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정현,Kim, Jeong-Hye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3
이 연구는 유럽의 주요 10개 대학도서관의 목록레코드에 나타나고 있는 한국관련 레코드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관련 레코드의 주제영역별 현황과 특성, 주제명 등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대부분의 도서관이 해당 국가도서관의 주제명표목표를 적용하거나 LCSH를 함께 병행하고 있으며, UNIMARC 보다는 MARC 21 형식으로 레코드를 구조화하고 있다. 둘째, 한국어 자료는 대개 로마자로 번자하고 있지만, 한국어 원어를 함께 표기하고 한국어 검색이 가능한 곳은 3개관에 불과하다. 셋째, 대부분의 도서관이 한국관련 레코드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일본관련 레코드와 비교하면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이 한국관련 자료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6배 이상 높게 나타나는 곳도 2개관이 있다. 넷째, 한국관련 레코드의 세부항목별 주제 분포에서 '역사', '정치', '경제'가 대체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섯째, 한국관련 주제명 가운데 '태권도', '김치', '독도', '동해', '두만강', '백두산' 등의 용어는 도서관마다 표기방식이 다르지만 대부분 미국의회도서관의 주제명표기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특히 '독도'관련 레코드는 독도의 한국식 발음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3개관은 'Korea'라는 지리 한정어가 부가되어 있다. 독도나 동해관련 레코드가 1건도 검색되지 않는 도서관이 2개관이나 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records related to Korea shown in the catalog of major 10 European university libra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most libraries apply subject headings of the national library, or go together with LCSH, and organize records in MARC 21 format rather than UNIMARC. Second, Korean materials usually Romanize Korean words, but three libraries are only marked with the original Korean language and available Korean search. Third, Korea-related records in most university libraries are very poor except for some libraries and are generally 2 times less than Japan related records. There are even 6 times less in 2 libraries. Forth, on investigation of the subject distribution in sub criteria of Korea-related records, subject related to 'history', 'politics', and 'economy' is largely shown in the highest rate. Fifth, Among the Korea-related subject heading, the terms such as 'Taekwondo', 'Kimchi', 'Dokdo', 'Donghae', 'Duman-gang', 'Baekdu-san' have different meanings in different libraries. However, these terms agree to LCSH in most libraries except for some libraries.
변우열,Byun, Woo-Yeoul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제정의 배경과 경과를 살펴보고 학교도서관법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고 분석한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학교도서관법은 정부입법이 아닌 의원입법으로 제정되었다. 그리고 정부기관이 아닌 NGO 활동이 학교도서관법 제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학교도서관법 구성요소 중 공통되는 요소는 목적, 정의, 국가의 책무, 설치, 업무, 인적자원, 협력망, 교육 등이다. 학교도서관 업무는 한국의 경우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고, 일본은 도서관자료의 수집, 정리와 여러 가지 행사 개최 등 학교도서관의 기본적인 업무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은 한국의 경우 사서교사, 실기교사, 사서 중에서 아무나 둘 수 있도록 하고 의무규정이 아니라 임의규정으로 되어 있는데 비하여 일본은 사서교사와 학교사서로 구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시설과 자료에 대한 규정은 한국은 자세하게 규정되어 있으나 일본은 시설과 자료에 대한 규정이 없다. 학교도서관의 교육은 한국의 경우 독서교육과 정보이용교육을 실시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포함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일본은 도서관 이용지도 만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독서교육에 대한 내용은 제외되어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omponents of school library laws of Korea and Japan. The laws of two nations were legislated by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NGO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legislative process. The common parts of the two laws are objectives, definitions, responsibilities of nations, establishments, tasks, human resources, collaborative networks, and education, etc. For the task of school libraries, Korean law emphasizes the function of education, while the Japan law focuses on the basic duties of school libraries. In terms of human resources, school libraries in Korea can have a teacher librarian, a practice teacher, or a librarian, but in Japan, they can have either a teacher librarian or a school librarian. The Korea law specifies the aspects of facilities and materials, but the Japan law does not. Finally, for the educational role, the Korean libraries have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training that are parts of school curriculum, while the Japan libraries have only a library use guidance program and does not include reading education.
