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적 방법론과 회계학연구

        김석웅(Kim Seok-woo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65

        최근에 우리 나라에서도 질적 방법론과 이를 이용한 질적 연구가 사회학, 간호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회계학계에도 일부가 발표되고 있지만, 질적 방법론의 분야에서 방법론, 이론, 연구방법, 자료조사방법, 자료해석방법 등에 관한 개념들이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고 혼재되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연구의 내용분석을 통해서 질적 방법론의 체계를 명확히 하고 연구현황을 살펴서 한국의 회계학계에 질적 방법론과 연구방법의 이해와 확산을 촉진하고자 한다. 질적 방법론은 비판적 방법론과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주로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한다. 해석적 방법론은 연구대상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연구대상자의 체험을 통해 경험현실을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질적 방법론인 해석적 방법론의 철학적 배경은 해석학과 현상학이고, 주로 이용하는 이론은 사회학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구조화이론, 일상생활방법론, 제도이론, 행위자연결망이론 등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민속지학, 실행연구, 사례연구, 근거이론 등이고, 자료수집방법은 면접, 참여관찰, 현장연구, 문헌조사 등이며, 자료분석방법은 해석학, 서사분석, 기호학(내용분석, 대화분석, 담론분석) 등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내용분석해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민속지학(ethnography)은 문화기술지, 민속기술지, 종족지학이라고도 하는데, 연구대상인 사람(회계담당자)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적 배경에 대해 연구자가 (비)공개적으로 그들의 삶에 일정한 기간동안 참여하여 직접 체험하면서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방법이다. 실행연구(action research)는 현실의 구체적인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추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실행연구에서는 연구로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해석적 방법론의 사례연구(case study)는 연구자가 구체적인 사례에 직접 참여하여 체험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례를 연구한다. 해석적 방법론에 의한 연구는 주관성, 일반성의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결합하는 Q방법론, 삼각측정(triangulation) 등의 혼합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Nowadays, Qualitative methodology has also been applied to various disciplines such as Sociology, Nursing, Education in Korea. In Accounting, Although some qualitative researches have been published, their concepts such as methodology, research method, theory, data researching method and data interpreting method have not been clar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and expansion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method in the Korean accounting community through clarifying the framework of qualitative methodology by content analysis of prior accounting researches. The qualitative methodology means both the critical methodology and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owever it mean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in a narrow sense. It is the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view point of the researched and to interpretate and reconstruct the reality experiencing through lived experienc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re hermeneutics and phenomenology. Theories used in qualitative methodology are sociological theories such as symbolic interactionism, structuration theory, ethnomethodology, institutional theory, actor- network theory. The research methods are action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In this paper, the research methods of qualitative methodology are the research focus. The ethnography is the research method to collect data on the life style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researched people(accountants) through lived experience participating the phenomena and life of them during some periods. The action research is the process to pursue the knowledge to solve specific problems at the field. The case study of interpretive methodology is to research the case at which the researcher have participated during some period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as some problems such as subjectivity and lack of genera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Mixed methods such as Q methodology, triangulation have been used.

