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중보건 위기대응 의료제품의 개발 촉진 및 긴급 공급을 위한 특별법 고찰 및 FDA와 EMA의 유사 법안 비교 분석

        김선영(Sunyoung Kim),한연경(YeonGyeong Han),문은희(EunHui Moon),강석연(SeokYeon Kang),강원구(Wongu Kang),원정우(Jeongwoo Won),정시연(Si-Yeon Jeong) 대한약학회 2022 약학회지 Vol.66 No.3

        Since the outbreak of the new strain of coronavirus (SARS-CoV-2, COVID-19) was first reported, regulatory authorities worldwide have issued various regulatory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Global authorities are committed to supporting developers of potential vaccines and treatments for COVID-19. This study reviewed the guidelines and regulatory procedures instituted by author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o understand the current perspectives of regulatory agencies worldwide and derive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emergency responses. The Act on Encouragement of Development and Emergency Circulation of Medical Countermeasures for public health emergencies enacted in 2021 establishe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to oversee policies for public health emergencies. In the US, the Public Law 113-5, the PHS Act, the PREP Act and the FD&C Act grant authorities emergency use power with respect to medical countermeasures needed during public health emergencies. The FDA can also facilitate the use of those medical countermeasures. The EMA has accelerated regulatory procedures in place for expediting the development and approval of medicinal products for COVID-19. The EMA’s rapid procedure includes rolling review, accelerated assessment and conditional marketing authorisation. Based on the review of foreign policies and practices regarding public health emergenci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t on Encouragement of Development and Emergency Circulation of Medical Countermeasures for public health emergency responses has made important advances in public health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 KCI등재

        신 국제보건규칙(IHR 2005)제정에 따른 국제보건법의 발전

        張信(Shin Chang) 대한국제법학회 2007 國際法學會論叢 Vol.52 No.2

        세계보건기구는 2005년 5월 새로운 국제보건규정(IHR)을 채택하였는데, 그것은 19세기 중반이래 공중보건에 관한 국제법이 형성된 이후 가장 혁신적이고 광범위한 변화를 수용한 것이다. 개정 IHR은 과거 관련 국제법규와 획기적으로 다른 범세계적 질병감시와 대처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즉 새로운 보건규정은 세계적인 공중보건문제를 지역에서부터 지구적 차원까지 통일적다루는 근본적 지배구조(가버넌스)를 마련한 것이다. IHR은 새로운 질병통제에 관해 5가지의 사항을 도입하였다. 즉 (ⅰ) 적용범위의 확대, (ⅱ) 체약국 의무로서 최소핵심감시 및 대응능력, (ⅲ) 비정부기구 출처 감시정보에 대한 접근과 사용권한의 WHO 보유, (ⅳ) 국제관심사로서 공중보건긴급사태의 발생을 선언할 권한과 그러한 위기 및 통상적인 공중보건 위험에 대하여 당사국이 취해야할 조치를 권고할 권한, (ⅴ) 당사국이 IHR을 이행함에 있어 인권개념을 포섭하도록 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이 중에서 그 적용범위의 확대에 관한 것이다. 즉 적용대상이 되는 질병을 과거에는 콜레라, 페스트, 황열 만을 의미하였는데, 이제는 그렇게 한정된 전염성 질병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그 대상을 질병, 사태, 공중보건위험, 국제관심사로서 공중보건긴급사태라는 4가지 단계적 개념으로 대체하여 그 잠재적 위험성에 따른 탄력적 대응책을 마련한 것이다. 또한 이렇게 보건규정이 적용되는 시점에서 당사국의 의무가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즉 각 당사국은 보건대책을 수립하고, 적용함에 있어서 무역, 인권에 대한 부당한 침해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이렇게 세계적인 질병통제를 함에 있어서 국가이외에도 비정부기관(NGO)의 참여, 즉 그들이 갖고 있는 정보와 감시능력을 활용하도록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 IHR은 다음과 같은 제약을 아직도 갖고 있다. 첫째, 세계공중보건위험을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직접적인 규정을 두기보다는 수비적이고 응급대응책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아직도 WHO의 권고는 구속력이 없으며, 지침의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물론 국제기구의 일반적 성격에 비추어 보면 당연하지만, 국제공중보건을 위협하는 질병과 그로인한 긴급사태를 적절하게 대처하려면 WHO의 지위가 좀 더 강화되어야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dopted the new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IHR) in May 2005, which constitute one of the most innovative and far-reaching changes to international law on public health since the beginning of the international concern to the sanitary and health of human in mid-nineteenth century. The revised IHR contain an approach to global disease surveillance and response radically different from anything previously seen in international law on public health. The new Regulations perceive a new world forming, in which global health security is a fundamental governance challenge for all humanity from the local to the global level. The IHR revision proposals embody a new strategy-global health security-implemented through a new approach-global health governance. There is two radical aspects. First, it break dramatically with the classical regime. Secondly, it contain a vision of integrated governance for global public health because the proposals connect public health objectives with principles and norms found in international law on trade, human right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ecurity. In short, WHO turned international health legal developments to the other areas of international relations, which helped the pursuit of global health security. This articles analyses the new IHR by examining the expanded scope of the disease application. It has replaced the static and closed disease of the classical regime with one built on the concepts of disease, event, public health risks,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And new IHR also significantly increase the scope of the obligations State Parties must undertake. They are the task of balancing public health protections and trade concern and human rights. But the IHR still has some problem in its effectiveness. First, it do not address directly the many underlying factors, but the strategy of global health security is essentially a defensive and reactive one. Second, WHO’s authority to issue temporary and standing recommendations may have more impact to the State Parties, but it still has non-binding force.

