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가장놀이에서 가작화와 놀이성 간의 관계

        한석실 ( Han Suk-sil ),박주희 ( Park Ju-h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가장놀이에서 가작화와 놀이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 소재 A어린이집에 재원한 만 3세(10명), 만 4세(9명), 만 5세(10명)의 총 29명이었다. 2018년 3월 4주부터 6주에 걸쳐 본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유아들을 4~5명씩 6개 조로 구성하여 조별로 총 3회의 가장놀이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3회에 걸쳐 진행된 놀이는 1회차는 ‘나의 집과 가족’, 2회차는 ‘우리 동네’, 3회차는 ‘성(castle)’이라는 주제로 가장놀이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가장놀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놀이 전에 동화 듣기 도입활동을 진행하였다. 놀이에 필요한 소품과 의상을 제공하였으며, 관찰자는 총 30분 동안 진행되는 유아들의 놀이를 관찰하면서 관찰지에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가작화에서는 주체적 가작화보다 투사적 가작화가 높게 나타났고, 역할, 사물, 배경의 가작화 중에서는 사물의 가작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놀이성은 Likert 5점 척도에서 3.47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으며, 이 중 신체적 자발성이 가장 높았던 반면 인지적 자발성은 가장 낮았다. 놀이성과 가작화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놀이성은 투사적 가작화보다는 주체적 가작화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가장놀이에서 투사적 가작화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놀이성은 주체적 가작화와 더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놀이에 제공되는 소품에 따라 주로 나타나는 가작화 유형은 다를 수 있으며, 유아의 놀이성과 관련이 있는 가작화 유형(가작화 요소)도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retending elements and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s pretend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 children aged 3 (10), 4 (9), and 5 (10).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six weeks from March 4. Children were required to participate in a total of three pretend play sessions in a group of four or five kids. The observers were 5 third grade and forth grade students who majored in child care, and they were trained three times for 90 minutes before conducting the experiment. The themes of play were the first "My House and Family," and the second "Our Town" and the third "Castle." In order to activate pretend play, a story related to the theme was told to children as the introductory activity. The children were provided with props and costumes. The observers recorded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pretending elements on the observatory sheet observing the children’s play for 30 minu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hildren's playfulness showed 3.47 points on the Likert 5 scale. Among subelements of playfulness, the physical spontaneity was the highest, while the cognitive spontaneity was the lowest. The projective pretending was occurred more frequently than the subjective pretending, and the pretending of object was occurred more frequently than the pretending of role and background. The playfulness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subjective pretending rather than the projective pretending. It was suggested that children should be provided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various pretend play with materials, props and costumes of different themes.

      • KCI등재

        논문분석을 통한 유아평가 방법 탐색

        한석실 ( Suk Sil Ha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search trends in child assessment system, to examine problems that were arose in process of child assessment, and to find out reasonable and realistic implications in child assessment system. Literature reviews were proceeded in 16 research papers regarding child assessment published in 5 major academic Korean journals rel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2007 to 2014.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revealed that 1) there were more numbers of quantitative research studies conducted than qualitative studies in child assessment research; 2) those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were mainly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interview/review of collected documentations, whereas the quantitative research studies were mostly conducted their analysis through t test or F test. There were relatively high frequency in the purpose of child assessment in regard to understanding of child development and also in the assessment results used for improving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Nevertheless, several problematic issues in child assessment studies were also identified in this literature view: such as, unsystematic data collection, insufficient analysis of collected data, and inefficient connection between assessment and teachers’ later instruction and planning. Specific guidance for teachers in regard to strategic observation in child assessment, and annual plans for systematic assessment and education were suggested for the future discussion and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유아평가 관련 논문들의 연구 동향과 유아평가 동향을 분석하여 실행 가능한 유아평가방안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 이후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유아관련 주요 5개 학술지에 게재된 16편의 유아평가 논문에 대한 문헌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평가 관련 논문의 연구유형은 양적연구보다 질적연구의 수가 더 많았으며, 질적연구는 참여관찰/면담/기록물 분석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양적연구는 차이검증의 통계적 방법을 통해 자료를 해석하려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 대상은 현장 교사가 주를 이루었다. 유아평가 동향과 관련하여 유아평가 목적 측면에서 유아의 발달을 이해하고, 교수-학습 계획 및 개선에 반영해야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는 빈도가 가장 높았다. 유아평가 내용에서도 주요 영역에서의 성장과 발달을 평가해야 한다는 빈도가 높았으며 평가결과의 활용에서 부모와의 상담 시 활용과 교육과정 계획 및 교수-학습 개선(교구제작)에 반영해야 한다는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유아평가 관련 문제점에서는 비체계적인 자료수집과,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의 부족, 그리고 평가결과에 근거한 교수계획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무엇을 관찰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제공되고, 연간교육과정을 계획하는 것과 더불어 연간평가계획을 수립하여 계획에 따라 체계적으로 자료를 수집해가며, 평가를 교육 계획에 환류 하는 방안에 대한 안내가 제공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학 입장에서 본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입학