      • KCI등재

        전략의 기표, 응전의 기의 - 김남천 창작방법론의 비평적 성격과 리얼리즘론의 의미 고찰 -

        김민정 ( Kim Min-jeong )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5

        이 글은 김남천 창작방법론의 의미를 재조명한 글이다. 김남천의 창작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작방법론은 전향의 논리, 혹은 실패의 서사로 귀결되어 왔다. 여기에는 고발문학론에서 주장한 주체 정립의 문제가 관찰문학론에 이르러 `관찰`(묘사)로 수렴되면서 결국 주체 정립에 실패했다고 보는 관점이 자리한다. 또한 비평에 대응한 창작이 일제 말기에는 주춤해지게 된 것도 창작방법론의 전개가 실패했다고 보는 관점의 한 축을 차지한다. 하지만 창작방법론의 기획 의도와 전개 과정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보면 창작방법론은 주체 정립에 실패한 논의가 아님을 알 수 있다. 김남천은 창작방법론 전개 이전부터 `관찰`(묘사)을 염두에 두고, 객관현실의 묘사와 작가적 실천의 변증법적 통일을 이뤄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나간다. 먼저 마르크스주의에 기초한 사회주의 세계관을 유지한 채,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조선의 현실에 맞게 변용하고자 했다. 이에 리얼리즘의 역사를 소급해 18~19세기 발자크, 고리끼 등이 펼친 리얼리즘을 바탕으로 주체 정립의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이데올로기에 갇혀 있던 리얼리즘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자 했다. 또한 창작방법론을 단지 창작을 위한 방법론 마련으로만 활용한 것이 아니었다. 창작방법론 전개에 있어 비평과 창작의 병행이라는 형식 실험 안에서 김남천은 `비평`에 무게중심을 둔다. 그는 `비평` 우위의 관점을 통해 작가의 창작과정을 파헤치며 주체 정립의 방법을 모색해 나간다. 이는 창작방법론이라는 기표를 통해 조선적 현실에 맞는 리얼리즘론을 정립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창작방법론의 수사적 성격을 엿볼 수 있다. 이렇듯 비평을 우위에 둔 창작방법론 전개의 기저에는 `생활` 반영의 문제가 자리한다. 카프 해산 이후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자리에 `생활`이 놓이게 되면서 작가의 세계관(주체)과 이를 반영한 객관세계는 `생활`의 문제로 수렴된다. 김남천에게 있어 `생활`의 반영이 곧 리얼리즘으로 치환될 수 있는 상황에서 `장르`에 대한 인식은 `체험`과 `관찰`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장르를 형성하는 형식은 장르의 외피만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세계관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이었다. 시공간에 따라 유동하는 장르의 성격, 작가의 세계관이 창작방법으로 형상화 된다는 로젠탈의 이론 등은 결과적으로 장르에 대한 인식이 `생활`의 인식과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체험`=`관찰`의 관계를 증명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김남천의 리얼리즘론은 창작방법론이라는 기표를 수사적(修辭的)으로 활용하여 `조선적 리얼리즘`을 성취하고자 했던 응전(應戰)의 서사였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sheds new light on the meanings of Kim Nam-cheon`s creation methodology. Kim Nam-cheon`s study on creation methodology is considerable. Nevertheless, it has come down to the logic of conversion or the narration of failure. Here lies the viewpoint that the matter of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claimed by the literary theory of accusation was converged to `observation` (description) claimed by the literary theory of observation, and ended up failing in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In addition, it holds one axis of the viewpoint of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reation methodology as a failure that creation corresponding to criticism slowed down at theory in the late colonial era. However, when the intention of the planning of creation methodology and its aspect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were examined,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creation methodology is not the discussion that has failed in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Kim Nam-cheon sought for the way to achieve of an objective-reality description and writer`s practical dialectic unification, keeping `observation` (description) in view before development. He tried to transform socialist realism appropriately for the reality of Joseon while maintaining a socialist world view based on Marxism. Accordingly, he intend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realism which had been restricted by ideologies of finding simultaneously the ground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based on the realism developed by Balzac, Gorky and others in the 18th and the 19th century. The creation methodology is also that it was not prepared just for the methodology of creation. Kim Nam-cheon highlighted the role of `criticism` in a formal experiment combined of criticism and creation in the development of creation methodology. He found out to establish a subject with investigating writer`s process of creation through an omniscient viewpoint. At this point the signifier of creation methodology ultimately has rhetorical characteristics in that making use of methodology to set up realism fitting for the reality of Joseon. Like this, the matter of `saenghwal` reflections given priority to criticism is positioned the groundwork of creation methodology development. As `saenghwal` was put in the place of a socialist ideology after dissolving KAPF, the writer`s world view(subject) and the objective world reflecting this converged a matter of `saenghwal`. The recognition of `genre` mediates `experience` and `observation` under the situations where `saenghwal` reflections shifts into realism to him. The form that forms the genre is not a role of the crust of the genre but is formed from basing on writer`s world. The nature of the genre that flows according to time and space, Rosenthal`s theory that the world view of the writer`s is shaped by the creative method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genre is not different from the perception of `saenghwal`. Through the process of 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Observation` the realism theory of Kim Nam-cheon shows that it was the signified of accepting a challenge that wanted to accomplish `Joseon realism` by rhetorically using the signifier of creation methodology.

