing conflict regarding its dimensionali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administered to at the level of task activities measuring creativity factors of divergent thinking. Next, a confirmatory rotation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the results obtain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generalizable. Therefore, total of three factor was derived; two factors representing task effect(i.e. Task 2 and Task 3), and one factor representing creativity measured by TTCT. Second, we tried to answer the long controversies have been raised continually whether TTCT is a single dimensional or multidimensional. To examine the dimensionality of TTCT,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fit of one factor model, and two factor model mentioned in the extent literature, and three factor model of this study. The result shows that the construct measured by TTCT is dimensional, which is not in accord with Torrance's view. It also demonstrated that task activities in TTCT measure both cognition factor and task factor, suggesting that TTCT is a tool of measuring situated cognition.

      • KCI등재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한 TTCT (도형 A형- 활동 2) 독창성 평가 방안 탐색

        이진아(LEE JIN A),한기순(Han ki S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산오차를 다각도로 산출해낼 수 있는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하여 TTCT 도형 A검사 독창성 항목 평가의 최적화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 대학생 273명을 대상으로 TTCT도형 A검사 활동2를 실시하여 정규형 버전과 간편형 버전으로 각각 채점을 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가지 채점기준에 의해 살펴본 각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분석 결과 두 채점 방식은 공통적으로 피험자와 문항의 상호작용에 의한 오차분산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점자와 관련된 오차 분산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둘째, 채점 방법에 따른 최적의 측정조건 탐색 결과 두 채점기준 모두 채점자 수를 늘리는 것은 효과가 미미했으며, 문항수의 경우는 기존보다 훨씬 많은 문항이 필요하다는 결과값이 도출되었다. 즉, 연구의 편의와 수월성을 위해 TTCT도형 A검사 활동2만을 활용하여 측정할 경우 정규형, 간편형 채점 모두에서 독창성 측정에 있어 연구 결과의 왜곡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이 시사되었다. 더불어 향후 TTCT채점 방식의 최적화를 위해 좀 더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이 시사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find ways to optimize TTCT originality scoring system, using the generalizability theory to identify origin of errors in various perspectives. For this, TTCT Figure A (only section 2) had been carried out on 273 university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s and scored separately with both standard and simplified ver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by two separate evaluation guidelines have indicated that both guidelines had shown significantly high error variance between its items and the subjects, whereas interrater reliability error turned out to be very low. Second, increasing the number of test scorer was ineffective in seeking the optimal condition of originality grading on both standard and simplified versions, but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much more testing items are necessary for the test to be more effective. The result suggests that using only 10 items of the TTCT Section 2, for the sake of convenience, can result in distortion of test results both in standard and simplified scoring versions. The present study also suggests the need for deep and multi-angular research for the optimization of TTCT grading system using a more advanced statistical approach.

      • KCI등재후보

        창의력의 영역 보편성과 특수성: 쟁점과 TTCT 창의력 검사의 분석

        김영채 대한사고개발학회 2012 사고개발 Vol.8 No.1

        창의력의 영역 보편성-특수성의 이슈는 창의력이 모든(또는 거의 모든) 지식 영역에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인가, 또는 어느 정도로 영역 특수성 때문에 제한될 수 있는 지를 질문한다. 보다 전통적인 시각에서는 창의적 사고기능은 창의관련의 거의 모든 창의관련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이라 보고 있고 전통적인 여러 창의력 이론과 창의력 검사들은 이러한 입장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영역/과제에서의 창의적 성취를 다루는 적지 아니한 수의 연구들은 창의력은 영역 특수적 내지 세부 영역 특수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창의력의 영역 보편성-특수성에 이슈에 대한 선행의 연구와 이론들을 분석적으로 종설해 보았으며. 다음으로 Torrance의 창의력 검사 TTCT의 언어검사와 도형검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이슈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의 종설과 TTCT 검사의 분석을 바탕하여 잠정적인 결론을 도출하고, 아울러 이러한 결론이 창의력의 교수-학습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함의들을 몇 가지의 제안으로 제시하였다. 창의력은 전적으로 영역 보편적인 것도, 그리고 전적으로 영역 특수적인 것도 아니며, 그리고 창의력의 전이는 의도적으로 그리고 외현적으로 강조되지 않으면 쉽게 자동적으로 전이되는 것이 아니다. The issue of domain-generality vs.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asks the question of whether creativity is general or specific or to what degree creative thinking skills are domain specific. The more traditional perspective is that creative thinking skills are rather general-purpose abilities which could be applied to any (or almost any) creativity-relevant domains/tasks and this view is predominantly presumed in many traditional grand theories and creativity tests including TTCT. However, recent studies, particularly those researches dealing with specific tasks and employing the creative performance shows that creativity might be very domain-specific. The claim that creativity is domain-specific appears to be of theoretical interest and of practical importance, specifically in deciding the teaching approaches and selecting the contents. This study reviewed the issue-related theories and researches relatively intensively. Then it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erbal-test and Figural- test of Torrance's TTCT (r=.43). And, finally, it proposed several tentative recommendations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reativity based on the conclusions drawn. Creativity seemed neither completely domain-general nor completely domain-specific. And simple transfer of creative thinking skills from one domain/task to other one appeared unlikely unless there had been varied practices in a variety of domains (and domain topics and topic genres) and sufficient practices.

