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CA-CAC분석을 통해 본 한국의 대EU 수출경쟁력

        김주리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8 EU연구 Vol.- No.50

        In this study,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s 20 largest export items in the EU market and the global market is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RCA and CAC index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 of the Korea's Trade Deficit with EU after the Korea-EU FTA. As a result of the RCA-CAC analysis, Korea-EU trade showed a typical trade pattern among developed countries with a capital-intensive export product structure. In terms of technology -intensive items, Korea was in a relatively inferior position compared to the EU, and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in the capital-labor mixed export items was superior to the EU. In particular, the comparative advantages in the EU market since the entry into force of the Korea-EU FTA were automobiles and parts, steel products, oil and cosmetics, and knitting, among which oil and cosmetics were more competitive in export in the EU market than in the international market. Meanwhile, the EU's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Korean market was automobiles and parts, machinery, ships, and copper products. The European machinery, which has improved its competitiveness in the Korean market since the FTA took effect, ha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Korea's EU imports. Especially, the increase in imports of machinery, which is equivalent to the EU's comparatively inferior export, is the result of the importation of parts and intermediate goods imported from Japan into EU products. Therefore, Korea should identify the cause of its declining competitiveness after the Korea-EU FTA. In the capital-labor mixed export item group, self-help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strengthen the constitution from price competitiveness to quality competitiveness. In addition, Korea should take a two-sided strategy to enhance import suppression and promote exports through quality differentiation strategies in product groups that are improving competitiveness simultaneously in mutual markets. And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respond to the EU's safety guard survey on Korean steel products, which are improving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EU market. 이 연구에서는 한-EU FTA 체결 이후 발생하고 있는 한국의 대EU 무역역조 현상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대 수출품목의 대EU 및 대세계 수출경쟁력을 RCA, CAC지수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고 있다. RCA-CAC분석 결과, 한-EU 무역은 유사한 자본집약형 수출상품구조를 띤 전형적인 선진국 간 무역패턴을 보였고, 기술집약적 품목군에 있어서 한국은 EU에 비해 비교열위 상태이며, 자본-노동 혼합형 수출품목에서는 한국의 수출경쟁력이 EU보다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특히, 한-EU FTA 발효 이후 EU 시장에서 경쟁력이 개선된 비교우위 수출품은 자동차&부품(87), 철강제품(73), 정유/화장품(33), 편물(60)이었고, 그중에서 정유/화장품(33)은 국제시장보다 EU 시장에서의 수출경쟁력이 더 높았다. 한편, 한국시장에서 경쟁력이 개선된 EU의 비교우위품목은 자동차&부품(87), 기계류(84), 선박(89), 구리제품(74)이었고, 기계류(84)도 FTA 발효 이후 한국시장에서 경쟁력이 개선되면서 한국의 대EU 수입 규모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EU의 비교열위 수출품에 해당하는 기계류(84)의 수입증가는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던 부품 소재와 중간재 등의 수입이 EU 제품으로 전환된, 한-EU FTA로 말미암는 무역전환 효과의 귀결이라 하겠다. 따라서 한국은 한-EU FTA 체결 이후 대EU 비교열위 상태가 심화되고 있는 수출품목에 대한 원인 규명과 경쟁력 향상방안을 재검토하고, 자본-노동 혼합형 수출품목군에 있어서는 가격경쟁력에서 품질경쟁력으로의 체질 강화를 위한 자구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호시장에서 동시적으로 경쟁력이 개선되고 있는 자동차&부품(87) 등의 제품군에 대해서는 품질 차별화 전략을 통해 수입억제력을 제고시키는 동시에 수출촉진을 도모하는 양동 전략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FTA 발효 이후 EU 시장에서 경쟁력이 개선되고 있는 한국산 철강제품에 대한 EU의 세이프가드 조사에 대응하여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의 대학(원)에서 EU 교육 현황과 함의 : 교과과정(Curriculum)을 중심으로

