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경리 시의 예비적 고찰 : 유고시집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를 중심으로

        김두한(Kim, Doo-h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08 문화와 융합 Vol.30 No.-

        This study brings the poetic world of Park, Gyung-ni s poetical works 《I Felt a Load off My Mind as Useless Things Remain Only》 to light. The greater part of the works 《I Felt a Load off My Mind as Useless Things Remain Only》 is the poetry of reproduction of object belonged to the domain of consciousness that we can see from the down table. <이미지 참조> Those are poems worth discussing at the two sides. One side is document-poetry and the other side is story telling poetry. Document-poetry is a record of valuable experience and story telling poetry is a story shorter than a conte. Park, Gyung-ni s poetry is the thing that combine the former with the letter.

      • KCI등재

        학서(鶴棲) 류이좌(柳台佐)의 갱화(賡和)와 응제(應製)에 관하여

        심경호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6

        본고는 정조 연간 내각강제문신(內閣講製文臣)에 초계(抄啓)되었던 학서(鶴棲) 류이좌(柳台佐, 1763~1837) 의 갱화(賡和)와 응제(應製)의 사실을 고증하고, 그의 문집에 갱화 및 응제의 시문이 많이 수록되지 않은 이유를 추론한 것이다. 류이좌의 문집 『학서선생문집(鶴棲先生文集)』(이하 ‘학서집’)은 1902년경 목판으로 간행되었는데, 류이좌 생전의 자편고(自編稿)를 저본으로 삼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시의 편수는 많지 않고, 제2권은 만시(挽詩)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유문(遺文)의 정리자 및 간역(刊役) 주체들은 시를 모은 제1권에 류이좌가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있으면서 정조의 어제(御製)에 갱화한 8제, 초계문신친시(抄啓文臣親試)에서 응제한 15제를 전면에 배치했다. 그만큼 류이좌의 초계문신 시들을 중시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시들을 통해류이좌 시의 습숙도(習熟度), 온축의 농밀(濃密), 정론(政論)의 지향(指向)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류이좌는 정조가 현륭원에 배알하여 효성을 보이고 명나라에 대한 보은(報恩)의 뜻을 잊지 않아 맑은 시절을 가져온 사실, 황극(皇極)을 세워 정치를 안정시키고 백성들 삶을 윤택하게 만든 사실을 칭송했다. 하지만『일성록(日省錄)』, 『내각일력(內閣日曆)』, 그리고 갑인년 선발에 가초(加抄)된 이희발(李羲發, 1768~1850)의문집 『운곡집(雲谷集)』을 류이좌의 문집과 대조하여 보면, 갱화와 응제의 시들이 상당히 누락되었다. 더구나친시(親試)나 과시(課試)서 응제(應製)한 시문 가운데 시 이외의 문체들은 거의 수록하지 않아, 전(箋) 2편과 명(銘) 1편만 수습되어 있다. 본래 류이좌는 부화(浮華)한 문풍을 배격하고 자득(自得)의 실공(實工)을 중시했다. 6대조 류원지(柳元之)의 유훈시(遺訓詩)에 차운하여 「선조 졸재선생 9수의 시에 삼가 차운하다[敬次先 祖拙齋先生九首詩韻]」을 지은 것을 보면 평소 류이좌는 돈목(敦睦), 자수(自守), 섭세(涉世), 산거(山居), 자책(自責), 권학(勸學), 독서(讀書), 자성(自省) 강조했다. 또 류이좌는 정조가 『어정육주약선(御定陸奏約選)』, 『어정주서백선(御定朱書百選)』, 『사기영선(史記英選)』 등 선집(選集)이나 초집(抄集)을 편찬하는 것에 대해서문교(文敎)의 진작에 그리 도움이 되지 못하고 후세 사람들로 하여금 간편함을 추구하게 만들까 걱정스럽다고정조에게 의견을 말하기까지 했다. 정조의 초계문신 제도는 정치 이념을 확인하는데 큰 역할을 했지만, 제술의부과는 초계문신의 학문 진작을 방해했다. 정약용(丁若鏞)의 경우도, 초계문신 시절 어제 책문(御題策問)에 대한 대책(對策) 작성을 통해서 학문·지리·경제·정치의 각 방면에 걸쳐 기초지식을 축적했으면서도, 초계문신 시절의 제술에 대해 후회하고 특히 사육문(四六文)의 응제문은 ‘교언(巧言)’이라 규정하고, ‘후회를 표시하기 위해’ 그 대부분을 『열수문황(冽水文簧)』에 수록하여 문집과는 구별했다. 류이좌에게 정조의 학문 기획을 통렬하게 비판하는 의식이 있었는지는 단언할 수 없다. 