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태생학적 연기설 재검토- Mahānidāna경, Mahātaṇhāsaṅkhaya경을 중심으로

        우동필 불교학연구회 2020 불교학연구 Vol.63 No.-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by tracing the origins of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of Twelve Nidānas (paṭiccasamuppāda) in Nikāyas. Since the interpretation from Abhidhamma, Twelve Nidānas has been regarded as a reincarnation theory that explains the embryologic process. Though major commentators and researchers have been rejecting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are regarded to be a difficult issue either to accept or reject because of the expressions such as "consciousness [viññāṇa] descends into the mother’s womb" in Mahānidāna-sutta and "the infant was born from an union of three conditions that are the mother and father and the spirit-being (gandhabba)" in Mahātaṇhāsaṅkhaya-sutta.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context beyond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 former expression is to be an explanation that consciousness resumes activities of the language-recognition and comes back from Form·Formless Realm (rūpa·ārūpadhātu) to Desire Realm (kāmadhātu) among ‘Three Realms’ (Tayodhātavo). Here the mother’s womb can be understood as a conscious space such as the womb (yoni) expresses the space of a deep understanding (manas) of the law (dhamma). The latter is to be an explanation in context that the consciousness should be understood under human conditions targeting the thought of Sati who misinterpreted it as the subject of reincarnation. In this sutta, embryologic description is added after the explanations of Twelve Nidānas, to correct Sati's idea of regarding it as transcendental being. Considering these contexts, it can be seen that the Twelve Nidānas are difficult to be generalized with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refore, this study claims that Twelve Nidānas should be approached by considering the whole teaching and the context of each scripture beyond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 which is only a later work. 본 연구는 『니까야』(Nikāya)에서 [십이]연기(緣起, paṭiccasamuppāda)에 대한 태생학적 해석의 기원을 추적하여 그 대안적 이해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비담마(Abhidhamma) 해석 이후 십이연기는 태생학적 발생을 설명하는 윤회 이론으로 간주되어 왔다. 비록 주요 논사들과 연구자들이 태생학적 연기설을 거부하고 있을지라도, Mahānidāna경의 ‘식(識, viññāṇa)이 모태(母胎, matukucchi)에 하강[下降, avakkanti]한다’는 표현이나 Mahātaṇhāsaṅkhaya경의 ‘부모(mātāpita), 간답바(gandhabba)의 3가지 조건으로부터 개체가 발생한다’는 설명은 분명하기 때문에, 태생학적 연기설은 수용하기도 거부하기도 어려운 문제로 전해졌다. 이 경전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는 십이연기를 태생학적 발생에 관한 설명으로 일반화할 수 없는 맥락들을 발견한다. Mahānidāna경의 ‘식이 모태로 하강한다’는 설명은 색계・무색계에 들어선 수행자의 의식이 욕계로 돌아와 언어-인지 활동[名色]을 재개한 것에 관한 설명이다. 법(法, dhamma)에 대한 깊은 이해[意, manas]의 위치를 자궁(yoni)으로 표현한 것[如理作意, yoniso manasikāra]과 같이, 여기서 모태는 의식적 공간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Mahātaṇhāsaṅkhaya경의 태생학적 설명은 식을 윤회의 주체로 잘못 이해한 사띠(sati) 비구를 대상으로 하여 그의 잘못된 생각에 대치한다. 십이연기에 부가된 태생학적 설명은 식의 생물학적 조건을 설명함으로써 식을 초월적 존재로 오해한 사띠의 생각을 치유하게 된다. 이 경전의 맥락들을 고려할 경우 십이연기는 태생학적 발생에 관한 것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내용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십이연기 이해는 태생학적 연기설의 시각을 벗어나 경전의 전체 교법과 각 경전들의 맥락을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우수등재