        김일곤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3 EU연구 Vol.- No.35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on european union in korean universities. In the first place,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general status of education on european union including member states, it appeared in curriculum that the more weight on a course of study on individual states - especially United Kingdom, Germany, France - was placed. On the other hand, a course on european union was comparatively more allocated in branches of economics, above all departments involved in commerce relations. Meanwhile, this article also analyzed curricula of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n which departments focused on european union studies and general study on europe including european union were separately established. That result was that most of them had more courses of its member states-level than those of european union level. Besides, those courses weight more heavily on fields of economy and culture. It found, therefore, that education to bring up EU specialists was not still enough in korean universities. 본 글은 교과과정을 통해 한국의 대학 및 부설 대학원의 EU 교육 현황을 검토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에 따라 우선 회원국을 포함한 EU 교육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본 결과 학부 과정에서 어․문화, 역사, 사회, 정치, 법 분야에서 개별 회원국에 대한 비중이, 그마저도 영국, 독일, 프랑스에 대한 교과목 배정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에 반해 EU 지역 차원의 교육은 경제 그 가운데서도 통상관련 학과에서 비교적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더욱이 대학원의 EU 교육 현황도 학부 과정과 유사성을 보여주는데, 특히 법 분야의 경우 법학전문대학원을 중심으로 해서 학부 과정과 달리 EU 관련 교과목의 양적 증가가 눈에 띄었다. 한편 논의의 범위를 좁혀 EU 관련 학과와 전공과가 설치된 대학(8개) 및 대학원(6개)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대학에서 EU 지역의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동 지역에 대한 기초지식 제공과, 통상 관련 실무 능력에 중점을 둔 교과과정 배정이 두드러졌다. 게다가 대학원의 경우에는 교과목 배정과 관련해 대부분이 문화나 경제 분야에 경도되어 있고, 그것도 EU 공동체 수준보다는 EU 지역의 개별 회원국 수준을 대상으로 하는 교과목 편성이 두드러졌다. 결론적으로 유럽에 대한 교육을 넘어 EU에 특화된 교육과 연구자의 배출은 여전히 미흡한 수준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EU 기후변화 대응과 자동차산업 - 전기자동차 배터리분야에서 한국과 협력에 주는 시사점

        한희진,안상욱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1 EU연구 Vol.- No.57

        The EU has led the global climate change response. The EU's goal of achiev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2020 compared to 1990 was achieved in 2014. However, the EU's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transport sector h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EU has adopted initiatives to achieve greenhouse gas reduction from the transport sector. In 2011, the EU proposed a strategy in a white paper titled "Roadmap to a Single European Transport Area" to reduce fossil fuel vehicles in urban areas by 50% by 2030 and phase out by 2050. The EU also proposed the deployment of an adequate number of public-accessible urban charging stations by December 31, 2020 to ensure a stable electric vehicle charging environment through “the Directive 2014/94/EU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2 October 2014". As a result, despite the economic recession in 2020 due to the COVID-19, the sales of electric vehicles in the EU surged. The sales of BEV and PHEV in Europe in 2020 surpassed those of China, making Europe the largest market of electric vehicles in the world. Compared to 2019, the sales of BEV and PHEV in Europe grew by 137%.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EU's electric vehicle market, the EU relies on Asian companies for the supply of batteries, a key component of electric vehicles. Therefore, EU automakers such as Renault Group expanded their partnership with South Korean battery makers such as LG Energy Solution (Former LG Chem’s Battery Business). On the other hand, the EU has adopted its strategy to expand production of batteries in the EU. EU는 전 세계 기후변화 대응을 주도하였다. 1990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을 2020년까지 달성하겠다는 EU의 목표는 2014년에 달성되었다. 그러나 운송분야에서 EU의 온실가스 배출감축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EU는운송분야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기 위한 아젠다를 지속적으로 제시하였다. 2011년 EU는 “단일 유럽 교통지역 로드맵 (Roadmap to a Single European Transport Area)”의 제목의 백서를 통해서, 도심에서재래식연료 사용 차량을 2030년까지 50% 수준으로 감소, 2050년까지는완전 퇴출(phase out)하는 전략 제시하였다. 또한 EU는 2014년 “대체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침 (Directive 2014/94/EU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2 October 2014 on the deployment of 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을 통해서 안정적인 전기자동차 충전환경 보장을 위해서 2020년 12월 31일까지 대중이 접근 가능한 적절한수의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확보하여 도시/도심 밀집지역 및 기타 인구 밀집지역에서 전기자동차의 통행을 보장해야한다고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서 COVID-19확산을 세계경계가 위축되는 상황에서도 유럽에서 전기자동차 판매는 급증하였다. 2020년 유럽 내 전기자동차와 충전식 하이브리드 자동차 판매는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규모로 부상하였다. 2019년대비 2020년 유럽내 전기자동차와 충전식 하이브리드자동차 판매는137% 성장을 기록하였다. EU의 전기자동차 시장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자동차의 핵심부품인 배터리의 EU생산은 미미하였다. 따라서르노자동차 그룹과 같은 EU자동차 기업은 LG화학(현재 LG에너지솔류션)과 같은 한국의 배터리 생산기업과 제휴를 확대하였다. 반면에 EU는배터리의 EU내 생산확대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유럽연합에 대한 한국대학생의 인식과 그 함의