      • KCI등재

        해양경계획정에 적용할 수 있는 ‘3단계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소고

        이기범(Lee Kibeom) 대한국제법학회 2020 國際法學會論叢 Vol.65 No.2

        2009년 ICJ의 Black Sea (Romania v. Ukraine) 사건이 소위 ‘3단계 방법론’을 확립한 이후 3단계 방법론은 해양경계획정을 수행하는 국제재판소의 표준적 방법론으로 자리를 잡았다. 배타적 경제수역 또는 대륙붕의 경계획정을 규율하는 법적 구속력 있는 규칙은 유엔해양법협약 제74조 제1항 또는 제83조 제1항에 규정되어 있는 것처럼 그리고 국제관습법상으로도 ‘형평한 해결의 도달’이다. 이와 같이 모호한 법 규칙을 적용하기 위해 국제재판소가 확립한 3단계 방법론은 객관성 또는 예측가능성을 담보한다는 차원에서 찬사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3단계 방법론은 내재적으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제1단계에서는 잠정적인 등거리선을 설정할 때 필요한 기점들이 주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이는 등거리 방법 자체가 객관적이라 해도 등거리 방법의 ‘적용’은 주관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련 사정들이 제2단계에서만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문제라 지적할 수 있다. 하지만 제1단계에서 관련 사정들의 존재 때문에 잠정적인 등거리선이 아닌 잠정적인 이등분선이 설정될 수도 있는 것처럼 관련 사정들이 반드시 제2단계에서만 고려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불균형성 점검’, 즉 제3단계는 그 존재 의의부터 의심받고 있다. 오늘 현재까지 그 어떤 국제재판소 판례도 제3단계에서 제1단계와 제2단계를 통해 그려진 경계선을 이동시킨 적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내재적 한계를 고려했을 때 3단계 방법론은 ‘방법론’으로서의 의의만 가질뿐 3단계 방법론이 그 이상의 함의를 포함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즉, 3단계 방법론이 적용되어 투명성과 해양경계획정 과정의 예측가능성이 확보되거나 제고된다 하여 해양경계획정의 궁극적 목표인 형평한 해결의 도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만약 3단계 방법론이 아닌 다른 방법론을 원용하여 해양경계획정의 목표인 형평한 해결의 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이는 3단계 방법론을 맹목적으로 고수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여전히 해양경계획정을 지배하는 개념은 각 해양경계획정 사건마다 제각각인 ‘관련 사정들’이다. 따라서 3단계 방법론이라는 단계적 방법론의 고수가 형평한 해결의 도달을 어렵게 한다면 해당 해양경계획정 사건만의 관련 사정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다른 방법론을 원용하는 것이 국제재판소가 취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태도가 될 것이다. Since the 2009 Black Sea (Romania v. Ukraine) case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 the so-called ‘three-stage methodology’ has been employed as the ‘standard’ methodology by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dealing with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The binding rule governing the delimitation of the exclusive economic zone or the continental shelf is the ‘achievement of an equitable solution’, as stipulated in Article 74(1) or 83(1)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and recognized as part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by the ICJ. The three-stage methodology has been established to apply this open-textured rule in a given delimitation case, and the methodology is often complimented because it seems to assure not only objectivity but also predictability in applying the rule. Nevertheless, the three-stage methodology has its limitations. Firstly, it is, at the first stage, possible to subjectively select base points necessary to construct a provisional equidistance line. This mean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equidistance method would be subjective although the method in itself is objective. Secondl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hree-stage methodology, relevant circumstances seem to take up their position only at the second stage. However, because of the existence of relevant circumstances, a provisional bisector line could be drawn at the ‘first’ stage, instead of a provisional equidistance line. Thirdly, it is questionable whether or not the third stage conducting the disproportionality test is a necessary step i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ny delimitation lines constru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tages have not been adjusted at the third stage since the Black Sea (Romania v. Ukraine) case. Taking into account the limitations of the three-stage methodology described above, the methodology has to be regarded as a ‘just’ methodology. Moreover, transparency and the predictability of the delimitation process as a whole enhanced through the three-stage methodology do not automatically lead to the achievement of an equitable solution. If another methodology produces an equitable solution in a specific delimitation case, it could be employed, instead of the three-stage methodology. In fact, the concept of ‘relevant circumstances’ predominates the process of delimiting maritime boundaries for the achievement of an equitable solution. It is, therefore, desirable for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to adopt an appropriate methodology taking into consideration relevant circumstances in a given delimitation case, without the need to only adhere to the employment of the three-stage methodology.

