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부산 · 경남지역 아동문학의 현황과 전개과정 연구 : 1920~1930년 『동아일보』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박경수(Park Kyung-Su)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1

        이 글은 1920년 4월 창간 때부터 1930년까지 발행된 동아일보에 발표된 아동문학 작품들을 대상으로 부산경남지역 아동문학의 현황과 전개과정을 집중 논의한 것이다. 먼저 동시에 관한 논의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아일보에서 부산경남지역과 연고를 가진 첫 동시는 박상돈(창원)의 〈단비〉(1923. 6. 24)였으며, 이경손이 부산의 조선키네마주식회사 시절에 동시 26편을 집중 발표했다. (2) 1925년 이경손, 이정호(의령), 엄흥섭(논산→진주) 등의 동시를 거쳐 1926년에는 부산경남지역 관련 동시가 크게 늘어났다. 노을용(거제), 김남주(김해), 이원수(마산), 이진근(거제), 이성홍, 정기주, 김상희(이상 합천)가 3편 이상의 동시를 발표했으며, 김수돈(마산), 김용호(마산)가 당시 보통학교 재학중 동시를 발표하여 일찍 시적 재능을 보여주었다. (3) 1925년부터 이루어진 신춘문예 현상공모를 통해 부산경남지역 연고자의 투고 작품들이 다수 당선되었다. 특히 1929년에는 신경식(창녕), 이원수(마산), 손길상(진주)이, 1930년에는 김대봉(김해), 이성홍(합천) 등이 당선권에 들면서 본격 동시를 발표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4) 1927년 이후 ‘진주새힘사’에서 노동야학운동을 한 정상규가 동아일보에 많은 동시 작품을 발표했는데, 당시 아동들이 처한 현실을 비판적으로 반영하는 작품들이었다. ‘진주새힘사’ 소속 손길상, 이재표의 동시도 같은 맥락을 보여주었다. (5) 1928년에는 김해의 구왕삼, 1929년에는 합천의 이주홍, 김해의 김대봉, 1930년에는 통영의 이구월이 동아일보를 통해 동시를 발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오영수(언양)와 김정한(부산)도 동시 창작을 통한 문학 수련의 과정을 거쳤음을 알게 했다. (6) 1920~1930년에 동아일보에 발표된 부산경남지역 관련 동시로 동부경남 관련 동시가 가장 많았으며, 중부경남, 서부경남의 순이었다. 이는 서부경남 관련 동시가 많이 발표된 조선일보의 경우와 대조적인 현상으로 당시 신문사의 언론 방향과 관련이 깊다. 다음은 동화에 관한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1920년부터 1930년까지 동아일보에 발표된 부산경남지역 관련 동화는 6명에 총 14편으로 상당히 부진했다. (2) 부산경남지역 관련 동화 14편 중 김해 출신의 김남주가 발표한 작품이 8편으로 가장 많았다. 이정호(의령)와 양우정(함안)이 발표한 작품은 창작동화가 아니라 번역동화였다. (3) 고성(孤星, 삼랑진)의 동화는 전래동화의 비현실적 환상성을 많이 수용하면서 죽은 부모에 대한 그리움을 감성적으로 이야기한 작품들이었다. (3) 김남주의 동화는 대체로 아동의 윤리의식을 주제로 강조하는 작품들이었다. 그런데 우연과 초월적 상상에 의한 문제 해결, 스토리의 비유기적 구성과 결말의 갑작스런 전환 등 이야기로서의 구조가 탄탄하지 못했다. 1928년 들어 발표한 동화가 우의적인 형식을 통해 스토리의 현실적 맥락을 어느 정도 확보함으로써 진전된 면모를 보여주었다. (4) 손길상의 동화는 액자구성에 사회의식을 강조한 짧은 작품이었으며, 이구월의 동화는 우의적인 동화로 고양이와 쥐의 싸움을 통해 약자도 뭉치면 강자의 권력과 힘을 이길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은 작품이었다.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development of juvenile literature in Busan and Kyungnam region during the 1920-1930. For this, I have surveyed and researched nursery rhymes and stories which were published in Donga-ilbo. The results so far achieved are in substance as follows. 1. I could find out 187 pieces of nursery rhymes and 14 pieces of nursery stories as a work of juvenile literary man from Busan or Kyungnam in Donga-ilbo(1920~1930). 2. The first nursery rhyme of Busan or Kyungnam in Donga-ilbo is Park, Sang-Don(from Changwon)'s, and Lee, Kyung-Son announced 26 pieces during the 1924-1926 in Busan. 3. We can check that many writers of Busan and Kyungnam published their nursery rhymes in Donga-ilbo, such as No, Eul-Yong(from Geoje), Kim, Nam-Ju(from Kimhae), Lee, Yuon-Su(in Masan), Lee, Sung-Hong(from Habcheon), Jung, Ki-Ju(from Habcheon) after 1926, Jung, Sang-Gyu(from Jinju) after 1927, Ku, Wang-Sam(from Kimhae) after 1928, Lee, Ju-Hong(from Habcheon), Kim, Dae-Bong(from Kimhae), Son, Kil-Sang(from Jinju) after 1929, Kim, Jeong-Han(from Busan), Lee, Gu-Wol Lee(in Tongyoung), and the others after 1930. 3. Among 187 pieces of nursery rhymes, there were the most rhymes in the east area of Busan and Kyungnam. And we could find out those of the central area and the west area of Busan and Kyungnam in the order of numbers. 4. In Donga-ilbo(1920-1930), Kim, Nam-Ju has announced 8 pieces of nursery stories as the largest numbers among the writers of Busan and Kyungnam. But his ones have many faults as a work of nursery story. 5. The work of Son, Kil-sang and the one of Lee, Gu-wol reflected the socialistic trends in those days.