        한석실 ( Suk Sil Ha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학 측면에서 만 5세에게 적합한 교육이란 과연 어떤 교육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만 5세아를 위한 교육에서는 만 5세아의 발달적 특징에 부합해야 하고, 국가사회 변화와 요구에 부합해야 한다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점검해보았으며, 현재 우리나라와 선진 외국에서는 만 5세아를 위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런 현황들을 검토한 이후 향후 만 5세아를 위한 교육의 방향을 행복한 유아기, 만 5세를 위한 교육과정, 교육기회균등, 유연한 학제 도입이라는 4가지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만 5세 조기입학 논란과 관련하여 만 5세 발달 및 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해나가려는 노력이 시작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nswer what is the most appropriate education for the five years old children. This question is closely related with ``when is the optimal or appropriate age at which children should start school``.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developmental aspects of five year older, social demands for the education of five years old, and current educational systems at age 5 of OECD countries including Korea. This study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to provide optimal education for the five years old children. First, children`s current happiness and welling rather than preparing for the future lif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ly. Seco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to the children. Third, they should have an equal education opportunity regardless of their family background, and school system should be changed flexibly.

      • KCI등재

        Rediscovering the Value of Block Play

        Han, Suk Sil(한석실),Park, Ju Hee(박주희) 한국보육학회 2010 한국보육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블록놀이가 갖고 있는 상징적요소의 가치를 검점해보고자 하였다. 블록놀이 는 블록을 다루고, 블록으로 쌓고 블록을 조작해보는 활동으로 정의된다. 또한 블록놀이는 벽돌, 블록, 찰흙과 같은 개방적 재료들을 가지고 무엇인가를 쌓거나 구성해보는 구성놀이활동의 하나로도 이해될 수 있다. 블록놀이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블록놀이와 아동발달, 블록놀이를 위한 환경구성, 블록놀이를 위한 교육과정 등과 같은 주제들을 주로 다루어 왔으며 이 들 연구는 주로 구성놀이적 관점에서 블록놀이를 이해하려는 연구들이었다. 많은 놀이연구자들은 극놀이가 갖고 있는 놀이의 가치를 극놀이의 상징적 요소로부터 찾고자 한다. 이에 반해 블록놀이는 구성놀이적 관점에서 이해하려고 하고 블록놀이가 갖고 있는 상징적 요소는 평가절하하며 이의 중요성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연구들은 수행되지 못하였다. 블록놀이 경험은 상징놀이를 위한 방법이 될 수 있으며(Baker, 1989), 상징놀이는 하나의 대상으로 다른 대상을 상정하는 정신적 표상을 포함하는 놀이이다(Piaget, 1962). 아이들이 놀이 속에서 경험하는 상징적 요소는 미래 추상적 사고의 기초가 된다. 블록구성은 경험이나 대상을 이들 경험과 대상에 대한 구체적 표상으로 전이시키는 상징적 활동이다. 최근에 이르라 몇몇 연구들은 블록놀이가 갖고 있는 상징적 요소의 중요성을 인식해야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Han & Park, 2009; Kostelnik, Soderman, & Whiren, 2004). 본 연구에서는 블록놀이의 상징적 요소를 이해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이는 유아의 상징적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블록놀이를 위한 적절한 환경과 교수전략을 제공해야할 필요성을 깨닫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research, the value of block play's symbolic element was investigated. Block play is defined as a behavior to handle, stack, or manipulate blocks. Also block play can be understood as one of the constructive play activities that focuses on building or constructing something with open ended materials such as bricks, blocks, and clay. Block play studies are mainly concerned with issues related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block play and child development, the environment or ecology for block play, and the curriculum for block play. But the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viewpoint of constructive play. Play researchers used to understand dramatic play through it's symbolic element. On the contrary, the value of block play's symbolic element has been downgraded and block play hasn't received the respect that it deserves. Block play experiences provide a medium for symbolic play(Baker, 1989) and symbolic play involves the use of mental representation to pretend that one object stands for another(Piaget, 1962). Block construction is the transformation of an experience or object into a concrete representation of this experience or object. In recent years, several studies on block play insist that we should realize the importance of block play's symbolic element(Han & Park, 2009; Kostelnik, Soderman, & Whiren, 2004). The symbolic element that children experience in play forms a foundation for future abstract think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try to find out and understand the symbolic element of block play and it may help us to provide an appropriate environment and teaching strategies for children's block play.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성, 놀이성, 기질 및 발달수준과 사회구성놀이 질과의 관계