      • KCI등재

        조류독감에 대한 국제법적 규제

        이현조(Hyun-Jo Lee) 대한국제법학회 2006 國際法學會論叢 Vol.51 No.1

        본고의 목적은 2003년 이후 2005년 그리고 현재까지 전세계에 심각한 인적ㆍ물적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조류독감에 대한 국제법적 규제를 시도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전염병은 지구온난화, 오존층파괴와 같은 지구환경문제와 마찬가지로 국경을 존중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조류독감과 같은 신종전염병의 관리 및 규제에 관한 국가의 대응은 한계가 있으며, WHO와 같은 국제기구와 전염병의 국제적 관리에 관한 국제법인 국제보건법을 통한 국제적 관리와 협력이 필수적이다. WHO는 전염병의 국제적 확산방지를 위해 조약성격을 띤 1969년 국제보건규 칙(IHR)을 채택한 바 있다. 그러나 IHR(1969)은 역사적 전염병인 페스트, 콜레라, 및 황열 등 3종에 대한 보건조치만을 규정하고 있어서 AIDS 등 신종 전염병 발생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했다. 특정 질병에 대한 국가들의 통보의무를 핵심으로 한 IHR(1969)는 국가들의 의무불이행과 강제력 결여 때문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SARS, 조류독감 등 다른 신종 전염병의 심각성을 반영하여 WHO는 2005년 IHR 개정안을 채택함으로써 전염병의 국제적 관리에 관한 국제법적 전략을 지지하게 되었다. 2007년 발효예정인 IHR(2005)는 전염병의 국제적 확산을 확인하고 대응조치를 취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 국제법을 급진적으로 변화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통보의무와 검역권 외 조류독감과 관련된 IHR(2005)의 특히 중요한 제도는 당사국들이 국제보건위기상황에 해당하는 전염병의 국제적 확산을 규제할 수 있도록 감시와 대응을 위한 핵심능력요건 의무이다. 조류독감에 관해 제기될 수 있는 국제법적 쟁점은 국제인권법적?국제통상법적 쟁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현재 제기될 수 있는 조류독감의 국제인권법적 쟁점은 감염된 외국인 환자에 대한 영토국의 강제적인 보건조치의 국제법적 요건이다. 감염속도가 매우 빠른 조류독감의 확산 방지와 치료제공이라는 공중보건보호목적을 위한 영토국의 조류독감 감염외국인에 대한 격리와 억류와 같은 보건조치는 자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인권에 대한 정당한 제한사유로서 국제법적으로도 인정된다. 한편, 조류독감의 국제통상법적 쟁점은 조류독감 백신개발과 관련된 지적재산권 문제를 들 수 있다. 문제는 조류독감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백신 등 신약개발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지적재산권에 관한 강제실시권이다. 이 문제는 만인을 위한 의약품접근의 촉진권을 지지하고 있는 2001년 TRIPS협정과 공중보건에 관한 도하선언에 따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2001년 도하선언의 TRIPS 협정의 유연성원용원칙에 따라 타미플루와 같은 조류독감 항바이러스제제나 새로운 백신에 대한 국가들의 강제실시권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The worldwide outbreak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H5N1) has become a global crisis for animal and human health. It is evidence of the serious threat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pose in the global era. According to Cumulative Number of Confirmed Human Cases of Avian Influenza(H5N1) Reported to WHO, as of April 12, 2006, 194 cases have happened, mortality have been 109 death worldwide. This article briefly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the avian influenza outbreak and discusses its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law. As the case of SARS emerging, the global effort against the H5N1 virus has taken place without a specific international legal framework o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ontrol.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IHR) only apply to three historic diseases - cholera, plague, and yellow fever. The IHRs(1969) are irrelevant to the current avian influenza outbreak. Accordingly, WHO has revised the IHR since 1995 to make them more relevant to the global emerging disease threat. In May 2005, WHO adopted the new IHR(2005), which constitute one of the most radical and far-reaching changes to international law on public health. In May 2007, The IHR(2005) will be legally applicable to the current avian influenza crisis. To date, the avian influenza(H5N1) outbreak has not raised concerns about any human rights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because the H5N1 virus has not established human-to human transmission. But in the human rights context, control of avian influenza control in international law implicates the rights to life, liberty and privacy, health and other rights. Such rights may be restricted for public health reasons. The main legal issue is, therefore, whether the public health measures satisfy the requirements for restricting civil and political rights for public health reasons. Public health measures that involuntarily isolate, detain, or treat avian influenza infected foreigners are justified only when necessary to achieve the compelling public health interests. Another international legal issue regarding avian influenza i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 fight the H5N1 virus. The development and use of new anti-H5N1 technologies will require to give up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interest of creating global public goods. Attempts to exercise such rights will trigger opposition and raise the public health v.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ntroversy. In this issue, Doha Declaration on the TRIPS Agreement and Public Health gives on answer because the Declaration provides that The TRIPS Agreement should not prevent WTO members from taking measures to protect public health.