      • KCI등재

        한국 한시 연구 방법론의 연구사적 검토와 방향성 탐색

        이국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60 No.-

        From 1975 to the mid-1990s when Korea Chinese literature study was boosted, Korea Chinese poetry study had established its academic status and strengthened the position of study focusing on historicist method and excavation of materials and writers. However, due to repetition of the same study method and following, etc. problems were raised together earlier on. From the late 1990s to the mid-2000, study methodology of Korea Chinese poetry has been actively and productively sought. In the course, the fever of historicist methodology went cold because of reflective criticism of academic community and loss of timeliness, and depletion of limited topics, etc. On the other hand, efforts to explore internal quality and aesthetic quality of the work actively took place. Since late 2000, Korea Chinese poetry study methodology seems to be in a sort of stagnant period or individual exploration period compared to the last period. The reasons include many existing important study methodologies suggested already, lowering of overall social interest in the genre of humanities and poetry, difficulties in adjusting academic issues into the speed of rapid social change and expandability of boundary, and so on. Therefore, researcher’s effort to pioneer new study methodology is required. For this, most of all researchers should make efforts on cultivating translation skills and connoisseurship that are required to Chinese poetry study and critically reviewing study methodology, and actively applying new study methodology. More specific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breadth of Chinese poetry study methodology needs to be expanded accepting research achievements of other countries or other major areas. Second, literature study methodology crossing genre boundaries should be more actively implemented. Third, study methodology that can communicate with issues of modern society and modern people should be sought. Lastly, the academic community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hat Chinese poetry researchers can boldly test their study methodologies. 한국 한문학 연구가 본격화 되었던 1975년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 한시 연구는 역사주의적 방법과함께 자료 및 작가 발굴을 중심으로 하여, 그 학문적 위상을 정립하고 연구의 입지를 다져나갔다. 이러한 방법론은 시대적 사명감과 진지한 학문정신에 기반하여 높은 수준의 연구 성과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동일한 연구 방법의 반복과 추종 등으로 인해 일찍부터 그 개선점도 제기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한국 한시 연구 방법론의 모색은 상당히 활발하고 생산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역사주의적 방법론은 학계의 반성적 비판과 시의성의 상실, 그리고 제한된 제재의 고갈등으로 인해 그 열기가 식어갔다. 반면에 작품의 내질과 미학적 특질을 탐색하려는 노력이 풍격론, 분석주의적방법론, 의상론 등을 통해 활발하게 이뤄졌다. 200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한국 한시 연구 방법론은 지난 시기에 비해 일종의 정체기 또는 개별적 탐색기로 보인다. 그 원인으로는 기존에 중요한 연구 방법론이 많이 제시된 점, 인문학 및 시가 장르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관심이 저하된 점, 급변하는 사회의 변화 속도와 경계의 확장성에 학문적 논점을 맞추기가 어려워진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원인은 진취적이고 참신한 연구 방법론 모색이 부족한연구자에게 있으며, 따라서 그 돌파구의 마련도 이 시대 연구자를 통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현 시점에서 한국 한시 연구 방법론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면, 우선 한시 연구를 위해 필요한 번역 능력과감식안을 기르는데 충실하면서 기존의 연구 방법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적극적으로모색하고 과감히 적용해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음 세 가지의 한시 연구 방법론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해외의 연구 성과나 현대시및 고전 문학의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한시 연구 방법론의 외연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르 경계를 넘나드는 문학 연구 방법이 더욱 활성화되고 다양화 될 필요가 있다. 셋째, 현대 사회의 여러 현상및 현대인들의 고민과 교감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의 모색이 필요하다. 끝으로 현재 개별적인 상태로 부유하고 있는 한시 연구 성과들을 아우르는 담론체계를 더욱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한시 연구자들이 자신들의 연구방법론을 과감하게 시험하고 적용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려는 학계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ROPOSAL OF USER INTERFACE DESIGN BASED ON MENTAL MODEL AND PROCEDURE OF HUMAN DESIGN TECHNOLOGY

