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엄언라의 호남 선교 활동과 한국·여성 인식(1907~1930)

        이정선 호남사학회 2023 역사학연구 Vol.92 No.-

        본 논문의 목적은 남장로교 선교사와 한국인의 관계를 상호작용의 시각에서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라남도 광주 선교부 소속이었던 여성 선교사 엄언라의 생애와 그의 한국 및 여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해보았다. 엄언라는 1869년 노스캐롤라이나에서 나고 자란 스코틀랜드계 미국인이었다. 1907년 전문직 선교사로서 한국에 파송되었고, 광주 선교부 여성 순회 선교사로 활동하다가 1930년 사망하여 양림동 선교사 묘역에 묻혔다. 광주·전남 지역에 장기 체류하며 순회 선교 활동을 한 것은 엄언라의 지역사회와의 접촉면을 넓혔고, 엄언라는 한국인과 한국 문화를 이해하려 노력하였다. 엄언라는 선교 활동의 무대인 한국의 상황에 대해 특히 한국인의 종교 관념과 한일 관계에 관심을 가졌다. 엄언라는 한국인에게도 종교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순회 선교하면서 목격한 마을이나 가정의 민간신앙이 판단의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한국인의 신앙을 악령 숭배로 이해했고, 육신과 정신을 모두 구원할 수 있는 종교는 기독교뿐이라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한국인의 국권 상실에 동정하면서도 그들의 정치적 구원(=독립) 요청은 도외시했고, 기독교의 비정치화를 표방하면서도 일제 식민 통치 당국에는 협력했다. 기독교 선교를 최우선시해서였다. 선교 활동의 대상이었던 한국 여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선교사 엄언라와 한국인의 상호작용이 잘 드러난다. 처음에 엄언라는 한국인 여성의 낮은 사회적 지위에 주목했고, 가난한 전라남도의 여성을 계몽과 시혜의 대상으로 바라보았다. 하지만 전도부인 등 한국인 여성은 엄언라의 중요한 파트너였으며 자발적으로 기독교를 흡수했다. 또 엄언라가 한국인을 관찰한 것처럼, 한국인도 미국인 여성 엄언라를 관찰하고 자신들의 통념을 기준으로 평가했다. 한국인은 엄언라를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보았고, 엄언라는 한국인의 관념에서도 자신이 정숙한 여성으로 비치기를 희망했다. 문제는 엄언라가 한국인이 바람직하지 않게 생각하는 나이 많은 독신 여성이라는 점이었다. 기독교 선교를 위해서 엄언라는 한국인과도 우호적 관계를 유지해야 했기에, 가급적 한국인의 여성 인식을 거스르지 않았고 때로는 자신도 그 관념에 맞추려 했다. This article studied on the life of Ella Ibernia Graham, a female missionary at the Gwangju territory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and her perception of Korea and Korean wome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ssionaries and Koreans. Ella Ibernia Graham was a Scottish American born and raised in North Carolina since 1869. In 1907, she was sent to Korea as a professional missionary, worked as a female itinerating missionary in Gwangju territory, and died in 1930. She was buried in the graveyard of a missionary in Gwangju. Long-term stays in Gwangju-Jeonnam area and itinerating missionary activities expanded contact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she tried to understand Koreans and Korean culture. Ella Ibernia Graham was interested in Koreans' religious ideas and Korea-Japan political relations, which is the stage for missionary activities. She thought that Koreans had a religion. The folk beliefs of villages and families witnessed during the itinerating activities served as the basis for judgment. However, she understood the faith of Koreans as evil spirit worship, and thought that Christianity was the only religion that could save both body and spirit. Thus, for Christian missionary work, while sympathizing with the loss of Korean national sovereignty, she neglected their request for political salvation (=independence), and cooperated with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while advocating the non-politicalization of Christianity. The interaction between Ella Ibernia Graham and Koreans is well revealed in the perception of Korean women who were the targets of missionary activities. At first, she paid attention to the low status of Korean women, and looked at poor women in Jeonnam as objects of enlightenment and benefit. However, Korean women, including bible women, were important partners of Ella Ibernia Graham, and voluntarily absorbed Christianity. In addition, just as Ella Ibernia Graham observed Koreans, Koreans also observed American women and evaluated them based on their conventional ideas. Koreans looked at American women with curious eyes, and Ella Ibernia Graham hoped that she would be seen as a virtuous woman even in the Korean morality. The problem was that she was an old single woman whom Koreans found undesirable. For Christian missionary work, Ella Ibernia Graham had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not only with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but also with Koreans. So she did not go against the perception of women in Korea as much as possible and sometimes tried to fit the idea herself.