        태생학적 연기설 재검토 : Mahānidāna경, Mahātaṇhāsaṅkhaya경을 중심으로

        우동필(Woo, DongPil) 불교학연구회 2020 불교학연구 Vol.63 No.-

        본 연구는 『니까야』(Nikāya)에서 [십이]연기(緣起, paṭiccasamuppāda)에 대한 태생학적 해석의 기원을 추적하여 그 대안적 이해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비담마(Abhidhamma) 해석 이후 십이연기는 태생학적 발생을 설명하는 윤회 이론으로 간주되어 왔다. 비록 주요 논사들과 연구자들이 태생학적 연기설을 거부하고 있을지라도, Mahānidāna경의 ‘식(識, viññāṇa)이 모태(母胎, matukucchi)에 하강[下降, avakkanti]한다’는 표현이나 Mahātaṇhāsaṅkhaya경의 ‘부모(mātāpita), 간답바(gandhabba)의 3가지 조건으로부터 개체가 발생한다’는 설명은 분명하기 때문에, 태생학적 연기설은 수용하기도 거부하기도 어려운 문제로 전해졌다. 이 경전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는 십이연기를 태생학적 발생에 관한 설명으로 일반화할 수 없는 맥락들을 발견한다. Mahānidāna경의 ‘식이 모태로 하강한다’는 설명은 색계・무색계에 들어선 수행자의 의식이 욕계로 돌아와 언어-인지 활동[名色]을 재개한 것에 관한 설명이다. 법(法, dhamma)에 대한 깊은 이해[意, manas]의 위치를 자궁(yoni)으로 표현한 것[如理作意, yoniso manasikāra]과 같이, 여기서 모태는 의식적 공간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Mahātaṇhāsaṅkhaya경의 태생학적 설명은 식을 윤회의 주체로 잘못 이해한 사띠(sati) 비구를 대상으로 하여 그의 잘못된 생각에 대치한다. 십이연기에 부가된 태생학적 설명은 식의 생물학적 조건을 설명함으로써 식을 초월적 존재로 오해한 사띠의 생각을 치유하게 된다. 이 경전의 맥락들을 고려할 경우 십이연기는 태생학적 발생에 관한 것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내용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십이연기 이해는 태생학적 연기설의 시각을 벗어나 경전의 전체 교법과 각 경전들의 맥락을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by tracing the origins of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of Twelve Nidānas (paṭiccasamuppāda) in Nikāyas. Since the interpretation from Abhidhamma, Twelve Nidānas has been regarded as a reincarnation theory that explains the embryologic process. Though major commentators and researchers have been rejecting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are regarded to be a difficult issue either to accept or reject because of the expressions such as consciousness [viññāṇa] descends into the mother’s womb in Mahānidāna-sutta and the infant was born from an union of three conditions that are the mother and father and the spirit-being (gandhabba) in Mahātaṇhāsaṅkhaya-sutta.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context beyond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 former expression is to be an explanation that consciousness resumes activities of the language-recognition and comes back from Form·Formless Realm (rūpa·ārūpadhātu) to Desire Realm (kāmadhātu) among ‘Three Realms’ (Tayodhātavo). Here the mother’s womb can be understood as a conscious space such as the womb (yoni) expresses the space of a deep understanding (manas) of the law (dhamma). The latter is to be an explanation in context that the consciousness should be understood under human conditions targeting the thought of Sati who misinterpreted it as the subject of reincarnation. In this sutta, embryologic description is added after the explanations of Twelve Nidānas, to correct Sati s idea of regarding it as transcendental being. Considering these contexts, it can be seen that the Twelve Nidānas are difficult to be generalized with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refore, this study claims that Twelve Nidānas should be approached by considering the whole teaching and the context of each scripture beyond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 which is only a later work.

      • Research on A structure of the Multimedia list Oriented Network Intrusion Detection System

        Xu Zhao,Jin Jiang,Max Stinnett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Security and Its Applicat Vol.10 No.12

        There always appears high packet loss rate in Network Intrusion Detection System (NIDS), especially when the network traffic is high. To address this problem, we have proposed the methods to identifying multimedia packets and processing them in a particular way thus received good results. On this basis, this paper propose a solution that uses a multimedia list structure based on the original list in NIDS. This multimedia list structure can let NIDS reduce the matching times to multimedia packets significantly by shortening the average searching length of OTN nodes dramatically. In addition, this paper also introduce the method of dynamic sorting to the multimedia list in order to shorten the time of rule matching. So this solution can further improve the detection efficiency of NIDS by speeding up the processing efficiency of NIDS to multimedia packets. Various experiments have shown that the packet loss rate of NIDS can be reduced on a large scale and the security of NIDS is not reduced by using the multimedia list.

