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및 학술행사 인식 연구 -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이종욱,김수정,오상희 한국문헌정보학회 202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분야 주요 4개 학회(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문헌정보학회, 한국비블리아학회, 한국정보관리학회)에 소속된 학회원들을 대상으로 학회에서 발간, 운영하는 학술지와 학술행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전반을 다루는 학술지의 품질, 종수, 심사, 출판․유통, 독자층, 현장성, 학제성, 국제화, 차별화를 비롯하여 학술행사에 대한 참여․불참 이유, 목적 달성 정도, 학술행사 간 차별화, 공동학술대회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학회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97명의 학회원이 설문 응답을 완료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4개 학술지의 전반적인 품질은 양호하나, 심사, 출판․유통, 독자층 확대, 현장성 강화, 국제화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학술지 간 차별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학술행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학술적 및 사회적 측면을 두루 갖춘 대규모 공동학술대회를 기획하여 많은 연구자와 실무자의 참여를 유도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 연구 방법의 결과 보고를 중심으로 하고 있지만, 해외 학회 운영사례 조사결과와 2022년 12월에 개최된 공동학술대회에서 학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문헌정보학 학술지와 학술행사의 발전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인용 네트워크분석

        정유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4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cholarly communications and citation influenc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by conducting journal citation network analysis. For data collection, four major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were chosen and 4,471 of research papers and 18,424 of citation records were collected from Korean Citation Index. The results show tha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the most influential journal with highest citation in LIS fields, whi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nagement influenced other research fields. 본 연구는 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간의 인용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기재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의 논문 4,471편과 이 논문들을 인용한 18,424건의 인용정보를 수집하여 학술지간 인용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인용을 가장 많이 받았던 학술지는 한국문헌정보학회지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의 주요 연구주제들이 인용을 통해 문헌정보학 내부 연구 분야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헌정보학회지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의 상호인용이 많았으며, 정보관리학회지의 연구주제 중 연구동향분석이나 지적구조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이 문헌정보학 이외의 분야로부터 많은 인용을 받아, 문헌정보학 외부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 평가를 통한 개선방안 연구

        차성종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rive components that librarians think preferentially necessary and realistically important when applying the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to the library working environments. It was possible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ability unit and its element which are the components of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First, ability units of ‘User Information Services’,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were higher in importance and utilization at the same time. Ability uni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al Research Perform’, ‘Library and Information Cu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were lower in importance and utilization when we evaluate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ability unit and its element which are the components of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Second, components of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User Information Service’, ‘Library and Information Collection’ were higher in the order, and compon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u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al Research Perform’ were found lower in demands as the desirable level and the current level appear less common when we analyzed the demands on the duty components utilizing Borich requirements analysis model. Third, six ability units of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User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and Information Collec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Marketing’, ‘Library and Information Preserv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Use Analysis’ were derived as priority components when we analyzed the priority of the duty component (ability unit) utiliz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본 연구는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인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를 도서관 실무에 적용했을 때 현장 사서들이 실질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첫째,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의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한 결과, ‘이용자 정보서비스’,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동시에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구성요소는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 수준이 공통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어 요구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의 우선순위 분석 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문헌정보 서비스 마케팅’, ‘문헌정보 보존’, ‘문헌정보 이용 분석’의 6개 능력단위가 최우선순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 KCI등재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노영희,안인자,최상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2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 curriculum operating model for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ased on investigations into LIS curricula at home and abroad. Standard courses that can be applied to this model were also proposed.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contents of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a and surveyed current librarians in all types of library fields.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required courses, core courses, and elective courses. Six required LIS courses are: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Field Work. Six core LIS courses are: Classification & Cataloging Practice, Subject Information Resources, Collection Development, Digital Library, Introduction to Bibliography, and Introduction to Archive Management. Twenty selective LIS courses include: the Gener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a (Cultural History of Information, Information Society and Library, Library and Copyright, Research Metho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area (Metadata Fundamentals, KORMARC Practice), the Information Services area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Reading Guidance, Information User Study), the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area (Library Management, including management for different kinds of libraries, Library Information Cooperator, Library Marketing, Non-book Material and Multimedia Management (Contents Management), the Information Science area (Database Management, including Web DB Management, Indexing and Abstracting,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cience, Understanding Information Science, Automated System of Library, Library Information Network), and the Archival Science area (Preservation Management).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운영모형을 조사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운영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며, 운영모형에 기반하여 한국문헌정보학 표준교과목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외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관종별 직무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필수교과목, 핵심교과목, 그리고 선택교과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사서실습이다. 핵심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이다. 선택과목은 총 20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 4개 과목(도서및도서관사, 지식정보사회와 도서관, 도서관과저작권, 문헌정보학연구방법론), 정보조직학 영역 2개 과목(메타데이터의 이해, 한국문헌자동화목록실습), 정보조사제공학 영역 3개 과목(정보활용교육론, 독서지도론, 정보이용자연구),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 영역 4개 과목(도서관협력론, 관종별도서관운영론, 도서관마케팅, 비도서자료관리론), 정보학 영역 6개 과목(데이터베이스운영론, 색인초록론, 정보학개론, 정보시스템론, 도서관시스템자동화, 도서관정보네트워크), 기록관리학 영역 1개 과목(기록보존론)이다.

