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훈련기준의 활용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이영민,최그림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3 직업과 자격 연구 Vol.12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urrent utilization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training standards, as well as to develop targeted improvement strategies. To accomplish this, a comprehensiv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raining institutions, with a total of 309 respondents participating. The survey encompassed aspects such as national job competency training standards, training course organiz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raining courses. Based on the gathered data, several key improvement plans were formulated. These included the systematization of post-training standards for national job competency, the need for a process to enhance the flexibility and validity of training standards during application, a request fo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ontent within competency units, the provision of guidelines for organizing training courses tailored to specific job categories to boost the application rate, and plans to reform training costs. These measures aim to address the identified issues and advanc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standards. 우리나라의 높은 고등교육 이수율에 반해 학교교육이 실제 산업현장의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여 추가적인 교육비용이 발생하며, 학교교육만으로는 급변하는 경제사회적 환경변화에 따른 직무수행 능력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학교교육과정과 노동시장의 괴리를 해소하기 위해 교육부와 고용노동부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를 개발하여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산업 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하였다. 개발된 NCS는 직업능력개발훈련, 직업훈련 집체(통합)훈련심사, 직업교육, 자격, 기업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NCS 기반 훈련기준을 활용함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CS기반 훈련기준 활용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 훈련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NCS 훈련기준, NCS기반 훈련과정 편성, NCS 훈련과정 개발과 운영 측면으로 나누어 훈련기준의 필요성, 문제점, 편성 현황 및 어려움, 직업기초능력의 운영 현황, 훈련과정 개발과 운영의 개선점 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NCS 훈련기준의 내용을 체계화, 적용 시 유연성과 내용의 타당도를 높이는 과정의 필요, 능력단위 내용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의 요청, NCS 적용 비율에 관한 직종별 훈련과정 편성 가이드 제공과 훈련비 개편 방안 등을 개선 방안으로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NCS기반과 역량기반 채용 사례 비교 연구