      • KCI등재

        Pratītyasamutpādavibhaṅga-sūtra from Nālandā: A New Edition of the Brick Inscription B

        정진일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27 No.1

        The Pratītyasamutpādavibhaṅga-sūtra, or Pratītyasamutpāda-sūtra as it called in several quotations, is contained in the Chinese Saṃyuktāgama as the sixteenth sūtra in chapter three. In the Za ahan jing itself and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it is just called Fenbie jing 分別經 or Vibhaṅga. A Sanskrit version of this sūtra is also contained in the Nidānasaṃyukta, which was published by Chandrabhāl Tripāṭhī in 1962 on the basis of manuscript remains found in Eastern Turkestan. In addition, this sūtra was also passed down independently in Tibetan and in Chinese with the names rTen ciṅ ’brel bar/par ’byuṅ ba daṅ po daṅ rnam par dbye ba bstan pa źes bya ba’i mdo and Yuanqi jing 緣起經, respectively. The last two versions of the Pratītyasamutpādasūtra, i.e. the rTen brel mdo and the Yuanqi jing, find their Sanskrit counterpart also in two brick inscriptions from Nālandā published by Niranjan P. Chakravarti in 1932. When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mportance attached to this sūtra, the editions of the Sanskrit versions published previously are in need of improvement. This is true of both the one by Tripāṭhī in the Nidānasaṃyukta and the one on the basis of Chakravarti’s reading of the brick inscriptions from Nālandā. A new edition of the Pratītyasamutpāda-sūtra in the Nidānasaṃyukta is already in progress within the framework of a new edition of the whole Nidānasaṃyukta. In the present paper, the reader will find a new transliteration of the brick inscription B from Nālandā on the basis of a digital image of the original photo used in Chakravarti’s article and a reconstruction juxtaposed with the Tibetan and Chinese versions, taking all the parallels known so far into account.

      • KCI등재

        ‘paṭiccasamuppāda(緣起)’의 用例와 통찰

        김완정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4 No.-

        This paper explored the origin of ‘paticcasamuppāda (The doctrine of dependent origination, 緣起)’ language, the use example in Chinese translation and the definition of ‘paticcasamuppāda’ as interpreted in the Buddhist scripture, Abhidharma. By analogically inferring the etymology of ‘paticcasamuppāda’,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at the formation of ‘paticcasamuppāda’ concept, the insight of I and Object and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The first scripture using ‘paticcasamuppāda’ language is known as the Suttanipāta. In Pali scriptures, ‘paticcasamuppāda’ is used along with ‘nidāna (因緣)’, which refers to Indian proper name meaning ‘causality (因果)’. Kumārajiva (鳩摩羅什), who translated Pali scriptures into Chinese scriptures in the early time, translated ‘(因緣)’ to have same meaning with ‘(緣起)’. However, ‘Paticcasamuppāda’ language became common after Monk Xuanzang (玄奘). In Abhidharma, the meaning of ‘paticcasamuppāda’ is forced on the concept and meaning, instead of giving definite acceptation of ‘paticcasamuppāda’. ‘Paticcasamuppāda’ was also understood as the basic principle, which includes all ‘causality’ process. In this sense, ‘paṭiccasamuppāda’, ‘nidāna’ and ‘causality’ mean the same thing. In the early scriptures, ‘paṭiccasamuppāda’ language was chosen to explain the Enlightenment, Deliveration and the Middle Way. It is because by thinking about the basic concept ‘paticcasamuppāda’ the insight of Dharma should be acquired. 이 논문은 ‘paṭiccasamuppāda(緣起)’에 대한 연원과 한역에서의 용례, 그리고 아비달마에서 해석한 ‘paṭiccasamuppāda(緣起)’의 정의에 대한 고찰이다. ‘paṭiccasamuppāda’에 대한 語源을 통해서 연기 개념의 형성과 통찰의 과정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연기설에 대해 초기 Pāli 경전에서는 ‘paṭiccasamuppāda(緣起)’와 ‘nidāna(因緣)’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였는데, 왜냐하면 ‘nidāna(因緣)’는 인과의 법칙을 말할 때 사용하는 인도철학의 고유 명사였기 때문이다. 한편 초기 한역자인 鳩摩羅什은 ‘paṭiccasamuppāda’를 ‘緣起’보다는 ‘因緣’으로 번역하였지만, 신한역자 玄裝은 ‘緣起’라고 번역했다. 이러한 점에서 ‘緣起’, ‘因緣’, ‘因果’는 같은 의미로 쓰였다. 아비달마에는 연기의 개념에 대해서 해석했다. 경전과 논에서는 반드시 중도와 깨달음에 대한 법을 설하기 전에 먼저 연기의 공식으로 알려진 게송을 설했다는 점은 연기의 기본적 사고를 통해서 법을 통찰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므로 존재에 대한 연기적 통찰을 통해서 인과론적 수행을 완성한다.