하지만 류이좌는 수석을 차지한 시문의 경우도 수습해 두려고 하지 않았다. 특히 표전(表箋)이나 율부(律賦)의 문체는 정리해 둘 생각이 그리 없었던 듯하다. This article ascertains interactive poems and responsive poems by royal demands written by Hakseo Yu Ijwa, who was selected as a Kyujanggak official for lecture and composition in a regime of king Jeongjo. Also this article infers the reason for his interactive and responsive poems are hardly being included in his collection. Yu Ijwa’s collection Hakseoseonsaengmunjip (Hakseojip) was woodblock printed around 1902,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e collection was based on his self-edited manuscript. The number of poems in the collection is small, and the second volume mostly contains memorial poems. Organizers and publishers of Yu Ijwa’s posthumous arranged 8 pieces of interactive poems to Jeongjo and 15 pieces of responsive poems written in a royal exam for selected elite officials on the front. It is clear that publishers laid stress on his poems as a selected elite official. Through the poems, it is possible to apprehend proficiency, profoundness, and orientation of Yu Ijwa’s poetry. However, compared to Ilseongnok, Naegagilryeok, and Ungokjip, interactive and responsive poems of Yu Ijwa is largely omitted in Hakseojip. Moreover, among responsive poetry and prose composed in royal exam and state exam, works beside poems are mostly not included in the collection, reserving only 2 pieces of royal dedicational documents and a piece of inscription. Yu Ijwa rejected a florid style and put stress on self-fulfillment in nature. According to his poem “Respectfully responding nine poems of my ancestor master Joljae”, written in response to his 6th generation grandfather Yu Wonji’s indoctrinational poem, usually Yu Ijwa thought sincerity, self-duteousness, an art of living, hermitism, self-reproach, encouraging learning, reading, and self-reflection as important characteristics. Also he stated his opinion to Jeonjo on publishing anthologies such as Eojeongyukjuyakseon, Eojeongjuseobaekseon, and Sagiyeongseon won’t help learning, making descendants pursue convenience. A system of selected elite officials played major role in establishing political hegemony, however composition assignments blocked developing scholarship. Jeong Yakyong, for example, regretted what he wrote as a selected elite official and asserted pianwen a florid words, containing most of his such works in Yeolsumunhwang to divide it from his proud collection. It is hard to affirm that Yu Ijwa had a harsh criticism of Jeongjo’s study plan. However he did not have an intention to collect his composition such as royal dedicational documents or fu, even though it was top-graded.

