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철학사 연구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8 No.-

        이 논문은 지금까지의 한국철학사 연구들을 성찰하면서 향후의 한국철학사 기술작업의 방향과 방식을 고찰한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철학사 기술작업이 한국 사회의 의사소통과 의식형성이란 관점에서 볼 때 지니는 의미와 이 의미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한국철학사 기술 작업에 요청되는 새로운 변화된 관점과 방향을 찾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한국철학사 기술이 출판을 전제로 할 때 그것은 독자들과의 의사소통의 과정에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하였고, 이를 학문적 논의로 연결하기 위해서 사회체계를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다루는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의 관점을 원용하였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을 한국철학사 연구에 적용함으로써 논의하는 주제는 네 가지이다. 첫째, 일제 식민지 사상사관은 어떻게 다루는가? 둘째, 한국철학이란 성립가능한가? 셋째, 한국철학의 실체화는 가능한가? 넷째, 한국철학의 고유성은 가능한가? 논의의 결론은 한국철학의 형이상학적 실체화로부터 벗어나서 한국에서 이루어진 의사소통의 체계를 통해서 한국 철학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주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것이 식민사관의 그늘에서 벗어나는 길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서구 철학의 문제의식과 주제를 통해서 과거의 전통사상의 철학적 커뮤니케이션을 재구성하는 작업이 한국철학사의 본령인지 그것과는 별도의 다른 방법이 가능한지는 학계의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is a study result on direction and methods of historiography of Korean philosophy due to a reflection on many studies of Korean philosophy until now. It includes a reflection on meaning of the historiography from communication of Korean society and looks for a required new viewpoint and methods of historiography of Korean philosophy. For these it is considered that the historiography should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with readers when the historiography is published. Thus Niklas Luhmann’s Social System theory is to provide a basis of this discussion. This article discussed about four themes: How to approach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Could concept of Korean philosophy be possible? Is it available to take substance of Korean philosophy for granted? How is peculiarity of Korean philosophy possible? The conclusion is as follow. Firstly substantialization of Korean philosophy should be avoided and rather system and context of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communications in Korea should be very identity and peculiarity of korean philosophy. However, it needs more continuous discussion to choose a main method to describe the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according to the Western philosophical themes or to other themes.

      • KCI등재

        爲己之學의 개념화 과정

        유권종(Kwon Jong Yo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2 철학탐구 Vol.32 No.-

        본 연구는 爲己之學 개념의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범위는 선진시대부터 남송시대까지 걸쳐있으며, 특히『論語』의 爲己라는 관념으로 부터 爲己之學이라는 개념의 형성과정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기지학의 개념이 발전하는 맥락에 대한 고찰이므로 일종의 개념 형성의 역사에 대한 고찰이며, 유가 사상의 특징이나 학문 방법론 전반에 관한 고찰이라고 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다. 필요하다는 점 때문이다. 위기지학은 남송의 朱熹에 이르러서 유학의 정 체성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학문 방법론과 지향성을 지닌 개념이고, 또 조선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계승하여 이에 대한 철저한 고찰과 실천의 지향성이 있었던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념의 형성과정과 그 과정에서 중시되었던 학문적 내용에 대한 깊이 있고 정밀한 고찰이 결여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한 현실을 넘어서서 송대 유학의 본령을 고찰하고 이해하기 위한 전초작업으로서 본 연구가 기획된 것이다. 본 연구는 위기로부터 위기지학 개념으로의 변천과 발전 과정에 대해서 그 맥락을 형성했던 주요 인물들을 고찰하였다. 즉 孔子와 荀子, 李軌, 張載와 ?程, 楊時와 李? 등이 그들이다. 특히 위기지학의 개념이 이궤에 의하여 처음 사용된 이래로 북송 시대의 유학자들이 개발하여 주희에게 전승된 것이 위기지학이다. 이 과정은 위기지학의 방법과 내용에 관한 이해의 진전과정이며, 동시에 유학적 학문방법의 체계화의 성취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위기지학 개념과 그 내용을 가능한 한 학문적 논의가 가능하도록 검토하고 분석한 것이 본 연구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oncept of the Confucian typical methods for self-organization, that is, wi-gi-ji-hak(爲己之學). The scope of this study lies from Pre-Chin to Chinese Song Dynasty. And this study has a target to study on the process of the concept of wi-gi-ji-hak that has its origin from the words of Confucius, wi-gi(爲己) in the Analects. This study focuses only on the context of developing the concept of wi-gi-ji-hak, but it does not touch whole the methodology relating to the Confucianism or the features of Confucianism itself. The reason why to study on wi-gi-ji-hak lies on the demand or the necessity for newly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Wi-gi-ji-hak is the most representative methods of the Neo-Confucianism, which shows a new identity of the Neo-Confucianism that had newly arisen from the early Northern Song Dynasty and compiled as so-called Zhuzixue(朱子學) by Zhuxi(朱熹) in the era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In addition in Chosun Korea Dynasty many Neo-Confucian scholars who learned the Zhuzixue had intensified and developed the context of Zhuzixue more and more by unyielding practice of the wi-gi-ji-hak. Thus the wi-gi-ji-hak as the main and comprehensive methods must be studied as the most important theme among the Confucian items. Nevertheless no research on the wi-gi-ji-hak has been tried appropriately in China and Korea, too. This study is designed in order to approach the proper function of the Neo-Confucianism especially of Zhuzixue in China and Korea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the settlement of the concept wi-gi-ji-hak from Confucius to Li Dong(李?). Between them Xunzi(荀子) , Li Gui(李軌), Zhang Zai(張載), Cheng Yi(程?), and Yang Shi(楊時) are also studied with their concepts and understandings. According to this a long context of wi-gi-ji-hak organized by them is analys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and every of them are discussed.

