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사에서의 상사 및 동료의 학습지원이 학습전이, 직무성과 및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지혜,김화진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24 서비스경영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조직의 환경적 특성 요인 검증을 위해 항공사 학습지원을 상사의 학습지원, 동료의 학습지원으로 구분하여 각 변수들이 학습전이와 직무성과, 그리고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이 궁극적으로 함양해야 할 자세인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으로의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조직의 학습지원과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 관계에서 직무성과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항공사 인적자원 관리에 도움이 되어 기업 경쟁력을 높이고 조직 환경을 긍정적으로 바꾸어나는데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airline organization by dividing airline organizational learning support into superiors learning support and peer learning support. Each variable influences the transfer of learning, job performance, an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t airline cabin crew members should ultimately cultivate. In addition, we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perform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support an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ults show that both superiors learning support and peer learning suppor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ransfer of learning. Second, both superiors learning support and peer learning support were also found to affect job performance.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ransfer of learning and job performance influence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 among the learning support in the airline organization, job performance was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superiors learning support influencing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the other hand, job performance has no mediating effect in affecting peer learning support an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helping airline human resource management, increas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positive changes i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I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support is supported, loyalty to the organization will increase and ultimately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ll increase.

      • KCI등재

        사회적 학습지원과 혁신행동과의 관계 - 무형식 학습의 매개효과,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

        조윤형,박서정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1

        Among the elements of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Baldwin & Magiuka, 1991; Kontoghiorghes, 2002),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cial learning support.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cial learning a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hich reflect of learning transfer theory and focus on process used terms such as informal learning and context ussed terms as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POP) in hospital situations. The concept of social learning support defined the degree of individuals perceived that their learning support and valued by workplace sources, such as supervisor and coworker.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re consist of ‘go along to get ahead’ and ‘pay and promotion polic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draw the main,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the hypothesis, total 406 questionnaires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learning support have positive impact on informal learning. Second, informal learning leading to innovative behavior. Third, informal learning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earning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POP are partially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innovative behavior, specially go along to get ahead are have moder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practical value as it helps organizations understand what types of social learning support of employees should invest in to learning on the other hand reduce POP. There are many strategies that an organization can use to increase both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of learning, such as increase training budget for enhancing informal learning. Also take up of learning supportive policies, which in turn may lead employees to perceive the organizational climate as more learning supportive, which relates to lower POP. This study shows how important it is for organizations to invest in selecting and developing managers who are able to provide positive learning support for employees generally on the innovation issues. 교육훈련과 직무성과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교육훈련이 어떻게 전이되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고 학습자 특성, 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개발, 업무환경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다. 특히 업무 환경의 여러 요소 중(Baldwin & Magiuka, 1991; Kontoghiorghes, 2002) 사회적 지원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들만이 수행되어져 왔으므로 연구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학습지원인 상사 학습지원과 동료 학습지원이 무형식 학습과 조직정치 지각을 통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과 상황/맥락을 설명하였다. 무엇보다 학습에 대한 전이결과로 혁신행동을 살펴보는 것은 의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지원, 무형식 학습, 혁신행동과 조직정치 지각과 관련된 기존 문헌을 검토하였는데 조직정치 지각은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것과 임금/승진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가설, 매개효과 가설 그리고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병원과 종합병원 등을 대상으로 병원간호사와 의료기사 그리고 행정직원들로부터 설문지를 수거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총 406개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 학습지원과 동료 학습지원은 무형식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형식 학습은 혁신행동을 높이고 있었다. 셋째, 무형식 학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학습지원인 상사 학습지원, 동료 학습지원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정치 지각은 무형식 학습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는데 조직정치 지각: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가 높은 경우 무형식 학습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더욱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정치 지각: 임금/승진 정책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무형식 학습의 중요한 선행요소로 사회적 학습지원이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사 뿐만 아니라 동료의 학습지원이 무형식 학습활동을 높인다는 것이다. 또한 학습전이와 관련하여 사회적 학습지원은 무형식 학습을 촉진시키며, 높아진 무형식 학습의 학습전이 결과로 혁신행동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가 높은 경우는 무형식 학습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낮추고 있어 조직정치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노수림,배성아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2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236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survey consisting of measures of social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and learning flow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when controlling for gender. A bootstrap approach was use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that learning flow mediated this effect. Moreover,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flow mediat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elf-directed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dergraduates who perceive high social support tend to experience high cognitive and affective flow during learning, and high learning flow may lead to high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learning flow in the social support environment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in university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척도, 자기주도학습 척도, 학습몰입 척도를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Preacher와 Hayes(2008)가 개발한 SPSS macro를 사용하여 bootstrap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지지와 학습몰입은 자기주도학습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사회적지지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의 다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이 사회적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주도학습 역량이 높고 사회적지지는 학습몰입도를 높여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높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사회적지지는 학습과정에서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을 높여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증진을 위해서는 사회적지지 환경 내에서 학습몰입의 영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정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7 평생학습사회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innovativeness, superiors’ support, and peer support among the types of workplace learning among the manufacturing workers of large corporations.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on innovation,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support. To do this, we set up a research model by using informal learning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nov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supervisor support and peer support as control variabl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regular workers employed in manufacturing industry of large corporations using colony sampling method and 451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researc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formal learning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shows that positive learning effect and innov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Second, ‘Supervisor support will control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on innovativ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innovativen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by the supervisor. Third, it was shown that ‘support for peers will control the influence of informal learning on innovation’, and peer support does not control improvement of innovativen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Through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boss’ s interest and effort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innovation improvement through the informal learning of the members, and the support of the peer does not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the innov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ffective workplace learning managemen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의 제조업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터학습의 유형 중에서 무형식학습과 혁신성, 상사지원, 동료지원 간의 상호 관련성을 실증 분석하여,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무형식학습을 독립변수로, 혁신성을 종속변수로,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을 조절변수로 구성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는 대기업의 제조업에 근무하는 일반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집락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51부를 회수하여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무형식학습은 혁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는 무형식학습과 혁신성은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지원은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는 상사의 관심과 노력은 구성원의 무형식학습을 통한 혁신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료지원은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는 동료지원은 구성원의 무형식학습을 통한 혁신성 향상을 조절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상사의 관심과 노력이 구성원의 무형식학습을 통한 혁신성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점과, 동료의 지원이 혁신성 향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차원에서 효과적인 일터학습 관리를 위해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중년기 여성 학습자의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 요양보호사 학습자 중심으로