      • KCI등재

        초기 호주장로교 선교사들의 입국 배경과 한 사례로서의 의료활동

        이영식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2 영산신학저널 Vol.- No.62

        Early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aries in Busan and Gyeongnam faithfully performed their evangelical ministry and educational and medical works. In this study, I tried to illuminate the background of the arrival of mis- sionaries in Korea and medical activities among missionary activities as an example. Australian missionaries such as John Geddie, John G. Patton, and Davis played a pioneering role in the missionary movement of the early Victorian Presbyterian Church in Australia. Since then, the organization of missionary agencies and student and lay missionary movements have played a valuable role in Korean missionary work. Hugh Currell was the first medical missionary of the Australian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He arrived in Busan in 1902 and started medical work there, then moved to Jinju on October 20, 1905, and opened mission station of the Jinju mission. Charles I. McLaren, also a medical doctor, entered Korea in 1911 as a missionary. He served at Paton Hospital and Severance Hospital with an emphasis on faith as well as scientific medicine. He also actively opposed the enforcement of Shinto-Shrine by the Japanese. As such, medical activities provided an important point of contact for the gospel. Those also promoted better life by providing medical assistance for Korean people and greatly contributed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future medical missionary works in Korea. 초기에 내한한 호주장로교 선교사들은 복음사역을 성실히 수행했으며, 교육선교와 의료선교 활동을 전개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한국선교에 대한 내한 선교사들의 입국 배경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초기 선교활동 가운데 하나의 사례로서 의료활동을 조명하려고 했다. 이를 통하여 통찰을 얻고 오늘날 한국교회의 복음 전파 및 대사회적 활동에 미약하나마 기여했으면 한다. 존 게디, 존 패튼, 데이비스 등과 같은 호주 선교사들은 초기 호주 빅토리아 장로교회의 선교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이후 선교사 파송 기관과 평신도 선교운동이 한국선교에 귀중한 역할을 했다. 호주장로교회의 내한 첫 의료 선교사는 휴 커렐(Hugh Currell)이다. 그는 1902년 부산에 도착하여 의료활동을 하다가 1905년 10월 20일에 진주로 옮겨 진주 선교부 시대를 열었다. 맥라렌(Chrales I. McLaren)은 한국 선교사로서 1911년에 입국하였다. 그는 배돈병원과 세브란스병원에서 사역을 감당했으며, 과학적인 의술과 동시에 신앙을 강조하는 의사였다. 그리고 그는 일제 강점기에 공창제 폐지운동을 전개했으며, 신사참배 강요에 적극적으로 반대했다. 이와 같이 의료활동은 복음의 중요한 접촉점을 제공했다. 한국인의 건강한 삶을 고양했고, 기독교 의료 인재를 양성하여 미래 선교 한국의 토대를 놓는 데 크게 기여했다.