      • KCI등재

        儒敎的 成就에 관한 現象學的 이해를 위한 시론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4 No.-

        본 연구는 유학 연구를 현상학적 관점과 방법을 통해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관점과 방법이란 특히 메를로퐁티의 인간과 세계의 접촉점으로서의 원본적인 체험인 ‘지각’체험을 현상학적으로 기술한다는 관점을 근거로 주장되는 것이다. 즉 유학자들에게서 이에 해당하는 체험들을 재정리함으로써 유교의 현상학적 연구가 가능함을 보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論語로부터 공자의 이러한 지각 체험들을 선정하여 지각 체험이 그의 학문적 방법의 중추로 자리잡고 있었음을 증명했다. 아울러 조선의 성리학자들 중에서 특히 退溪와 旅軒의 문집에 기록된 그들의 의식상의 체험들을 근거로 공자의 학문방법이 조선의 성리학에 전수되어 발전하였음을 증명했다. 마지막으로 현상학적 관점에 입각한 연구는 인지과학적 연구방법의 일인칭방법론에 해당하며, 이를 유학사상 연구에 적용하는 것은 앞으로 유학의 학문적 자산을 현대화하는 중요한 통로가 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한국의 유학적 전통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계승하는 중요한 학문적 바탕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아울러 논의된 사항이다.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argue necessity of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Confucian studies.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focused here is allied with the method of securing the inner world of experience by E. Husserl’s phenomenological ephoche and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of perception experience by M. Merleau-ponty’s viewpoint. That is, to show possibility of phenomenological study on Confucianism is the point of this paper. For the point, many sentences mentioned by Confucius in the Analects are tested for new interpretation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the possibility is successfully argued with discovery that in the Analects such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more persuasive and proper way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Confucian learning. That’s because Confucius originally stressed on the change of experiential structure on one’s mind through long term self cultivation. And especially in Joseon Korea Dynasty the Neo-Confucian scholars had emphasized on such Confucius’ idea and commonly made efforts to improve the experiential structure of every mind and as results of the efforts many of them left many descriptions of their own experiences in the mind. Therefore, being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studies that have been focusing on analyses of theories and evaluation of their advancement,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Confucian scholars’s experiences will shed lights on a new area of understanding of history of Confucianism. This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relevant to the first-person methodology and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to future studies of Confucianism is believed to open a way to put the Confucian heritage into the context of present time sciences.

      • KCI등재

        21세기 유교 담론의 새로운 구도와 전망 - 위기지학(爲己之學) 연구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