        정윤주 ( Joung Yoon Ju ),조희선 ( Cho Heui Seo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중년기 여성의 학습참여 요인은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도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 요인, 삶의 의미, 사회적 지지의 각 변인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많이 있으나, 사회적 지지가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학습참여 요인, 삶의 의미,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학습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밝힌 것은 학습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의 학습참여 요인의 전략을 세우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학습참여 요인, 삶의 의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었다.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서적 지지는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는 높아지는 것이다. 반대로 물질적 지지는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었다. 이는 중년기 여성에게 평가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를 강화시키는 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사회 제도적 보완 및 대책이 요구된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en's learning participation-related factors on the meaning of lif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o verify this, this study surveyed 551 middle-aged women aged 45-65 years liv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with the questionnaire including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s, meaning of life, and measures of social support with the use of SPSS 25.0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s of middle-aged female learners positively affected the meaning of life. Learning-oriented factors and goal-oriented factors positively affected the meaning of life, but activity orientation negatively affected the meaning of life, which means that taking pleasure in learning itself and having a clear purpose make the meaning of life more valuable, but the increase in activity orientation - with expansion of human relationships, feelings of alienation, and escape from boring daily - life reduces the value of the meaning of life. Second, it was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and positively affected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s. Information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the activity-oriented factors.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learning orientation factors. Information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goal orientation. Conversely, it was verified that material support negatively affected goal orientation factors, which means that information provision, interest and love, and a high level of trust increase activity-oriented factors, and affection and trust, providing inform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or high acceptance of oneself increase goal-directing factors, and a high level of advic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raises the level of goal orientation, and an increase in material support such as money, goods, labor assistance, or time decreases goal orienta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meaning of life show that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Emo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positively affected the discovery of meaning in life and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positively affected the meaning-seeking. On the other hand, material support negatively affected the pursuit of meaning, which means that when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increase, the meaning of life increases, but also meaning-seeking decreases when material support such as goods, money, time, and labor aid increases.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s and the meaning of life. In other words, it is meaningful that social support increases the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 of middle-aged women, which helps enhance the value of meaning in life, leading to growing understanding of middle-aged female learners.