      • Миссионерская деятелъностъ РусскойПравославнойЦеркви в ХХ веке

        М. Шкаровский 고려대학교 러시아 CIS연구소 2009 Acta Russiana Vol.1 No.-

        After the October revolution of 1917 the missionary activity of the Russian Church was considerably reduced, however its activity was further carried on although under much more complex conditions. After the first antireligious actions of the Soviet authorities for several years we had been witnessing a massive religious rise. Theological education, despite severe persecutions, even had gone through a short-term period of blossoming (last theological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liquidated in 1928-1930). The most active forms of semi-legal church activity of 1920s were brotherhoods at temples and monasteries; hand-written messages of bishops, church documents and messages were spread secretly. During the repressions of 1930s the centre of gravity of missionary activity had shifted to illegal forms (church publishers, wandering priests and preachers, underground educational classes). It allowed the Church to withstand all the difficulties during the greatest persecutions. At the same time Russian church emigration actively conducted missionary activity abroad. Temporary revival of mass missionary work inside the USSR took place during the World War Ⅱ and, first of all, on the occupied territories. In total during the occupation about 10 thousand churches and 60 monasteries were opened there. In the first years after the war the Moscow Patriarchy managed to revive two Theological Academics and 8 seminaries, to renew publishing and to head the work of some Missions abroad: in Palestine, China, Korea. With the beginning of a new wave of antireligious persecutions in 1958-1964 when even such limited opportunities became impossible, illegal missionary work began to develop again: distribution of religious self-published materials, creation of clandestine circles and societies, secret propaganda activity. Thus, the missionary activity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in one form or another had been taking place during the whole period of Soviet power, which allowed the Church to withstand everything under the tough conditions of the XX century. In the late 1980s - early 2000s internal and external missions had received significant development in the new conditions and though they are developing with some difficulties and have to overcome numerous objective and subjective obstacles, nevertheless it gives the Russian Orthodix Church a new impulse for development.

      • 기독교 대학의 단기선교 전략 : 경남정보대학 국제선교봉사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창훈(Lee Chang Hun) 대학복음화학회 2006 대학과 복음 Vol.12 No.-

        One of the main concerns of christian colleges in our country is how to plant christian identity in the college culture. It belongs to their basic work. And also it's a matter of approaching entire members to preach the gospel in their college. There are various ways to preach the gospel. Among them, this thesis is to show how effectively we preach the gospel to foreign country through short-term international mission & service corps. KIT's IMSC has explored this thesis. Strategies of KIT's IMSC missionary work are as follows: First, coincide the orientation of our missionary work with that of local missionaries. Second, train members of our team thoroughly. Third, carry out missionary work continuously. Fourth, unite students with faculty & staff in the college harmoniously and actively support them from college authorities. These results are from the activity of continuous IMCS. I hope that the existing problems of short-term missionary work will be improved effectively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개화기 여학교의 교과 및 비교과 교양교육

        김향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3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programs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nducted by the first western-style girls` schools in late Chosen Dynasty. As a way of studying, I will exam the education system for liberal arts education at Ewha Hakdang and Jungshin Girls` School, the first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girls in Chosen. The systems, methods, and management conditi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conducted by these two girls` schools can also be served as a reference for our present liberal arts education. Ewha Hakdang in 1886 and Jungshin Girls` School in 1887 was built by christian women missionaries Mary Scranton, Annie Ellers. These two girls` schools, the first modern girls` schools which greatly influenced on education system of the other girls` school in Korea taught girls Bible as an essential subject focussing on the core value for Christianity, and Chinese letter, math, geography, as well as English, music as liberal arts education. Most of all, christian women missionaries Mary Scranton, Annie Ellers encouraged students to take part in a variety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that time included student councils, such as literary meeting, debating society, mission, YMCA. Al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se student councils. P.E and music in campus activities as liberal arts education were connected off-campus programs such as sports, chorus, and playing instrument. Especially, Ewha Hakdang and Jungshin Girls` School ran residential schools for the whole students. It was crucial for residential schools at that time to enable students to develop a sense of cooperation, order, and sociality between seniors and juniors as mentor and mentee. Also, most of students took part in various volunteer activities including a tour of the country, enlightenment movement for rural communities, and dispensing relief supplies as leaders. 본 연구는 여학교 교양교육의 뿌리를 찾아서, 개화기에 실시된 서구 근대식 최초의 여학교의 교과 및 비교과 교양교육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1886년과 1887년에 각각 문을 연 조선 최초의 서구 근대식 여학교인 이화학당과 정신여학교에서 실시된 교양교육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이들 학교에서 실시된 교과 및 비교과 교양교과목과, 방법 및 운영 사례는 오늘 날의 교양교육을 위한 기본 참고자료로 이용가능 할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개화기에는 남성중심사회로서 남자아이들만의 교육을 위한 서당이 있었고, 여 아는 교육의 대상이 아니었다. 여성천시풍토 가운데서 여아를 위한 교육기관의 설립과 교육과정 을 고찰하는 일은 매우 의미심장한 일일 것이다. 특히 최초의 여학교 교육은 여타 조선의 여학교 설립과 운영에 모델로서 작용하여 영향을 미쳤으므로 더욱 의미있다. 기독교 여성 선교사 메리 스크랜턴과 엘러스 벙커에 의해 설립된 이화학당과 정신여학교는 기독교 선교가 목적이었으므로 성경을 중요 교과목으로 다루면서도 산술, 한문, 영어, 지리, 체조, 도화, 음악을 교양 교육 교과 목으로 가르쳤다. 특히 이 두 학교는 비교과 교양교육을 활성화 하였는데, 여성선교사들은 비교 과 활동을 여학생들에게 권고하였다. 대표적인 비교과활동들은 학생회활동으로 문학회, 토론회, 선교회, YWCA 등에 전교 여학생들이 참여하였고 교양 교과목인 체육과 음악과목은 비교과 활 동과 연계되어 교내 체육활동과 교내 외 합창을 위시한 음악활동으로 연계되었다. 특히 당시의 전교생 기숙사 학교생활은 선 후배간의 멘토와 멘티로서 협동심은 물론 공적 질서관념과 사회성 을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리하여 전국순회공연을 포함한 교내 외 합창, 농촌계몽 운동, 구호물 보내기 등 전교생 대부분이 각각의 학생단체에 가입하여 사회 지도자로서 활발하 게 봉사활동에 참여했다.