      • KCI등재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공공의료시스템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김기영(Ki-Young Kim),최윤식(Yunsik Choi),최지연(Jiyeon Choi),최성용(Sungyong Choi)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21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4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public’s perception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on the public health system’s brand equ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ance on this relationship using Keller’s customer-based brand equity model. It uses four EMS functions: rescue/first-aid and transfer activities; disaster prevention, preparation, and response activities; educational activities in urgent situations; and medical treatment in emergency roo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m on brand meaning of the public health system. Our findings are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public as customers of the public health system and devising and/ or adapting healthcare policies and marketing strategies to develop brand equity and increase customers’ loyalty to the public health system.

      • KCI등재

        감염병에 대한 프랑스의 공법적 대응 ― COVID-19를 중심으로 ―

        강명원 ( Kang Myoung Won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8 No.2

        2019년 말부터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이하, Covid-19)가 확산되면서 급기야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2020년 3월 12일 Covid-19 ‘펜데믹’을 선언하였다. 프랑스의 경우 2020년 1월 24일, 중국 우한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자국인 2명이 첫 확진이 된 이래, 현재(2021.4.8. 기준)에도 하루 확진자가 1만여 명에 이르고, 2020년 GDP 성장률은 -8.3%로 최종 집계되었다. 이에 프랑스는 이러한 보건 및 경제 비상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2020년 3월, 공중보건법전에 ‘보건 긴급사태’ 조항을 신설하여 Covid 19 확산 저지 및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등 모든 생활영역을 정상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중대한 보건상 위기에 대응하고 있다. 특히, 보건 긴급사태 조항에 따르면 프랑스는 국민건강의 본질적이고도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 경우 대도시 전부 또는 일부와 헌법 제73조, 제74조 및 뉴칼레도니아에 의해 관리되는 지역 사회에 특별히 보건 긴급사태를 선언(Déclaré)할 수 있으며, 수상이 발동하는 법규명령(Décret)으로 선언 지역에 다양한 조치들을 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프랑스는 보건 및 경제 위기 회복 측면에서 매우 다양하고 다수의 공법적 조치 (법령제정, 정책 수립 등)들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주로 법률보다는 법률명령과 법규명령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공법적 대응은 프랑스 정부가 기대한 것만큼의 효과를 아직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데, 그 원인으로는 첫째, 법률이 아닌 수상의 법규명령만으로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상당히 제한할 수 있도록 하였고, 둘째, 국민과의 충분한 의사소통 없이 다수의 법률명령과 법규명령을 짧은 시간 내에 제정, 시행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프랑스 정부가 자국민의 특성을 정확히 인식하지 않고 방역을 수행하여 보건 독재라는 오명을 받는 것이 근본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47) With the spread of coronavirus infection-19 around the world from the end of 2019,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finally declared Covid-19 ‘Pendemic’ on March 12, 2020. In the case of France, on January 24, 2020, two natives who returned from a trip to Wuhan, China, were first confirmed, and even now,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reached 10,000 a day, and the GDP growth rate in 2020 was finally counted at -8.3%. Accordingly, in order to resolve these health and economic emergencies, in March 2020, France created a ‘health emergency’ clause in the Public Health Act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 19 and to normalize all areas of life including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society. In addition, France is taking a wide variety of public legal measures (legislation, policy establishment, etc.) in terms of recovery from health and economic crisis, mainly dependent on ordonnance and décret rather than laws. However, the public legal response of this method has not yet shown the effect as expected by the French government. First, it was possible to considerably limit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only with the décret of the Prime Minister, not the law. Second, it is thought that it is because a number of ordonnance and décret were enacted and implemented within a short time without 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nd above all, it can be said that the fundamental cause is that the French government does not accurately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its own citizens and conducts prevention of epidemics, resulting in civil disobedience and the stigma of health dictatorship.

