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의 일례 - 학습자참가형평가 실시를 위한 앙케이트 결과에서 -

        에비나미유키 ( Ebina Miyuk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9 No.-

        일본어수업에 학습자참가형 평가를 도입하면, 교사는 학습자의 성취수준을 파악하고 학습자는 수강하는 수업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자신의 학습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평가과정에서도 교사나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이 촉진된다. 본고에서는 수업에서 학습자참가형 평가를 도입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써 한국소재 대학의 교양일본어수업 수강생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는 활동적인 수업과 평가에 대한 경험이 있으며, 수업을 통하여 일본어회화 실력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평가’는 ‘교수(평가주체)'가 ‘운용능력(평가내용)’를 ‘필기 및 실기시험(평가방법)'으로 하기를 원하며, 평가기준도 ’교수‘가 작성하기를 원한다. ‘평가’에 대해서는 ‘교수가 성적부여를 위한 수단’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참가형 평가를 비롯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평가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수업에서의 학습자참가형 평가와 상호평가의 도입으로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효과적인 자기주도학습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By introducing learner-participating assessment into Japanese classes, teachers can grasp the learner's achiev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e lessons they are taking, and learners can be interested in their own learning. In addition, students' learning ability will be promot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eachers and learners during the assessment proces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Japanese languag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as a preparatory step for the introduction of student participation assessment. The results show that learners have active lessons and assessment experience, and that they often aim to improve their Japanes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lessons. In addition, "assessment" is expected to be evaluated by "professors" as "paper and performance tests" and "professors" as criteria for assessment. As for assessment, learners understood that professors were a means of grading.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of mutual assessment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such as learner participation assessment, is examined. It is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participation assessment and mutual assessment in the course will help Korean Japanese learners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 KCI등재

        自己評価活動における学習者の意識と評価シートの分析 -教科書を用いる一斉授業の韓国人中級日本語学習者を対象に-

        나가시마 노리코,가키우치 료타 한국일어교육학회 2018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3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self-assessment activities to encourage autonomous learning in intermediate level classroom lesson using textbooks, and this paper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learners’ perception of self-assessment and analyzed Can-do check sheets used in self-assessment activities.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s that some learners recognize the self-assessment helps them “to grasp their own ability” and “to grasp the contents of learning and reflection”, while others find the difficulty with self-assessment “to assess themselves objectively”, “to set assessment criteria on their own” and “to describe what they noticed from their learning”.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certain factors that reduce the learners’ motivation for self-assessment and learners judge that the self-assessment is useless for their Japanese learning. The factors are the repetition of self-assessment activities for each part of the textbook with the same procedure and no teacher feedback. Furthermore, a classification of learners was attempted associated with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descriptive quantity in Can-do check sheets. However,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self-assessment and the descriptive quantity.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descriptive contents, it could not be either found any characteristic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The result of survey shows that, in order to make the self-assessment activities more effective, it is more important to increase leaners’ interest and concern for self-assessment by making them ful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usefulness of self-assessment or motivating them with feedback of teacher rather than teaching how to describe what they noticed from their learning in self-assessment activities. 本稿は、自律学習を促すための自己評価活動を改善することを目的とし、教科書を用いる中級クラスの一斉 授業において、アンケートによる自己評価に関する学習者の意識調査と、自己評価活動で用いた自己評価 チェックシートの記述の分析を行った。 その結果、アンケート調査においては、学習者が「自分の実力が把握できたこと」や「学習内容の把握やふり かえりができたこと」を自己評価の利点として捉えている一方で、「客観的に評価すること」や「自分で考え て評価基準を設定したり、気づきを記述すること」等に対して難しさを感じ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また、自 己評価活動が教科書のPart毎に同じ手続きで繰り返されることや教師フィードバックがないことが、学習者の 自己評価に対する動機を低下させ、自己評価は日本語学習の役に立たないと判断する要因となっていることも 明らかになった。 更に、評価シートの記述を記述量や記述の多様さという観点から、アンケート調査の結果と関連付け、学習 者の分類を試みたが、それぞれの分類にある程度の特徴は見られるものの、記述量や記述の多様さと自己評価 に対する認識の間には関連がないと判断できた。 これらのことから、自己評価活動をより効果的に機能させるためには、記述に関する指導以上に、自己評価 の意義や有用性を十分に理解させることや、教師フィードバック等により自己評価に対する動機付けを行っ て興味·関心を高めることがまずは重要であるという結論に至った。