        손배원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1

        올해부터 정년 60세 의무화가 시행되면서 이른바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세대들이 노동시장에서 활동을 지속할 것으로 예측되고 또 이들의 자녀인 에코세대(1979~1992년생)가 새로 노동시장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어 ‘세대 간 일자리 경쟁’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의 고용여력이 떨어지면서 일자리가 급감하는 현상인 고용절벽은 점차 현실화되고 있어, 청년 실업률의 증가양상은 향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청년실업의 문제는 저성장기조, 노동시장 개혁지연, 현장수요와 괴리된 교육문제 등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한국사회에서 누적되어 온 다양하고 복잡한 원인 때문이기도 하나, 가장 근본적인 원인 중의 하나는 기업들이 현장에서 실제 원하는 직무역량(Job competency)과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직무역량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이른바 ’Job-Mismatch’ 현상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Job-Mismatch’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좋은 대안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즉,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산업현장을 기반으로 설계·개발되기 때문에, 현재 고용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Job-Mismatch’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현 정부는 사원채용 시, NCS를 기반으로 직원을 선발하는 방안을 확대·추진하기로 하여, 그 어느 때보다도 NC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다양한 이해관계자집단의 관심대상이 되고 있는 NCS의 개념 및 현황 등을 소개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의 인적자원관리활동에 NCS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한국산업인력공단을 포함한 몇몇 공공기관 및 기업들의 최근 채용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각 사례들을 비교분석하여 제시, 공통된 시사점을 제시하고 나아가 이들이 현 사회가 추진하고 있는 스펙초월 능력중심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당 조직은 NCS기반 채용에 따라 직무적합성, 조직적합성이 높은 인재를 선발할 수 있었다. 둘째, 학력과 학점을 전혀 보지 않고 직무수행능력 중심으로 평가하는 채용시스템은 취업준비생들에게 균등한 취업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채용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었다. 셋째, 직무와 무관한 무조건적 스펙쌓기는 실제 취업 시 도움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되어 NCS를 활용한 채용시스템의 도입은 향후 스펙쌓기와 관련한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시켜주었다. 넷째, NCS기반 채용은 기존의 역량모델링을 통한 역량기반 채용을 국가적 수준에서 표준화하여 제시하고 이를 채용절차에 활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NCS를 활용한 인적자원관리가 비단 채용뿐만 아니라 인적자원관리활동 전반에 걸쳐 확대 운영되어진다면, 기업체 측면에서는 적정 인재(right person) 채용에 따른 기업효과성 증가, 개인적 측면에서는 불필요한 스펙쌓기에 소요되는 비용을 보다 생산적인 자기개발활동 등에 사용함으로써 개인의 경력개발 강화, 그리고 국가·사회적 측면에서는 Job-Mismatch로 유발되는 각종 사회적 비용 절감 및 이로 인한 양질의 고용실현 등과 같은 선순환적 효과들이 점차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s riding a wave of renewed public interest in case of high youth unemployment rates in South Korea. The reason why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NCS is that NCS is the best tool for person-job fit as well as person-organization fit. These day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we face in employment market in South Korea is just high youth unemployment rates as noted. It is said that the reason is due to so called job-mismatch. Job-mismatch usually occur when the job that the company need is different from the job that job seeker need. And because of this mismatch, youth unemployment rates is growing increasingly. So in an effort to solve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labor and employment started new policy for paving the way to a society emphasizing individual competency rather than academic background and for expanding job opportunities for youths. That is the introduction of NCS in Personnel Management. NCS is to standardize capabilities(knowledge, skill, attitudes) required to perform jobs effectively in the workplace in national level. So NCS is the best tool for increasing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Based on this concept, Many organizations including HRDKorea changed the recruitment and selection system to NCS-based system or Competency-based system. It included that recruitment by NCS, making application by NCS, test by NCS, selection by NCS, and so on. After that, it is reported that NCS-based recruitment and selection system improved the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Also it is analysed that NCS-based selection is to widen and standardize the competency-based selection in national level. And it is confirmed that NCS is also the best tool to lead a society emphasizing individual competency.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전문대학 교수의 역량 탐색