        장붕익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3 EU연구 Vol.- No.33

        After singing of Korea-EU FTA in 2011 the nation-wide interest in the EU is growing much higher than ever before. So called 'a strategic partnership' status defined bilaterally is also attracting our special attention to the EU. This short study is based on enquete analysis regardi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general perception of the EU. HUFS-HRI EU Centre has excuted a nation-wide surve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EU in the end of 2011. The total number of interviewees was 1,766. The analysis result of this enquete seems to be quite interesting,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ost students are well aware of existence of the EU, but they have shown at the same time their poor knowledge regarding history, organization, institutional aspects, composition, competence of the EU and they perceive the EU as a kind of regional economic block. Majority of interviewees are expecting that Korea-EU FTA will be advantageous to Korea. And they also believe that the EU and Eurozone will be intact in spite of sporadic obstacles such as present financial crisis. The most striking result of this survey is that only 1.1% of all interviewees consider the EU as the most important power to Korea. That 1.1% is good for the 4th place, after the USA, China and Japan. Furthermore majority believes that the EU would play no significant role in the Korean reunification. In order to foster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depth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n the EU - which is indispensable for sustaining development of the Korea-EU mutual relations -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intensifying the EU related academic programmes, scaling up the EU related courses, promoting the EU related research activities, enhancing the academic exchange programmes, introducing various students participating programmes such as essay contests, ucc contest etc., implementing various outreach activities, building up information and knowledge distribution network for the conventional media such as newspaper and television as well as new media like smart-phone, facebook and twitter, and vitalizing the academic exchange programme such as Erasmus Mundus and ICI-ECP. The role of 4 EU Centres established in Korea is also very important. In cooperation with 3 EU related national academic societies, the EU Centres has to find common agendas and subsequently needed action programmes encouraging the EU related educational and research activities. 2011년 한-EU FTA 체결 이후 한국에서 유럽연합에 대한 관심은 과거에 비해 매우 높아졌다. 특히 전략적 동반자로 규정한 양자관계 역시 유럽연합에 대한 일반의 관심을 고조시키는데 일조했다. 이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유럽연합에 대한 인식도에 대한 조사에 바탕을 두고 있다. 2011년 말 한국외국어대학교-현대경제연구소 EU Centre는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유럽연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766명에 달하는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는 매우 흥미로운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럽연합의 존재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도는 매우 높게 기록되었으나, 유럽연합의 역사, 조직, 제도, 구성, 권한 등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낮았고, 학생들은 주로 유럽연합을 경제발전을 위한 지역블록으로 인식하고 있다. 대다수 학생들은 한-EU FTA는 한국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하고 있으며, 유럽연합과 유로존은 재정위기와 같은 장애에도 불구하고 건재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이 역시 주를 이루고 있다. 반면 국가중요도를 묻는 질문에서 유럽연합은 러시아와 같이 1.1%를 획득, 4위를 차지하는데 그쳤고, 다수의 응답자는 한국의 통일에도 크게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한-EU 양자관계의 지속적 발전에 필수적인 유럽연합에 대한 심층적 지식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 필요한 대책은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강화, 교과목 확대, 연구 진흥, 학술교류확대, 학생참여프로그램 도입, Outreach 프로그램 활성화, 신문, 방송 같은 기존 미디어 뿐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새 미디어를 통한 정보. 지식분배네트워크 구축, Erasmus Mundus, ICI-ECP 등과 같은 교육교류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확대, 국내 4개 EU Centre의 긴밀한 협력과 유럽학 관련 교육과 연구 증진을 위한 공동 의제설정 및 추진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3개의 전국단위 유럽관련학회도 이 같은 목표달성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 KCI등재