주요 개발도상국의 국가도서관에 있어 한국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 유럽 및 남미지역 12개국을 중심으로 -
김정현,Kim, Jeong-Hye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1
이 연구는 유럽 및 남미지역 주요 12개 개발도상국가의 국가도서관 목록레코드에 나타나고 있는 한국관련 레코드의 주제영역별 현황과 특성, 주제명표목 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국가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관련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해당 국가도서관 자료의 0.01%도 되지 않는다. 둘째, 대부분의 국가도서관이 한국어 자료를 로마자로 번자하여 표기하고 있으며, 아르메니아 국가도서관을 제외하고 한국어 자료에 대해 원어를 표기하지 않으며, 한국어 검색이 불가능 하다. 셋째, 한국관련 레코드는 대개 사회과학과 역사 지리 분야가 50~7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부항목별 주제 분포에서는 '역사', '정치', '경제'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넷째, 한국관련 주제명 가운데 태권도는 대부분이 가라데와 구분하고 있지만 아르헨티나의 경우 태권도를 가라데로 인식하고 있다. 독도는 8개 국가도서관이 한국이라는 지리 한정어와 함께 표기하고 있으며, 동해는 7개 국가도서관이 일본해로 표기하고 있다. 압록강, 두만강, 백두산 관련 레코드는 거의 검색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cords related to Korea shown in the cataloging records of national libraries of the main 12 developing countries in Europe and South Americ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Korea-related records in most national libraries are very poor and under 0.01% of the library. Second, Korean materials usually write Korean in Roman characters except for National Library of Armenia, but there are not marked with the original Korean language and unfeasible Hangeul search. Third, on investigation of the subject distribution in sub criteria of Korea-related records, subject related to history, politics, and economy is largely shown in the highest rate. Fifth, among the Korea-related subject heading, Taekwondo is marked with distinction from Karate in most libraries except for National Library of Argentina. Dokdo is marked with the geographical name of 'Korea' in 8 national libraries and East Sea (Donghae) already is marked with 'Sea of Japan' in 7 national libraries. Amnokgang, Dumangang, and Baekdusan-related records did not search at all in most national libraries.
아태지역 주요 대학도서관의 한국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김정현,Kim, Jeong-Hye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3
이 연구는 아태지역 주요 10개 대학도서관의 목록레코드에 나타나고 있는 한국관련 레코드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관련 레코드의 주제영역별 현황과 특성, 주제명표목 등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에 저장되어 있는 한국관련 레코드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하버드대학도서관을 비롯하여 5개관이 5,000건을 상회하고 있는 반면, 국립 칠레대학도서관은 1,000건 미만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본관련 레코드와 비교하면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이 한국관련 자료에 비해 2배가량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상파울루와 베이징대학도서관은 6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개 UNIMARC 보다는 MARC 21 형식으로 레코드를 구조화하고 있으며, 해당 국가도서관의 주제명표목표를 적용하거나 LCSH를 함께 병행하고 있다. 셋째, 한국어 자료는 대체로 로마자로 번자 표기하고 있으나, 한국어 원어를 함께 표기하고 한글 검색이 가능한 도서관은 5개관이었다. 넷째. 한국관련 레코드는 대체로 사회과학과 역사 지리 분야가 70% 내외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부항목별 주제 분포에서는 '역사', '경제', '정치'가 대체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섯째, 한국관련 주제명 가운데 태권도, 김치, 동해, 황해, 독도, 두만강, 압록강, 백두산 등을 분석한 결과, 도서관마다 미묘한 차이점이 드러나고 있지만 우리의 주변 국가인 베이징과 도쿄대학도서관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미국의회도서관의 주제명표기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반면 상파울루, 칠레, 멕시코, 델리대학도서관 등에서는 이와 관련된 레코드가 거의 검색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cords related to Korea shown in the cataloging records of major 10 Asia-Pacific university libra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Korea-related records in most university libraries are very poor except for some libraries and are generally 2 times less than Japan related records. There are even 6 times less in 2 libraries. Second, most libraries organize records in MARC 21 format rather than UNIMARC, and apply subject headings of the national library, or go together with LCSH. Third, Korean materials usually write Korean in Roman characters, but 5 libraries are marked with the original Korean language and available Hangeul search. Forth, on investigation of the subject distribution in sub criteria of Korea-related records, subject related to 'history', 'economy', and 'politics' is largely shown in the highest rate. Fifth, Among the Korea-related subject heading, the terms such as 'Taekwondo', 'Kimchi', 'Dokdo', 'Donghae', 'Duman-gang', 'Baekdu-san' have different meanings in different libraries. However, these terms agree to LCSH in most libraries except for neighboring countries's libraries.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 및 추진 방향에 관한 사서들의 인식 연구
김홍렬,Kim, Hong-Ryul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1
지역대표도서관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운영되어야 하며, 그 기능과 업무내용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점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의 정책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해당지역의 도서관정책을 수립하거나 협력사업의 추진내용을 결정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 및 추진방향에 관한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사서들은 도서관 발전방향 및 정책수립과 대외도서관협력을 지역대표도서관이 추진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료의 납본 및 보존, 지역주민의 정보서비스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향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협력업무로 교육 및 문화프로그램의 협력과 도서관상호대차가 높게 나타났으며, 공동보존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협력사업으로 확인되었다. Regional central library hav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ch region. And it must to set priority the various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ibrarian's recognition about roles of regional central library for support to the local libraries. As a result, librarians was recognized the direction of library policy and cooperation between the local libraries as the most urgent task. Also, librarians was considered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and interlibrary loan as the top task to perform in the future. The results is very useful in deciding contents of library cooperation and establishing of the Library Policy.