      • KCI등재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한 창의적 사고력 검사 (TTCT- 도형 A형) 독창성 평가 최적화 조건 탐색

        이진아(LEE JIN A),한기순(Han ki S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TTCT 도형 A검사를 활용한 독창성 요소 측정 시 문항유형별(활동 1, 2, 3) 적절 문항수와 상대가중치 산출 조건을 탐색함으로써 독창성 평가 최적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 초등학생 61명을 대상으로 TTCT도형 A검사를 실시하여 정규형 버전과 간편형 버전으로 각각 채점을 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채점 방법에서 문항유형별로 피험자 점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피험자와 문항의 상호작용에 의한 오차분산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험자 오차 분산보다 문항 오차 분산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각 채점 기준에서 합성 점수 산출 시 간편형 채점기준에서는 일반화가능도 계수에서 적합신뢰도에 못미친 반면 정규형 채점기준에서는 .8이상의 신뢰로운 결과값이 나타났다. 간편형 채점기준은 최적 문항 유형별 상대 가중치 조건이 산출되지 못하였으며, 정규형 채점기준은 현행 상대가중치인 .18 : .82에서 오차분산이 높은 활동 2에 가중치를 더한 .2 : .8의 조건에서도 적합 신뢰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각의 채점 방법에서 유형별 문항 수와 상대가중치 조합 조절을 통해 재분석해 본 결과 간편형 채점기준의 경우는 문항 수 및 상대가중치 조합을 변화시켜도 신뢰도 계수값을 만족하지 못했으며, 정규형 채점기준의 경우는 활동 3의 문항수를 최대 10개까지 줄여도 적합 신뢰도값을 보였다. 이때 문항유형별 최적 상대가중치는 활동 2와 활동 3이 각각 .2 : .8이었다. 즉, 연구 결과 정규형 채점기준에서만 신뢰성과 효율성을 만족하는 최적의 측정 조건 구성이 도출되었다. 더불어 검사실시의 시간적 어려움으로 활동 2만을 활용하여 독창성을 측정한다면 필히 신뢰도를 확보할 대안 마련 및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right number of questions per category and an ideal set of conditions for computing relative significance value, thus providing an alternative as a better originality assessment tool. 61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ok the TTCT figural A and were each reviewed by both regular scoring version and steamlined version. Here is the summary of meaningful outcome. First, in each scoring method, relative influences of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score were analyzed and it was shown that each testing method had in common a high error variance from interaction between the subjects and items. Also, subject error variance was shown relatively higher than items error variance. Second, when computing the total score, steamed version was short of reliability on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whereas regular version showed a reliable result above .8. Steamlined version was inadequate to produce ideal condition for relative significance and regular version has shown adequate reliability under current relative significance value, .18 : .82, as well as under .2 : .8, a weighted value on activity 2, which showed high error variance. Lastly, each scoring method was reanalyzed under different combinations of question per category and relative significance. Steamlined version didn’t satisfy the reliability coefficient value under any combinations and regular version showed acceptable reliability value when number of questions in activity 3 was reduced by up to 10. At that point, optimal relative significance on activity 2 and 3 were .2 : .8. In summary, optimal test condition that satisfies both reliability and efficiency was produced only in regular scoring version. Also, when performing the test with only activity 2, perhaps due to lack of time, results of the research underscored the need to find solution to secure reliability.

      • KCI등재

        유아 영재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K-WPPSI 수행과 창의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 연구