      • KCI등재후보

        이동안 기본춤에 내재된 줄타기의 미학

        김기화 ( Ki Hwa Kim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4 한국무용연구 Vol.32 No.1

        무용계는 무용의 학교교육 시대를 대비하여 우리춤 기본을 어떠한 정체성을 갖고 전승할 것인지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그간 전통춤 연구는 그 춤의 전승경로나 예술가들의 삶에 기반한 공연사적 측면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그 춤의 양식적 기반을 살피는 연구는 미비하게 진행되었다. 이는 일회적이고 소멸적인 무용의 특성, 민속춤 기록문화의 부재 등에서 기인된다. 그러나 춤의 양식적 기반을 찾는 것은 그 춤의 특성을 밝히고, 춤연기의 구체적 근거를 제공하며, 해석이 명확한 질 높은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등 매우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이동안류 기본춤의 양식적 기반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동안 기본춤은 우리춤의 양식적 특성을 밝히는데 있어 고제(古制)로서의 가치를 갖는다. 화성재인청의 맥을 잇고 있는 김인호에서 이동안-박정임으로 전승경로를 갖고 바라보아도 최소한 150년 이상으로 그 기간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 춤의 특성을 바라보는 관점은 춤의 형태미가 아니다. 김인호, 이동안이 재인(才人)으로 살았던 종합연희자로서의 삶에 대한 인식을 하고 이들의 춤을 바라본다면 춤의 특성을 형태미 이상의 새로운 관점으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줄광대로서 인생의 황금기를 보낸 이동안의 춤에는 역동성과 해학성이 돋보인다. 그래서 그의 춤에는 생과 사를 넘는 초탈의 경지를 보여주는 아름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이동안 기본춤의 양식화를 줄타기와의 상관성을 갖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인터뷰와 현장조사 및 문헌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장단, 공간, 움직임, 표현 등을 중심으로 광대줄타기와 이동안 기본춤의 상관성을 논의 한 바 이동안의 기본춤이 광대줄타기와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밝히었다. 연구결과 이동안의 기본춤에는 줄타기의 잔노릇에서 보여지는 줄의 탄력이 반력의 기법으로 변용되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s schools tend to increasingly adopt Korean traditional dance in their regular curriculum, the dance society needs to find solutions to teaching methods and definition of its identity. The past research of the traditional dance has seen its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mainly performance, based on the life of artists or the transmission of it. Research of its patterns, however, in fact has little achievements and that could be mostly explained by the lack of records a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the performing arts have inevitably in them. Nevertheless, to find basic patterns of danc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it and provides concrete foundations for dance performances and ultimately gives a useful opportunity to take a high quality education accompanied by clear interpretation. From this, a style foundation of the basic dance of Lee Dong An``s line is studied in the paper. The basic dance of Lee is highly valued as an old law when we search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our traditional dance has. Its history has at least more than 150 years considering the transmission by Kim In Ho-Lee Dong An-Park Jeong Im, all of whom carried on the legacy of Hwasung Performer``s Hall. The perspective of the characteristic of this dance does not just lie in the beauty of form. If we see the life of Kim and Lee as a talented performer and evaluate their dance, we would get a whole new view about the nature of dance. In particular, as a well-known aerialist, Lee shows both dynamics and humor in his dance, which accordingly reveals a kind of the beauty of transcendence beyond life and death. I study the stylization of Lee``s basic dance by a correlation with tightrope in this paper. For this, qualitative research centered on interviews, field research and references has been used. After the investigation of possible relations between tightrope and Lee``s basic dance based on rhythm, space, movement, expressions, I could fi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results show that his basic dance adopted a transformed technique using elasticity of the rope used for acrobatics on tightrope.