      • KCI등재

        『시경』·『서경』의 인격적 천관(天觀) 연구

        이대근(Lee, Dae Keu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神學展望 Vol.- No.196

        유교의 기본 경전인 오경(五經) 중에서도 『시경』·『서경』에는 천(天)에 대한 고대 중국인들의 관념을 알 수 있는 내용들이 풍부하게 담겨 있다. 『시경』과 『서경』에 나타나는 천(天)의 인격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유교에서 절대자를 지칭하는 대표적 호칭은 ‘천’과 ‘상제’이다. 그래서 본고는 『시경』·『서경』에 나타난 천·상제의 성격을 일곱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① 천은 최고신이고, 공경과 제사의 대상이다. 유교 경전에서 천은 유일무이한 최고신이지만 또한 수많은 신들을 거느린 천상의 임금으로, 천에 대한 인간의 자세는 경천(敬天)·외천(畏天)·봉천(奉天)·사천(事天)·제천(祭天) 등으로 표현되었다. ② 천은 조물주이고, 만물의 존재 근원이다. 그래서 인간은 천이 부여한 법칙이나 질서에 따라 삶을 영위해 나가야만 된다고 믿었다. ③ 천은 의지와 감정을 지닌 영명한 존재이다. 천의 인격적 특성은 그의 호의·분노·연민과 같은 감정의 표현과, 전지(全知)한 속성을 통해서 드러난다. ④ 천은 천명(天命)을 내리고 거두는 절대자이다. 나라의 건국, 군주의 임명, 도읍의 건설, 전쟁, 혼인, 수명, 길흉 모든 것이 천명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믿었다. ⑤ 천은 상선벌악의 주재신(主宰神)이다. 천·상제의 권능은 자연현상과 인생만사를 주재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무엇보다도 천은 인간의 선악에 따라 상벌을 내리는 존재로 신앙되었다. ⑥ 천은 기도·탄원·신앙의 대상이다. 『시경』 곳곳에는 긍휼히 여겨달라고 하늘의 이름을 부르며 호소하거나, 슬픔을 토로하는 등의 탄원 시편들이 보인다. ⑦ 천은 도덕·가치의 근원자이다. 천은 또한 내재적이고 도덕적인 존재로서, 인간의 본성이 선한 근거는 바로 천으로부터 그것을 부여받은 데서 확보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천의 속성들은 모두 그 ‘인격성’을 드러낸다. 명말청초(明末淸初)에 중국에 온 예수회 선교사들은 유교 경전을 깊이 연구하던 중에, 『시경』·『서경』 등의 경전에 나타나는 인격신 신앙에 주목하였다. 유교 경전의천 사상에 대한 그들의 새로운 인식은 그들의 적응주의적 선교방법, 곧 보유론(補儒論)의 바탕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sonal characteristic of T’ien as found in the two books among The Five Classics of Confucian scriptures, namely The Book of Poetry(詩經) and The Book of Documents (『書經』). In Confucianism the absolute being is expressed as T’ien and Shing-ti(Emperor Above). In Korean ‘T’ien’ means ‘Heaven’ and ‘Shing-ti’ means ‘God’. The characteristic of T’ien and Shing-ti in The Book of Poetry and The Book of Documents have been examined under the following seven aspects. T’ien is the supreme God subject to reverence and rite. In Confucian scriptures T’ien is the supreme God and also is the heavenly King who commands other gods. Human attitudes toward T’ien are expressed by reverence, fear, worship. T’ien is the creator and the source of all material being. Because it is thought that the life of Human’s was derived from T’ien, it is believed that one needs to follow the law and order set by T’ien. T’ien is a spiritual being with will and emotion. T’ien’s personal characteristic is revealed in his emotion(kindness, anger, sympathy) and property(all knowing). T’ien is an absolute being that commands with his will(T’ien-ming, will of T’ien). It is believ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 and city, appointment of a king, war, divorce are due to the T’ien-ming(will of T’ien). T’ien rewards good and punishes evil. T’ien and Shing-ti’s power preside over nature and life. Since T’ien is a being who rewards good and punishes evil, one needs to be faithful to him. T’ien is a being subject to prayer, petition and faith. In the Book of Documents there are passages where one calls to heaven for mercy and petition poems expressing sorrow. T’ien is the source of moral values. T’ien is also a immanent and moral being in whom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is rooted. The above attributes reveal the ‘personality’ of T’ien.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the missionaries of the Jesuit Order who came to China studied Confucius scriptures and payed attention to The Book of Poetry and The Book of Documents where one can find faith in a personal God. The awareness of the idea of T’ien as found in Confucius scripture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Jesuit’s adaptionism and theory compliments confucianism. Thus, the Jesuits were able to present God in more familiar way to the Chinese through the concept of T’ien and Shing-ti as found in confucius scriptures.

      • KCI등재

        특집1: 다산(茶山) 연구의 새로운 모색 ;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공문서제도(公文書制度)" 개혁론(改革論)(1): "종횡표(縱橫表)"를 중심으로