        유권종 ( Yoo Kwon-jong )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4 No.-

        이 글에서는 유교에 관한 담론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몇 가지 담론의 새로운 구도를 제시함으로써 주장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가 현대사회의 고질적 문제해결과 현대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여하는 전통적 지혜로 재정립되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을 유교 담론의 중요한 목적으로 삼고, 그에 걸맞는 연구와 담론의 방향과 형태를 재론한다. 다만 논의의 영역과 주제를 위기지학에 한정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와 담론의 일반적 형태가 보여준 한계를 다름 아닌 관념적 분석과 관념적 담론의 차원에 머물고 있다는 점, 그리고 분과학적 영역에 갇힌 논의의 방식이라는 점, 나아가서 현대적 학문과의 소통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에 있다고 간주하고, 이를 넘어서거나 개선하기 위한 방법과 담론의 형태를 모색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기지학과 관련된 담론을 특히 위기지학(聖學) 과정 속에서 상호 연관되는 유교의 하위 학문 분야인 禮學과 理學 내지 心學을 상호 연관지어 볼 수 있는 논의의 구조를 재구성하는 방식까지도 다루었다. 아울러 문명담론의 시대의 동아시아 공동체 논의와 관련하여 유교 문명을 보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In this article it is insisted with some new compositions of discourses that radical changes are asked in the field of studies or discourses on Confucianism. In this article, it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studying or discourses on Confucianism that Confucianism must be re-interpreted as a traditional wisdom which can resolve many of chronic problems of contemporary mankind and can improve the quality of contemporary human lives. And new and adequate styles or methodologies of Confucian studies and discourses are discussed. Three problematic phenomena or currents are observed in contemporary studies or dicourses on Confucianism in Korean academic field: the first is that most of them remain in abstract and out of touch with reality, the second is that most of them are activated only in the departed section of philosophy or pedagogy etc., and the third is that most of them make very little communication with interdisciplinary studies or integrated sciences. Therefore how to overcome or solve these problematic things is the significant discussion of this article. However the discussion focuses on the Confucian methodology of self-organization namely Sage-learning, and at the same time focuses on the way how to discourse about Confucianism as a civilization in the era that stresses on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wisdom and on development of ethics for co-existence with peoples from civilizations of different nature.

      • KCI등재
      • KCI등재

        통합마음연구를 위한 마음모형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39 No.-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 토대기초연구단이 수행하는 마음개념비교사전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건인 비교 기준의 하나로서 제작된 통합마음모형과 관련된 학문적 논의 사항을 검토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따라서 이 논의는 토대기초연구단이 제작한 통합마음모형의 취지와 목적을 밝히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통합마음모형의 구성요건을 밝히고 그것의 정당성 여부를 논의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아울러 통합마음모형의 구체적 내용을 6가지 범주 및 그에 부속된 하위범주들을 제시하고, 나아가 그것의 의의에 대한 논의로 구성되었다. 통합마음모형의 취지는 무엇보다도 다양한 마음이해들을 한자리에 모아 놓고 그들의 동이를 비교할 수 있는 종합적 틀로서 필요한 것이고, 그것이 본 연구단의 마음개념비교사전 작업에는 필수적이라는 사실, 그렇지만 본 연구에만 한정하지 않고 향후 어떤 마음에 관한 연구든지 비교의 시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요청된다는 점에 있음을 논하였다. 통합마음모형의 구성은 마음 이해들간에 놓여있는 통약불가능성과 언어의존성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것이다. 특히 마음이해의 언어의존성이 인문학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중시하였다. 다양한 언어로 표상된 각 마음이해의 마음관련 개념들을 비교하는 기준으로서 통합마음모형의 6가지 범주가 확정된 것이다. 이 여섯 가지 범주는 첫째 마음의 구조와 작동, 둘째 마음의 변화와 성장 및 퇴화, 셋째 마음의 존재와 영역, 넷째 마음의 관찰, 평가 및 진단, 다섯째 마음의 작용과 효과, 여섯째 마음의 은유이다. 그리고 이 여섯째 마음의 은유를 제외하고 범주별로 하위 범주를 구분하여 모두 24개의 세부범주를 두어서 마음개념의 분류를 할 수 있게 하였다. 통합마음모형의 의의는 통합모형이 언어의 차이를 다루는 인문학적 방법에 입각하여 마음이해의 다양함을 폭넓게 수용하면서도 차이를 명확히 인식하는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구할 수 있다. 동시에 이것은 인류가 개발하고 축적한 마음이해의 다양한 전통들을 융합하여 종합적인 마음에 관한 진실의 구성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some philosophical topics that are connected to organization of the unified model of the mind designed in the process of compiling a comparative dictionary of mind concepts that has been performed for three years since 2012 by the Foundational Research Organization of the Institute for Chung-Ang Philosophical Studies. The topics are about the aim of the unified model of the mind, the six categories as its component articles, and the meaning of the model and categories. These topics are at the same time of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The unified model aims at the possibility to compare many and various understandings of the mind at once in one framework. This comparison of all in one may be very rare but must be very necessary tool for our comparison of all the understandings of the mind in a framework. In addition, this unified model not only is necessary for our work, but looks so useful for any other kind of comparative studies of mind in order to secure the standard of the comparison. The organization of the unified model substantially means that it makes the possible comparison among various mind understandings above the incommensurability and the language dependency that are believed to exist among the understandings. Especially the language dependency makes the humanities a necessary and basic approach for all the ways of mind study.