        송해덕,신선애,이지현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4

        The political endeavors of the Korean government toward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as a movement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based curriculum. Junior colleges, one of the main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scheme. However,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in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he NCS-based curriculum is the role of faculty members. Therefore, it is an urgent issue to equip the faculties with required competenc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raw competencies of faculty members at junior colleges to introduce and implement the NCS-based curriculum. A set of competency was deductively derived from a total of nine professors and consultants with more than ten-year experiences and has been involved in developing the NCS-based curriculum. Questions from the behavioral event interview (BEI) method were selectively adopted for the interviews with the nine experts.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into different competencies, which then were taxonomically analyzed, and contextually interpreted. This process was recursively repeated and resulted in a final list of competencies. Results showed that the competencies required professors at junior colleges for the NCS-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areas: Macro-level curriculum development; micro-level course design; knowledge across areas; and attitude across areas. The sub-competencies of former two areas may be procedurally arranged. A total of 25 sub-competencies constitute a set of resulting competencies. Comparisons between competencies suggest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and the ones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Further research and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were recommended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developing competencies of junior college faculties who ultimately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mpetency-based vocational education.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국가정책적 노력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움직임으로 실행되고 있고, 이를 위한 주요 직업훈련기관인 전문대학들은 점점 NCS 기반 교육과정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NCS가 전문대학 교육현장에 효과적으로 도입되고 정착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교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필요한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운영하기 위해 전문대학 교수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탐색적으로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문대학에서 NCS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력 10년 이상의 교수 및 컨설턴트 9인을 대상으로 연역적으로 역량을 도출하는 방법을 취했으며 이 때, 면담 질문은 행동사건면담법에서 제안하는 질문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면담자료는 전체 역량 항목을 추출하여 기술한 뒤, 분류체계분석과정, 맥락적 해석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반복하여 최종 역량 목록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을 위해 전문대학 교수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거시적 교육과정 개편 역량과 미시적 수업설계 역량, 공통지식, 공통태도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각 영역의 역량군은 ‘설계 및 개발’, ‘실행 및 운영’, ‘평가’의 순차적 단계에 따라 절차화 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역량군을 구성하는 총 25개의 세부역량이 도출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일반적인 전문대 교수 역량과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을 비교하여 논의하였으며, 탐색적 성격의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기 위한 후속 연구 및 행정적, 제도적 지원책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가 전문대 교수들의 역량 개발에 활용되어 궁극적으로 전문대 학생들을 위한 역량기반 직업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라이프케어의 피부미용 NCS기반 자격 L3수준의 교육 중요도 연구