        정일균 ( Il Gyun Jeong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4

        본고에서 필자는 茶山丁若鏞의 『茶山詩文集』과 『牧民心書』 및 『經世遺表』에 나타난 ``公文書制度改革論``의 일단, 특히 ① 그가 ``縱橫表``[經緯表]란 새로운 공문서 양식을 고안·사용하게 된 경세학적 문제의식, 그가 제시한바 ``종횡표``의 개념 및 그 특징을 정리하고, ② 이어 그가 직접 작성했던 총 24개에 이르는 종횡표의 구체적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각각의 작성배경 및 그 내용을 차례대로 일별하여 보았다. 한편, 상기한바 정약용의 ``종횡표``론이 함축하는 경세학적 의미에 대하여 간략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그의 ``종횡표``론을 필두로 한 전반적인 공문서제도 개혁론은 기실 그 자체로서 그의 경세학을 구성하는 요체 가운데 하나이자, 동시에 여타 그의 제도개혁론을 매개·뒷받침함으로써 그 필수불가결한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 ② 그의 ``종횡표``론은 효용성의 측면에서 다중적 성격을 함축하는바, 즉 그가 ``종횡표``론을 구상·전개한 것은 일차적으로 ``통치정보의 장악``을 통한 ``행정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모색하려는 경세학적 관심에 주로 기인하고 있지만, 동시에 그는 자신이 고안한 종횡표의 용도를 ``학술``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창조적으로 확대·적용하는 데 있어서도 남다른 선구적 안목과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는점, ③ 그의 ``종횡표``론은 그 자신의 경세학의 특징과 장점을 잘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가 되기도 한다는 점, ④ 그의 ``종횡표``론은 조선의 전통적인 개혁관료의 경세학적 문제의식을 의식적으로 계승하고 있다는 점 등이 바로 그것이다. 결국, 이러한 맥락에서 정약용의 ``공문서제도 개혁론``, 나아가 그의 ``경세학 일반``이란 기실 조선사회가 나름대로 꾸준히 구현·진전시켜 왔던 ``儒敎的合理主義의 일 결정체``로 인식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a part of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 of Dasan (茶山) Jeong Yak-yong(丁若鏞)`s reform bill of the then official document system, especially focusing on his view of ``cross table``(縱橫表) which are found mainly in his representative masterpieces in the learning of Confucian statecraft, i.e., A Collection of Dasan`s Poetry and Prose(『茶山詩文集』), Admonitions on Governing the People Mapped out only in Mind(『牧民心書』), Reform Plans for National Administration and Relief(『經世遺表』) is examined briefly. The main argum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Jeong Yak-yong`s reform bill of the then official document system in itself including his opinions on ``cross table`` was not only a cardinal point of his learning of Confucian statecraft in general, but it supported and interconnected his other reform bills of the then administrative structure as well. ② At that time, Jeong Yak-yong`s theory of ``cross table`` had multiple purposes, i.e., first of all he wanted to ensure the efficiency and the transparency of the then administrative machinery through it, secondly he wanted to apply it to scholarship and so forth. ③ Jeong Yak-yong`s opinions on ``cross table`` is a leading indicator which shows the distinguishing features and the merits of his learning of Confucian statecraft. ④ Jeong Yak-yong`s theory of ``cross table`` upheld the reformative traditions of the learning of Confucian statecraft in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In this sense, Jeong Yak-yong`s reform bill of the then official document system, furthermore his learning of Confucian statecraft in general could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Confucian rationalism`` which had been developed by the late Joseon society.

      • KCI등재

        고문헌을 제재(題材)로 한 전통경관연구의 경향분석

        김묘정 ( Kim Myo Jung ),정기호 ( Jung Ki Ho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고문헌을 제재로 한 전통경관연구의 경향을 파악하여, 고문헌자료 활용에 있어 전통경관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경관연구의 경향분석을 위해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한국전통조경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조사,분석하여 전통경관연구의 고문헌자료 활용을 고찰하였다. 고문헌을 통한 연구논문의 수량은 2009년까지 한해에 2~3편 정도인 것이 2010년부터 8편 이상으로 많아졌다. 고문헌 자료의 활용경향은 국역본을 사용하거나 개인문집의 일부를 번역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원문사용에 있어서도 간혹 번역문만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원문번역에 대한 고증부분이 미진한 점도 나타났다. 결과에 의해 전통경관연구의 방향을 아래와 같이 제안해 볼 수 있다. 원문의 효율적인 이해나 검증을 위해 원문과 번역본을 같이 제시하고, 번역의 출처도 명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현황을 기록한 기문인 경우에는 조경 및 경관의 전문성이 갖추어진 번역 역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고문헌 자료의 분석에 있어서도, 시문과 기문 등을 병행한 전통경관 분석은 풍부한 자료로 인해 경관의 위치 및 장소 추정이 용이하므로, 기문 등을 근거로 연구의 기초를 잡은 후, 보완적으로 시문을 활용하는 등의 연구접근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architecture based on the old literature for the last 10 years and to suggest direction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through utilization of the old literature. For the tendency analysis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I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earch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between 2002 and 2012, and reviewed the utilization of the old literature about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The number of the research papers through the old literature was two or three a year by 2009, but has increased to more than eight from 2010. The utilization tendency of the old literature was mostly to use the Korean translations or to use a collection of an individual`s works after partially translating. As some of th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only through translations even when they used the original, historical evidence on the translation of the original was insufficient. I can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by the results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present both translation and the original and to specify the source of translation, for the efficient understanding and verification of the original. Professional transl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scenery also seems to be necessary for the records of the current state. For the analysis of the old literature, as th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scenery both through poetry and records facilitates assumption of the location of landscape by the abundant data, it seems to be necessary to approach research, using poetry and prose complementarily, after preparing foundation of research based on the records.