        유럽 금융위기가 한국무역에 미친 효과

        김미아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7 EU연구 Vol.- No.47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the Eurozone crisis on the volume and structure on Korea’s trade. The Eurozone crisis has affected Korea's exports to EU severely. Since 2011, there has been a decline of Korea's exports to EU and EU’s share in Korea's export declined from 10.5% in 2011 to 9.4 % in 2016. In spite of the slowdown of Korea’s export, its import increased since eurozone crisis. Korea's import from EU increased from 47.4 billion dollars in 2010 to up to 50.4 billion dollars in 2012. It may be a result of Korea-EU FTA. Therefore, Korea had a trade surplus with EU before 2011 but since then Korea turned to a trade deficit. We have also estimated the effects of EU financial crisis on Korea’s exports and imports using a panel of cross-country time series data for the period 2000-2016. The main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ur results indicate that EU financial crisis had a negative effect on Korea’s export and led to a contraction in Korea’s export. But the coefficient of crisis in the import equation is not significant and the impact of EU crisis on Korea’s import is insignificant. This indicates that the Korea’s imports are relatively less responsive to Eurozone crisis than Korea’s exports. Second, GDP and exchange rates have an important effect on Korea’ exports and imports. FTA has exerte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s imports, but is not significant in the export equat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financial stability plays a important role in trade flows and Korean government needs to monitor futur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stability of Eurozone and its impact on exports. 유럽 금융위기가 한국의 대 EU 수출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의 한국의 무역자료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한 후 수출입함수를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EU 12개국에 대한 횡단면자료와 2000-2016년 동안연도별 시계열자료로 구성된 패널 자료이다. 유럽 금융위기가 한국의 대 EU 수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패널분석결과를 보면 금융위기 변수는 기대한 바와 일치하는 부(-)의 부호를 보이며 통계적인 유의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럽 금융위기가 유럽의경제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한국의 수출을 감소시키는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금융 불안정성의 대리변수로 사용한 금융스트레스 지수(FSI)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효과를보임으로써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럽의 금융 불안정성은 유럽의 수입수요를 위축시킴으로써 한국 수출을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율도 수출변동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 중의 하나인데 모든 계수가 기대부호와 일치하는 부(-)의 값을 가지고 통계적 유의성도 높게 나타났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환율변동에 따라 수출입이 큰 영향을 받게 되는데 유럽 금융위기 이후 유로화 가치하락으로 인하여 원화가치가 상승하면서 한국의 수출가격경쟁력 약화를초래하여 수출이 감소하게 된 것이다. 유럽 금융위기가 한국의 대 EU 수입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대체로 금융위기 변수와 금융스트레스 지수는 수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 다만 위기 이후에는 일부 모형에서 금융스트레스 지수가 수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위기기간 동안에는 FSI는 수입변동을 설명하는 변수 중의 하나로 작용하고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 경기상황의 대용변수인 GDP 증가율은 모든모형에서 예상했던 정(+)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통계적인 유의성도 높게 나타났다. 환율 변수는 기대한 바와 같이 수입에 정(+)의 효과를보임으로써 실질실효환율이 상승하면 수입이 증가한다는 전통적인 이론과 부합하는 결과이다. FTA 변수는 예상대로 정(+)의 부호를 보여주고있으며 통계적인 유의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FTA가 무역을확대시킨다는 가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금융위기가 무역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는 대부분의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유럽 금융위기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금융스트레스 지수가 포함된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한국의 지식재산권 무역불균형 극복을 위한 정책 대응 방향: 유럽연합 공동시장을 중심으로