        박채영(Chae-Young Park),박정연(Jeong-Yeon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5

        최근 교육훈련기관과 산업체의 수요에 필요한 지식이 불일치하는 인력 미스매치(miss match)의 현상은 신입 직원의 재교육과 취업을 위한 사교육 비용 증가로 전이되어 결과적으로는 개인의 직무수행 능력 저하와 취업 역량 저조는 물론 국가 차원에서도 경제적, 물질적 낭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무에서 바로 활용이 가능하고 산업체에서 추구하는 인재양성을 목표로 국가에서 지정하는 직무 능력의 표준점을 구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맞물려 NCS를 기반 한 자격제도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기관에서 NCS와 NCS기반 자격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준에 맞춰 학교급별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NCS기반 자격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준의 전반적인 점검을 위하여 피부미용 분야 NCS기반 자격 중 피부관리 L3 수준의 능력단위와 능력단위 요소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직무 수준별 전문인력 양성에 필요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현장 전문가집단, 교육 전문가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L3수준의 능력단위와 능력단위 요소에 대한 요구분석을 위해 AHP 설문 기법을 실시하였다. 또한 AHP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과 AHP전용 솔루션인 Expert Choice 2000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현장 전문가집단, 교육 전문가집단의 의견이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현장맞춤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변화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훈련기관과 산업현장의 불일치를 해소해야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해결 방안으로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재상과 접목시켜 산업현장의 직무와 교육기관의 표준화된 교육이라 할 수 있다. The recent phenomenon of job “Miss Match”, which is inconsistent with knowledge in the demand of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industries, has spread to an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costs for reeducation and employment of new hires, resulting in weak individual job competency and poor employment capability, as well as economic and material waste at the national level.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which are available immediately in practice and look for a standard point of national job competency with the aim of fostering human resources sought by industries, were developed, and even the NCS-based qualification system was launched in line with the stream of times.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competency units and competency unit elements at the NCS-based qualification L3 level in the skin care field for an overall check of the NCS-based qualification level at a time when educational institutes are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NCS and NCS-based qualification level. And it i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foste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required by industries. To analyze the needs for competency units and competency unit elements at the L3 level, a survey using AHP method was carried out to a group of field experts and a group of education experts. In addition,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and Expert Choice 2000, an AHP-only solution was used to do statistical processing through the processes of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of opinion between a group of field experts and a group of education experts. This indicates that the inconsistencies between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industrial sites should be resolved at this time of change with the aim of fostering field customized human resources with professional skills. Consequently, the solution is to combine jobs at industrial sites and standardized educations of educational institutes with human resources required at industrial sites.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훈련기준 개선에 관한 탐색: 직업훈련기관 심층 면담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희,이영민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3 직업과 자격 연구 Vol.12 No.1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denoted as NCS) is a mechanism that systematizes the competencies of industries and levels. The vocational training courses were designed to reflect the NCS principles. Based on the NCS-based training standards, training courses were systematically designed, examined, operationalized, and evaluated, which resulted in a highly standard way. Despite the importance of NCS-based training standards, it has been used in a compulsory way and to ease testing and evalu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and possibilities of NCS-based training standards by doing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 trainers of training institutions. As a result, we identified and suggest the flexible use of NCS-based training standards by allowing th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raining institutio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roblems of the use of NCS-based training standards and revise them by reflecting the needs of training institutions.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는 산업현장의 직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산업별, 수준별로 체계화된 것으로서, 직업훈련과정은 이러한 NCS를 기반으로 훈련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NCS기반 훈련기준을 개발하여 훈련과정의 편성, 심사, 운영, 평가 등에 활용하고 있으며, NCS를 훈련에 적용하기 위한 중요한 기제로 활용하고 있다. NCS기반 훈련기준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기존이 기술과 산업현장의 빠른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능력단위 활용을 강제화하고 있으며, 훈련심사과정의 편이성과 훈련비 단가를 최대한 수령하기 위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CS기반 훈련기준을 적용하여 훈련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직업훈련기관들의 담당자들을 심층면담하여, NCS기반 훈련기준의 문제점, 훈련과정 편성의 문제점, 심사평가의 문제점 등 NCS기반 훈련기준 활용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점들을 탐색하고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NCS기반 훈련기준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활용 기준상의 경직성과 훈련사업별 반영비율의 강제성 등을 개선하고, NCS기반 훈련기준을 통해 훈련과정을 편성할 때는 훈련기관의 자율성과 책무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향후 제도 개선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직무능력향상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과목운영 사례 : 세무직무의「원천징수능력단위」를 중심으로