      • KCI등재

        중국의 공중보건 비상사태 응급관리 시스템 연구 -현황, 대외 갈등 및 전망을 중심으로-

        정태요 중국지역학회 2020 중국지역연구 Vol.7 No.4

        This paper analyzes the Chinese government’s crisis management system in response to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To date, China has declared and responded to the COVID-19 pandemic as a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as defin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hapter 2 of this paper examines the Chinese government’s public health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the laws in place to govern the system, and organizations tasked with supporting and executing the system. Chapter 3 examines external conflicts stemming from the COVID-19 pandemic, and Chapter 4 looks into the limitations of China’s crisis management system. Since the SARS crisis in 2003,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strengthening its legal systems and organizations for public health emergencies. Experts still believe China has plenty of areas to improve upon, including the efficiency and transparency of the public health emergency system, but the Chinese government now understands the seriousness of public health emergencies, and it is making every effort to mitigate outbreaks of diseases. In light of the COVID-19 pandemic, some player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ve blamed the Chinese government. This criticism is largely based on the fact that COVID-19 originated in Wuhan, China, and on the suspicion that the Chinese government initially tried to cover up and control information regarding the spread of the virus. Even prior to the COVID-19 pandemic,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ere already butting heads in with disputes involving trade, technological competition, and the sovereignty of Taiwan. Now, COVID-19 has added another point of contention for China and the United States. 이 논문은 코로나 19 바이러스 확산에 대응하는 중국 정부의 위기관리 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은 코로나 19 바이러스 위기를 세계보건기구(WHO)가 규정하는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로 정의하고 이에 대응하고 있다. 논문의 2장에서는 공중보건 응급관리 시스템을 법률과 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3장에서는 코로나 19위기 대응과정에서 나타난 대외 갈등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중국 위기관리 시스템의 한계점을 짚어보았다. 중국 정부는 2003년사스 위기 이후 공중보건 비상사태에 관한 법률과 기구를 강화하고 있다. 아직까지 그 효율성 면이나 투명성에서 개선해야 할 점이 많이 지적되고 있지만, 공중보건 비상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응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코로나 19를 둘러싸고 국제사회에서는 중국의 책임론이 대두되었다. 애초에발원지가 중국의 우한인 점이 이를 확산시켰지만, 초기에 중국 정부가 이를 은폐하고 통제하려고 한 데서 국제사회의 비난은 더욱 커졌다고 할 수 있다. 중국과 미국은 코로나 19 문제 이외에도 무역분쟁, 기술 패권 분쟁, 타이완 문제등에서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 19 위기는 또 다른 갈등 요소가 되고 있다.