      • KCI등재

        고객관계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를 적용한 교수학습개발센터의 학습지원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김경호,권성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Changes in environment at universities have led to swtich over from teacher-centered paradigm to learner-centered paradigm with increasing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In this sense, the role of CTL in universities is becoming more and more significant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to satisfy' learners, and further to enhance universities' competitive edge. Universities should regard the relationship with students as that between supplier and user, not that of learning. As well, universities should build up user-centered systems, satisfy learners' needs and provide systems and services that will increase immaterial profits. Because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uniform application of learning activity support due to many different learners' needs and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offer individualized services. In this study, a learning support system with application of core CRM strategies in CTL was developed, theoretical ground and design strategies for development were drawn through a literature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of CRM were analyzed and the core strategies were applied to the learning support system. The core CRM strategies applied are five - customer segmentation, customer value consideration, customer-centered data integration, cross-sales and individualization. In addition, educational characteristics like characteristics, approach methods and utilization methods were considered to apply CRM in university education. The core CRM strategies were drawn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the measures to apply CRM to university education were arranged. The research conten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RM strategies were drawn by analyz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operation of CRM system already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study and a case study. Second. learning support services in domestic and overseas CTL were examined and measure to apply CRM to university education were presented. Third, CTL learning support system to which the core CRM strategies were applied was developed. In this study, CTL learning support system to which the core CRM strategies were applied was developed and presented. Learning system refers to the learning-related services constructed by collecting, integrating and processing learners' data, analyzing individual needs and characteristics and using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learn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upport strategies of a university. 본 연구는 CRM 핵심전략을 적용하여 교수학습개발센터의 학습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개발의 이론적 근거와 설계전략을 도출하였으며 CRM의 특성과 전략을 분석하고 핵심전략을 학습지원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적용된 CRM의 핵심전략은 고객세분화, 고객가치 고려, 고객중심 데이터 통합, 교차판매, 개인화 전략 등 다섯가지이다. 고객세분화 전략은 학습자를 특성에 따라 세분화하고 각각에 맞는 학습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크게 서비스에 의한 세분화, 학습방법에 의한 세분화, 학습자의 정보에 의한 세분화로 나누었다. 고객가치 고려전략은 학습자가 학습서비스르 원하는 정도에 따라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개념으로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다. 고객중심 데이터 통합전략은 학사정보뿐만 아니라 학습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학습자에게 맞는 일대일 학습지원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였다. 교차판매 전략은 학습지원서비스간 연관관계를 규명하여 특정 학습자가 기존에 이용했던 서비스와 다른 유형의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활동을 말한다. 끝으로 개인의 차별화된 정보를 자동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추천시스템으로 적용된 개인화 전략을 들 수 있다. 학습지원시스템은 학습자의 데이터를 수집, 통합,가공하여 개개인에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학습관련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대학교육 영역에서의 CRM을 적용하기 위해 대상의 특성 및 접근 방식, 활용방법 등의 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에서 대학의 특성과 학습지원전략에 따른 새로운 학습지원모델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수학습개발센터는 학습자와의 학습관계(learning relationship)를 통해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양질의 교육서비스의 개발 및 실행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보건특성화 전문대학 교수학습지원 운영 및 활성화 방안

        이희경(Hee-Kyung Lee),도금혜(Kum-Hae Do)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17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보건특성화 전문대학 교수학습지원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세계수준의 보건의료·산업 전문직업인 양성이라는 대학의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수 및 교육연구 지원, 학습 지원, 이러닝 지원, 국가시험 지원으로 운영하였으며, 그 성과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교수학습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계적인 교수학습지원을 통해 교수강의평가 점수가 향상되었고 국가시험 합격률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지원의 활성화를 위해 교수 서포터즈와 학생 서포터즈의 활성화를 제안하였으며 국가시험 대비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이러닝 지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ed the operation and activation of teaching-learning support in college specialized in health. CTL(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gressed teaching support program, learning support program, e-learning support program and examination support program. The major outcomes were as follows: 1)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program’s satisfaction showed high. 2) Lecture evaluation score was improved and examination pass ratio was getting higher. We suggested teaching supporter and learning supporter for activation of teaching-learning support. We suggested systematic examination support and e-learning support.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수진(Su Jin Kim),김보현(Bo Hyun Kim),이수진(Su Ji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만 3세~5세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놀이지원 실천역량, 놀이학습공동체 참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을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놀이지원 실천역량의 하위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놀이학습공동체 참여는 놀이지원 실행, 놀이지원 평가를 높이는 데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분석되었지만 놀이지원 계획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놀이지원 계획, 실행, 평가에 미치는 설명력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놀이학습공동체 참여는 놀이지원 계획보다 놀이지원 실행과 놀이지원 평가를 더욱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주도성과 자발성이 존중되는 놀이 진행을 위해서는 유아교사들의 놀이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lay learning community on their ability to practice play support.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homeroom teachers aged 3 to 5 who are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data related to play support practice capacity and participation in play learning communities were colle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lay learning community on play support practice competency. analysis was performed. them. Result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lay learning community on the play support practice competenc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of the play support practice competency. Participation in play-learning community was analyzed as an important predictor for increasing play support execution and play support evaluation, but the effect on play support planning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explanatory power on play support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play learning community was found to explain play support execution and play support evaluation more effectively than play support pla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y learning commun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s to be activated in order to proceed with play in which the initiative and spontaneity of infants are respected.