      • KCI등재

        權近의 五經 인식 - 經學과 經世論의 연결을 중심으로 -

        姜文植(Kang, Moon-shik)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8 泰東古典硏究 Vol.24 No.-

        Kwon Geun(權近) defin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Five Classics(五經) and the relations of them based on the Theory of Essence and Function(體用論). In the Theory of Essence and Function, Function(用) has the practical character because it means the realization of basic principles of human society based on the law of nature. Kwon Geun paid attention to the side of Function(用) in the Five Classics. It means that Kwon Geun regarded the Five Classics as the texts for the theory of governance(經世論). As a result, Kwon Geun s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經學) connected closely with the theory of governance.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天人合一論) was not only the most important theory of Kwon Geun s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 but also the theoretical basis for his theory of governance. The key principle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the embodiment of the human morality coincided with the law of nature had the meaning of the realization of ideal administration and society, so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could be the most positive theory of governance. In the Five Classics Kwon Geun searched for the cases of embodiment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which could be political models for the future generations. And he carried out research on those cases, established his own theory of governance. The results of his research were the O-Gyeong Cheongyeon-rok(五經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Five Classics). Kwon Geun stated his principles of governance in Juyeok Cheon-gyeonrok(周易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Book of Change), and described the ideal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establishment and practice of Li(禮) in Yaegi Cheon-gyeonrok(禮記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Book of Rites). He also demonstrated the historical validity of his theory of governance in Si Cheon-gyeonrok(詩 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Book of Poetry), Seo Cheon-gyeonrok(書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Book of Documents) and ChunChu Cheon-gyeonrok(春秋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Spring and Autumn Annals) by showing the cases of realizing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which were happened in ancient China. 권근(權近)은 체용론(體用論)에 입각하여 오경(五經) 간의 관계및 각 경서의 근본 성격을 규정하였다. 체용론에서 ‘용(用)’은 천리 (天理)에 기초한 인간 사회의 근본 원리·원칙을 현실에 맞게 구현 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경세적·실천적 성격을 갖는다. 권근이 오경의 내용에서 ‘용’의 측면에 주목했다는 것은 그가 오경을 인간 사회의 근본 원리·원칙뿐만 아니라 그것을 현실에서 구현할 수 있는 경세적·실천적 방법도 포괄하고 있는 경세론(經世論)의 텍스트로 이해했음을 보여준다. 그 결과 권근의 경학(經學)은 경세론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권근의 천인합일론(天人合一論)은 그의 경학 체계를 일관하는 핵심 이론일 뿐만 아니라 경세론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천인합일 론의 기본 원칙인 ‘천도(天道)에 부합하는 인도(人道)의 실천’은 곧‘이상적인 정치·사회의 구현’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자신의 경세론을 정립하 였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오경천견록(五經淺見錄)》이다. 권근은 <오경체용합일지도(五經體用合一之道)>에서 규정한 오경의 체용 관계에 기초하여 각 《천견록》별로 특징 있게 자신의 경세론을 서술하였다. 《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에서는 천인합일론에 기초한 경세의 원리·원칙을 피력하였고, 《예기천견록(禮記淺見 錄)》에서는 천인합일의 원칙이 구현된 이상 사회의 모습을 ‘예(禮) 의 확립과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서술하였다. 그리고 《시천견록 (詩淺見錄)》․《서천견록(書淺見錄)》․《춘추천견록(春秋淺見錄)》에 서는 중국 고대 역사에서 나타난 천인합일의 실현 사례들을 보여 줌으로써 자신이 추구한 경세론이 역사적 정당성을 갖는 것임을 증명하였다.