      • KCI등재

        18세기 西學 비판의 맥락과 艮翁 李獻慶의 〈天學問答〉

        조지형(Cho, Ji-hyoung) 한국교회사연구소 2017 敎會史硏究 Vol.0 No.50

        본고는 이헌경의 〈천학문답〉(天學問答)을 검토하여 그의 서학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살펴보고, 18세기 서학 비판의 맥락 속에서 이헌경의 위상을 논하였다. 이헌경은 근기 남인 계열 학자들의 학풍에 영향을 받아 젊은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서학서를 접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서학서를 접하고는 이내 부정적인 생각을 지니게 되었으며, 나아가 서학이 백성들을 그르치고 있음을 근심하였다. 이헌경은 남인 계열의 인사였지만 당파를 넘어 소론 계열의 인사였던 홍양호와도 교유하며 반서학적 입장을 공유하였다. 또 18세기 서학 비판의 핵심 인물이었던 안정복과도 서신을 주고받고 각자의 서학 비판저술을 교환하면서 반서학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의 저술 〈천학문답〉은 서학이 날로 치성해지는 현실에서 그에 대한 우려와 함께 서학의 속성을 드러내고 이를 배척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저작물이라 할 수 있다. 그 내용은 서학이 날로 치성해지는 현실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서학의 그릇된 실질을 비판하며 서학은 불교보다도 보잘것없는 학설이라는 주장을 핵심으로 한다. 이헌경은 서양의 과학기술이나 천문 역법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바라보았고, 서학 관련 저술들은 명말청초 호사가들이 해괴한 이야기를 만들어 꾸며낸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헌경은 서학을 금할 방법으로 그들의 서적을 불태우고 그들의 학설을 뽑아내려는 행동과 더불어 유학의 도를 밝히고 가르쳐 다시금 중화의 도를 제고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주목할 점은 18세기 중반을 넘어서면서 성호우파 계열과는 관계없이 근기 남인 계열 안에서 이헌경으로 대표되는 서학에 대해 비판적 인식을 지니고 있는 또 다른 인사가 등장하였다는 점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보건대, 이헌경은 18세기 후반 남인 계열의 학자들 중에 서학 비판의 또 다른 한 축을 담당하면서 반서학적 입장을 견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가 남긴 〈천학문답〉은 후대 서학 비판 저술에 영향을 끼치고 있기에 18세기 서학 비판의 맥락 속에서 중요한 위상을 지닌다. This paper reviewed Lee Heon-gyeong’s “Cheonhakmundap” to examine his critical position on Western knowledge and discussed Lee Heon-gyeong’s position in the context of the critique on Western criticism in the 18th century. Influenced by the academic tradition of Namin scholars in near capital area in the 17th century, Lee Heon-gyeong seems to have naturally encountered Western knowledge books since his youth. Encountering Western knowledge books, however, he soon had negative thoughts, and was worried that Western knowledge was ruining the people. Although a figure from Namin party, Lee Heon-gyeong shared the anti-Western knowledge position while keeping company with Hong Yang-ho, who was a figure from Soron Party beyond the party. He also maintained the anti-Western knowledge position while exchanging letters with An Jeong-bok, a key figure the critique on Western knowledge in the 18th century and exchanging their writings criticizing Western knowledge. His writing “Cheonhakmundap” can be said to be a work that revealed the properties of Western knowledge with the worry and found ways to reject it in the face of widespread Western knowledge. The core of the contents is that he expressed his worries about the reality in which Western knowledge was getting popular day by day, criticized the false reality of Western knowledge and argued that Western knowledge is a lesser doctrine than Buddhism. Lee Heon-gyeong also had a negative view on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astronomical calendar, and claimed that Western knowledge related writings are strange stories made up by busybodies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In order to forbid Western knowledge, Lee Heon-gyeong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fforts to burn out their books, to remove their doctrines and to raise the intention of China-centrism again by revealing and teaching the intention of Confucianism. What is noteworthy is that another person with a critical awareness of Western knowledge represented by Lee Heon-gyeong in Namin party in near capital area regardless of Seongho right-wing party has appeared after the mid-18th century.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Lee Heon-gyeong ha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context of the critique on Western knowledge in the 18th century because he not only led the anti-Western knowledge position while being responsible for another axis of Western knowledge criticism among scholars from Namin Party in the late 18th century but “Cheonhakmundap” he left behind is affecting the critical writings of Western knowledge in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17세기 문사와 기녀의 사랑의 노트, 『尹晴詩卷』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창작 배경

