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DHD학생의 문제행동 중재를 위한 단일대상연구의 전반적인 동향 분석과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 문제행동유형을 중심으로

        길한아 ( Kil Han-ah ),김미령 ( Jin Mei-ling ),마지성 ( Ma Ji-sung ),정다이 ( Jung Da-i ),( Sakura Yusuke ),손승현 ( Son Seung-hy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2

        본 연구는 ADHD 학생들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행동중재 관련 단일대상 연구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대해 문제행동 유형별로 분석하며, 이들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문제행동중재의 방안과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질적 수준을 갖춘 단일대상연구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첫째,‘부주의(주의산만)’를 종속변인으로 한 논문은 총 18편이였으며, 다음으로는‘과잉행동’이 11편,‘충동성’이 9편,‘공격행동’이 8편,‘자리이탈’이 4편,‘방해 행동’이 3편,‘과제불이행’이 2편,‘소리내기’와‘울화’는 각각 1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CEC 질적 지표의 8가지 영역인 맥락과 환경, 참여자, 중재자, 중재설명, 중재충실도, 내적타당도, 종속변인, 자료 분석을 분석한 결과 종속변인 영역과 자료 분석 영역이 96%로 가장 높은 충족률을 나타냈으며, 중재 충실도 영역은 가장 낮은 충족률을 보인 영역으로 13.3%의 충족률을 나타냈다.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의 한계점과 ADHD 학생을 위한 문제행동 중재 관련 연구의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behavioral problems of ADHD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level of quality of these behaviors, I would like to elaborate concrete improvement measures that need to be taken to draw implications and to make a single subject study with a qualitative level. The firs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18 papers with "Carelessness (distr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followed by 11 studies with "Hyperactivity" , 9 studies with "Impulsiveness", 8 studies with "Aggressive Behavior", 4 studies with "Out of seat", 3 studies with "Interrupting", 2 studies with "Noise" and 1 study with "Fuss". Second, we analyze the eight areas of CEC qualitative indicators : context and environment, participant, mediator, explanation of intervention, fidelity of implementation, internal validity, dependent variable and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dependent variable area and data analysis area had the highest rate of 96%, and the fidelity of implementation area showed the lowest satisfaction rate, which was 13.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uture tasks of the study on intervention problem behavior for ADHD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 대상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 연구 분석

        신주원,박지영,안아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2

        [Purpose] This study analyzed single-subject studies in Korea that applied enhance milieu teaching(EMT) for developmental delay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disorders. The aim was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tudies on EMT and analyze their qualitative levels using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CEC) qualitative indicators(QI). [Method] This study included 14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between 2000 and 2023, that targeted children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elay, Intellectual Disability, or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had a single-subject design in which the arbitrator directly mediated the subjec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ere assessed publication year, study subject, study desig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evaluated using the CEC's eight areas and 22 qualitative indicators. [Results] EMT, conducted on DD, ID, and ASD, was the most common study in preschoolers diagnosed with ASD. Regarding study design, most of the studies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s(across setting and subject).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ll elements of EMT, including environmental control, reactive interaction and milieu teaching strategies. Improvement in spontaneous utterance was the most common dependent variable. The analyzed studies exhibited a somewhat low qualitative level, with an average fulfillment rate of 65.6% for the CEC's QI. None of the studies met all of the CEC's qualitative indicators. [Conclusion] The number of studies on EMT for individuals with DD, ID, ASD is limited. Existing studies, primarily focus on preschoo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pand the subjects to elementary school, adolescent student. Additionally, the qualitative level of existing studies is low, necessitating efforts to improve study quality. High-quality studies are essential to apply educational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DD, ID, and ASD. [목적] 본 연구는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적용한 국내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수행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CEC에서 제시한 질적 지표에 따라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대상이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이며, 중재자가 대상자에게 직접적인 중재를 실시한 단일대상 연구로 설계된 논문이며 2000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4편을 선정하였다. 발행연도, 연구 대상자, 연구 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으로 구분하여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CEC에서 제시한 질적지표의 8개 영역, 22개 지표를 사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수행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자폐성장애아동을 대상으로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미취학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설계로는 대부분의 연구가 중다기초선 설계(상황간, 대상자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환경 조절, 반응적 상호작용, 환경중심 언어중재 전략의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었으며 종속변인으로는 자발적 발화 향상을 목표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분석된 논문의 질적 수준은 CEC의 질적 지표를 모두 충족하는 연구는 없었으며 평균 65.6% 충족률로 다소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하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의 수가 적으며 미취학 아동에게 집중되어 있어 초등기, 청소년기까지 대상자를 확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의 질적 수준이 낮아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높은 질적 수준을 갖춘 연구를 통해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아동교육 및 중재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동유럽에 대한 국가위험도 정량평가 방법론