        Toshihisa Doi,Toshiki Yamaoka 대한인간공학회 2010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5

        Introduction: There is no the well-established methodology based on mental models. The systematized methodology of the user interface design based on the mental model is needed. Objective: In this paper, the logical methodology of the user interface design based on the mental model was systematized and proposed. In addition, we designed an operation screen of a car navigation system using the proposal methodology by way of example. Methods: The proposal methodology was utilized a procedure of Human Design Technology (HDT). HDT is the logical and systematized methodology of a product development. In this proposal methodology, the methods that the authors had proposed regarding mental models before now were used each of the steps of HDT in the screen design process. Results & Discussion: We designed a car navigation system using the proposal methodology. We believe that the proposal methodology is useful in the design of operation screens.

      • KCI등재

        교육방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장선영,고은현,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endency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by analyzing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which is there presen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thodology in Korea and finally put through the advanced proposals for educational methodology. The total articles were 217 which have been published for the last over 10 years (2003-2013). We analyzed the articles based on two criteria: research domains, research method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in the part of research domains, the teaching methodology accounted for 71.4% (155 articles) of the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domains were educational counseling (13.8%, 30 articles), educational evaluation (9.2%, 20), educational curriculum (2.8%, 6),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2.8%, 6). In the teaching methodology domain, the study of learning guidance model accounted for 38.2% (83 articles). Its hows that Korean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has been mostly conducted on the teaching methodology, especially learning guidance model. Second,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s, survey study accounted for 45.2% (98 articles) of the total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literature study 14.3%, development research type I 11.5%, quasi-experiment study 10.6%, case study/qualitative study 7.8%, experiment study 6.9%, development research type II 3.2%, cost effectiveness study 0.5%, and others 0%. It is needed to be researched in the field of more qualitative study than quantitative one and also to expand the research domain and target learners in the future.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들을 연구하는 학문이 태동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방법의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이론들에 의해서 정립되었듯이 교육방법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상황을 항상 고려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바로 이 원점에 서서 우리나라 교육방법의 현 모습과 발전 과제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을 다룬 전문 학술지인 ‘교육방법연구’ 2003년도에 발간된 15권 1호에서부터 2013년도의 25권 2호에 이르는 총 11권 28호, 21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질적인 교수학습 상황 속에서의 교육방법들이 현재 어떤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이 속에서 어떤 교수와 학습의 요구가 있는지 교육방법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과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방법의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주로 ‘교수방법’의 ‘학습지도 모델 연구’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 둘째, 교육방법의 연구방법에서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조사연구’의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향후 사례연구 및 문화기술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들이 보다 다양한 연구영역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고등교육을 주로 대상으로 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유아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방법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의 의미고찰을 전제로 한 기업교육과 같은 다양한 성인교육에서의 교육방법이 필요하고,평생교육과 같은 범위로까지도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朱熹의 爲己之學 고찰

        유권종(Yoo, Kwon-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3 철학탐구 Vol.33 No.-