변우열,송기호,이미화,Byun, Woo-Yeoul,Song, Gi-Ho,Lee, Mi-Hwa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2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방침이나 규범을 열거한 규칙이나 법칙이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해 본 결과 IFLA/UNESCO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임무,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 목적, 직원, 운영 및 관리, 선언의 구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를 강조하고 있다. IASL 학교도서관 선언은 학교도서관의 기능, 자료, 시설, 인적자원, 정보활용능력, 정부 및 공공단체의 지원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정보활용능력 육성을 강조하고 있다.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이념, 기능, 직원, 자료, 시설, 운영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학교도서관의 이념을 강조하고 있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선진국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여 교육 영역을 별도의 항목으로 하고 학교도서관의 임무, 시설, 인적자원, 교육, 예산, 운영 및 관리, 헌장 구현을 위한 정부의 책임 등을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A school library manifesto means the policies and rules on school libraries and includes the direction which they should follow and the criteria which school libraries should keep. Compared the school library manifestos of IFLA/UNESCO, IASL with that of Japan, the school library manifestos of IFLA/UNESCO are constituted with mission of the school library, funding legislation and networks, goal of the school library, staff, operation and management, implementing manifesto etc. and underline funding legislation and networks. The IASL policy statement on school libraries includes functions, materials, facilities, personnel, lifelong education, skills, literacy development, government and public support etc. and emphasizes lifelong education, skills, literacy development. The school library manifesto of Japan includes philosophy, functions, staff, material, facilities and management etc. and highlights philosophy.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school library manifestos of IFLA/UNESCO, IASL and Japan with that of Korea, the school library manifesto of Korea needs to comprise mission, facilities, staff, lifelong education, skills, literacy development, funding legisl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government responsibility for implementing the manifesto, etc. by accepting the components in the manifestos of advanced countries, stressing the educational roles of school libraries and by separating the educational area from others.
관종별 도서관 사서의 직무환경요인과 직무만족도의 상관성 연구
김종찬,Kim, Jong-Ch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는 국 공립대학도서관, 사립대학도서관, 전문대학도서관,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공도서관을 선정하여 관종별 도서관 사서들의 직무만족도의 차이점을 측정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항목으로 10가지 직무만족 요인을 선정하여 전체적인 사서의 직업만족도와 직무만족, 고용만족, 승진제도 만족, 업무분장만족, 보수제도 만족, 복무제도 만족, 시설환경 만족, 교육훈련 만족, 후생복지 만족,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 요인을 비교 분석 하였다. 첫째, 전체적인 사서의 직무만족도는 5점 척도 만점에 3.940으로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관종별로는 사립대학 도서관, 전문대학 도서관, 공공도서관, 국 공립대학 도서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요인에 선정된 10가지 항목에 대한 전반적인 관종별 만족도 순위는 교육훈련, 직업, 복무제도, 인간관계, 고용제도, 업무분장, 시설환경, 보수제도, 후생복지, 승진제도 만족 순으로 측정되었다. In this study, libraries of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libraries of private universities, libraries of colleges, public libraries of local governments were selected to measure,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of librarians working in different types of libraries. As for measurement items, 10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were chosen. In doing so, this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employment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promotion system, satisfaction with work distribution, satisfaction with payment system, satisfaction with service system, satisfaction with facility environment,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training, satisfaction with welfare system, and satisfaction with personal rel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job satisfaction with each factor by librarians working in different types of librarie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value of the librarians was 3.940, which means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and in terms of a type of library, libraries of private universities showed the highest value, and the next ones were found to be libraries of colleges, public libraries and libraries of national and public libraries. Secondly, regarding the ranking of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selected 10 job satisfaction factors by different types of libraries, educational training was found to rank the highest, and the next ones were surveyed to be the job, the service system, the personal relations, the employment system, the work distribution, the facility environment, the payment system, the welfare system, and the promotion system.