        조양현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08 EU연구 Vol.- No.22

        While the European Union (EU) member countries have exposed a wide range of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the EU has been in the process of its enlargement with including even Eastern European and Mediterranean countries into a single unity. However, we cannot help considering the sovereignty of individual countries and the difference among countries, so that country risk of the EU cannot be evaluated as a unit of country. To begin with, 49 available economic indicators (explanatory variable) and 114 country risk ratings (dependent variable) have been selected for panel analysis. In regard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Eastern Europe have been sampled into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using by ordinary least squares (OLS) to estimate principal parameters. The sampling indicators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statistical significance, multi-linearity and relation of economic connotation have been considered step by step through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As a result of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the determinant explanatory factors of country risk rating for the Eastern Europe have been represented as per capita GDP, foreign reserves, total domestic investment ratio, per capita real GDP growth rate, merchandise exports-imports ratio and short-term interest rate of the country. The qualitative country risk model for the Eastern Europe has to be proved through cross-section analysis among countries and time-series by a country with 1998-2007 data. Raison d’être of the proposed the country risk ratings for the Eastern Europe has to be diagnosed as well through further correlation analysis with weighted average of the prevailing country risk ratings of OECD, S&P and Moody’s. In term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proposed country risk ratings for the Eastern Europe have indicated very high correlation with the weighted average of the prevailing country risk ratings. 국제적인 국가신용도 평가기관은 아직도 평가대상국의 지역구분에 관계없이 일률적인 평가요소를 적용함에 따라 평가대상국의 특수성이 반영되기 어려운 사례가 발생하며, 결국 국가위험도 평가의 적합성 측면에서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국가위험도 정량평가요소와 평가등급간의 상관분석(패널) 결과, 지역별로 통계적 유의성과 상관계수가 다르게 산출되고 있어 국가위험도 정량평가모델은 지역별로 다르게 구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유럽 국가위험도 정량평가모델 구축을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인당 GDP, 1인당 경제성장률, 총투자율, 단기금리, 상품교역비율, 외환보유액과 같은 6개 거시경제지표가 동유럽 국가위험도 평가의 대표적인 설명변수로 선정되었다. 동유럽 국가위험도 정량평가모델 검증을 위한 정량평가요소의 실증분석을 시도한 결과, 동 정량평가요소 해당지표가 국가위험도 평가 및 정량평가의 효율성 제고에 유효한 것으로 추정된다. 즉, 본 제안모델은 세계 최초로 국가별 특수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한 평가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장애학생 대상 사회과 중재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 내용 분석 및 질적 지표 기반 분석을 활용하여

        연준모,김동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3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on social studies intervention research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an investigation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based on publication status and content analysis, and evaluating the quality of research using CEC qualitative indica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implications for current research tren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social studies intervention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6 peer-reviewed papers published as a social studies intervention stud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elected. First,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research subject’, ‘research design’, ‘independent variable (intervention)’, ‘intervention environment’, and ‘dependent variable (intervention result)’, and the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was calculated. Next, the quality of each study was measured,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applied to group experimental studies and single-subject studies, and the possibility for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was examined in the proces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was found to be huge, but the number of studies was insufficient to establish evidence-based intervention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indica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any studies met the qualitative indicators at a high level. Last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ocial studies intervention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현재까지 발표된 장애학생 대상 사회과 중재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으로서, 발간 현황과 내용 분석을 통하여 기존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고, 질적 지표 기반 분석을 통해 연구의 질을 평가함으로써 사회과 증거기반실제의 구축에 대한 시사점과 앞으로의 사회과 중재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장애학생 대상 사회과 중재 연구로서 지금까지 발표된 총 16편의 학술등재(후보)지 논문을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내용분석을 위하여 ‘연구대상’, ‘연구설계, ‘독립변인(중재)’, ‘중재환경’, ‘종속변인(중재결과)’에 따른 범주별분석을 실시하였고, 중재의 효과크기를 산출한 후 각 연구의 특징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서 집단실험연구 및단일대상연구에서 적용되는 질적 지표를 활용하여 각 연구의 질을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을 통하여 증거기반중재의 구축을위한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용 분석 결과 연구의 수 자체가 증거기반실제를 구축하는 데에는 다소 미흡하였으나, 다양한 중재 방법이 적용되었으며 중재 효과 또한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질적 지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표별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다수의 연구는 질적 지표를 높은 수준으로 충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가 주는 함의와 함께, 연구의 제한점 및 앞으로의 장애학생 대상 사회과 중재 연구에 주는 시사점에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통합학급 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 기반 중재 연구에 대한 질적지표분석 및 메타분석