        본 연구는 주희의 학문을 위기지학의 체계로 재구성하려는 시도이다. 위기지학은 공자에게 연원이 있는 것이지만 그것이 주희의 시대에 이르러서 하나의 완정적인 학문방법론으로서 체계화되었다. 아직까지 국내든 국외든 위기지학에 관한 천착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후속 연구의 길을 개척하려는 취지에서 위기지학의 대강의 원리를 밝히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순서는 우선 남송시대 주희에 이르기까지 선진시대와 북송시대에 걸쳐서 이루어진 위기지학의 개념화 과정을 살피고 주희가 위기지학을 수용하고 그것을 자신의 학문의 중추적 원리로 삼게 된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이어서 위기지학에 관한 주희의 입장을 첫째 當事者 방법에 입각한 長期 課程의 설계, 둘째 儒學 工夫의 統合的 體系化, 셋째 體認과 實效를 추구하는 학문화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위기지학과 주자학 전반의 연관성을 크게 세 가지 내용으로 꼽아보고 그것을 통해서 향후 위기지학 고찰시 주요 사항을 설정하였다. 우선 四書를 중심으로 한 교과서 체제의 확립이 위기지학의 체계화와 깊은 상호 연관성이 있다는 점, 둘째는 위기지학은 내면과 외면의 통합과 일관성의 확보를 중심적 목표로 한다는 점, 셋째는 반복되는 학습과 실천이 가져오는 진실의 축적으로 인하여 공부의 진전이 가능하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도리에 달통하는 효과를 보게 된다는 점이다. 이 달통은 결국은 자연스럽게 도를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의 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는 이에 주목하여 그 구체적인 방법과 과정을 분석하여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n essay for re-organizing Zhu Xi’s Confucianism as so-called Wi-gi-ji-hak(爲己之學) which had completely changed the whole system or structure of Confucian learning and established a new design of comprehensive methodology for becoming a perfect being like Confucius by self-organization. Wi-gi-ji-hak has not been inquired philosophically inside or outside of contemporary Korea. The substance of his Confucian self-organizing methodology is considered in this study. This article mainly consists of three chapters except introduction and conclusion. In the first chapter,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of the methodology as Wi-gi-ji-hak(in Chineses Weijizhixue) from pre-Qin era to Early Song Dynasty and his acceptance and centralization of the methodology in his whole learning of Confucianism are elucidated. In the second chapter his principle of the methodology is analyzed into three main ideas; design of long term process of self-organization based on the first-person methodology, synthetic and integrated systematization of learning of Confucius, and transformation of Confucianism into a new learning which stresses as its main target on embodiment of Confucian life and teachings and actual effect. The most stressed thing in this article is that his methodology In the last chapte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methodology and Zhi Xi’s whole Confucianism is counted and the direction of research of his methodology hereafter is considered. The interrelationship is firstly elucidated that his establishment of four-book system is necessarily connected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 methodology. Secondly it is that the Wi-gi-ji-hak aims at forming a consistency on a person’s life by integrating and unifying the whole activities of mind and body on the standard of Confucian proprieties. Finally it is that the effect of practice of the methodology should be explained as an accumulation effect, which means that repetition of learning and practice makes an important result in improvement of the character of the person directly concerned and ultimately in being highly proficient in mastery of Confucian teaching and principles. Therefore follow-up studies on the details of the methodology should be necessary.