        김경미 한국고전문학회 2023 古典文學硏究 Vol.64 No.-

        이 글은 17세기 문사와 기녀의 사랑을 기록한 시집 『尹晴詩卷』이 만들어지게 된 배경과 이 시집에 수록된 시들을 분석하여 17세기 문사들의 사랑에 대한 태도, 17세기에 창작된 애정전기소설의 창작 배경에 대해 살핀 것이다. 『윤청시권』은 17세기의 관료 문인 五峯 李好閔(1553~1634)과 義州 기녀 尹晴의 사랑을 이호민이 직접 기록하고 다른 문인들로부터 그에 대한 시를 받아 수록한 것이다. 윤청의 시권이라고 했기 때문에 윤청의 시도 들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현재 이 시집은 전하지 않고 이 시집에 남긴 몇 편의 시들만이 남아 있다. 『윤청시권』에 시를 쓴 문사들은 <주생전>을 쓴 권필을 비롯해서 당시의 대표적인 시인들인데, 이들이 『윤청시권』에 남긴 시들은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주요 모티브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글은 이 둘의 연관 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창작이 어떤 분위기에서 이루어졌는지 그 현장을 짐작해보고자 했다. 또 다분히 유희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만들어진 『윤청시권』을 통해 당시 문사들의 사랑에 대한 인식이 흔히 애정전기소설의 주된 정조로 이야기되는 고독이나 쓸쓸함, 소외와 불우와는 일정한 거리가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창작과 작품의 의미에 대해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Yooncheong Si-kwon, a collection of poems about love of Lee Homin(李好敏, 1553-1634) and Yoon Cheong(尹晴) and analyses the attitudes toward love in the 17th century. Lee Ho-min, a 17th century bureaucrat recorded about his love with Yoon Cheong, a Gisaeng of Uiju and compiled the love poetry volume under the name of Yooncheong Si-kwon, where he also included other writers’ records of it. Even though the title of this book suggests poems written by Yoon Cheong might be also included, any of her works are not found in this love poetry volume. The other writers in Yooncheong Si-kwon are Kwon Pil, an author of Jusaeng-jeon, Lee Jeong-gwi, Lee An-nul, and Cha Cheon-ro, all of whom were representative figures who pursued the Tang Dynasty style and dominated the trend of poetry at that time. It is notable that these writers compared the main characters of love, Lee Ho-min and Yoon Cheong, to immortals exiled to the human world. This motif of the immortal world implies the influence of Tang Dynasty style.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se writers is their positive attitude toward Lee Ho-min’s recording act of love on the ground that the feeling of love cannot be suppressed. These aspects lead us to consider the atmosphere of the creation of love stories in the 17th centur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it, this study demonstrated these love poems have distinctively playful and free atmosphere which is different from such moods as solitude and loneliness that have been referred as the dominant spirits of love stories of those days. This conclusion gives us a new clue for multi-layered understanding of the creative atmosphere of 17th century love stories and the meaning of the concrete love poems.