      • KCI등재

        불교종립대학의 불교기반 인성교육 교과과정 개선방향

        조기룡(Cho, Ki-Ryo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8

        불교종립대학이란 불교이념에 입각한 교육을 실시하고자 불교종단이 출연(出捐)하여 설립한 대학을 의미한다. 본고는 불교종립대학의 불교기반 인성교육의 교과과정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국대학교(조계종), 위덕대학교(진각종), 금강대학교(천태종), 그리고 원광대학교(원불교)의 현황을 조사하였는데, 사회 측면에서는 취업교육의 강화와 교양교육의 약화가, 학생 측면에서는 거부감과 무관심이, 그리고 교·강사 측면에서는 전임교원 교양교육 비율의 저조와 교양교육 강의의 개별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들 문제점을 토대로, 본고는 불교종립대학의 불교기반 인성교육의 개선방향을 다음의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자유학문적 교양교육의 강화이다. 취업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 대학교육의 현실 속에서 본래 대학교육의 이념인 자유학문적 교양교육, 즉 진·선·미와 지·정·의를 갖출 수 있도록 전인교육(全人敎育)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둘째, 불교기반 인성교육의 대중화이다. 불교기반 인성교육 교과목의 수업들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일방적 불교의 포교가 아닌 그들이 가진 고민과 문제, 그리고 인생관을 교수와 논의하는 쌍방향적 토론식으로 개발하여 해당 교과목들에 대한 학생들의 종교적 거부감을 해소하자는 것이다. 셋째, 불교기반 인성교육의 표준화이다. 불교기반 인성교육 교과목들의 표준교재를 지정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공통되게 교육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비교과 교육과정의 활성화이다. 인성교육은 교과과정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불교의 교리와 사상과 문화를 기반으로 한 비교과 교육과정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자는 것이다. 본고는 그 구체적 방안으로 교수 ․ 학생 신행회, 템플스테이 체험, 명상 및 참선 프로그램 등을 프로그램으로 제시하고, 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마일리지 점수와 그에 따른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식인 (가칭)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를 제안하였다. The Buddhist Missionary University was founded with funding from the religious orders of Buddhism with the purpose of offering education based on Buddhist ideas.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curricula at the Buddhist Missionary University. To this end, the author investigated current curricula at Dongguk University (Jogye Order), Uiduk University (Jin-gak Order), Geumgang University (Cheontae Order), and Wonkwang University (Won-Buddhism) and identified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curricula: an excessive emphasis on job training and weakened general education with regard to social aspects ; repulsion and disinterest on the part of students; and a low proportion of full-time instructors with general education background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ur directions to improve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at the Buddhist Missionary University. The first task is to reinforce general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 learning. Given the current focus on job training, general education based on free learning, a core principle of university education, must be emphasized to enhance whole-person education so that students are equipped with truth, goodness, and beauty, as well as knowledge, justice, and righteousness. The second direction involves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Classes related to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should not be designed to propagate religious ideas but must instead be designed to encourage two-way discussions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about issues students care most about, such as their lives and careers, without being religiously intimidating. The third task is to standardize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Standard textbooks for Buddhism-based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esignated for each subject so that education and evaluation are carried out in a uniform fashion. The fourth initiative should be to vitaliz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the ability of regular curricula to fulfill the goals of character education is limi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Buddhist doctrines, ideas, and cultures. To this end, this study suggests the implementation of detailed programs such as a faith practice retreat for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as well as experiences such as temple stays, meditation, and mindfulness training.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these programs, this study proposes an “extracurricular mileage program” that incentivizes students to engag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rough “mileage points.”