문헌동시인용 분석을 통한 한국학 지식구조 파악: 주체 인식과 타자 인식의 차이
김혜진,Kim, Hea-J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1
한국학의 연구 범위는 한국의 역사, 문학, 정치, 사회, 경제, 종교 등 한국과 관련된 모든 영역을 망라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동시인용 분석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한국학 지식구조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한국학을 다룬 주체에 따라 한국에서 논의된 한국 연구를 주체 인식 한국학, 한국 이외의 지역에서 논의된 한국 연구를 타자 인식 한국학으로 나누어 하위영역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SCOPUS 데이터베이스에서 'Korea' 또는 'Korean' 이라는 단어를 키워드로 포함하고 있는 인문·사회 분야 문헌 10,929건을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주체 인식 한국학의 지식구조에서는 총 20개의 하위영역이 발견되었고, 타자 인식 한국학의 지식구조에서는 총 14개의 하위영역이 발견되었다. 주체 인식의 한국학과 타자 인식의 한국학의 하위영역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은 첫째, 주체 인식 한국학의 하위영역이 타자 인식 한국학의 하위영역보다 더 다양한 영역으로 세분되어 있다는 것, 둘째, 주체 인식 한국학은 마케팅/소비자와 서비스, 산업화, 다문화, 정신건강, 관광, 한국어, 환경과 도시 등이 주요 영역을 차지하고 있고, 타자 인식 한국학은 크게 한국 대내외의 상황, 한국 대중문화, 미국 이민자로서의 한국인, 한국어/한국어 습득이 주요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체 인식과 타자 인식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영역은 정신건강, 관광, 한국어, 탈주민, 청소년 비행 등이었다. This study aims to detect the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studies using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and text mining techniques. This study divided Korean corpus into two perspectives: Self-perceived and others' perceived Korean studies. To this end, we collected 10,929 humanities and social literature containing the word Korea or Korean as a keyword in the SCOPUS database. As a result of analysis, a total of 20 subdomains were found in the knowledge structure of self-perception, and a total of 14 subdomains were found in the knowledge structure of otherts' perception. Differences in Korean Studies between two are: First, the sub-area of self-perceived Korean studies is subdivided into more diverse areas than the sub-area of other-perceived Korean studies. Second the major areas in self-perceived Korean studies are customers and services, industrialization, multiculturalism, mental health, tourism, Korean language, environment, and cities. Others' perceptions of Korean Studies are grouped into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of Korea, Korean pop culture, Koreans as US immigrants, and Korean language. Finally, the common areas of self-perception and others' perception were mental health, tourism, Korean language, North-Korean defectors, and juvenile delinquency.
변회균,조현양,Byeon, Hoi-Kyun,Cho, Hyun-Ya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se of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s in the korea library, and then search the type of social network services and the status of it's introduction. It is used to the study of the introduction and the invigor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on the compatible library. First, we extracted the list of four type's high level management libraries from 2010 to 2012. Second, we examined the website's homepage of the list of 32's university library, 41's public library, 40's school library, 9's special library. Third, the result of analysis identified the feature and difference of the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s of these libraries. Fourth, on the base of the result, it suggested some items of introduction's issue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적용하고 있는 사례를 조사하여, 관종별 도서관에 사용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종류 및 도입현황을 살펴보고, 관종별 사용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특징과 차이점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의 4개 관종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도서관 평가에서 우수 도서관 목록을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32개의 대학도서관과 41개의 공공도서관, 40개의 학교도서관, 9개의 전문도서관의 홈페이지 및 기관 사이트를 조사하였다. 셋째,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활용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종별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사용된 특성 및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넷째, 그 결과를 기초로 관종별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적용할 부분과 향후 발전방향을 제언하였다.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행정조직의 분석적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
김홍렬,조현양,Kim, Hong-Ryul,Cho, Hyun-Ya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경기도 31개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행정조직의 편성과 운영형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도서관 행정조직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본청에 직속으로 편성된 도서관 조직은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 사업소 등의 외청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또한 도서관 관련 조직이 도서관사업소 등의 독립적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타 업무나 조직 하에 배속되어 있는 경우가 매우 많았으며 셋째,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봉사대상 인구수나 도서관 직원 수, 도서관 수를 감안했을 때 이에 부합하지 않는 직급의 도서관 행정조직을 구성한 곳도 많았다. 넷째, 도서관 정책담당 부서의 설치가 미비하였다. 다섯째, 도서관 운영체제(중앙관-거점관-분관)가 효율적으로 구성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mproved model of the librar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ased on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present situations of libraries in 31 local governments of Gyeonggi province. With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there are few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 province with library-related organizations. Most of them had more organized position of extraordinary session than of affiliation with each local government. Also, library policy departments were incomplete, and local governments did not configure the library operating System(central library - base library - branch library) effici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