      • KCI등재

        漢詩에 형상화된 壬辰倭亂, 그 항쟁과 수난의 양상

        강지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2 大東漢文學 Vol.73 No.-

        The Imjin War(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lasted for seven years. It did Joseon big damage and had a great impact on the change of situation of Northeast Asia. In this paper, I analyzed Korean ancient poems expressed disastrous scenes of the Imjin War. The main subject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first, the defeat and sacrifice of the government army; second, a struggle and activity of a commander of volunteers; third, sufferings and injury of the people. Kim, Je-gap, the governor of Wonju, died a glorious death on the field of battle at Youngwon fortress. Won-ho, a deputy commander of Gangwon province, won a victory in battle at Yeo-river but eventually died in battle at Kimhwa. Shin-gak won a victory in battle at Haeyou-ryeong of Yangju. It was the first victory of Joseon in a land battle. But he was put to death unfairly due to a wrong report. After the war, Lee, Hae-su wrote Nanhu- domangrok and Gu, Sa-maeng wrote Nanhu-jomangrok. Each book is a collection of poems lamenting the war dead. They both wrote condolence poems for Kim, Je-gap, Won-ho and Shin-gak. These poems show the whole problems of government forces; insufficiency for the enemy’s surprise attack, disuse of steep landform, betrayal of uncontrolled inside people, carelessness due to only one victory, a false punishment due to wrong communication, etc. Woo, Seong-jeon as a commander of volunteers defended the Japanese invaders at Kimpo and Ganghwa. Lee, Jeong-am, the governor of Yeonan, defended the fortress against the enemy. Lee, Hae-su, Gu, Sa-maeng, Hwang-seom, and Dasan wrote poems about these two people. Reading the poems, we come to know that a victor did not get any special privilege but did receive a reprimand instead. Hwang-seom and Dasan praised Lee, Jeong-am’s contribution to keeping the fortress. And Dasan also praised Shin-gak’s contribution to defensive preparation of Yeonan before. Lee-Dal and Heo-Gyun described sufferings and hurts of the people in their poems. Lee-Dal portrayed a grandfather who held a memorial service for his son died in a war, a young widow who lost her husband in a war and has raised her daughter by herself, and an elderly couple who was fleeing to neighboring province losing their son and daughter-in-law. Heo-Gyun wrote a long piece, Nogaekbuwon, which described a woman’s checkered life in a war. 1592년에 시작되어 1598년에 끝난 임진왜란은 7년간에 걸쳐 동북아 정세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조선 건국 이래로 막대한 피해를 입힌 전쟁이었다. 본고에서는 ‘관군의 패배와 희생’, ‘의병장의 투쟁과 활약’, ‘백성들의 수난과 상처’라는 세 가지 층위에서 강원도와 그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관련 한시를 분석하였다. 관군을 이끈 首將으로는 원주 영원산성에서 전사한 金悌甲, 강원도 助防將으로 驪江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김화 전투에서 전사한 元豪, 楊州 蟹踰嶺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잘못된 장계 때문에 억울하게 희생된 申恪 등이 있다. 전쟁이 끝난 후 藥圃 李海壽와 八谷 具思孟은 각각 亂後悼亡錄 과 亂後弔亡錄 을 남겼는데, 두 책에 모두 이 세 인물에 관한 시가 수록되어 있다. 이 세 사람을 대상으로 한 애도시에는 적들의 기습공격을 대비하지 못했고, 험준한 지형을 활용하지 못했으며, 백성들의 내부 단속이 이루어지지 못했고, 한 번의 승리로 적에 대해 방심했으며, 지휘관들의 의사소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 억울한 희생이 발생한 점 등 당시 관군의 총체적 문제점들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약한 인물로는 金浦와 江華에서 왜적을 방어한 禹性傳, 황해도 延安城을 수성했던 李廷馣 등이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약포와 팔곡 이외에도 黃暹과 茶山이 시를 남겼다. 팔곡은 우성전에 대한 애도시에서 전쟁이 끝난 후 은전이 더해지지 않고 견책을 당한 사실에 대해 當局者의 처사를 비판하였다. 황섬과 다산은 동일하게 이정암의 守城을 칭송하였지만, 다산은 그 이전에 신각이 세웠던 공로를 언급하며 더 깊은 맥락에서 역사를 바라보았다. 백성들이 받은 수난과 상처를 다룬 시로는 蓀谷 李達과 許筠의 작품이 있다. 손곡은 전란 통에 죽은 아들을 제사지내는 할아버지와 손자, 남편을 잃고 홀로 아이를 키우는 어린 과부, 아들과 며느리를 다 잃고 피난길에 오른 노부부의 사연을 한시에서 곡진하게 그려내었다. 허균은 장편시 <老客婦怨>을 통해 전쟁 때문에 모든 것을 다 잃은 한 여인의 기구한 인생을 상세하고 핍진하게 묘사하였다. 전란 중에 가족을 잃고 생명의 위협을 느끼며, 투쟁하고 도망치며 살아남기 위해 끈질기게 노력해야 했던 것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나 마찬가지였다. 자신의 잘못이 아닌데도 희생을 감내해야 했던 것은 결국 전쟁 자체가 빚어낸 모두의 비극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李浩源의 민족운동 연구