        박태승 한국상업교육학회 2017 상업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교육부의 NCS학습모듈에 따라 세무직무 중 ‘원천징수 능력단위’를 수도권의 I전문대학 세무회계학과 교육현장에서 수업을 운영하고 그 결과물을 티칭 포트폴리오로 제시하여 향후 관련 교육개선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의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항목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으며, 이 사례를 통해 교육운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계획단계에서의 교과목명세서와 강의계획서는 NCS능력단위요소와 수행준거를 대부분 포함하여 작성하였으나, 능력단위요소 중 중요도나 활용빈도가 낮은 ‘비거주자 국내원천소득’과 ‘사업소득 연말정산’을 교육범위에서 제외하였다. 교과목체계도는 유용한 교육운영 계획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아 추가하였다. 둘째, 티칭 포트폴리오의 구성은 학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산출물로서 교과목명세서, 강의계획서, 주차별 수업자료, 평가계획서(사전 진단평가 포함), 학생별 직무능력평가서, 향상교육과 재평가결과표, 교육품질개선보고서(CQI)로 구성하고 그 밖에 직무능력향상교육을 위한 보충적인 산출물을 추가하였다. 셋째, 직무능력성취도 평가시 NCS수행준거별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나, 수행준거기준의 양이 많아, 능력단위요소 수준에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직무능력결과평가(중간, 기말)외에 5회의 수행평가를 실시하였으나, 과제가 많을수록 평가와 피드백, 성적정리에 과다한 시간이 소모되어 수행평가의 횟수를 적정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수행평가전 실무 세무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현장적응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넷째, 중간직무능력평가 이후 성취도 70%미만자를 대상으로 향상교육과 재평가를 실시하였으나, 재평가 대상자가 다른 학생에게 알려지는 경우 재평가 대상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재평가대상자 선정, 시행시기와 방법을 신중히 설계하여야 한다. 다섯째, 수업중간 평가(만족도 조사)결과는 당초 예상보다 낮았다. 주관식 설문조사 결과는 강의수준과 강의방법 개선에 도움을 주었다. 학교차원에서 시행하는 최종 강의평가 외에 수업 중간평가는 자율적인 교수법 개선에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세무직무」의 「원천징수 능력단위」를 반영하여 NCS에 따른 교과목을 도출한 후 대상 교과목의 실제 교육과정 운영결과를 티칭 포트폴리오로 제시한 최초의 사례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사례가 전문대학 세무분야의 NCS 기반 교과목운영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NCS가 지향하는 품질 있는 직무능력 교육을 통해 능력중심의 사회를 구현함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NCS Learning Modul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Withholding Taxes Competency Unit' is taught at a ‘Tax Accounting Department of I junior college’ education fiel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result is presented as a teaching portfolio.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NCS-based competency teaching. To this end, I constructed a portfolio based on the items generally requi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Curriculum Guidelines’, and sought to draw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NCS-based teaching through this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urse specification and the lecture plan at the stage of teaching planning consisted mostly of NCS competency unit elements and performance criteria. However, 'non-resident domestic source income' and 'business income year -end settlement' units we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eaching in terms of low importance and utilization. The ‘Contents Map’ can be used as a useful teaching planning tool. Second, the composition of the teaching portfolio is a basic and common outcome, 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colleges, the course specification, the lecture plan, the weekly teaching materials, the evaluation plan (including the prognosis evaluation), students' evaluation, improvement teaching and reevaluation sheet,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report(CQI) and supplementary outcomes for improving workplace competency. Third, it is desirable to perform the NCS performance criteria in the evaluation of job performance, but I evaluated students at a competency unit element level. In addition to evaluating competency outcomes (intermediate and final), five performance evaluations were conducted. However, the more tasks, the more time is spent in evaluation, feedback, and evaluation,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 evaluations needs to be adjusted appropriately. I used the practical taxation 메ㅔapplication program before performance evaluation to improve students' adaptation to the field. Fourth, after the evaluation of the intermediate competency, the improvement teaching and the reevaluation were carried out to the students less than 70% score. However, if the reevaluation target is known to other students, it may negatively affect the reevaluation target. The selection and the timing and method of reevaluation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Fifth, the interim evaluation (student satisfaction survey) results were lower than originally expect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helped to improve the teaching level and lecture method. In addition to the final lecture evaluation conducted at the college level, the interim evaluation of class is considered to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autonomous teaching metho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case study on the result of actual teaching of specific subject after deriving curriculum according to NCS by reflecting the ‘withholding taxes competency unit’ of ‘tax job’. I hope that this cas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a competence-oriented society through the practical use of NCS-based competency teaching which is useful for the teaching of NCS- based curriculum in the tax department of colleges.