      • 중국 고대 재이설(災異說)의 기원과 성립

        홍승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1 사총 Vol.102 No.-

        이글은 災異를 하늘[天]이 不德한 君主에게 내리는 譴責으로 이해하는 災異說의 근저 및 형성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董仲舒에 의해 완성된 재이설은 독창적인 것이기보다는 기존에 존재하던 다양한 재이설을 근간으로 종합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그리고 그 근저에 흐르는 天에 대한 敬畏와 敬德的 태도는 흔히 儒家의 天命思想과 道德政治에 기반하고 있다고 이해되었다. 하지만 천명을 내리는 人格的 至上神의 존재는 우리의 예상과는 달리 유가 문헌이 아닌 『墨子』에서 최초로 확인된다. 물론 유가의 초기 문헌인 『詩』와 『書』에는 군주의 정치적 成敗에 따라 福祿과 재앙을 내리는 강력한 지상신인 天이 등장한다. 그러나 이들 문헌이 후대 유가의 정치적 이상이 투영된 작품이라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西周 및 春秋 시기 제작된 靑銅器 銘文에 따르면 천이 전쟁과 같은 재앙을 내려준다는 내용은 서주 중기 이후에나 등장하는데, 그나마 그것은 통치자의 도덕적 행위와 관련을 맺지 못한 상태다. 요컨대 商周시기 인간에게 재해를 내리는 인격신은 존재하였지만 통치자의 도덕적 행위 여부에 하늘이 반응하여 복록과 재앙을 내린다는 관념은 출현하지 않았던 것이다. 군주가 행하는 통치 행위의 성패에 따라 상과 벌을 내리는 하늘은 『묵자』에서 출현한다. 하늘은 천자의 善惡에 대해 상과 벌을 내리는데, 그 벌은 질병과 재난, 절기에 맞지 않는 이상 현상 등이다. 그러나 『묵자』에는 여전히 재이설의 또 다른 요소인 敬德的 태도가 보이지 않는다. 『묵자』에서 하늘의 복을 받을 수 있는 전제는 도덕이 아닌 公利였으며, 재해를 없애는 방법은 하늘과 귀신에 대한 경건한 제사로 묘사될 뿐이다. 사실 초자연적인 존재를 의심했던 孔子를 始祖로 하는 유가에게서 하늘을 절대적인 힘을 가진 주재자로, 또 그 하늘이 인간의 활동에 대한 감시와 징벌을 담당한다는 이론이 나오는 것은 힘들었다. 그러나 인간의 도덕에 의해 선한 사회의 달성이 가능하다고 믿었던 孟子는 그 가능성을 절대의 능력을 가진 主宰神으로부터 받은 선한 본성에서 찾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군주들을 도덕에 의해 교화하기 위해 ‘도덕에 의한 天命의 수령’이라는 관계 공식을 만들어 내게 된다. 군주의 자격을 세습이 아닌 도덕적 功績에 의해 인정받게 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군주들은 천명을 받고 유지하기 위해 경덕적 태도를 취해야만 했다. 비로소 재이설의 기본 요소가 마련된 것이다. 本文旨为掌握将灾异理解为上天谴责无德君主的灾异说的本源与形成过程而编写。由董仲舒完成的灾异说与其说是具有独创性,应该说的以此前存在的多种灾异说为基本核心来进行综合的产物。但在其基底存在的对上天的敬畏与敬德的态度,一般被理解为基于儒家的天命思想与道德政治。而放下天命的人格上的至上神的存在却并非与我们所预期的在儒家文献中,而是自《墨子》中最初得到确认。 当然儒家初期的文献《詩》与《书》出现了根据君主在政治上的成败而赐其福祿与灾难的强有力的至上神即上天。但应注意的是,这些文献为体现后代儒家政治性理想的作品。根据西周与春秋时期制作的青铜器铭文记载,有关上天赐下战争等灾难的内容是在西周中期以后才开始登场,而这些并未与统治者的道德行为有何相关关系的状态。简而言之,商周时期虽有给人类降下灾难的神存在,但并未出现上天是否对统治者的道德行为做出反应并降下福禄与灾难的观念。 有关根据君主所做出的统治行为成败降下赏与罚的上天的内容出现在《墨子》中。上天就天子的善恶降下赏罚,而其罚则为疾病、灾难及与节气不符的异常现象等。这可称为典型性灾异说,而这一灾异观念贯穿于此后历代正史《五行志》。但《墨子》中并未体现出灾异说的另一个因素及敬德的态度。《墨子》中就消除灾难的方法,只做出对上天与鬼神的虔诚祭祀的描写。 其实以对超自然的存在存疑的孔子作为始祖的儒家来说,将上天理解为拥有绝对性力量的主宰者,并提出有关其对人类活动的监督与惩罚理论是相当艰难的事情。但相信根据人类的道德可实现善意社会的的孟子欲从拥有绝对能力的主宰神获得的善良的本性来寻求其可能性。此外,他还建立了为通过道德来进行教化君主的“通过道德带来的天命的受领”这个关系公式。也就是说,希望君主的资格并非来着世袭,而是通过其道德上的功绩来获得认可。因此,君主们为维持接受天命的资格,应具有敬德的态度。从而具备了灾异说的基本要素。