      • KCI등재

        旅軒張顯光의 實學的設計 — 「易學圖說」과 爲己之學 —

        유권종 동양고전학회 2012 東洋古典硏究 Vol.0 No.49

        본 연구는 여헌의 『역학도설』이 사실은 爲己之學의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그것을 강화하고 발전시키는 저술이라는 점을 논증한 것이다. 그 논증의 방식은 공자로부터 송대로 이어지는 위기지학의 개념화과정, 그리고 특히 남송 시대의 주희와 그의 문인들에 의하여 시도된위기지학의 체계화 과정을 논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여헌의 『역학도설』이 그러한 위기지학 전통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밝히는 것이었다. 위기지학은 공자 이래로 유학의 맥락에서 유학적 진실을 지키기 위해서 개발하고 전승하면서 체계화하여 온 실학적 방법론이라는 관점을 채택하였고, 여헌의 『역학도설』은 바로 이러한 실학적 방법론을 발전시켜서 더 실현력이 높은 방법론으로 발전시킨 것이라는 관점을 취한 것이 본 연구이다. 특히 그가 『역학도설』에서 성현의 사업 내지 우주 사업을 강조하는 것이 바로 그렇게 볼 수있는 점이다. 이러한 논의는 아직까지 위기지학에 관한 연구가 본격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므로, 더 많은 구체적이고 상세한 논의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하고자 했던 여헌의 『역학도설』의 저술적 지향성이나 학문적 내용의 특성에 대해서는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역학이라는 경학적 분야에서 이루어진 성과라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과 차별화된 관점을 제시하는 데에는 작은 기여를 하였다고 생각된다. 여헌의 『역학도설』은 따라서 역학의 원리와 체제에 근거하여 설계한 위기지학의 교과서로서의 성향과 구도를 두드러지게 갖추고 있는저술이다. 중국 송대부터 이어지면서 발전해온 위기지학이 여헌의 단계에 이르러서 역학의 방식에 의하여 재구성되었다는 점에 중요한 발전이 있는 것이다. 즉 여헌의『역학도설은 경학과 위기지학을 통합하고, 비로소 경학의 지혜를 우주 사업의 역량으로 내면화하고 양성할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을 세웠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것은 중국의송대의 유학자들이 위기지학의 중요성을 절감하면서도 경학의 숲에 매몰되어서 경학과 위기지학의 병행상태에 있었던 것과 다르다. 그리고 조선의 유학자들도 성학의 명칭을 사용한 저술로써 위기지학을 체계화하였지만 그것들이 입문의 방법을 제시하는 점에서는 과거 선유들의 언급을 되풀이하는 것과도 다르다. 여헌은 그가 터득한 易의 이치와 그것을 다루는 易學의 이치(易簡)를 매우 간결하게 요약하였고, 동시에 천지의 도에 두루 통할 수 있도록 인간사의 다양한 과정과 변수들을 통괄하여 섭렵하고 통달할 수 있는 공부의 과정을 설계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여헌의 『역학도설』이 위기지학의 전개과정에서 중국의 전통을 잘 발전시켜서 완결된 체계를 구성했다고 평가된다. This study is an argument that Yeoheon Jang Hyun Gwang’s Yeok-Hak- Do-Seol has been on the context of the typical Confucian methodology of self-organization for a sage’s or superman’s character (爲己之學) and completed the methodology. Therefore the context from Confucius to Southern Song China Era is argued as a context of development and systematization of the methodology. In addition the fact that Zhuxi(朱熹) and his students had systimatization of the methodology with the publications of some important textbooks is also explained. The most stressed thing of this study is Yeoheon’s Yeok-Hak-Do-Seol is just the text that succeeded them as the methodology of self-organization and had a special purpose of completion of the methodology not only with comprehensive items of practice but also intuition into the human’s life and the world by his mastery of Yeokhak(易學). The viewpoint this study keeps is the Confucian methodology of self-organization is considered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and upholding the Confucian truth, and thus the methodology itself has been regarded as the necessary one that is the closest approximation to a pursuit of Confucian truth. According to this viewpoint we can observe the features of methodology of the pursuit of Confucian truth from the Yeok-Hak-Do-Seol. However the Yeok-Hak-Do-Seol has its purpose merely on a human being’s self-organization but also on an enormous enterprise to make the universe peace or sustainability of the world. His stress on the enterprise shows that his methodology is not a merely repetition of the tradition of the Zhuzixue but a creative deveopment of the tradition. The other feature is that his methodology is systematization on the basis of Yeokhak, or the study of Yi-jing(易經). The main method he intensified is easiness and simplification that is the main point which he extracted from Yi-jing as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way of life.

      • 딥러닝을 활용한 비접촉식 IR 체열 측정 시스템 개발

        김용중(YongJoong Kim),이기섭(KiSeop Lee),정경권(KyungKwon Jung)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This paper describes a non-contact IR(Infra Red)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by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as an u-Health device to record a person’s thermal heat. The IR camera is used as one of the very important medical device in the field of non-contact vital sign monitoring and u-Health care service. The developed system is composed of an IR board, a deep learning board and interface board. The developed system is experimented under various condition; indoor and outdoor, one person and many persons. And we compared the developed system with the existing thermometers.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s the promising possibilities to estimate a person’s thermal heat as a non-contact method.

      • KCI등재

        시스템 개발 방법론의 품질과 방법론 적용 성과와의 관계

        김지영(Ji Young Kim),김성근(Sung Kun Kim)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14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 Vol.21 No.2

        A methodology is often used in solving complex problems. As a typical case of complex problem solving,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s mostly requires a use of system development methodology. However, it is not always easy or smooth for organizations to adopt the methodology and to achieve a positive outcome from their application in real project situations. Although there are a few studies to find out success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methodology, they did not take into consideration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olog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quality of the methodology as a key determinant to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ology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