        김현정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8 EU연구 Vol.- No.50

        This paper explains recent trends and strategies of Korea and the EU regard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IPR) sector. Through the analysis, this paper presents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First, policy unification of all area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econd, modern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egulations and systems for digital unification of regional markets; and third, development of new IPR domain and policy strategy to lead intellectual property domain in global market. The EU has introduced a single patent system to unify the IPR policy, and has established a one-stop system to provide it to individuals, companies and countries in the region. The EU intends to include the IPR policy in the region as an exclusive authority, which is aiming to form a single IPR market. The EU is leading the international norm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world and is playing an international role in the dispute settl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ADR) and the trial. In addition, the EU has established regulations and policies on IPRs in the digital monopoly market, there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IPRs against future industries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U has promoted the expansion of issues that can lead the world in the field of IPRs. 본 논문에서는 지식재산권(IPR)과 관련한 EU의 정책 동향 및 시장변화 그리고 한국의 시장대응을 분석하였다. EU의 수준 높은 IPR 정책 및 제도, 관리에 관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이는 첫째, 지식재산권 제반 영역에 관한 정책 통일화, 둘째, 역내 시장에 대한 디지털 단일화를 위한 지식재산권 규제 및 제도의 현대화, 그리고 셋째 세계시장에서 지식재산권 영역을 선도하기 위한 신IPR 영역 개발 및 정책 전략으로 분류된다. EU는 공동정책 차원에서 단일특허제도를 도입하여 IPR 정책을 통일하였으며,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하여 역내 개인, 기업, 국가에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관련 분야 정책을 통해 EU는 역내에서 IPR 정책 영역의 배타적 권한화를 진행 중에 있으며, 단일 IPR 시장 형성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EU는 역외에서 지식재산권 관련 국제 규범을 선도하고 있으며, 지식재산권 분쟁조정, 대안적 분쟁 해결 방안 모색 그리고 재판의 국제적 역할을 선도해 왔다. 특히 본고에서는 유럽연합 단일시장의 IPR 정책 및 시장 동향 변화에 따른 한국 정부의 정책적 대응 및 전략을 고찰하였다. 한국은 유럽연합의 지식재산권 규제 및 정책의 통일화 및 신지식재산권유형의 규제를 분석하여 정부 차원의 정책 대응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글로벌 공급망 관점에서 본 한-EU 무역관계: 글로벌 가치사슬 데이터를 통한 검토

        강유덕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2 EU연구 Vol.- No.64

        This study sheds light on Korea-EU trade relations using global value chain (GVC) data and explores the global supply chain between Korea and European countries. Most of the studies of Korea-EU trade relations have focused on apparent bilateral trade volumes. However, this way of research needs to reflect the complexity of trade relations, including the diverse pattern of GVCs. This study examines how much Korea's exports have contributed to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European countries in the GVC network.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EU FTA, Korea's trade balance vis-a-vis the EU has deteriorated because its exports to the EU were sluggish while imports increased considerably. However, Korea's market share in European countries in terms of its value-added export did not decline, and in several key sectors, its value-added export to European countries has increased. In many countries, mainly western European countries, Korea's market shares in value-added export are higher than those in bilateral gross exports. These findings suggest a deepening of the industrial network between Korea and the European countries in the context of a more comprehensive global supply network. Korea's indirect export to Europe increased considerably. Given this consideration, the actual trade deficit of Korea to the EU would be smaller than bilateral trade statistics that consider only bilateral export and import. To understand the Korea-EU trade relationship, reviewing the GVC network in the EU and triangular trade relation 'Korea↔third country↔EU' is necessary. In addition, a trade policy for a particular country or region should consider GVC. In particular, since the EU is promoting its due diligence rules in the supply chain, it will be essential to incorporate GVC in bilateral trade policy. Finally, it is necessary to use supply chain-based statistics to evaluate the implementation of FTAs. This is because bilateral trade statistics alone can no longer capture actual trade flows. 이 연구는 한-EU 무역관계를 글로벌 가치사슬(GVC) 데이터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양자 간에 형성된 글로벌 공급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의 수출이 GVC를 통해 유럽 국가들의 산업생산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직접무역을 통한 수출입 통계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한-EU FTA 발효 이후 대EU 수출은 부진한 반면, 수입이 증가하면서 무역수지가 악화되었다. 반면에 한국의 수출을 통관기준의 총수출과 부가가치 기준의 수출로 구분하여 살펴볼 경우 주요 수출 품목에 있어 부가가치 기준의 수출은 통관기준 수출에 비해 더 많았고, 그 결과 EU 내 시장점유율이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와 같은 현상은 독일 등 서유럽 국가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한-EU FTA 이행 기간 중 한국의 대EU 무역은 공급망 형성 관점에서 진전을 거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제3국을 경유한 간접 무역을 감안할 경우 실제의 대EU 무역수지 적자는 직접무역을 통한 통관기준 수치보다 더 작을 것이다. 한-EU 무역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EU 역내의 GVC 네트워크와 ‘한국↔제3국↔EU’ 삼각형 구조의 무역을 살펴봐야 한다. 또한 양자 통상정책의 수립에 있어서도 GVC를 감안한 정책이 필요한데, 특히 EU의 경우 공급망 실사제도를 추진 중이기 때문에 양자 무역관계의 초점을 GVC까지 확대해야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급망 기반 통계를 FTA의 이행평가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양자 무역 통계만으로는 더 이상 실질적인 무역흐름을 포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 KCI등재