      • KCI등재

        自己評價活動における學習者の意識と評價シ一トの分析 -敎科書を用いる一齊授業の韓國人中級日本語學習者を對象に-

        長島 倫子(ながしま のりこ) ( Nagashima Noriko ),枾內 良太(かきうち りょうた) ( Kakiuchi Ryota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8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3

        本稿は、自律學習を促すための自己評價活動を改善することを目的とし、敎科書を用いる中級クラスの一齊授業において、アンケ一トによる自己評價に關する學習者の意識調査と、自己評價活動で用いた自己評價チェックシ一トの記述の分析を行った。 その結果、アンケ一ト調査においては、學習者が「自分の實力が把握できたこと」や「學習內容の把握やふりかえりができたこと」を自己評價の利点として捉えている一方で、「客觀的に評價すること」や「自分で考えて評價基準を設定したり、氣づきを記述すること」等に對して難しさを感じ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また、自己評價活動が敎科書のPart每に同じ手續きで繰り返されることや敎師フィ一ドバックがないことが、學習者の自己評價に對する動機を低下させ、自己評價は日本語學習の役に立たないと判斷する要因となっていることも明らかになった。 更に、評價シ一トの記述を記述量や記述の多樣さという觀点から、アンケ一ト調査の結果と關連付け、學習者の分類を試みたが、それぞれの分類にある程度の特徵は見られるものの、記述量や記述の多樣さと自己評價に對する認識の間には關連がないと判斷できた。 これらのことから、自己評價活動をより效果的に機能させるためには、記述に關する指導以上に、自己評價の意義や有用性を十分に理解させることや、敎師フィ一ドバック等により自己評價に對する動機付けを行って興味·關心を高めることがまずは重要であるという結論に至った。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self-assessment activities to encourage autonomous learning in intermediate level classroom lesson using textbooks, and this paper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learners’ perception of self-assessment and analyzed Can-do check sheets used in self-assessment activities.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s that some learners recognize the self-assessment helps them “to grasp their own ability” and “to grasp the contents of learning and reflection”, while others find the difficulty with self-assessment “to assess themselves objectively”, “to set assessment criteria on their own” and “to describe what they noticed from their learning”.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certain factors that reduce the learners’ motivation for self-assessment and learners judge that the self-assessment is useless for their Japanese learning. The factors are the repetition of self-assessment activities for each part of the textbook with the same procedure and no teacher feedback. Furthermore, a classification of learners was attempted associated with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descriptive quantity in Can-do check sheets. However,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self-assessment and the descriptive quantity.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descriptive contents, it could not be either found any characteristic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The result of survey shows that, in order to make the self-assessment activities more effective, it is more important to increase leaners’ interest and concern for self-assessment by making them ful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usefulness of self-assessment or motivating them with feedback of teacher rather than teaching how to describe what they noticed from their learning in self-assessment activities.

      • KCI등재

        SW교육 학습자 중심 평가 사례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교육의 평가 방향 고찰

        신희남,안성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5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를 대비하면서 우리 교육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넘어 소프트웨어 기술을 접목한 AI 교육의 시대로 새로운 배움의 장을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 평가 사 례를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통해 인공지능 교육의 평가 방향을 고찰해 보려 한다. 컴퓨터 교과를 포함한 비컴퓨터 교과에 학습자 중심 평가를 적용한 사례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와 학습자 중심 평가의 환경 여건 및 평가 모형 등을 모색하고, 소프트웨어 교육에 학습자 중심 평가 모형을 적용한 사례를 통해 인공지능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평가가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습자 중심 평가는 학습 자의 학습 목표 도달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지능정보기술에 따른 디지털 환경 여건의 구축, 학습자의 평 가를 도울 수 있는 객관적 평가 시스템과 객관적 평가 모형이 고안되어질 때 인공지능 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 평가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Prepar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rona-19, our education is expanding a new chapter of learning to the era of AI education that incorporates software technology beyond software education.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case of learner-centered assessment in software education and examine the assessment dir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 case of applying learner-centered assessment to non-computer subjects including computer subjects, we sought the effects on learners' learn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assessment models of learner-centered evaluation, and through the case of applying the learner-centered assessment model to software education, we wanted to find out what the learner-centered assessme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uggests to the educational sit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learner-centered assess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rner's achievement goal, and it is expected that the learner-centered assessme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ill be carried out smoothly when an objective evaluation system and objective evaluation model are designed to help the learner's assessment, building digital environment conditions based o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Self-Assessment in a Korean Online University EFL Writing Classroom