      • KCI등재

        日本 防衛省 소장 陸軍 ‘日露戰役’ 문서군의 한국사적 의의

        조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6

        The Meaning of the Materials Related to Korea among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Russo-Japanese War’ Possessed by the Defense Ministry of Japan. Cho, Gun At The National Institute for Defense Studies(NIDS; 防衛硏究所) of the Ministry of Defense of Japan, many literatures related to the Russo-Japanese War have been possessed. Among these, in the Rikugunsho Dainikki(陸軍省大日記; the Document Files of the Army Ministry) and in the General Historical Records of the Army, the document group with the title 'The Russo-Japanese War(日露戰役)' exists. Regarding the Rikugunsho Dainikki, the things that had been directly produced or tied up by the Imperial Japanese Army before losing the war are the main ones. And, regarding the General Historical Records of the Army, the Jinchu Nisshi(陣中日誌) of the military unit of the site, the historical materials, the maps, the written reports written by the individuals, the official papers, etc. are the main ones. ‘The Russo-Japanese War’ Because, in the document group, the not-small number of the materials related to Korea have been contained, it catches the attention. These materials have been attesting well the facts that ‘the Russo-Japanese War’ had not been a war between only the two countries of Russia and Japan at all and, rather, that the independence and the right to survive of Korea are directly related. Especially, in 'The Detailed Work Report of the Military Section of the Military Affairs Bureau(軍務局 軍事課 業務詳報)', within the document group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s Russo-Japanese War, the contents regarding the activities during the war, from the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Japanese military before and after the beginning of the war, have been recorded specifically. After the end of the Russo-Japanese War, Japan published 'The Official History of the War(公式戰史)'. Although The Official History of the War is a thing that had been officially produc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military, there are the things that had been compiled secretly according to the contents. A point t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s the fact that there exist the cases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Official History of the War' are described differently from the actual war situation. In this way, the situation of the war which Japan had intended to exaggerate or hid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document group of 'The Russo-Japanese War', which has been possessed by the NIDS. To sum up, in the document group of 'The Russo-Japanese War', the many materials with which the real situation of the Russo-Japanese War related to Korea can be even more specifically understood are included. These are the materials that make it clear that the Russo-Japanese War had been the process of the armed forces invasion and occupation for the colonial rule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Japanese Imperialism. It is judged that, in the future, through these materials,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in the Korean history will become possible. 일본 방위성 소장 육군 ‘일로전역’ 문서군의 한국사적 의의 조 건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에는 러일전쟁과 관련된 문헌들이 다수 소장되어 있다. 이중 육군성대일기와 육군일반사료에는 ‘일로전역’이라는 제목의 문서군이 존재한다. 육군성대일기는 패전 이전 일본 육군성이 직접 생산하거나 묶은 것이, 육군일반사료는 현지 부대의 진중일지나 역사자료 및 지도, 개인이 작성한 보고서나 문건 등이 주류를 이룬다. 육군성대일기 ‘일로전역’ 문서군 중에는 한국과 관련한 자료가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이들 자료는 러일전쟁이 결코 러시아와 일본 양국만의 전쟁이 아니라 한국의 자주권과 생존권이 직결된 것이었다는 사실을 잘 말해주고 있다. 특히 ‘육군성 일로전역’ 문서군 내 군무국 군사과의 『전역업무상보』에는 개전 전후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부터 전쟁 중 활동에 관한 내용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었다. 『전역업무상보』는 1905년 12월 육군성이 예하 부서에 전시 활동 사항을 보고토록 지시한 결과물로서 개전 전야부터 종전 직후까지의 군사행정 사항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특히 군무국 군사과의 『전역업무상보』에는 러일전쟁 개전 당신 한반도를 무단으로 침입했던 선견징발대와 임시파견대의 군사 행동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어 눈길을 끈다. 일본은 러일전쟁 종료 이후 ‘공식전사’를 발간하였다. ‘공식전사’는 일본 정부와 군이 공식적으로 생산한 것이지만 내용에 따라 비밀리에 편찬한 것도 있다. 주목할 점은 이들 ‘공식전사’의 내용이 실제 전쟁 상황과 달리 기술되는 경우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이렇듯 일본이 과장하거나 축소하고자 했던 전황은 방위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일로전역’ 문서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일로전역’ 문서군은 한국과 관련된 러일전쟁의 실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러일전쟁이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식민 지배를 위한 무력적인 침략과 점령의 과정이었음을 분명히 하는 자료들이다. 앞으로 이들 자료를 통해 ‘한국사적 러일전쟁사’ 서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NIDS를 위한 다중바이트 기반 정규표현식 패턴매칭 하드웨어 구조