        강진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0

        송강 이호원은 공주에서 출생하였으며 독립운동을 위하여 만주로 망명하여 한족회에 가입하여 『한족신보』의 편집을 담당하였으며, 그 다음해에 광한단을 조직하였다. 광한단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는 상황에서 서울에서 체포되어 7년 5개월 동안 감옥살이를 하였다. 그는 출옥 후(1928)에 다시 만주로 재망명하여 정의부가 세운 화흥중학교에서 교사생활을 하였으며, 그 해에 국민부를 조직하고, 다음 해인 1929년에는 조선혁명당 창립에 참가하였다. 조선혁명당 3차 대표회의에서는 중앙집행위원장과 정치부 집행위원장을 겸임하였다. 그는 중앙집행위원장 직에 있으면서 『동성한교정세』와 『만주정세』를 배포하는 등 주요 인물로 활동하였다. 그러던 중 이른바 신빈사건으로 불리는 서세명의 집에서 중앙집행위원회 회의 도중 체포되어 7년 동안 옥살이를 하고 1939년에 출옥을 하게 된다. 그러나 그는 1945년 일본 통화 헌병대에 또 체포되었다가 해방과 함께 출옥하였다. 광복 후, 한교연합회의 문화부장과 조선혁명동지회의 주석, 길림성 조선인민주연맹 주석을 겸임하였다. 또 연길시 제2중학교와 도문중학교 교장으로 있었고, 1951년부터는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과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55년부터 1964년까지 그는 연변조선족자치주 부주장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연길시 제2중학교에서 교장으로 있으면서 연길한글연구회의 주임으로 선출되었으며, 조선족자치주 부주장으로 있으면서는 연변 조선어문연구회준비위원회의 주임위원을 담임하였다. 1957년에는 『연변일보』에서 조선어 순결화 문제에 관한 지상토론이 진행되었는데, 이호원은 여기에서 주요인물로 활동하였다. Songgang Lee Ho‐won was born in Gongju, and studied at Gongju Public Elementary School and graduated from Gyeongseong High School, and then worked as a teacher at Yugu Elementary School in Gongju. He quitted the teaching job as his anti‐Japanese idea written in his diary kept during the days of middle and high school was disclosed. Lee went over to Manchuria for independence movements, and joining the Korean Association, he took charge of editing newspaper Hanjok Sinbo. In the following year, he organized Gwanghandan. While raising war chests in Gwanghandan, he was arrested in Seoul and imprisoned for 7 years and 5 months. After released (1928), he again exiled himself to Manchuria and worked as a teacher at Hwaheung Middle School founded by Jeong Eui‐bu. In the same year, he organized Kukminbu, and in the next year (1929), joined in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Revolutionary Party. In the 3rd Conference of the party, he was appointed as the General Executive Director and the Political Executive Director. Serving as the General Executive Director, he acted as a major figure, distributing Dongseonghangyojeongse and Manjujeongse. In the course, he was arrested at a meeting of the General Executive Board at Seo Se‐myeong’s house, which is the so‐called Sinbin Accident. After 7 years in prison, he was released in 1939. However, he was arrested again in 1945 by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Tonghua, and released on the Liberation. After the Liberation, he worked as the Cultural Secretary of Hangyo Association, the Chairman of the Korean Revolutionist Association, and the Chairman of Korean People’s Democratic Federation in the Jilin Prefecture. In addition, he served as the principal of the 2nd Middle School and Domum Middle School in Yanji City, and from 1951 he taught at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of Yanbian University. Moreover, he acted as the vice‐director of the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from 1955 to 1964. While working as the principal of the 2nd Middle School in Yanji City, he was elected as the director of the Yanji Korean Language Research Society, and when serving as the vice‐director of the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he assumed the position as a member of the Preparatory Committee of the Yanji Korean Language Research Society. In 1957, there were discussions on paper about the purif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in Yanbian Ilbo, and Lee Ho‐won played a major role in the discussions.