        황희숙,강승희,윤소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유아 영재의 K-WPPSI 수행과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세 개의 대도시에 있는 영재교육기관에 내원하여 K-WPPSI 검사와 부모용 영재 특성 체크리스트 등의 검사를 받은 결과 상위 5% 안에 드는 아동으로 영재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어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유아 5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K-WPPSI와 TTCT 검사를 실시하였다. K-WPPSI와 TTCT의 수행에 나타난 유아 영재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 영재들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프로파일을 분석, 비교하였으며, K-WPPSI의 각 소검사와 TTCT검사결과를 상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 영재들의 동작성 지능이 언어성 지능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창의성 분석결과에서는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창의성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K-WPPSI 소검사와 TTCT 하위 요인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gifted children's performance on the Korean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and their creativity, the K-WPPSI and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 were administered to 57 young gifted children, 3 to 5 years of ag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MANOVA, and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gifted boys and girls in their performance on the K-WPPSI, but there we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to each subtest.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on TTCT, and no differences among 3, 4, and 5 year old children. Thir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of K-WPPSI and TTCT. Thus, the threshold of intelligence theory was not substantia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초등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유형 분석 : Creativity Styl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박신규,정원우,박영관,홍순천,박경미,김중욱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TTCT 도형 검사를 통해 초등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유형(style)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재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TTCT도형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Kim (2006)의 이론에 의해 창의성의 2가지 유형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 학년별, 성별에 따른 창의성 유형 비율과 창의성 유형별 성에 따른 창의성 수준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TTCT 도형 검사는 창의성 수준(level)뿐만 아니 라 창의성 유형 즉 적응적 유형과 혁신적 유형의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창의성 유형 비 율을 보면 지역별, 학년별, 성별에 관계없이 적응적 유형이 혁신적 유형보다 많았다. 지역별 의 경우 대도시일수록 적응적 유형이 많고 읍면지역일수록 혁신적 유형이 많았으며 학년일 경우 6학년은 적응적 유형이 많았고 5학년은 혁신적 유형이 많았다. 성별일 경우 여학생은 적응적 유형이 남학생은 혁신적 유형이 많았다. 적응적 유형일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 의미하게 높았으며 혁신적 유형일 경우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 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창의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창의성 유형 분석을 통해 개인의 강 점과 제한점을 알고 참여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reativity styl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through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 For this study, the TTCT-Figural Form A was used, with data form 206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which included 56 urban students, 115 suburban students, and 35 rural stud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a two-factor model of creativity styles based on Kim’s (2006). Level of creativity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creativity styles and the numbers of creativity sty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region, grade, and gend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actor innovative was loaded by fluency and originality; factor adaptive loaded by elaboration, abstractness of titles, and creative strength; and both factor innovative and factor adaptive loaded by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The percentage of adaptive styles is higher than the innovative styles. Urban had more adaptors than rural. There were more adaptors in 6th grade than 5th grade. Gifted female adaptors had significantly higher creative potential than gifted male adaptors and gifted female innovators also showed higher creative potential than gifted male innovators. Creativity styles can give more information about individuals' strengths and weakness so that do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과 창의력 수준 분석

        조선희,이건호,김희백 韓國英才學會 2007 영재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과 창의력의 수준을 분석하고, 이러한 결과가 사사교육 선발고사와 연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교육원 두 분과(생물분과: n=19, 물리분과: n=21)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능검사(WAIS, RAPM)와 창의력검사(TTCT-언어, TTCT-도형)를 실시하였으며, 검사점수와 사사교육 선발점수 사이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검사결과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WAIS IQ>98%). 반면, 이들의 창의력수준은 지능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사교육 선발점수와 지능점수 및 창의력점수 사이의 상관도 분석결과 생물분과의 선발고사는 WAIS 및 TTCT-언어와 양의 상관도를 보였으며, 물리분과의 선발고사는 RAPM과 양의 상관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이 지능수준은 매우 높은데 비해 일반적 창의력수준은 그에 미치지 못하며, 사사교육 선발고사는 높은 지적 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로 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과학 분야의 우수한 성과물 산출을 위해서는 높은 지능에 못지않게 창의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과학영재의 창의력 평가에 관해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ntelligence and creativity of students selected for the mentorship program at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were tested and those levels were related to the examination for the mentorship program. Diverse psychometric tests(WAIS, RAPM, TTCT-verbal, TTCTfigural) were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in both courses(biology course: n=19, physics course: n=21) at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Students selected for the mentorship program had high intelligence scores(WAIS IQ>98%). On the other hand, their creativity scores were not as high as their intelligence score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ose scores and examinations for the mentorship program, examination for the biology program was correlated with WAIS and TTCT-verbal, whereas that for the physics program was correlated with RAPM. These results show that students for the mentorship program have higher score in intelligence than in creativity and the examination for the mentorship program tests mainly intelligence. Thus, educational effort should include an emphasis on the assessment of creativity.

      • KCI우수등재

        유아의 지능과 창의성 간의 관계 분석

        한석실(Suk Sil Han),이경민(Kyoung Min Lee) 한국아동학회 2005 아동학회지 Vol.26 No.2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2 5-year-old children enrolled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Daejeon city. Instruments were the K-ABC(1997) to test children`s intelligence and the TTCT(1999) to test children`s creativity.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R and Canonical R.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K-ABC IQ and TTCT CQ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292, p<.000). This result is at variance with threshold theory where th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is predicted to be high for children with IQ below 120, but above that level, the correlations are predicted to be much lower. A significant canonical function(Wilk`s=.760, p<.000) was found between the sequential processing scale, achievement scale of K-ABC and elaborateness,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of TTCT.