        박수정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4 외국학연구 Vol.- No.29

        Self-assessment has long been mentioned as one of the means of evaluating second language (L2) learners' performance. The argument in favor of self- assessment includes its educational benefits, such as learners' active involvement in their L2 learning process and their becoming autonomous language learners.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L2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how valid self-assessment results can be among the possible factors affecting learners' self-assessment accuracy. Thus, this study explored the pedagogical value of self-assessment along with learners' perception of its use in an L2 composition classroom at a Korean online university. Nineteen students who were provided with self-assessment checklists wrote 38 before and after self-assessment argumentative essays. Their essay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ntent, organization, and a genre-specific criterion, or the inclusion of counterargument and refut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tent was the least problematic (or the easiest) to satisfy, irrespective of self-assessment. The genre-specific criterion improved the most after self-assessment, while organization was the most difficult criterion to satisfy. These findings will be further discussed with different proficiency groups along with their perception of the use of self-assessment in the language classroom. Finally,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A Review of Assessment in Language Learning:

        Ju hyun Back 현대문법학회 2013 현대문법연구 Vol.75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problematic areas in assessing children’s language learning, suggesting key solutions to the problems arising from different types of assessment. A critical evaluation of a variety of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s provided several teaching implications. First, assessment needs to be conducted through informal tests in which the learners cannot notice that they are being assessed. Although assessing young learners needs to be compatible with the more accessible learning such as activities used everyday in their classroom, coping with instructions for classroom activities needs to be handled with care. Assessing young learners through group or pair works can be more effective to enhance social and communicational skills than traditional tests. However, equity in relation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their English knowledge, and learning experience needs to be taken into serious consideration. Finally, more attempts to promote teacher-student interaction through student journals and conferencing assessment need to be made, even though this would not be culturally preferred learning style in Korea. This paper may thus give solutions for effective ways of assessing young learners from multiple perspectives rather than depending on only one assessment instrument.

      • KCI등재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학습자 MBTI(E-I)성향별 맞춤 교육 효과 연구― 중국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 중심으로 ―