      • KCI등재

        공공기관 채용에 있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필기시험 실행 방향성 탐색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시험을 중심으로

        전용일 ( Yong-il Jeon ),박명은 ( Myeong-eun Park ),오현성 ( Hyun-sung Oh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1 기업경영리뷰 Vol.12 No.2

        인사관리측면에서 기업 내 우수한 인재를 길러내는 것은 우수한 인재를 선발해서 채용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채용전략은 입사 후 탁월한 직무성과를 내 회사에 높은 기여도를 낼 수 있는 사람, 즉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경쟁사보다 한 발 먼저 채용결정을 확정하는 것까지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과거 대규모 공채 형식에서 최근 직무능력 중심의 NCS 기반 채용의 형태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채용시스템의 변화는 조직의 자원기반관점에서 설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정부는 NCS 기반 능력중심 채용 및 블라인드 채용을 정책기조로 내세워 이른바 ‘스펙초월’ 또는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방식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확대하는 한편, 민간 기업의 채용으로 까지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NCS 기반 능력중심 채용의 필기시험 중에 직업인으로서 기초소양 검정을 목적으로 하는‘직업기초능력시험’이 있는데, 현행 NCS 직업기초능력시험은 10개의 하위능력으로 구성되며, 공공기관마다 선발 직무에 따라 몇 개의 영역을 재량적으로 선택하여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다만 직업기초능력을‘직업인으로서 공통적으로 갖춰야 하는 기본능력’으로 개념도출 되었고, 또한 직업기초능력이 어느 특정 분야 및 직렬에서만 선택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 아니라 모든 업무분야에서 직업인에게 요구되는 공통 능력이란 점에서, 필기시험에서 영역별 선택적 실시는 직업기초능력시험의 개념 및 실시 취지에 부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능력을 제대로 검정하기 위해서는 직업기초능력 10개 전 영역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해당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인 직무 전문성은 ‘직무수행능력시험’을 통해 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ith respect to personnel management, fostering outstanding human resources in an enterprise shall begin by selecting and hiring outstanding human resources. The recruitment strategy aims to secure excellent human resources, that is, people who can contribute highly to the company after joining the company. Excellent human resources not only aim to secure excellent talent but also to make timely hiring decisions faster than competitors. To this end, the form of NCS-based recruitment oriented on job competency has been spreading from the past large-scale open recruitment format, and this change in the recruitment system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organization’s resource base. The government is expanding the so-called “spec transcendence” or “job competency”-oriented recruitment method to public institutions, with NCS-based competency-oriented recruitment and blind recruitment as its policy stance and is also trying to spread to private companies. Among these written tests of NCS-based competency-oriented recruitment is the “Core Competency Test”, which aims to test basic skills as a professional. The current NCS Core Competency Test consists of 10 sub-competencies, and each public institution conducts the test by selecting several areas at discretion according to the job selection. However,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y was derived as ‘The basic skills that must be common as a professional.’ and since Core Competency is not a competency selectively required only in a specific field and series but is a common competency required for professionals in all fields of work, the selective implementation of each area in the written test discrepancy between the concept and purpose of the Core Competency test.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test this ability, it is inevitable to conduct all 10 areas of Core Competency, and it is desirable to test job expertise, which is ‘the competency necessary to perform the job,’ through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Test.’

      • KCI등재

        역량기반 사서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지표 및 콘텐츠개발 - NCS적용 타당성 분석 및 보완방안 연구 -

        이종창,권나현 한국문헌정보학회 201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model using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Library & Information Management.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various competency standards for librarians developed in and out of the countr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and focused group interviews to obtain professional librarians’ needs for continuing education and their opinions on the NCS for library professions. It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NCS elements and mapped with elements in the five other competency standard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s. It also scrutinized the current training programs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n order to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formed the areas to enhance the current NCS by identifying underdeveloped competencies and identified the course contents that should be developed with priorities. The study also developed a modifie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NCS-CPD).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can utilize this scheme as a useful guideline to develop balance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s for the practitioners working in variou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s. 본 연구에서는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서직 역량기준을 조사하는 한편, NCS 및 사서직 역량요소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사서직 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출한 핵심역량에 대비하여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직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 설문조사, 초점집단면접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도출된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체계(NCS-CPD)”는 각종 도서관에 근무하는 현장사서에게 필요한 전문 및 기초 핵심역량을 체계화하고 있다. 이 체계는 향후 사서직 계속교육 연구 및 현장에서의 균형있는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형국가역량체계(KQF)에 따른 회계·감사분야 NCS체계의 개편방안