      • KCI등재

        공중보건 비상사태와 윤리적 대응: 2015년 한국 메르스 유행을 중심으로

        최은경 한국의료윤리학회 201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9 No.3

        This article examines the 2015 MERS outbreak in South Korea in terms of the ethics of public health emergencies. A public health emergency is defined as a severe, sudden, and unpredictable threat to public health, which poses a substantial risk to normal social functioning. In response to public health emergencies legal rights may be suspended and individual liberties may be violated. Among the many ethical principles that are relevant in public health emergencies are protecting the public from harm, justice and fairness, liberty and respect, reciprocity, and duty to treat. The 2015 MERS outbreak raised several ethical issues, including the following, which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1) Ethical deliberation in preparing for public health emergencies, 2) balancing privacy and transparency, 3) respecting individual liberty in quarantine, and 4) ensuring that the duty to treat is respected 본 논문은 2015년 한국에서 발생한 메르스 유행을 공중보건 비상사태의 윤리성의 관점으로 고찰한다. 공중보건 비상사태는 공중보건에 대한 심각하고 긴급한, 예상치 못한 위협으로써 사회의 일상적 기능 에 실질적인 위험이 될 수 있을 정도의 위협을 의미한다. 공중보건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개인의 자율성 과 법적 권리가 제한될 수 있다. 윤리 원칙 중 공중보건 비상사태와 관련된 중요한 원칙으로는 공공을 위 해로부터 보호하는 원칙, 평등과 정의의 원칙, 자율성과 존중의 원칙, 상호 호혜의 원칙, 치료의 의무 등 이다. 본 논문은 2015년 메르스 유행이 야기한 윤리적 이슈로 1) 공중보건 비상사태에서 윤리적 숙려의 필요성 2) 사생활 보호와 투명성 사이의 균형, 3) 격리 상황에서 개인의 자율성 존중, 4) 치료의 의무에 대한 존중 보장 등이 있음을 논하였다.

      • KCI등재

        프랑스 헌법상 국가긴급권과 보건긴급사태의 시사점

        전주열(JEON, Joo Yeol) 유럽헌법학회 2021 유럽헌법연구 Vol.- No.35

        프랑스는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법률로 새로운 국가긴급권 제도를 만들었다. 2020년 3월에 도입된 ‘보건긴급사태’라고 하는 제도이다. 보건에 관한 긴급사태에 대응하는 체계를 새로 만든 것인데, 기존 ‘긴급사태’ 제도를 보건 상황에 맞게 적응시킨 입법적 조치라고 평가할 수 있다. 기존 긴급사태 제도는 긴급사태 일반에 대하여 국가 행정력이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것으로 1955년 법률에 근거를 두고 있다. 프랑스가 이렇게 코로나19 사태를 국가긴급권 제도로 대응한 것에서 공법 고유의 법리에 관한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민주주의원리의 관점에서, 코로나19와 같이 과학적 전문 지식이나 사실이 중요한 의미를 가질 때 정보와 지식이 행정부뿐 아니라 국민들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 법치주의원리의 관점에서, 첫째,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취해지는 기본권 제한 조치들은 평상시에는 용인되지 않는다. 둘째, 보건긴급사태를 비롯한 국가긴급권 제도 역시 헌법의 테두리 안에 있는 것으로서 집행권력과 의회권력 간 역할 배분의 양상이 평소와 다르지만 여전히 의회가 중요한 사항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보건긴급사태의 연장 가부를 의회가 결정하도록 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France has created a new national emergency rights system by law to respond to the Corona 19 outbreak. It is a system called “health emergencies” introduced in March 2020. It is a new system for responding to health-related emergencies, and it can be evaluated as a legislative measure that adapts the existing “emergency” system to the health situation. The existing emergency system is based on the 1955 Act as having a system that the state administration can cope with in general emergency situations. From France s response to the Corona 19 incident with the national emergency rights system, important implications regarding the legal principles inherent in public law can be obta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democratic principle, when scientific expertise or facts, such as Corona 19, have an important meaning, they must be shared not only with the administration but also with the people. From the standpoint of the rule of law, first, measures to restrict fundamental rights taken to respond to Corona 19 are not normally tolerated. Second, the system of national emergency rights, including health emergencies, is also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nstitution. Although the role distribution between executive power and parliamentary power is different from usual, Congress still needs to be able to control important matters. A ty1pical example is that the parliament has decide40d whether or not to extend the health emergency.