        장홍연,김귀화,이찬규 중앙어문학회 2023 語文論集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effects in speaking proficiency between extrovert and introvert classes, divided according to learner preferences, in Korean language speaking education for beginner-level Chineselearners of Korean. Initially, a pre-assessment of learners’ speaking proficiency was conducted. Then, using the MBTI, a well-structured yet easy to understand and widely used personality type assessment tool in education, learners’ personality types were measured. Based on this, classes were divided into ‘extrovert’ and ‘introvert’ groups. Customized education was implemented in the practice and activity stages of the speaking lessons, tailored to the tendencies of each group. Since the mid-1970s, there has been a trend towards individualized learning in learner-centered education.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conducted different activities for learners with different tendencies and executed customized lessons. After the speaking lessons, an assessment of speaking proficienc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lessons, and verification was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The verification results showed that both extrovert and introvert learners had higher achievement than traditional integrated classes. Extrovert learners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speaking proficiency effects compared to introvert learners, and the speaking proficiency among introvert learners was more uniformly achieved. This confirmed that speaking lessons tailored to learners’ tendencies can enhance learner achievement in Korean speaking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급 수준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학습자 성향에 따라 외향성 반(class), 내향성 반으로 나누어 말하기 수업을 진행한 뒤, 각 반의 말하기 성취도에 따른 차이와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데에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실험 전 학습자 말하기 성취도 사전 평가를 진행했다. 그리고 정교하게 짜여 있으면서도 이해와 해석이 쉽고 교육 분야에 서 가장 널리 쓰인 성격 유형 검사 도구 MBTI를 활용하여 학습자 성격 유형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를 성향에 따라 ‘외향성 반’, ‘내향성 반’으로 나누어서 수업을 진행하였다. 말하기 수업 과정의 연습과 활동 단계에서는 반별 성향에 따라 맞춤 교육을 실행하였다.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 학습자 중심 교육 ‘개인화(맞춤형) 학습’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면서 학습자 개인의 성향을 중시하는 추세이다. 학습자 성향에 따라 선호하는 수업 방식이 다르므로 본 고는 같은 교수자와 같은 수업 내용으로 성향이 다른 학습자에게 서로 다른 연습 활동을 진행하여 맞춤 수업을 수행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성향별로 분반하여 말하기 수업이 끝난 후, 수업 성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말하기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여 실험 전후의 성취도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 성향에 따른 분반 수업에서 외향성 반 학습자와 내향성 반 학습자는 전통적인 통합 반 수업 학습자보다 모두 성취도가 높았다. 외향성 반 학습자가 내향성 반 학습자보다 말하기 성취도 효과 폭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내향성 반 학습자들이 외향성 학습자보다 말하기 성취도가 더 균일하게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서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 학습자 성향에 따른 말하기 수업이 학습자 성취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실험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10개 문항에서 ‘매우 만족과 만족’에 응답한 결과가 평균 76.55%를 기록하여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의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 사례와 교육적 의미 탐색

        정현철 ( Jeong Hyun Chul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3

        이 연구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의 사례와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 체육 교과 수행평가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체육교과 선택형 수행평가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교사 3인과 교사 3인이 추천한 각 학교 학생 1명씩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선택형 수행평가의 자료들과 관찰일지, 심층 면담, 집단 면담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는 영역별 수업 단원에 맞춰 교사의 설명과 시범 뒤 학생 스스로 평가 내용과 방법을 선택하여 기준안을 마련하게 된다. 학생은 교사에게 평가 기준안에 대한 설명과 시범을 보인 뒤 교사의 개입과 타협을 통해 최종 수행평가 기준안이 마련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피드백과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진다.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의 교육적 의미로는 첫째, 학생 스스로 평가 기준안을 작성하며 교사와 신의(信義)를 바탕으로 한 개입과 타협을 통해 평가에 이르기까지 개별성이 존중받는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학생은 수행평가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자율성을 가지게 되었고, 선택형 수행평가를 진행하면서 평가 기준에 대한 성취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해 책임감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이 반영된 선택형 수행평가는 과정 중심 평가로 수업의 과정과 결과가 일치되는 균형 잡힌 평가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cases and their meanings with respect to PE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in which learners become the center,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meanings,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PE performance assessment. I, the researcher, selected three teachers and three students recommended as participants by the three teachers, respectively, and collected and analyzed performance assessment materials, observation logs, and data from depth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For the PE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students chose the assessment contents and methods, and established standards after teachers' explanations and demonstrations according to each chapter. Students provide explanations and gave demonstrations concerning the assessment standards to teachers, and the final standards were established through teachers' intervention and compromise. Based on this, various feedbacks was provides and process focused assessment was undertaken. The educational meanings of PE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were as follows: First, assessment appreciating individuality is undertaken following intervention and compromise based on teachers' sincerity while students establish their own assessment standards. Second, students can acquire autonomy during the process of freely selecting and practic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y also develop sense of responsibility to satisfy the accomplishment goals of assessment standards while they undertake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Third,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that reflects learn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ws the possibility of being a balanced method of assessment, in which the process and the results are agreed as process-focused assessment.