      • KCI등재

        건축디자인활용 STEAM프로그램 개발 및 창의적 측면의 효과성 검증: 초등학교 1·2학년 대상 TTCT분석을 중심으로

        허정윤 ( Huh Jung-yoon ),현은령 ( Hyun Eunry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건축디자인을 활용한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설계(experimental design)를 통해 프로그램 효과성을 창의성 향상 측면에서 검증하는 것이다. 건축은 학문, 예술, 산업, 현실이라는 네 가지 측면을 함께 융합할 수 있어 학문 간의 통합의 다양성을 보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배경에 기반 하여 개발된 STEAM 프로그램은 건축물을 다양한 재료와 기능원리에 맞추어 창의적으로 디자인 및 제작하는 활동으로서 STEAM의 통합중심요소인`흥미, 원리, 기능, 개념, 주제, 문제, 탐구, 활동`중심을 반영한 총 22차시이다. 2014년 5월부터 8월까지 서울시 성북구 소재 A초등학교 1·2학년 학생 총78명을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계집단으로 무선할당 후 시범 적용하고, TTCT 도형검사 A/B형을 통해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각 하위 요인 별 창의성 변화차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효과의 유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후검사 종료 1개월 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 학생은 창의성 모든 하위요인(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추상성, 도형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α=.05수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계집단의 창의성 사전검사 점수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적용하고 대응표본 (paired)t-test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학생에 비해 창의성 요인 α=.001수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program geared toward first and seco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by utilizing architecture design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by applying an experimental design. The STEAM program that made use of architecture design and was tes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activities to construct buildings. Architecture is effective in seeing the diversity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by combining the four aspects of science, art, industry, and reality. That was developed to be conducted in 22 sessions by reflecting the integrative elements of STEAM which were interest, principle, function, concept, theme, problem, inquiry and activity. Every first and second grader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ngdong-gu, Seoul, was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 comparative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program was provided on a trial basis for the students who numbered 78. A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conducted with TTCT-figural forms A and B to see if there would b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subfactor of creativity. And a retention test was carried out a month after the posttest to find out whether the effects lated or not if there were any.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very subfactor of creativity that was fluency, originality, elaboration, abstractness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a=.05). Besides,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creativity pre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and then paired t-tes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in creativity(a=.001).

      • KCI등재

        창의적 사고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변인에 관한 연구 -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김청자(kim chung-ja),유경훈(ryu kyung-ho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5 영재와 영재교육 Vol.4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BR>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as made.<BR>  1. Is creativity correlated with achievement motivation?<BR>  2. Dose a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explain the creativity?<BR>  3. Does a creativity high level group makes any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motivation?<B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students. The creativity was measured by TTCT, the achievement motivation was measured by Herman"s test.<BR>  Total 250 TTCT an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boys and girls of forth and fifth grades who attended two primary schools. Of 250 questionnaires, only 237 were return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12.0 SPSS program. The data were also tested by using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B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BR>  1.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um of creativity and sum of achievement motivation including sub area. There i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reativity subfactor and achievement motivation.<BR>  2. The achievement motivation subfactors (Risk-taking behavior, Upward mobility, time perspective)significantly explain the creativity.<BR>  3. The student whose creativity subarea level is high have achievement subfactors (Upward mobility) explain 3 creativity subarea and Risk-taking behavior explain 1 creativity subarea.<BR>  Creative researchers have generally agreed that motivation is more effective in creative performance than any other reasons.<BR>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supported revised view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ducation of creativity will be adapted by the sub area type of motiv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들의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되는 창의성과 성취동기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TTCT를 사용하여 창의성을 측정하였으며 동기영역의 측정은 Herman의 성취동기 검사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창의성과 성취동기는 전체적으로 상관이 있었으며 하위요인별로도 상관이 있었다. 둘째,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창의성을 설명하는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을 살펴보았다. 창의성 전체는 성취동기의 하위요인 중 모험행동, 시간지각, 지위상승 요인들의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다. 유창성은 모험행동 요인이 가장 잘 설명했으며, 독창성은 시간지각, 추상성은 지위상승, 정교성은 성취행동 요인이 의미있는 설명력을 나타냈다. 창의성 하위요인별 상위 25%의 학생들에게 있어서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독창성은 모험행동 요인이 가장 잘 설명하였으며, 유창성, 추상성, 정교성은 지위상승 요 인이 의미있는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앞으로는 아동들의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창의성의 하위요인별로 통기유형을 파악하고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연관지어 차별화된 창의성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며 창의성이 높은 아동에게도 효과적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