        윤상균(SangKyun Yun),이규희(KyuHee Lee) 한국통신학회 2009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4 No.1B

        최근의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에서는 침입이 의심되는 패킷을 나타내는 데 정규표현식이 사용되고 있다. 고속 네트워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패킷을 실시간으로 검사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기반 패턴 매칭이 필수적이며 변화되는 패턴 규칙을 다루기 위해서는 FPGA와 같은 재구성 가능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PGA의 동작 속도 제한으로 바이트 단위의 패킷 검사로는 실시간 검사를 할 수 없는 경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바이트 단위로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규표현식 패턴 매칭을 n바이트 단위로 처리하는 하드웨어의 구조와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패턴 매칭 회로 생성기를 구현한다. Snort 규칙에 대해 FPGA로 합성된 하드웨어는 n=4일 때에 규칙에 따라서 2.62~3.4배의 처리 속도 향상을 보였다. In recent network intrusion detection systems, regular expressions are used to represent malicious packets. In order to process incoming packets through high speed networks in real time, we should perform hardware-based pattern matching using the configurable device such as FPGAs. However, operating speed of FPGAs is slower than giga-bit speed network and so, multi-byte processing per clock cycle may be need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hardware architecture of multi-byte based regular expression pattern matching and implement the pattern matching circuit generator. The throughput improvements in four-byte based pattern matching circuit synthesized in FPGA for several Snort rules are 2.62~3.4 times.

      • KCI등재

        존재론적 차이와 존재론적 분리(2)

        김상록(Sang-Rok Kim) 한국현상학회 201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8 No.-

        본 논문은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의 존재이해의 차이를 존재론적 차이대(對) 존재론적 분리라는 문제틀 속에서 접근하는 작업의 두 번째 시도로서, 이번에는 불교의 조명을 통하여 문제의 차이를 해명한다. 이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존재의 문제와 관련하여 레비나스가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 가한 비판은 불심(佛心)의 발로라 해도 무리가 없다. 그리하여 삶의 고통과 그로부터의 해탈, 그리고 무아론과 연기설 등, 불교의 근본적 가르침과 깊이 공명하는 것은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라기보다는 레비나스의 존재론적 분리이다. 둘째, 레비나스의 성찰은 불교의 전통을 쇄신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다. 그의 존재론적 분리는 불교적 사태의 존재론적 의미를 깊이 있게 밝혀 주고, 그의 현상학적 연출기법은 『대승기신론』의 삼세론에 대한 이해를 구체화·심화시켜 주는 한편, 그의 침전론은 불교가 정신분석과 같은 현대 담론과도 회통할 수 있는 지점 또한 시사한다. Second part of my work for addressing the difference between Heidegger’s and Levinas’s understandings of Being in terms of 〈ontological diffrence vs ontological separation〉, this paper tries to elucidate this difference in the light of buddhism. It results from this attempt two things. First,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Levinas’s critique on Heidegger in regard to the question of Being derives from a buddhist mind. It is not Heidegger’s ontological difference, but rather Levinas’s ontological separation, that resonates profoundly with fundamental buddhist theories such as on pain of life, nirvana, anātmana, nidānas, etc. Second, Levinas’s meditations can contribute to an innovation of buddhist tradition. His ontological separation reveals the ontological significations of buddhist state of affairs; his mise en scène offers us a concrete understanding on buddhist scriptures such as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ȃyȃna; his theory of hypostasis suggests to the buddhism a path that leads to a productive dialogue with other contemporary discourses like psychoanalysi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과학기술분야 원문제공서비스의 협력 네트워크 분석

        김지영,이선희,Kim, Ji-Young,Lee, Seon-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연구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NDSL 원문제공서비스(NDSL Information Document Service: NIDS)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연구자들에게 과학기술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NIDS 협력 네트워크에서 대학도서관과 연구원 정보센터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 네트워크분석을 통하여 원문제공서비스 협력기관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각 기관이 네트워크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결정도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위세 중심성과 같은 지표들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원문제공서비스 네트워크의 중심에는 KISTI, KAIST, POSTECH, 외국학술지지원센터가 위치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원문제공서비스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KISTI) provides domestic researchers with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through NDSL Information Document Service(NIDS) network to improve research productivity 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of research institutes are playing a major role in the NIDS collaboration network.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for document delivery service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SNA) method. Centrality of each organization in the NIDS network was analyzed with the indexes such as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KISTI, KAIST, POSTECH, and FRIC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NIDS network.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suggests several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document delivery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