      • 다산역학 연구의 최근 성과들과 미래 제언

        황병기(Hwang, Byong-Kee)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9 다산과현대 Vol.12 No.-

        이 글은 다산역학 연구사 전반을 필자의 관점에 따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다산역학 연구의 미진한 분야를 찾아 제안한 논문이다. 먼저 다산역학이 비록 매우 돌출적 성격을 지녔다 하더라도 다른 모든 학문이 그렇듯 영향관계가 성립할 것이니, 다산역학의 역학사상의 위상을 규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일차적인 목표로 성호학파 내의 관련성 문제를 제기하였다. 성호 이익의 역학 관련 언술들은 『주역사전』과 『역학서언』에 매우 비중있게 언급되어 있고, 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더러는 부정되기도 하였다. 하빈 신후담의 역학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일부 논문이 제출된 바 있으나, 여전히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순암 안정복의 역학 관련 기술들 속의 역학이론과의 관련성도 연구주제가 될 수 있는데, 안정복의 역학 논술에 대해서는 한두 편의 논문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안정복의 저술이 아직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았고 또 그 번역도 미비하다는 데에도 원인이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기대된다. 그리고 그의 외손자 방산 윤정기에게 계승된 다산역학의 후속연구도 진척되고 있지 않아서 그 전승 문제에 대한 의견을 제출하였다. 대체로 정약용의 시나 사 등 문학 방면과 실용학 방면에서는 계승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으나, 역학 분야만큼은 그 제자 중에서 언급할 만한 인물이 없다. 다산역은 50여 년을 훌쩍 넘어 그의 외손인 방산 윤정기에게서 온전한 모습으로 계승되는데, 그에 대한 연구도 여전히 미흡하다. 한편으로 현대 연구자들의 한계와 모순도 검토대상이 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다산역학의 연구는 현암 이을호의 연구를 필두로 하여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많은 논문이 배출되었고, 상당한 정도의 역량이 축적된 것으로 평가된다. 다산역을 분석하고 비교해 왔던 그간의 성과들에 기초하여 다산역 자체의 문제에 대한 검토와 위상 평가에 대해서도 앞으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산역학 내에서의 모순과 결함을 지적하는 단계에까지 연구가 진척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마음에서, 정약용의 『주역사전』 주석의 타당성 문제를 함께 제기하였다. 정약용의 깨알 같은 주석에는 오류도 있고 의도적인 곡해도 있다. 오류는 오류대로, 곡해는 곡해대로, 그리고 의도적 곡해는 그 의도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그의 역학 면모를 진정성 있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entire study history of Tasan’s Yi-ology according to my point of view, and finds and suggests the weak areas of Tasan’s Yi-ology. First, although Tasan’s Yi-ology had a very prominent character, the influence relations would hold, as all other disciplines did. Therefore, I raised the issue of relevance within the Seongho School as the primary goal necessary to identify the status of Tasan’s Yi-ology. Seongho Yi Ik’s statements on Yi-ology are very heavily mentioned in Tasan’s main Yi-ology books. His words mainly had a positive influence, but some were denied. There have been a few papers on the relevance of Habin Shin hu-dam’s Yi-ology, but more research is still need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Sunam An Jeong-bok’s statements about Yi-ology can be a research topic. But there is only one or two papers on them.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An Jeong-bok’s writing is not yet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its translation is insufficient. More research is expected in the future. In addition, since the research on the succession of Tasan’s Yi-ology, which was inherited by his grandson Bangsan Yoon Jeong-ki, is not progressing, I submit an my opinion on the matter of transmission. In general, there are traces of succession in literary field such as poetry and prose or practical field, but there are no mentions of the disciples in the field of Yi-ology. More than fifty years later, Tasan’s Yi-ology was inherited by his grandchild, Bangsan Yoon Jung-ki, and research on his Yi-ology is still insufficient. On the one hand, the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s of modern researchers should be considered. The study on Tasan’s Yi-ology has been produced by numerous researchers, led by Hyunam Lee Eul-ho, and it is estimated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competence has been accumulated. Based on these achievements, much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problems of studies on Tasan’s Yi-ology itself. On the other hand, with the hope that the research could be progressed to the level of pointing out the contradictions and defects in Tasan’s Yi-ology itself, I also raise the question of the validity of the commentary of Jeong Yak-yong. There are some errors and intentional misconducts in his commentaries. As it is, it is necessary to show his Yi-ology itself sincerely.