      • KCI등재

        고등학교 학생의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노영희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aise awareness of careers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as well as to investigate current awareness and preferences for LIS Department as a strategy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university environment. To do this, a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s was carried out, with results as follows: First, awareness about the LIS Department and awareness about librarians in our country's high school students was very low. Second, for possible careers in LIS Department, students responded that a graduate of LIS department was likely to enter the workplace in public libraries, state libraries, university libraries, or school libraries, but they would like to work at broadcasting library, national libraries, school libraries, university libraries, public libraries, or portals. Third, awareness of the career path for the LIS Department showed a very large impact on a preference for the LIS Department. Therefore, students who have heard about the LIS Department are highly probable to select this department when they reach university. 본 연구는 급변하는 대학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를 조사할 뿐만 아니라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사서 및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지도는 보통 이하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한 후 진출할 수 있는 직장으로 생각되는 기관에 대해 공공도서관, 국가도서관, 대학도서관, 학교도서관 순으로 응답하였으나, 취업하고 싶은 직장은 방송국 자료실, 국가도서관, 학교도서관,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포털업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지도는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선호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헌정보학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학생들이 문헌정보학과를 선택할 확률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문헌정보학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문헌정보학에서의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과정 연구

        구본영,박미영,Koo Bon-Young,Park Mi-Young 한국문헌정보학회 19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직면하고 있는 기술과 시스템 환경변화에 적합한 정보전문가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육의 내용을 규명해보는데 있다. 그 중에서 현재 정보환경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최신정보기술인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의 어떤 교육내용이 문헌정보학에 도입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기본적 자료를 얻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도의 정보기술과 컴퓨터의 발전으로 인하여 문헌정보학의 전통적인 핵심내용이 새로운 내용 즉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원 탐색, 온라인데이터베이스 검색, 정보시스템 분석과 설긴 컴퓨터활용능력, 정보검색전략 개발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내용 중에서 문헌정보학 교육에 중요한 내용으로는 데이터베이스처리 시소러스 자연언어처리, 지식표현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 교수들은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과목 주제가 대다수 학생들에게 유용한 주제라고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앞으로 사서/정보전문가를 돕는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의 역할이 참고봉사, 편목${\cdot}$ 분류, 정보검색${\cdot}$ 문헌전달 업무에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다섯째, 문헌정보학과 교수들이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과목 주제를 중요하게 인식함에 따라 앞으로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과정이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개설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내용 중에서 중요하다고 조사된 데이터베이스처리. 시소러스 자연언어처리. 지식표현의 과목은 앞으로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pecify cont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train information professional to meet environment change of technology and system. Among them. recognizing necessity of presen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ort System (AI and ES) required by changing environment of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also the purpose of this work to figure out fundamental data and the way of solution how to introduce what contents out of AI and ES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briefed results are as follows. 1. Due to rapid change of high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application it is the most important essential points, In order of Importance, in finding available network source, In indexing on-line data base, in analysing and design information system. and in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2. In contents of AI and ES, most Important training por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 : data base treating, thesauru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knowledge representation. 3.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ors recognize It necessary for bigger numbe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to be educat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ert system. 4. During forthcoming age it shows more important reorganization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ert system improves information professional in reference service, cataloging, classification, information retrieval, and documentation delivery 5. According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ors more important reorganization on the subject of AI and ES, the curricular on AI and ES is, forthcoming, to be Introduced to curricular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nation, In order of importance, (see 1. above).