      • KCI등재

        코로나19와 국제보건규칙의 대응 : 그 한계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박진아(Jina PARK) 서울국제법연구원 2020 서울국제법연구 Vol.27 No.1

        2005년 세계보건기구는 기존의 법을 전면 개정한 국제보건규칙을 채택함으로써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을 예방·방어·관리 및 대응하기 위한 현재의 법적 틀을 형성했다. 국제보건규칙은 국제이동과 무역에 대한 불필요한 방해를 피하면서 공중보건 대응에서 인권을 보호하고 보다 높은 수준의 세계 보건 안보를 달성하도록 고안됐다. 그러나 코로나19 위기의 상황에서 국제보건규칙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감염병 위협 속에서도 법의 지배, 인권, 연대와 협력의 핵심 가치를 유지하면서 국제보건규칙을 구현하는 것이 코로나19의 확산을 통제하고 향후에 감염병 예방과 대응에 있어 여전히 중요하다. 따라서 이 글은 2005년 개정 이후에 꾸준히 제기되었던 국제보건규칙의 문제점 중에서도 코로나19 사건을 통해 특히 부각된 4가지 쟁점, 즉, 1) 국제보건규칙상의 당사국의 통고 의무 및 정보 제공 의무의 비준수, 2)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의 선포 절차와 관련하여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의 선포 시기 및 선포 기준, 3) 국제보건규칙상의 임시 권고를 위반한 당사국의 감염병 대응조치, 4) 세계보건기구의 재정난과 감염병 대응 자금 부족 문제 등을 검토한다. 코로나19 사건은 현재의 국제보건규칙이 국제적보건위기상황을 구성하는 감염병 대응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제 코로나19와 향후 등장할 질병으로부터 모든 사람의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국제보건규칙을 포함한 국제보건규범 전반을 총체적으로 개혁하는 것이 시급해졌다. In 2005,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formed the current legal framework for preventing, defending, managing and responding to a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 by adopting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2005) which completely revised the former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The IHR (2005) are designed to protect human rights in public health response and achieve a higher level of global health security while avoiding unnecessary interference with international traffic and trade. However, in the event of Coronavirus disease (COVID-19), the IHR (2005) have not functioned properly as the number of countries violating the regulations is increasing. Given the serious threat posed by infectious diseases, implementing the IHR (2005) while maintaining the core values of rule of law, human rights, solidarity and cooperation is important to control the spread of COVID-19 and to prevent and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This article reviews four issues that have been particularly highlighted during the COVID-19 crisis, among the problems that have continually arisen since the revised IHR were adopted in 2005. First, the issue of non-compliance with a State Party’s obligations of notific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under the IHR (2005) is reviewed. At the same time, the measures to strengthen compliance with the obligations of State Parties are addressed. Second, this article examines a PHEIC under the IHR (2005). To strengthen the appropriateness of the timing and standards for declaration of a PHEIC, the article looks for ways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and objectivity of the process for determining a PHEIC. Third, the health measures taken by State Parties are assessed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temporary recommendations under the IHR (2005). Finally, the WHO’s chronic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 lack of funds to cope with infectious diseases are discussed. The COVID-19 outbreak has shown the IHR (2005) to be ineffective i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constituting a PHEIC, while also revealing that a State"s independent health measures alone are inadequate to respond to an infectious disease pandemic. It is now urgent to reform the entire structure of international health norms, including IHR (2005), in order to ensure everyone"s ‘highest attainable standard of health’ in the face of COVID-19 and future diseases.

      • KCI등재

        “원헬스: 인간・동물・환경”의 번역 출간

        김영아,김현수,장철훈 대한임상미생물학회 2020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Vol.23 No.3

        The Coronavirus Disease 19 (COVID-19), which emerged as pneumonia from an unknown agent for the first time at the end of 2019, has dramatically transformed our world into one that is highly unrecognizable today. Newly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occurring more frequently than ever. Opportunities of such deadly microorganisms to adapt to humans—as well as spread between people on a massive scale—are growing because of active human mobility. We have translated and published the book, “One Health: People, Animals, and the Environment.” The original book, published in 2014 by ASM Press, shows the concept and applications of One Health. The current book comprises five parts: definition and importance of One Health, zoonotic and environmental driver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One Health and antibiotic resistance, disease surveillance, and realizing the One Health Initiative’s objectives. This translation and publication was the first science book publishing project performed under the name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Microbiology. We are actively working toward providing academic information and advancing our identity in other scientific fields as well as to the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