      • KCI등재

        三國遺事의 찬술 설계와 梁高僧傳

        김승호(Kim, Seung Ho) 동악어문학회 2012 동악어문학 Vol.59 No.-

        본고는 『三國遺事』의 담론적 성격, 본질을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둔다. 작가와 찬술동기를 밝히지 않은 탓에 어느 작품보다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들이 제기되어왔으나 아직 두루 공감할만한 견해가 없었다는 점을 직시하면서 『삼국유사』의 출현 근거를 梁나라 慧皎의 『梁高僧傳』에서 찾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三國遺事??의 체재와 구성형식이 ??梁高僧傳??의 그것과 유사하다는점은 양 작품의 닮은 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찬술 대상승려의 덕성을 10科로 분류하는 구성방식의 유사점에 대해서는 일찍이 밝혀진 바가 있다. 하지만 그것은 『삼국유사』와 『梁高僧傳』간에 놓여있는 외연적 친연성일 뿐이며 이 두 작품은 이외에도 여러 면에서 공통점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이점을 밝히기 위해서는 내용적 측면의 상호비교가 절실하다고 보고 본고에서는 『삼국유사』와 『양고승전』의 신이적 찬술경향과 역사구현 방식을 먼저 주목하였다. 그 결과 합리적 시각으로는 포착되지 않는 초현실적이고 불가해한 세계에 대한 고승전의 관심과 서사적 초점화가 그대로 『삼국유사』로 승계되고 있음을 본고는 밝힐 수 있었다. 『삼국유사』란 표제가 말해주듯 一然이 승려의 전기나 설화집을 염두에 두고 찬술에 임한 것으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앞서 등장한 『梁高僧傳』의 체재와 서술방식, 찬술의식들을 의식, 모방하여 새로운 사서쓰기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징표들이 곳곳에서 도출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삼국유사』의 출현 의의가 퇴색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승전양식과 구비 전승물조차 과감하게 사료로 편입시킨 점은 대단한 결단으로 꼽을만하며 그로부터 또 하나의 역사 기술방법론이 구안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삼국유사』가 『梁高僧傳』을 서사적 전거로 참고하여 산출된 것이기는 하나 僧史를 넘어 일반사로 그 서사적 지평을 확장한 찬술체임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nature and essence of Samgugyusa (三國遺事) - a chronicle about the Three States (Goguryeo, Baekje and Silla) in ancient days of Korea - as a discourse. There have been a wider variety of discussions posed concerning this chronicle than any other comparable ones, because it indicated no hint about author and motive of writing, but there is not yet any consensus of opinions about it. Looking straight at the above question,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historical foundation of Samgugyusa in Goseungjeon (高僧傳) authored by Hyegyo (慧皎), a monk in the era of China"s Yang dynasty. First of all, the similarity of Samgugyusa to Goseungjeon in the aspect of makeup and composition form makes it inevitable to examin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works. It was already known that there is a similarity in composition method, that is, classifying virtues of monks who authored chronicles into 10 categories. However, the similarities in form are not enough to convincingly suggest that Samgugyusa came originally from Goseungjeon. Therefore, since it was urgently demanded to compare Samgugyusa with Goseungjeon in the aspect of content, this study sought to intensively highlight the trend of these two chronicles toward mystic writing and spotlight their ways of historical materialization.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find out that the viewpoint and narrative focus of Goseungjeon about any surreal and incomprehensible world beyond any rational perspectives had been handed down to Samgugyusa. In a little further details, however, it is unreasonable to conclude that monk Ilyeon bore historical life stories of monks in his mind to author Samgugyusa, but it is justifiable to view that he actively borrowed descriptive form and system and the sense of authorship from Goseungjeon, so he could devise a brand new historical chronicle that was not existent in his days.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Samgugyusa is a chronicle in pursuit of general history about the Three States on the foundation of monks" life stories. But unfortunately,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real intent of Ilyeon who admitted the importance of narrative historical record as another ground to complement history has been disregarded so far among Korean historical scholars. Although Samgugyusa is a product in reference to Goseungjeon as narrative authority,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cognize that it is a discourse that extended narrative sphere into general history beyond biography of monks.