      • KCI등재

        大學における對話の場づくりとしての 自律的日本語學習の支援 - 「わせだ日本語サポ一ト」を事例とする考察 -

        古屋憲章 ( Furuya Noriaki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8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3

        本硏究の目的は、「わせだ日本語サポ一ト」(以下「サポ一ト」)を事例として、自律的日本語學習(學習者オ一トノミ一)の支援を對話の場づくりとして位置づけることである。そのため、本稿では、まず、2節において、「サポ一ト」がどのように實施されているかに關し、「サポ一ト」の實施形態、利用狀況、(「サポ一ト」實踐の軸である)日本語學習アドバイジングを中心に說明した。次に、3節において、「サポ一ト」スタッフが自身の「サポ一ト」實踐の經驗や學習者へのインタビュ一をとおし、どのような氣づきを得たかを記述した。そして、4節において、アクションリサ一チ(AR)の樺組みに卽し、本硏究を省察したうえで、省察にもとに、「サポ一ト」を對話の場という觀点で考察した。 考察の結果、次のような「サポ一ト」の內實が明らかになった。a)「サポ一ト」スタッフは、ARにおけるアクションリサ一チャ一であり、「サポ一ト」利用者(日本語を母語としない學生)は、ARにおける硏究協力者である。b)「サポ一ト」は、アクションリサ一チャ一であるスタッフと硏究協力者である利用者が大學における敎室外日本語學習環境をめぐり、對話する場である。c)「サポ一ト」におけるスタッフと利用者の對話をとおし、大學における敎室外日本語學習環境が協動的に構築されるとともに、改善される。d)「サポ一ト」という協動的な實踐が、大學における對話の場づくりとして機能している。さらに、a)~d)の考察をふまえ、大學における對話の場づくりとしての「サポ一ト」が、日本語敎育の想定する「ことばと社會」の公共性を提案していく實踐硏究、すなわち公共日本語敎育學の實踐となっていく可能性が示唆された。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osition support of autonomous Japanese learning (learner autonomy) as creating a place for dialogue as a case of 'Waseda Nihongo Support' (hereinafter 'support'). First, Section 2 of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ementation of 'support', the situation of use, the language learning advising (which is the axis of 'support' practice) about how 'support' is implemented it explained to the center. Next, Section 3 discusses what kind of awareness the 'support' staff got through their experience of practicing 'support' and interviews with learners. Then,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of action research (AR), after reviewing this research, Section 4 examines 'support' from the perspective of dialogue based on refle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support' structure: a) 'Support' staff is an action researcher in AR, 'support' users (students without native Japanese) are research collaborators in AR, b) 'support' is a place where the staff who is an action researcher and the user who is a research collaborator can talk with each other around the university Japanes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at the university. c) Through dialogue between staff and users in 'support', the Japanes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outside the classroom at the university is collaboratively constructed and improved. d) Collaborative practice 'support' is functioning as a place for dialogue at university. Furthermore,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a) to d), 'support' as creating a place for dialogue at university is a practical research proposing the public nature of 'language and society' assumed by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at is, practice of public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spiring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n academic practice.

      • KCI등재

        상사지원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학습전이의도의 매개효과

        현영섭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2

        Supervisor’s support influencing on learning transfer have been studied constantly.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report consistent results about the relation between supervisor’ support and learning transfer. In order to answering the problem, some researchers discussed theoretical model containing intention to transfer learning as a mediator. Based on the discus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structural relations among supervisor’s support, intention to transfer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of learners participating at A training program of A airline company in South Korea. For the purpose,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374 learners through survey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items of survey were abo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pervisor’s support, intention to transfer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 between supervisor’s support and learning transfer was mediated by intention to transfer learning. Second, supervisor’s support had an direct influence on learning transfer. Based on the result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그 동안 상사지원이 학습전이에 영향을 주는 상사지원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상사지원과 학습전이의 관계에 대한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지는 않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자들은 매개변수로서 학습전이의도를 포함하는 이론적 모형을 논의하였다. 이런 논의에 기초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A항공사가 운영하는 A교육훈련에 참석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상사지원, 학습전이의도, 학습전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교육훈련에 참여한 374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양적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설문조사 문항은 개인적 특성, 상사지원, 학습전이의도, 학습전이에 대한 문항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전이의도는 상사지원이 학습전이에 주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둘째, 상사지원은 학습전이에 직접 영향도 주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