      • KCI등재

        오방 최흥종의 신앙노선과 선교활동

        한규무(Hahn Kyu-Mo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8

        이 논문은 최흥종의 신앙노선과 선교활동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의 신앙노선은 이채롭다. ‘오방’, ‘거세수술’, ‘사망통고서’ 등이 상징하듯 그는 무욕 청빈을 실천하며 수도자같은 생활을 하면서도 정치사회적 현실과 거리를 두지 않고 참여했다. 그리고 기성교단과 교역자들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도 ‘분립’에는 반대했다는 점에서 이른바 ‘자치교회’, ‘자유교회’와는 차이가 있다. 또 무교회주의의 영향을 받았지만 평생 교회를 떠나지 않았고, 이세종 이현필 등 성경공부와 제자훈련에만 전념한 이들과 달리 사회사업은 중단하지 않았다. 그리고 언제부터인가 ‘종교다원주의’의 경향도 띄게 되었다. 그의 선교활동은 복음선교 의료선교 교육선교 사회선교 등 모든 영역에 두루 걸쳐 있었고, 비록 좌절되었지만 북간도 선교를 염원했고 시베리아 제주도 선교에도 큰 족적을 남겼다. 병자 빈민 걸인 등을 위한 헌신은 평생 지속했으며, 특히 구라선교에서 그의 위치는 독보적인 것이었다. 그리고 해방 전후 민족운동 건국운동에서도 ‘좌우’ 양측을 아우르며 신망을 얻은 지도자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Choi Heung-jong`s faith routes and missionary activities. His faith routes were unusual. As it was represented in his “Obang,” “castration operation,” and “notice of death,” his life resembled that of an ascetic based on the practice of no avarice and honest poverty. He did not distance himself from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taking active part in it. He criticized sharply the old religious bodies and workers and yet opposed to their “separation,” thus being different from the so-called “Autonomy Church” or “Freedom Church.” Although he was influenced by the non-church movement, he did not left the church until the end of his life. Unlike Lee Se-jong and Lee Hyeon-pil that were committed only to Bible study and training of pupils, he did not suspend his social work. At some point, he started to exhibit the tendency of “religious pluralism.” His missionary activities encompassed all the areas evenly including the gospel, medicine, education, and social missionary works. He had a wish to do missionary works in North Gando, but his wish did not come true. He also left a huge mark in the missionary work of Siberia and Jeju Island. His devotion to the invalid, the poor, and beggars continued throughout his life. His position was especially unrivaled in the missionary work of leprosy relief. He was a leader that earned trust both from the “left and right wings” in the national movement and the national foundation movemen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 KCI등재후보