        김가영,이아현,박경원,정가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UDL 기반 중재 연구가 통합학급 환경에서 일반학생 차원의 학업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8년 1월부터 2023년 4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UDL 기반 중재 연구 중에서 통제그룹이 있는 두 집단 실험 설계인 학술지 게재 논문 8편 및 학위 논문 5편을 포함하여 총 13편이 분석대상논문에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UDL 기반 중재 연구는 초·중학교에서 활발히 이루어졌고,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체육 등의 교과에서 고르게 적용되었으며, 대체적으로 UDL 원리에 따른 적용 전략이 반영되어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의 CEC 질적지표 평균 충족률은 78.85%였다. 한편, WWC 질적지표를 충족한 연구는 없었으며, 잠재적으로 충족한 연구는 4편, 미충족 연구는 9편이었다. 셋째, 메타분석 결과, 통합학급 환경에서 UDL 기반 중재 연구는 학생의 학업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효과크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은 정의적 영역에서 출판 유형, 학교급, 적용 과목, WWC 질 평가, 중재 회귀 수, CEC 질 평가 항목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학급 환경에서 UDL 기반 중재 연구와 관련한 시사점과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in order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UDL-based interventions on student academic, affective, and social outcomes in inclusive classroom settings. A total of 13 studies, 8 peer-reviewed studies and 5 theses in two groups studies with a comparison group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2008 to April 2023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As a result, first, UDL-based intervention studies were conducted mostly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ubjects including Korean, mathematics, society, science,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strategies based on UDL principles were used across the studies. Second,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were found to meet 78.85% of CEC quality indicators. Meanwhile, no studies met WWC quality indicators, 4 studies met WWC standards with reservations, and 9 studies did not meet WWC stantdards. Finally, the results of meta-analy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academic, affective, and social outcomes. Regarding affective outcomes, moderating variables including publication type, school level, subject, WWC and CEC quality assessment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average effect siz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발달지체유아를 위한 문제행동 중재 단일대상연구의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송미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rends and qualitative indicators of single target studies that applied maladaptive behavior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retardation from 2008 to June 2019. The papers for analysis were 37 in total, combining the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rend analysis, 21 types of selection tools of the research method were found out of the total 37 papers, of which 'Eyberg Child Behavior Inventory' had the largest number of 14. Among the experimental design in 37 single target studies,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the highest with 16. In the method of interven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papers conducted by teachers, in the classroom, free choice activity time, 21 to 30 sessions, less than 20 minutes. The reduced intervention strategy by applying intervention to the maladaptive behavior has been shown to have used many programs of positive action support. The type of maladaptive behavior and repeated measurement showed that there were many partial-interval recording methods.Next, in the qualitative assessment index analysis of CEC (2014), all of eight areas were found to have been met in general.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research direction was suggested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discussion and futur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2008년부터 2019년 6월까지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 중재를 적용한 단일대상연구의 동향 및 질적 지표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학위논문과 학술지 총 37편이었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동향분석에서 연구방법의 선별도구는 37편의 논문 중 21종류로 나타났고, 그 가운데 아동행동검사(Eyberg)가 14편으로 많이 나타났다. 연구 설계는 대상자간중다기초선설계가 16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중재방법은 교실에서 자유선택활동시간으로 21-30회, 20분미만으로 교사가 진행한 논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에 중재를 적용하여 감소된 중재전략은 긍정적 행동지원의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의 유형과 반복측정은 부분간격기록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지표에서는 CEC(2014) 질적 지표에 따라 분석에서는 전 영역이 대체적으로 충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향후 발달지체유아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질적 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기준에 근거한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능력 관련 문헌 분석

        최희승(Choi, Hee-Seung)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1 No.3

        This study analyzed 45 academic articles from 1994 to 2019 on semigroup and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among intervention researches to improve linguistic ability of hearing-impaired children. First, the objects of the intervention studies were evenly distributed from infants to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intervention were vocabulary, language development, pronunciation, reading, writing, uses of particles, grammar, etc., and the performance intelligence test of the Wechsler Scale of Intelligence was mostly used as a screening test. Third, the intervention sessions were 2-3 times a week for about one year, the intervention time ranged from 15 minutes to a maximum of two hours, and most of the intervention places were in classrooms within the school, and treatment centers. Finally, there were many studies using non-electronic tools rather than electronic tools. Not all analyzed studies sufficiently met all the qualitative indicators presented by Gersten et al.(2005) or Horner et al.(2005), Jitendra et al.(2011). Therefore, the completion of the research will be increased, if researchers plan scientific and systematic study designs and methods before conduction intervention studies and they are qualified to conduct intervention-related studies considering this. 이 연구는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을 도모한 중재연구를 준집단설계 연구와 단일대상설계연구를 대상으로 1994년부터 2019년까지 학술지 논문 45편을 분석하였다. 첫째, 중재연구들의 연구대상은 유아부터 고등학생까지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둘째, 중재의 독립변수는 어휘력, 언어발달, 발음, 읽기, 쓰기, 조사사용, 문법 등이었고, 선별검사로는 대부분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동작성 지능검사를 많이 사용했다. 셋째, 중재 회기는 10회에서 최대 약 1년 동안 주 2-3회, 시간은 15분에서 최대 2시간, 중재 장소는 학교 내에 있는 교실, 치료센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활용한 실험도구는 전자도구보다는 비전자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많았다. 분석한 연구들 모두가 Gersten 등(2005) 또는 Horner 등(2005), Jitendra 등(2011)에서 제시한 모든 질적 지표를 충분히 충족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중재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연구자들은 미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설계와 방법을 미리 계획하고, 이를 고려하면서 중재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다면 연구의 완성도가 높아질 것이다.