      • KCI등재

        연구논문 : 유교도상(儒敎圖像)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유권종 ( Kwon Jong Y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09 儒學硏究 Vol.20 No.-

        본 연구의 유교 도상의 분류체계는 하나의 시안이며 향후 도상해석학에 관한 논의를 진전시키기 위해 제시된 것이다. 유교도상의 성격을 다른 도상들과 구분하기 위한 기준을 세우기 위하여 서양에서 시작된 도상학 및 도상해석학의 원칙에 관한 고찰을 하였고, 아울러 『三才圖會』『理藪新編』『四庫全書圖鑑』의 도상분류 체계를 검토하였다. 여기서 제시한 분류는 완전한 것은 아니지만, 5000건이 넘는 수의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제작한 도상들을 정리하여 본 결과로 제시해 본 것이다. 즉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제시한 도상들을 총체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체계를 도상의 주제와 내용에 입각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상의 형태와 상징에 대한 분류체계는 아직 선행 연구가 미비하여 시기상조인 까닭에 후일의 작업으로 미루어 놓는다. 도상의 주제와 내용에 따른 분류체계를 구성하기 위하여 『三才圖會』, 『理藪新編』, 『四庫全書圖鑑』등의 자료집의 체제를 참고하였으며, 이들을 참고로 하여 현대의 관점에서 유교 도상을 효과적으로 정리하고 연구할 수 있는 분류 체계를 모색하였다. 그 결과는 대분류 3항과 소분류 26목으로 정리되었다. 향후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에 대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현재의 체계는 더 포괄적이고 정합적인 분류체계를 세우기 위한 논의와 연구의 발판으로 삼고자 한다.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onfucian diagrams in this article is suggested to open the discussion about iconological studies on the diagrams.In order to establish the standards for distinction of Confucian diagrams from the icons or diagrams of other religion or culture principles and concepts of iconography and iconology are shortly examined, and three huge collections and their classification systems of Ming China, contemporary China, and Chosun Korea are also examined as useful examples. The classification system suggested here is not complete, but it is on the ground of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more than 5000 diagrams of Chosun Confucianism, so that it will be possible to invite the future discussion. Namely it is a system that will be able to classify all of the Confucian diagrams according to subject and content of each ones. Another possible classification system that will be along to the icons and forms of diagrams is left until the time when more studies about icons and forms of Confucian diagrams will appear. Sancaituhui, Sikuquanshutujian, and Isuyonwon are researched ofr the establishment of this system, which will be useful to arrange and study the Confucian diagrams from the contemporary viewpoint. This system consists of three large classification categories and 26 small ones under them. It must be necessary to be corrected and completed in the future with advanced research and studies. Therefore in that meaning this system should be the stepping stone for a more inclusive and better-prganized one.