        사찰경영의 성공적 사례와 불교교단적 함의

        조기룡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9 禪文化硏究 Vol.7 No.-

        The management of temple is an unfamiliar and difficult matter to the monk to be absorbed in the ascetic exercises. Because the monks have had little formal schooling about the management of temple, their learning for management of temple is degree of listening courteously the know-how from an acquaintance. On this, I select sample temples which are sufficient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andards, analyze the process and the primary factor of success, and show the social implications. The selected sample temples are Nungin Sunwon(Seoul), Hanmaum Seonwon (Anyang), Seokwangsa(Bucheon), Korea Buddhist University·Great Kwaneum Temple (Daegu), and Guryongsa(Seoul). These temples have successfully grown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by the management to be able to project their own personality. But among the each personality management, we can find that "after training and organizing believers, all sample temples have believers join in affairs of temple internally and have them contribute to society externally by the voluntary activities. A certain person often considers successful management of temple as the quantitative growth. But a final object of temple management is not growth to big temple but salvation of mankind. On this, we must manage temple from the viewpoint of missionary activities. With this view, an establishment of temple has not to lean upon the specified region to gather believers easily. And also we must give attention to the branches to be established by the huge support of big temple because the branches can drive existing small temples to the ruin. 수행을 본분사로 하는 출가자에게 사찰의 경영은 원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낯설고도 어려운 일이다. 현재 사찰경영과 관련해서는 교육을 제대로 받을 수도 없기 때문에 출가자의 대부분은 지인들로부터 사찰경영에 대한 노하우(know-how)를 듣는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다. 이에 필자는 사찰경영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사찰 중 양적 기준과 질적 기준을 충족하는 표본사찰을 선정하여, 그 성공과정과 성공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불교교단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선정된 표본사찰은 능인선원(서울), 한마음선원(안양), 석왕사(부천), 한국불교대학 大관음사(대구), 구룡사(서울)였다. 표본사찰들은 사찰별로 특성 있는 경영을 하여 성공적으로 양적·질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런데 각각의 표본사찰들이 특성 있는 경영을 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공히 ‘신도를 교육하여 체계적으로 조직한 후 대내적으로는 사찰의 일에 동참시키고, 대외적으로는 봉사활동을 통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혹자들은 흔히 신도의 수를 증가시키고 사찰의 규모를 확장하는 것을 사찰경영의 성공적 사례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사찰경영의 궁극적 목적은 대형사찰로의 성장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전하여 중생을 제도하는 것이다. 이에 사찰의 크고 작음이 아닌 사찰의 가치가 무엇이며, 포교란 어떤 의미인가에 대한 불교적 성찰을 통하여 목표가 성취되어가는 사찰이 만들어져야 한다. 또한 불법(佛法)의 홍포(弘布)를 위하여 포교당의 창건이 특정지역에 편중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현재의 대형포교당들이 막대한 지원을 하여 분원·지원을 개원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기존 중소형사찰들을 생존의 위기로 몰아넣을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 KCI등재

        기획 논문 : 사찰경영의 성공적 사례와 불교교단적 함의

        조기룡 ( Ki Ryong Ch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9 禪文化硏究 Vol.7 No.-