      • KCI등재

        질적 지표에 의한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아의 사회성 중재 최근 동향 분석

        김주연 ( Kim Joo-you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간 학습장애, 학습부진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성 중재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과학적 연구에 대한 질적 기준을 충족 키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성에 대한 연구는 총 14편으로 나타났으며 질적 연구 2편, 단일대상연구 8편, 실험집단 4편으로 나타났다. 학습장애학생의 교육중재 및 사회화에 대한 부분도 중요함을 제시하고 있지만 사회성중재 연구는 활발히 연구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사회성 중재 연구절차를 분석해보면 질적 연구, 단일대상 연구, 집단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용한 도구에 대한 신뢰도 및 중재 후 일반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증거기반연구를 위한 기본항목에 충족하는 연구가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실증적 기반 연구에 충족할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trends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social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underachievers for the past 10 years, and analyzed whether they are meeting the qualitative standards for scientific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there were 14 studies on sociality, 2 qualitative studies, 8 single-subject studies, and 4 experimental group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mediation and socializa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re also important, but social gender mediation research has not been actively studied. Second, analyzing the social mediation research procedure can be divided into qualitative research, single subject research, and group research. Research on the reliability of the tools used and generalization after intervention seems to be insufficient. Finally,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limited studies that satisfy the basic items for evidence-based research. Therefore, it suggests that systematic research that can satisfy empirical based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국가 연구개발 특허성과 평가 지표 및 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홍희정,이정훈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국내·해외의 성과평가 사례들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특허 창출 성과자료 또는 기업현황 자료의 분석을 통해 국가 R&D 성과평가 체계에 맞는 질적, 양적 특허성과 평가 지표와 평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해외 수출 및 기술력이 우수한 특정 기업군에 적용하기 위하여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특허전략 지원사업 성과 분석 사례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특허전략 지원사업이라는 한정된 사업 범위 또는 사업 특성에서 기인하는 성과평가 지표 개발의 한계점은 있으나 이전 연구 및 국내·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질적 평가체계를 검토하고 활용 가능한 특허성과의 평가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원사업 성과와 관련된 데이터 접근 및 수집의 문제로 인해 성과분석이 충분한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R&D 지원사업, 특허전략 지원사업 등의 종료 후에도 추적조사를 통해 후속 성과분석 등이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사업 종료 시의 성과추적조사에 활용할 수 있는 성과지표 및 성과분석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draws implications by surveying and analyzing performance evaluation cases in Korea and overseas, and analyz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es and evaluation models that fit the national R & 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rough analysis of patent creation performance data or company status data. Also, in order to apply this to a specific group of companies with excellent exports and technical skills, we will conduct a case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patent strategy support proj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lthoug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developing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due to the limited scope of business or business characteristics of the patent strategy support project, the qualitative evaluation system can be review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domestic and overseas case studies. Due to the problem of accessing and collecting data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support project, there is a limitation that performance analysis cannot be performed at a sufficient level. Nevertheless, after the completion of R&D support projects and patent strategy support projects, follow-up performance analysis can be performed through follow-up surveys. It is expected to be possible.

      • KCI등재

        놀이 중재프로그램을 활용한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실험연구의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송미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 중재프로그램을 활용한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실험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고, 실험연구의 질적 분석을 위하여 증거기반실제 지표에 얼마나 부합하였는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2008년부터 2020년 3월까지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출판된 총 25편을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방법의 동향은 선별도구는 25편의 논문에서 33종류로 나타났고 그 중 사회성숙도가 10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설계 동향은 대상자간중다기초선설계가 10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중재방법의 동향은 전통놀이 프로그램을 활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에 대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자는 연구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도는 제시한 논문이 많았으나 중재충실도 및 타당도는 제시하지 않은 논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적 지표 분석에서는 CEC(2014) 질적 지표를 적용하여 전 영역이 대체적으로 충족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놀이 중재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실험연구의 신뢰성과 활성화를 위한 논의 및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