      • KCI등재

        조선 ‘策括’류 類書에 관한 一考

        심규식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80 No.-

        This article analyses characteristics of “Ch’aekkwal (Compilations of references for the Civil service exam).” Prior to a follow-up research on a development of intellectual world in the late Joseon era, this article examines three widely-distributed published books (Gyǒngsǒ Yuch’o, Gyǒngsa Jipsǒl, and Okch’an) and a manuscript (Sǒngnisǒl Jimnok), clarify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aekkwal. Ch’aekkwal compiled references for narrow knowledge on fields of statecraft and Neo-Confucianism rather than aim for broad knowledge. They cited or re-cited authoritative books and did not attach personal theories of the editor. Their editor are unknown, since they were published in needs for a commercial interest or an educational purpose for family members, with a lack of an awareness as an author. Ch’aekkwal show a bibliographic boundary of the late Joseon intellects. They are major historical material for a research on cultural history, with an influence on academical and literary areas of the contemporary Joseon. 본고는 조선 후기 지식 세계의 발전 양상을 분석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일반 사대부 지식의 기저를 형성한 과거시험 참고서용 유서를 ‘策括’로 명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서적군의 범주를 보다 명확히 한다. 刊行本 『經書類抄』․『經史集說』․『玉纂』과 筆寫本 『性理說集錄』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책괄은 과거시험에 출제되는 典章制度 관련 정보를 집록했다. 博學을 추구하지 않고, 性理學 학설을 중심에 두었다. 권위 있는 서적과 그 학설을 직접 또는 2차 인용하고 편찬자의 私見을 첨부하지 않았다. 조선의 類書 편찬 전통을 계승해서 ‘門’의 항목을 두고, ‘用人’ 등 試題로 빈출한 주제를 수록했다. 이들 서적은 편찬자와 편찬 시기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저자의식에 강한 바탕을 두기보다는 상업적 또는 개인적 필요에 의해 제작․유통되었다. 책괄은 조선 일반 지식 세계의 문헌학적 경계선을 보여준다. 동시에 類說․科詩 등 학문적․문학적 영역의 성립과 발전에 영향을 끼쳐, 총체적인 문화사 연구의 한 축이 된다.

      • KCI등재

        석재(碩齋) 윤행임(尹行恁)의 『신호수필(薪湖隨筆)』 경사류(經史類) 해석의 『역(易)』 활용양상과 그 의미

        남윤덕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문화 Vol.0 No.92

        The I Ching is a central book that Yoon Haeng-im preferred to use, which can show his perspective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his essay Shinho-supil, with the I Ching, Yoon Haeng-im attempted to interpret a variety of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gyeongsa), such as the Analects, the Mencius, the Great Learning, the Doctrine of the Mean, the Shangshu, the Mao Odes, the Lesser Learning, the Book of Rites, the Zuo zhuan, the Summary of the Nineteen Histories, the Tongjuan waiji, the Shiwu yaoyi, and the Jingchuan tongyi. Yoon Haeng-im had his own method of interpreting these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al Chinese histories with the I Ching. On the one hand, while interpreting the Confucian Classics, Yoon Haeng-im selected phrases that he believed were needed to be explained in detail, and matched them with the corresponding passages in the I Ching. On the other hand, Yoon Haeng-im used excerpted passages from the I Ching to help to better understand classical Chinese histories such as the Summary of the Nineteen Histories. Furthermore, with the I Ching, he raised his doubts about some specific passages from these history books and argued whether or not these passages were written based on historical facts. The early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al Chinese histories was confirmed at King Jeongjo’s lecture on gyeongsa, called gyeongsa-gangui. In this lecture, there were a series of questions posed by the king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which were answered by his civil servants. The king and his civil servants believed that the I Ching was an essential precondition for the interpretation of gyeongsa. Yoon Haeng-im appears to have further developed this method of interpretation, resulting in him using his own methods to explain almost all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in detail. This can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Yoon Haeng-im’s interpretation of gyeongsa. To conclude, in the history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Yoon Haeng-im’s usage of the I Ching seems to have represented a paradigm of methods in interpreting the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al Chinese histories during the era of King Jeongjo.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