      • KCI등재

        미국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정연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everal factors necessary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 Korea by analyzing archival programs of the Schoo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LIS) in the U.S.A. Name of the schools, programs and their degrees, credits, required and elective courses, practice, research, facilities, and SAA guidelines of graduate archival programs are compared by analyzing websites and the literature review. There are a few LIS schools that concentrate archival education and most of the archival programs don’t cover all of the core archival knowledge suggested in the SAA guidelines. The reason of these situation is considered as a limitation of the archival education as special programs in the LIS schools. In conclusion, the core curriculum of archival science should include history and preservation of archives,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principles, practicum, and research/thesis. And a lot of cooperated research and conversation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actical fields are required. 본 연구는 미국의 문헌정보학 대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록관리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기록관리학 교과과정 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웹사이트 분석과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록관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소속 및 명칭, 학위 명칭 및 과정, 이수학점, 필수과목과 선택과목, 실습, 연구, 시설, SAA 지침서를 비교하였다. 미국에서 기록관리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헌정보학 대학원은 많지 않았으며 SAA 지침서에서 제시한 기록관리지식을 모두 반영하지 못하는 대학원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기록관리학이 문헌정보학 대학원 안에서 이루어지는 특성화 프로그램의 한계로 볼 수 있었다. 기록관리학의 핵심 교과과정은 역사와 기록물 보존, 기록물과 레코드경영, 정보 기술, 경영원칙, 실무 경험, 연구와 석사학위 논문으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교육 기관과 현장이 함께 많은 연구와 대화를 나눔으로써 이러한 요소를 중심으로 한 기록관리 분야의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문헌정보학 학문영역의 변천 과정에 관한 고찰 - 학술지 논문 주제분석을 기반으로 -

        정동열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historical proces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omain since 1970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major subjects of 5,915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through six academic journals in LIS area from 1970 untill 2015 by year and over 10-year periods. The results show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LIS domain itself and 4 sub-domains through subject analysis of 6 academic journals. 본 연구는 한국문헌정보학 분야가 학술적 연구활동을 시작한 1970년 이후 문헌정보학 학문영역이 어떠한 형태로 성장하였는지 그 변천 과정을 고찰하였다. 1970년부터 2015년까지 문헌정보학 분야 6개 학회지에 게재된 전체 논문 5,915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및 10년대별로 구분하여 세부주제 내용을 분석하였다. 학문적 연구활동의 매개체인 6개 학회지 논문의 주제분석을 통하여 문헌정보학 학문 전체의 발전 과정은 물론 4대 하위영역별 변천 과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대한 현황조사 및 인식조사 연구

        홍현진,노영희,김동석,Hong, Hyun-Jin,Noh, Younghee,Kim, Dongseok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 현황과 전공과목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교육과정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정을 전수 조사하였고, 조사된 교과목을 기반으로 필수·선택과목에 대한 의견을 전체 문헌정보학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헌정보학 총 개설과목 수는 최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수과목과 기초과목의 비중이 축소되고 선택과목의 비중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정보학은 중요성과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및 프로그램밍, 데이터 분석 등 새로운 과목의 신설 요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서관·정보센터 경영학은 전체 교과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다소 감소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기본 영역으로 중시되고 있으며, 세부과목의 증설·심화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인식되고 있었다. 넷째, 서지학은 점차 비중이 축소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기록관리학은 전공필수 과목은 아니지만 선택과목으로서 비중이 증가하는 반면, 어학 과목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거의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and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each major subject. To this end,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 nationwide was thoroughly investigated. Based on the subjec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all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n the degree of consent for required and elective subjects. As a result, first, the total number of courses opened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as recently de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required subjects and basic subjects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elective subjects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and weight of informatics are constantly increasing, and there is a high demand for new subjects such as big data, programming, and data analysis. Third, the proportion of library management in all subjects is decreasing, but the necessity of detailed subjects is highly recognized.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bibliography was gradually decreasing. Fifth, although records management was not a required major subject, its weight increased as an elective subject, while language subjects showed almost no awareness of the necessity.

      • KCI등재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신규교과목 개설추이 분석 연구

        노영희,안인자,최상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간(1991년∼2011년)의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과목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총 개설과목 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학부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증가하였고, 핵심과목 수는 감소하였으며, 다시 학과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감소하고, 핵심과목 수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국 34개 4년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을 문헌정보학일반, 정보조직학, 정보조사제공학,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 정보학, 서지학, 기록관리학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분포도를 조사하였는데, 지난 20년간 정보조사제공학과 정보학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그 교과목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서 사라진 과목, 과목 명칭이 바뀐 과목, 여러 과목이 통합된 과목, 하나의 과목이 여러 과목으로 세분화된 과목, 그리고 시대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과목들이 밝혀졌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courses by investigating the LIS curriculum of Korea in the past 20 years (1991-2011).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courses increased as a whole. As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moved forward to the faculty system (Hakbuje), the number of basic course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core courses decreased. But the opposite phenomenon appeared as universities returned to the department system (Hakgwaje). Also, we investigated the domain-specific distribution of each department by separating the courses of 34 Korean LIS Departments into these seven domains: Gener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Science; Bibliography; and Archival Sc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courses reduced in most domains over the past 20 years, except for the Library Service and Information Science area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following phenomena: disappeared courses, changed course’s names, courses that integrated into a single course, courses that separated into various other courses, and newly emerging courses with the developing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