      • KCI등재

        초연결사회와 유교적 진실의 재구성

        유권종 ( Kwon Jong Yoo ) 한국공자학회 2018 공자학 Vol.36 No.-

        본 연구는 이른바 4차산업혁명으로 인해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회의 구조적 특징을 초연결사회로 파악하고 전통적인 유교의 진실을 향후의 초연결사회에도 적용가능한 진실로 재구성하기 위한 조건들을 따져보는 논의이다. 여기서 전통적인 유교의 진실이란 과거 조선시대 이전부터 최근까지 커다란 변동없이 인정되고 있는 인륜 중심의 사회질서와 사회통합의 구도에 한정한다. 본 연구는 향후 초연결사회에 인륜 중심의 유교적 진실의 전통적 형태와 적용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사회질서 유지와 사회통합에 기여하기가 어렵다고 보는 관점에서 초연결사회의 상황에 부합하는 유교적 진실의 재구성의 조건들을 음미해보고 한다. 논의 사항은 첫째 스마트 기술 기반의 초연결사회의 요청 사항, 둘째 초복잡계적 상황에 적합한 유교의 복잡계적 체계이론에 의한 재해석 필요성, 셋째 인륜 중심 구도의 인간중심주의적 사고의 재편과 확장, 넷째 신뢰구축의 유교적 해법의 개발 등으로 나뉜다. 아직까지 초연결사회는 미래의 일이지만 지금부터 그 사회로 가는 길은 점점 가속화되고 있어서, 이러한 예측이 더 진지한 논의로 이어질 수 있는 기초를 확보하고자 한 것이 이 논문의 취지이다. This is a discussion for checking conditions of re-organizing Confucian truths that fit for so-called hyper-connected society expected to be realized as results fro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discussion, the future society coming as results fro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counted as the hyper-connected society in which many new revolutionary changes will come into not only individuals’ lives but also whole social structure and operating system. The new phenomena are defined by some sociological researches and smart technologies as high flexibility, wave nature, ultra complexity, implosion and convergence, etc.. They are, however, at the same time alarmist because of their serious side effects so-called as two groups of 3Ds; Disorder, Disconnect, Discard and Dissonance, Devide, Displacement. What this discussion focuses on as follow. The first is asks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based of smart technology, the second necessity to reinterpret traditional Confucianism for its gaining of suitability to the new society depending on such kind of cybernetics or systems thinking, the third reorganization and extension of Confucian truths that has only been limited to the human beings into a new truth that has connection between the human beings and other actors of the new society, and final development of Confucian solution for confidence building. The hyper-connected society is going on its realization and thus in order to get higher suitability of the new society the new truths of Confucianism should b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비교인문학의 방법과 방향

        유권종(Kwon Jong Yo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0 철학탐구 Vol.27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마음을 연구하는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종합하면서, 이에 동양철학적 마음 이해의 이론적 체계를 현대의 인문학적 맥락속에 자리잡게 하는 방법을 찾아본 것이다. 국내외에서 아직까지 유교의 심학을 인지과학이나 심리학적 주제와 연결시킨 예가 매우 드물고, 또 마음에 관한 연구가 철학이나 심리학의 범위를 넘어서서 다른 학문들과 적극적으로 교섭하는 예가 드물었다는 점을 반성하고, 마음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여러 학문들을 하나의 목적에 종합하여 보고자 하는 구상을 논술한 것이다. 마음학을 통한 비교인문학의 추구는 사실 인문학을 학제간 연구의 주축으로 삼고자 하는 것, 특히 동양의 전통적인 마음 연구의 맥락을 현대의 학문맥락 속에 定位하고자 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의 하나이다. 마음학은 아직 구상의 단계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더 자세한 언급을 하기 어렵다. 앞으로 연구를 하게 되면 더 자세한 경험적 사례와 그로부터 입증된 내용을 바탕으로 더 깊이 있고 체계적인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것을 통해서 기대하는 바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째 동양에서 개발된 마음이해를 비교의 준거로 삼아서 인문학 상호간, 인문학과 자연과학, 문화 상호간의 상호 이해와 소통이 가능한 비교 인문학적 연구방법의 정착이다. 둘째 그러한 방법이 시대적 문맥에 따라서 끊임없이 재생산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려는 것도 하나의 기대효과이다. 셋째 교육현장과 사회현실에 적용 가능한 이론 실천이 통합된 마음 모형을 개발하여 후속연구를 촉진하려는 것도 그에 포함된다. 이를 통해서 인문학의 현실 적합성을 극대화하려는 것이 마음학이 목적하는 바이다. This article aims at looking for a methodology to make a new discussion about the human mind from a viewpoint synthesized with already established theories and plus the context of East Asian traditional understandings of mind. In reflecting that in Korean academic circles the number of connecting theories of traditional Confucian mind learning to studies of cognitive science or psychology has been small and in Humanities area it is few times that studies of mind from the viewpoints of philosophy or psychology have met with ones from other field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range of studying the mind must be broadened and synthesize various viewpoints of mind studies into a more comprehensive system. This mind study using the comparative humanities methodology has two targets; the one is to make the humanities the main axis of this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the other to push the traditional context of Confucian mind-learning on the right track of the contemporary context of mind studies. This mind study has not finished its formulation of its system and methodology, so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discuss more details. However it will be possible to explain more details with more examples of study experience and established facts by the methodology of this. It will be expected by this study as follow: the first is establishment of the comparative Humanities on the authority of the mind understanding system of Confucianism, the second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ement that makes such an comprehensive or integrated methods to be reproduced infinitely in accordance with the charging context. And the last is to promote succeeding studies by the means of developing a mind model integrating theoria and praxis that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the field of education and social life. To maximize the suitability of the humanities of this mind study must be the reason why this mind study will be ask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