      • KCI등재
      • KCI등재

        1970년대 한국문단의 문학적 복원

        이유경(Lee, You-kyung)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4

        본고는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난 1970년대 초반 문단의 현장을 복원하고, 최인훈이 현실을 소설로 재구성하는 방식을 연구하였다. 그동안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동명의 소설과의 비교연구에 치중되어 왔다. 따라서 본고는 첫째 서지연구를 통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텍스트의 형성과정을 연구하고, 구보와 관련된 당대 문단현장의 지형도를 그려보았다. 둘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남정현(남정우), 김광섭, 이호철(이홍철, 김홍철) 등 구보가 만나는 인물들은 작가 최인훈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했음을 밝혀내었다. 이때 이름이나 작품의 제목이 변경되어 등장하는데 최인훈은 이러한 방식을 ‘예술의 변증법’이라고 일컫는다. 마지막으로 이 ‘예술의 변증법’의 의미를 고찰하고, 최인훈의 ‘참여’에 대한 의 식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aims not only to reconstruct the literary world of South Korea from the late 1960s to early 1970s by collecting the fragments scattered in the serialized novel, One Day of the Novelist, Mr. Gubo (1970-1972) written by In-hoon Choi but also to understand his position in the world of letters within his social network at the time. So far,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extrinsic factors such as the intertextuality of the text of the same name written by Tae-won Park and others as well as the political and social affairs described in it. In order to find out the intrinsic motive within, this paper follows the formation process from the first edition of each serialized text to his completed works. As a result, firstly, it appears that he did not plan the current form from the beginning like his other two serialized novels because this novel from The Reed’s Four Seasons was transformed to emphasize Gubo’s identity as a refugee as well as a novelist and focus on the political arena just after the seventh presidential election. Secondly, Gubo’s everyday life was closely related to literature and reflected Choi’s authentic life experiences, which included meeting Jeong-hyun Nam, Kwang-sub Kim, Ho-chul Lee and others by means of ‘the artistic dialectic’ which Choi used as a method to change their real names or book titles. By doing so, he transformed himself into Gubo in the novel in the same way. Finally, this text itself is a method used to prove that producing literature is a way of criticizing the society to which the writer belonged and move beyond a dichotomy between the dispute on pureness and engagement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