        EU 운송분야 기후변화 대응과 지방자치단체: 한국의 지방자치단체 “부산”에 주는 함의

        김주희,정세원,안상욱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2 EU연구 Vol.- No.63

        EU는 전 세계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일찍이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왔다. 2008년 EU는 2020 기후·에너지 패키지(2020 Climate and Energy Package)를 채택하고 2020년까지 1990년대비 온실가스 배출을 20% 감축할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EU는 관련 목표를 2014년에 달성하였다. EU에서 에너지공급분야에서 온실가스 배출은 EU회원국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힘입어 급격하게 감소하였지만, 운송분야에서 온실가스 배출은 감소되지 않았다. 현재 EU에서 운송분야는 최대 온실가스 배출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EU는 운송분야에서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유럽은 중국 다음으로 세계 최대의 전기자동차 시장으로 발돋움하였다. EU회원국에 대한 EU의 권한 배분은 배타적 권한 (exclusive competence), 공동 권한 (shared competence), EU가 회원국의 행위를 지원, 조정, 보조하는 권한 (supporting, coordinating or supplementing competence)로 구분된다.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 속해있는 에너지와 환경 분야는 EU와 EU회원국 간 공동 권한에 속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EU가 정책목표를 제시하면, 회원국은 그 틀 안에서 자국의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으며, EU회원국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권한 배분에 따라서 EU회원국의 지방자치단체도 적극적인 기후변화 대응 아젠다를 제시하고 있다. 파리에서는 2011년 12월부터 전기자동차 공유서비스가 운영되었다. 또한 노후 차량의 도심진입을 억제하려는 정책을 실시하여서 친환경 자동차로의 이행에 기여하였다. 프랑스 사례와는 다르게 한국에서는 상시로 노후차량 운행제한을 실시하는 지역은 서울 시내 일부 지역에 불과한 상황이다. 게다가 부산은 한국의 제2의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확충이 서울뿐만 아니라 대구에 비해서 뒤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부산에서 운송분야 온실가스 감축을 적극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 부산시는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를 확대해야 하며 노후차량의 상시 운행제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유럽연합과 문화: 문화정책에 반영된 ‘문화’의 재해석

        윤성원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09 EU연구 Vol.- No.24

        The European Union (EU) has recently paid increasing attention to the issue of culture than ever. There have been not a few debates on whether culture exists in the context of the EU. And a further question is, if so, how to conceptualise i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alient issue of the EU today. According to nationalism, culture cannot be debatable in the EU. As culture is defined as a ‘lifestyle’ which is shared by a group of people based on history, language, religion and ethnicity, the cultural discourse is available only at the national context. But, given the current salience of culture and cultural policy in the EU, as was represented by the profusion of EU cultural propgrammes today, the meaning of culture in the EU needs to be examined as well. The concept of culture has varied depending the period of the integ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EU official documents, the cultural discourse until the 1980s is characterised by two features. On the one hand, culture was utilised as a political tool in symbolising the Community as seen in the nation-building process. On the other, culture was regarded as an economic tool by which the single market project would be completed. The signing of the Maastricht Treaty in 1992 recognised culture as an official policy area, which affected the concept of culture since then. The paradoxal position of EU officials also affected the conceptualisation of culture in this period as well. Since the EU officials who represent the EU were granted their representativity by their national electorate, EU cultural policy had to be shaped in a way to respect the diversity and uniqueness of cultures of each Member State. Accordingly, culture was conceptualised as a ‘practical’ policy area which is combined with practically most of other policy areas. Cultural programmes have been operated in a way to respect cultural diversity of each Member State. In this way, culture becomes an essential element in completing European integration in the networking governance of the EU polity. 최근 유럽연합(EU)이 문화에 대해 가지는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도 크다. EU 차원에서 문화의 논의 자체가 가능한지의 여부에 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해왔다. 또한 그 개념과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진지의 논의가 부족했다. 민족주의자의 시각에서는 EU 문화의 존재성을 부정한다. 문화의 정의가 역사, 언어, 종교, 인종 등의 공통의 삶의 방식이라는 전제 하에, 오직 민족 국가 수준에서만 문화의 논의가 가능하다고 역설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문화가 EU 차원에서 논의되기 시작한 이래 그 논의의 비중뿐 아니라 문화 프로그램의 양적ㆍ질적 수준의 확대를 감안한다면 EU 문화와 문화정책의 개념과 역할은 고려될만 하다. EU에서의 문화에 대한 인식은 시기별로 변해왔다. 문화 관련 EU 공식문서를 살펴보면, 1980년대까지의 문화에 관한 논의는 크게 두 가지의 특징을 지녔다. 하나는 공동체의 상징화 작업에 필요한 정치적 도구로서의 문화이고, 다른 하나는 단일시장 형성을 위한 경제적 도구로서의 문화이다. 그 후 1992년 마스트리히트 조약을 계기로 공식적인 정책 영역이 되면서 문화의 개념은 변하였다. 이는 유럽 관료들의 모순적인 입장도 영향을 미쳤다 할 수 있다. 대외적으로 EU를 대표하는 관료들은 사실상 각 회원국 국민들로부터 그 대표성을 부여받은 것이기 때문에 EU 문화 정책의 성격은 각 회원국의 문화 주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EU 정체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독특한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그 결과 문화 정책에서 비춰진 ‘문화’의 성격은 통합을 위해 필요한 전반적인 정책 영역에 결합된 실용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또한 개별 문화의 고유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 핵심이며 문화정책 및 문화 프로그램은 각 개별 고유성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들은 서로 통하는 부분이 있다. 여러 제반 정책들을 엮어주는 공통의 코드로서의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회원국간의 문화적 다양성도 EU라는 틀 안에서 공존이 가능함을 보여줌으로써 네트워킹이 강화되어 가고 있는 EU 거버넌스 속에서 문화는 그야말로 EU 통합을 완성시키는 데 있어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KCI등재