        수행을 본분사로 하는 출가자에게 사찰의 경영은 원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낯설고도 어려운 일이다. 현재 사찰경영과 관련해서는 교육을 제대로 받을 수도 없기 때문에 출가자의 대부분은 지인들로부터 사찰경영에 대한 노하우(know-how)를 듣는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다. 이에 필자는 사찰경영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사찰 중 양적 기준과 질적 기준을 충족하는 표본사찰을 선정하여, 그 성공과정과 성공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불교교단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선정된 표본사찰은 능인선원(서울), 한마음선원(안양), 석왕사(부천), 한국불교 대학 大관음사(대구), 구룡사(서울)였다. 표본사찰들은 사찰별로 특성 있는 경영을 하여 성공적으로 양적·질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런데 각각의 표본사찰들이 특성 있는 경영을 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공히 ``신도를 교육하여 체계적으로 조직한 후 대내적으로는 사찰의 일에 동참시키고, 대외적으로는 봉사활동을 통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혹자들은 흔히 신도의 수를 증가시키고 사찰의 규모를 확장하는 것을 사찰경영의 성공적 사례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사찰경영의 궁극적 목적은 대형사 찰로의 성장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전하여 중생을 제도하는 것이다. 이에 사찰의 크고 작음이 아닌 사찰의 가치가 무엇이며, 포교란 어떤 의미인가에 대한 불교적 성찰을 통하여 목표가 성취되어가는 사찰이 만들어져야 한다. 또한 불법(佛法)의 홍포(弘布)를 위하여 포교당의 창건이 특정지역에 편중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현재의 대형포교당들이 막대한 지원을 하여 분원·지원을 개원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기존 중소형사찰들을 생존의 위기로 몰아넣을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The management of temple is an unfamiliar and difficult matter to the monk to be absorbed in the ascetic exercises. Because the monks have had little formal schooling about the management of temple, their learning for management of temple is degree of listening courteously the know-how from an acquaintance. On this, I select sample temples which are sufficient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andards, analyze the process and the primary factor of success, and show the social implications. The selected sample temples are Nungin Sunwon(Seoul), Hanmaum Seonwon (Anyang), Seokwangsa(Bucheon), Korea Buddhist University·Great Kwaneum Temple (Daegu), and Guryongsa(Seoul). These temples have successfully grown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by the management to be able to project their own personality. But among the each personality management, we can find that "after training and organizing believers, all sample temples have believers join in affairs of temple internally and have them contribute to society externally by the voluntary activities. A certain person often considers successful management of temple as the quantitative growth. But a final object of temple management is not growth to big temple but salvation of mankind. On this, we must manage temple from the viewpoint of missionary activities. With this view, an establishment of temple has not to lean upon the specified region to gather believers easily. And also we must give attention to the branches to be established by the huge support of big temple because the branches can drive existing small temples to the ruin.

      • KCI등재

        근대 한일관계와 개항지 부산 -신흥종교의 포교활동을 중심으로 -

        이원범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3

        본고의 목적은 근대 한일관계에서 개항지 부산에서의 일본거류민 사회의 형성과 자생종교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개항기 부산의 일본 거류민 사회의 형성은 일본인 종교 활동과 관계가 깊다. 역사적으로 19세기 천리교(天理教), 금광교(金光教)와 같은 일본의 자생종교는 일본인의 해외 이주가 시작되면서 해외 포교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일본 자생종교의 해외 진출은 일본인 이민사회 성립을 전제로 일본인을 대상으로 하는 포교활동이 중심이었고, 이후 점차 이민사회를 넘어 현지인에게 확산되어 현지의 조직 기반을 확립하게 되었다. 일본정부의 지지를 받지 못했지만, 자생종교의 활동은 민중의 정신세계에 대한 지배를 강압적으로 추진하였던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체제 속에서 지배계층과는 다른, 그들 자신의 전통적 가치의식과 행동양식을 고수하고 보편주의적 신앙운동으로 승화시켜 갔다는 것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Japan-Korea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was developed in many areas. In particular, Pusan played role of cultural gate from continent to Kyushu Island. In spite of Japan-Korea cultural exchange, there is lack of research under life of Japanese residents by that time. Aim of this essay is research under modern Japan-Korea relations regarding to opening of Pusan port and to investigate and analyze formation of Japanese residents community and its strong connection with religious activity. In 19th century Tenri and Konkokyo sects, indigenous Japanese sect, was brought by Japanese immigrants to Korea and propagated. Immigration of indigenous sects is reason why Japanese immigrants’ community was established, teaching activities was in great concern of Japanese people. Through teaching, knowledge was gradually spreading among Koreans and it was basis to establish some organizations. Even thought those indigenous sects activity was not supported by Japanese government, in the colonial system of Japanese imperialism rule, control of peoples spiritual life was promoted. To protect Koreans traditional values consciousness and style of life, different from ruling class, forced sublimation to universal belief movement cannot be overlooked, and it has historical meaning. In fact, from modern Japan-Korea cultural exchange ethnical conflict of dominating vs. dominated can be assumed, but it was not time of mutual exclusion nationalism. Co-existence and cooperation of people oriented to universalism can be recal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