        전홍준,조광희 한국회계정책학회 2018 회계와 정책연구 Vol.23 No.1

        [연구목적]능력중심 사회로 전환을 위해 경험학습 및 자격 등이 학위체계에 호환되도록 KQF(Korea Qualification Framework, 한국형국가역량체계)가 구축되고 있다. KQF의 핵심은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있는데, 개발체계상 문제로 회계·감사 직무의 NCS가 KQF와 연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 파악과 대안 모색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회계·감사 직무의 NCS 능력단위, 직무능력 수준, 능력단위요소 구성 및 학습모듈의 내용을 검토하고, 회계 및 감사분야의 교육과정 편성에 관한 기존 연구와 회계와 감사를 주요 교과과정으로 하는 4년제 학과의 교육과정 그리고 NCS체계를 비교·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검토결과 회계·감사직무 NCS 문제점과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수준 위주로 구성된 능력단위에 상위 능력이 반영된 4년제 대학 수준의 능력단위 추가가 필요하다. 둘째, 능력단위 명칭이 대학 교육과정의 과목명과 달라 대학의 교과목 간의 호환을 방해하므로 능력단위 명칭의 변경이 필요하다. 셋째, 능력단위 명칭이 학위과정의 과목과 유사한 경우에도 세부내용이 다른 경우가 있어 능력단위 요소의 신설이 필요하다. 넷째, NCS와 KQF에 있어 직무역량수준의 정합성을 높여야 한다. [연구의 시사점]구축되고 있는 KQF의 원활한 실행을 위해 회계·감사 직무의 NCS 체계성을 높여 KQF의 실효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Purpose]Korean Qualification Framework(hereafter ‘KQF’) has been formed for the transformation to a competency based societ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hereafter ‘NCS’) is a key component of KQF. It seems to be systematic for KQF to be formed first and NCS to be developed later. However, NCS was developed first, which caused many problems for NCS to be linked to KQ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some improvements in the NCS system of accounting and auditing duty. [Methodology]To find some problems and propose improvements, competency unit, competency unit element, learning module and training courses of accounting department were reviewed. [Findings]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competency unit of NCS which can reflect higher level of accounting study should be added. Second, the name of competency unit should be changed for the compatibility of NCS with KQF. Third, the current competency unit contains more competency unit element because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competency unit and accounting subject, though it is similar between the name of competency unit and accounting subject. Furthermore, it is needed to be leveling off between NCS and KQF. [Implications]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KQF,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NCS system of accounting and auditing duty.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연관 정보의 공유 및 확산 네트워크 연구: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반응 분석을 중심으로

        정원준,한규훈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3 사회과학연구 Vol.30 No.3

        지식기반사회, 고등교육의 보편화, 평생학습사회로의 진전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의 혁신적인고등교육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2013년 학습모듈 개발을 시작으로 현장밀착형 직업교육훈련과 자격체계 구축을 위해 직업능력에 대한 표준화된 기준인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을 구축하고 대학을 포함한 고등교육기관들에게 NCS 커리큘럼 기반의 교육을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 network theory)을 기반으로, NCS 주무 정부·공공기관인 교육부,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등이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이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고 NCS 이해관계자들은 이를 이용하여 연관 정보를 검색하고 습득할 뿐만 아니라 공유⸱확산의 주체가 될 것이라 가정하고, 언급한 조직들의 공식 유튜브 채널 내 NCS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공유⸱확산 네트워크를 탐색하였다. 세부적으로, NCS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2015년 이후 2023년 3월까지의 기간 중유튜브에 게시된 총 273개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정보 공유 정도를 평가하는 근접 중심성과 확산 정도를 탐색하는 매개 중심성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네트워크의 밀도와 크기는 전반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NCS 연관 조직들 간의협력적이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했던 것으로 판단하였고, 나아가 일반공중들의 정보공유와 확산 정도도 부족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NCS 연관 정보의효과적인 소통과 관리를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강조하고, 구체적인 학문적·실무적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hanges for Innovative higher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are required with the current knowledge-based society, the spread of higher education, and progress toward a lifelong learning society. Accordingly, South Korea establishe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 standard for vocational competency, in 2013 and has encourag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to develop learning modules. Based on the actor network theory, this study conducted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es to evaluate the degrees of information sharing and information diffusion for a total of 273 contents posted on YouTube pages of the NCS-related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from 2015 to March 2023.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nsity and size of the network were generally weak, and it was judged that there was a lack of cooperative and efficient communication among the NCS-related organizations, and furthermore, the degree of information sharing and diffusing in the general public was also insuffici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 role of two-way communication for effective delivery and management of NCS-related information was emphasized, and specific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