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전적의 능화표지에 관한 연구

        홍순천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79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전적 표지에 대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능화표지에 관한 문헌기록 및 제작도구와 기법 등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전통 古典籍 표지문화 복원에 일조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연구되었다. 연구의 결과 『朝鮮王朝實錄』, 『承政院日記』, 『日省錄』 등의 능화지에 관한 기록을 통하여 古典籍의 표지로 능화지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實錄廳儀軌』 등의 기록을 통하여 능화표지의 제작에는 黃染草注紙, 衣褙草注紙, 膠末, 綾花所用黃蜜, 綾花板 등의 물품이 필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능화판은 고전적의 미적․기능적 완성을 위하여 꼭 필요하며 능화판의 문양은 마름모양 이외에도 동물문, 십장생문, 문자문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었다. 밀랍은 시문할 때 능화판 위에 올려놓은 한지를 밀착시켜 시문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능화판의 문양을 선명하게 하고 광택효과와 방습의 역할을 한다. 황벽이나 치자 등이 고전적 표지의 염료로 사용된 것은 전적에 미적인 효과를 더해주고 각종 이물질에 의한 표지의 오염을 방지해 주며, 황벽과 치자가 충해에 효과적이어서 보존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함은 古文獻의 기록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또한 현전하는 조선시대 초․중․말기에 간행된 전적 문화재를 통하여 확인한 능화표지는 능화판에 밀랍을 칠하여 시문함으로서 마찰열에 의해 밀랍이 표지에 스며들어 표면의 마모를 적게 하여 표지의 손상을 줄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능화표지는 염색된 종이를 배접한 표지에 습기를 주고 능화판에 밀랍을 칠하여 시문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능화표지가 전적문화재에 사용된 능화표지와 유사함으로서 지향해야 할 제작 방식이라고 판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our knowledge about the excellence of neunghwa book cover, the “water chestnut paper” decorated with water chestnut impressions that was used in the production of book covers, and t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the covers of ancient books and documents based on the study of ancient records on the tools and techniques used in its production. Certain ancient works, including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Wangjo Sillok),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Seungjeongwon Ilgi) and Records of Daily Reflections (Ilseongnok), record that the production of Neunghwaji (water chestnut paper) for book covers required the use of chojuji (high-quality paper) to be dyed yellow or that used for the inner layer of clothing, gyomal (hide glue powder), beeswax candle and the neunghwapan (water chestnut woodblock). Neunghwapan was an essential tool in creating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aspects of books, and their designs included animals, Sipjangsaeng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Chinese characters with auspicious meanings, as well as the water chestnut. The application of beeswax to Neunghwapan helped hanji (Korean mulberry paper) to adhere to the blocks more firmly, resulting in the creation of more delineated and vivid designs, and more effective moisture proofing. The use of oil obtained from the fruit of the hwangbyeok (Amur cork tree) or chija (gardenia berry) to dye book covers helped increase the aesthetic value of books, while the insecticid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helped protect the books from damage by harmful insects, as shown in ancient records and research. As a result of checking Neunghwa book cover of the old book Cultural Heritage published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it was found that applying beeswax to the Neunghwapan and rub it to reduce damage to the surface by reducing abrasion of the surface. It was thought that the Neunghwa book cover produced by printing pattern of moistening the cover with dyed paper and beewaxing on the Neunghwapan and Neunghwa book cover is similar to the Neunghwa book cover used in the old book Cultural Heritag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동기, 확산적 사고 및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의 관계

        홍순천(Soon Cheon Hong),손원숙(Won Sook Soh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Siau(1995)의 집단창의성 모형에 기반 하여서, 집단의 창의적 수행에 대한 영향요인을 입력 및 과정요인으로 구분하고, 이들과 창의적 산출물과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동기 및 확산적 사고가 집단 내에서 산출된 창의적 아이디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 초등학생이 지각한 창의적 분위기가 동기 및 확산적 사고와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D광역시와 K지역 2개 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261명이 내외동기검사, 확산적 사고검사(TTCT), 창의적 분위기 검사 모두에 응답하였다. 68개의 집단을 무작위로 구성한 뒤, 집단브레인스토밍 방법을 통하여 집단 내에서 창의적 아이디어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의 동기 중 내적동기는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에 직접적인 효과 뿐 아니라 창의적 분위기를 통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적동기는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 간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확산적 사고 중 적응적 창의성 요인은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에 직접적인 효과 뿐 아니라 창의적 분위기를 통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혁신적 창의성 요인은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창의적 분위기는 내적동기 및 확산적 사고와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내적동기와 적응적 창의성 요인이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간접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집단의 장기적 창의적 산출물, 과제의 특성, 다수준 SEM 등을 활용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 divergent thinking, creative climate, and individual creative ideas in group. A sample of 261 primary school students(101 girls, 160 boys) responded to all three instruments such as motivation, TTCT(Torrance, 1998), and creative climate tests. To measure individual creative ideas in group, subjec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68 groups, and the two scoring criteria such as originality and usefulness of creative ideas were used. The results from SEM indicated that intrinsic motivation and adaptive creativity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creative climate and individual creative ideas in group. Also, intrinsic motivation and adaptive creativity ha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 creative ideas in group through creative climate. However, extrinsic motivation and innovative creativity ha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creative climate and individual creative ideas in group. This study has great meaning in that it proposed a Group Creativity Model with interactional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motivation and divergent thinking), context(creative climate), and product(creative ideas in group). Also this study emphasized the usefulness and roles of divergent thinking and motivation, as well as the creative climate for group creativity. Final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ime, task characteristics, and multiple level SEM should be considered for future group creativity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