        한석실(Han Suk-sil),박주희(Park Ju-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성, 놀이성 기질, 발달수준이 사회구성놀이의 질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수원시 소재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48명(남아 23명, 여아 25명)과 유아의 어머니 46명이었다. 연구대상 유아 48명은 5명씩 그룹으로 나뉘어 그룹별로 10회에 걸쳐 유니트 블록을 사용한 사회구성놀이 활동에 참여하였다. 놀이과정에서 유아들의 사회구성놀이 질과 놀이성을 관찰하고 분석하였으며, 유아의 기질과 발달수준은 유아의 어머니들이 반응할 수 있도록 가정으로 검사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구성놀이에서 여아가 남아에 비해 더 많은 수와 종류의 블록을 사용하여, 더 많은 구성물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놀이성은 사회구성놀이의 질과 높은 관련을 보였으나, 기질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수준은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인지빌달이 사회구성 놀이의 질과 관계가 높은 반면 신체발달은 전혀 관계가 없었고, 언어, 사회, 정서 발달은 사회구성놀이의 질 하위요인에 따라 서로 다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hildren's properties related to quality of social constructive play. The subjects were 48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enrolled in O kindergarten located in Suwon city. The children were arranged into groups of 5, and participated in constructive play in unit blocks, a total 10 times. Their constructive play and playfulness were observed and analyzed. The questionnaire for children's temperament and developmental level was delivered their homes and filled out by their mothers.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t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girls used a greater number of blocks and block types, and made more constructions than boys in social constructive play. Second, children's playfulness was highly related to the quality of social constructive play, but temperament was not. Third, the cognitive developmental level was highly related with the quality of social constructive play, but the physical developmental level was not. And the relations between languag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al level and the quality of social constructive pla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ub-elements of social constructive play.

      • KCI등재

        점토놀이에서의 가작화 요소 분석 도구 개발

        한석실(Han Suk-Sil),박주희(Park Ju-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점토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가작화 요소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관련 문헌을 검토하여 예비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예비관찰을 통해 적용한 후 문제점을 수정하여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검사는 경상북도 A시에 위치한 두 곳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4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8회의 점토놀이를 관찰하여 가작화 분석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점토놀이에서 나타나는 가작화 유형은 크게 탐색적 활동, 자기주체적 가작화, 투사적 가작화의 세 가지로 나누어졌으며, 자기주체적 가작화와 투사적 가작화에는 각각 다시 역할의 가작화, 사물의 가작화, 상황의 가작화의 하위 범주가 포함되었다. 이들 범주에는 유아 점토놀이에서 나타나는 가작화 에피소드의 전체가 포함되어 유아의 가작화 요소를 잘 분석할 수 있는 도구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for make-believe elements appeared in children’s clay play. After reviewing the related articles, the preliminary scale was developed. The preliminary scale was modified after applying to a small group. The modified scale was applied to 40 five year old children. Children played with clay for 8 times for 30 minutes play sessions. Children’s clay-plays were video-taped and all narrations were tran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scale were as follows: The make-believe elements in children’s clay play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one was ‘inquiry activity’, second one was ‘self-subjective pretence’, the last one was ‘projective pretence’. The two pretend categories except inquiry activity have three sub-items. one was ‘pretending a role’. It meant to represent certain character’s actions or narrations. second one was ‘pretending object’, it meant to represent gestures or sounds of certain objects. The pretend situation is children’s mention about temporal or spatial background of pretence. This scale included every make-believe elements that appeared in children’s clay play.

      • KCI등재

        누리과정 시행 이후 유아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한석실 ( Han Suk Sil ),윤수진 ( Yoon Soo 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 시행 이후 유아평가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였다. 전국 17개 시·도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 각각 150개소씩 300개소를 선정하고, 각 기관별 2명씩 총 600명의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유아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1차 질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유아교육 전문가와 현직 교사로부터 2차에 걸쳐 타당도 검증 절차를 거친 후 42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질문지는 직접 방문, 우편, 전자메일의 방법으로 배포,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464부(회수율 77.3%)를 대상으로 SPSS 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유아평가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96.8%로 높게 나타났고, 전체 교사의 92.7%는 평가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 응답한 교사의 97% 이상은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의 목적, 내용, 결과활용과 관련하여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누리과정의 활동내용, 단위교육활동의 성취와 관련된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모두 누리과정 목표와 내용에 근거하여 유아의 특성과 변화 정도를 평가하고, 그러한 결과를 교육계획에 반영하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유아평가가 실현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평가 체계, 평가가 실현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urrent assessment perception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 total of 600 teachers were selected from 300 kindergartens and childcare-centers in 17 provinces nationwid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retrieved by direct visit, postal mail, and e - mail. The collected 464 copies (77.3% recovery rate)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8.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urvey, 96.8%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necessity of assessment based on the Nurri-curriculum, and 92.7% of teachers were planning the annual assessment. More than 97% of respondents conducted diagnosis evaluation, formation evaluation, and summative evaluation. Diagnostic evaluation was performed once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formation evaluation was conducted once a week, and summ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once per semester. The purpose of conducting diagnostic evaluation was `to identify a child with special needs`, and formative evaluation and summative evaluation were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a child`s needs and interests`. In the assessment method, the diagnosis evaluation was composed of `Observation records`, formative assessment was `interview with a child in natural scene`, and summative evaluation was `linguistically description based on the results of formation evalua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evaluation for a child`s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chang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following educational plan and systematic evalu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