        EU 신입국의 민족 문화 정체성 연구 - 크로아티아 역사 논쟁을 중심으로 -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4 EU연구 Vol.- No.36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on the national-cultural identity of the EU's new member focused on the historical debates of Croatia, from the settlement of the Croats in the region of Adrian Sea to the early 12th century which the Croatian Medieval Kingdom was under the control of the Hungary. In particular, I will study how much croatian historians are trying to make a establishment of their own national identity, and how to be discussed on the historical reinterpretation with these 3 main historical events: first is the settlement of the Croats and the expans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second is, the acceptance of latin characters and the transition to the Catholic under the independent medieval kingdom, and third is the debates on the hungarian domination.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the chapter II, I will introduce how to make debating between serbian and croatian historians on a settlement of the Croats in the Balkan, and how much expans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had an influence on the Croats. In the chapter III, I will analyze what was the historical selection of the Croats who were located on crossroad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Church, and what did the adoption of Catholic and latin characters mean in the Croatia's history. In the chapter IV, I will explain what were the reinterpretations of croatian historians on the collapse of their own medieval kingdom. 2013년 7월 크로아티아의 EU 가입은 유럽내 비(非)EU권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는 ‘서부발칸(Western Balkan)’ 국가들의 EU 가입을 향한 첫 신호탄이 되었다. 하지만, 크로아티아인들은 오랜 외세 지배로 인해 ‘주권의 맛(a taste of sovereignty)’을 충분히 향유하지 못하여 왔고, 또한 그 역사 속에서 지배 민족들의 방해로 인해 자신들만의 독자적 민족, 문화 정체성 수립에도 어려움을 겪어야만 했었다. 따라서 크로아티아인들은 고유한 민족, 문화 정체성이 수립되지 못하고 주권의 맛을 만끽하기 이전에 진행된 EU 가입 논의와 국민투표에 일련의 거부감을 지녔다고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크로아티아 민족주의 역사가들이 제기해왔던 독자적 민족 정체성 수립 및 역사 재해석에 있어 가장 큰 논쟁의 중심에 서 있는 세 가지 역사적 사건들을 중심으로, 이를 둘러싼 논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제 2장에선 크로아티아인들의 발칸유럽 정착을 둘러싸고 전개되고 있는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양국 역사가들 간의 논쟁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가톨릭 전신인 로마 교회의 영향력 확대가 크로아티아 민족에게 어떻게 다가왔는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제 3장에서는 크로아티아 중세 왕국의 수립을 둘러싸고 전개된 동·서 교회 간의 갈등 속에서, 양대 교회의 최전선에 자리한 크로아티아 중세 왕국의 역사적 선택은 어떠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전환된 라틴문자 수용과 가톨릭 선택은 훗날 역사 속에서 크로아티아 민족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게 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제 4장에서는 크로아티아 중세 왕국의 몰락과 헝가리의 지배 시작을 둘러싸고, 이에 대한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재해석 노력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