      • KCI등재

        대안평가 적격성 판단을 위한 의사결정과정 탐색 연구

        강은영,박경옥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이 적용 받는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하는 수업과 학습한 것에 대 한 정당한 평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대안평가의 유형을 국내 실정에 어떻게 적합화 할 수 있는지, 이후 대안평가 대상자 적격성 판단을 위한 기준과 대안평가를 실시하는 과정은 어 떤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적용 가능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수교 육대상학생에 대한 교육평가는 정규평가와 대안평가로 나눌 수 있다. 정규평가는 평가조정이 있는 정규평가를 포함하며 일반학생과 함께 평가 결과 해석이 가능하지만 대안평가는 학년수준 성취기 준에 기초한 대안평가(AA-GLAS), 세분화된 평가준거에 기초한 대안평가(AA-MAS), 대체 성취기준 에 기초한 대안평가(AA–AAS)로 나누어질 수 있고, 대체 성취기준에 기초한 대안평가(AA–AAS)는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평가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대안평가 대상자 적격성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개발하여 제시한 대안평가 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흐름 도를 활용하여 반드시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대안평가 적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이는 한 두 명 의 의견에 의한 결정이 아닌 단위학교 차원에서 개별화교육지원팀의 충분한 협의를 통해 팀 접근 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대안평가의 적격성 및 하위유형을 결정할 때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의사결정을 위해 장애유형, 장애정도, 문화적․경제적 불이익 등 11가지의 대표적인 기준을 사용하지 않도록 유의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개별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결정된 유형의 대안평가 개발 시 학 습자 특성 분석(LCI)을 통해 평가 제시양식과 학생 반응양식을 고려해야 하며, 이 때 활용 가능한 양식 및 예를 제안하고, 대안평가 실행과정 7단계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되고 제시된 대안평가 적격성 의사결정 흐름도 및 학습자 특성 분석을 토대로 대안평가 실행 과정의 전반에 대 해 제안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 및 현장에의 적용을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ype of alternate assessment suitable for the national situation can be distinguished in order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fair assessment of the instruction and the instruction that fully reflect the curriculum applied to students who receive special education, and how to proceed from the criteria for judgment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lternate assessment. Educational assessments for students who receive special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regular and alternate assessment, regular assessment includes regular assessment with test mod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assessment results is possible with non-disabled students. Alternate assessment can be divided into alternate assessment based on grade level achievement standards(AA-GLAS), alternate assessment based on modified achievement standard(AA-MAS), alternate assessment based on alternative achievement standards(AA-AAS). Alternate assessment based on alternative achievement standards(AA-AAS) refers to the types of assessment that apply when applying the basic curriculum. In order to make a decision, it is necessary to decide whether to apply the alternat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objective eligibility criteria by using the decision-making flow chart for selection of the alternate assessment subject developed and presented in this study. At the unit school level,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 should have sufficient consultation and team approach. Therefore, when deciding on the eligibility and subtype of alternate assessment, it is suggested that 11 representative criteria such as disability type, disability level, cultural and economic disadvantage should be avoided for objective and fair decision making. In addition, when developing the alternate assessment form determined for individual student who has special education needs, assessment form and student responses form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learner characteristics inventory(LCI) analysis, suggest form and example that can be used at that time. Based on the alternate assessment eligibility decision flow and learner characteristics analysis developed and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the whole process of the alternate assessment process. Also,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ementations were generated.

      • KCI등재

        초등영어수업에서 백워드 설계 모형 기반 자기평가 구성의 방향

        김진석 ( Kim Jin Seok ),장은숙 ( Jang Eun Su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3

        교실수업에서 교사는 단지 지식만을 전달하는 역할을 넘어서 학습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탐색하여 과제를 완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촉진자, 조언자, 상담자, 모둠 활동 운영자의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들이 교수·학습 활동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를 상시적으로 점검하고 그 결과를 참고하여 자신의 수업을 성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어 교실수업에서 백워드 설계 모형과 자기평가의 유용성을 살펴본 후, 수업지도안 작성 시 백워드 설계 모형 기반 자기평가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백워드 설계 모형과 자기평가에 대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수업지도안의 분석 기준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서울시교육청과 서울교육대학교가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TEE-ACE 인증제에 제출한 초등교사 다섯 명의 수업지도안(세안 또는 약안)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학습자들의 요구나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학습의 변화를 설명, 해석, 관점 가지기, 공감 등으로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다. 둘째, 설정한 평가기준들은 학습자들이 구현한 학습활동을 얼마나 달성했는지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했다. 셋째, 수업 활동 계획 시, 자기평가나 상호평가를 계획하지 못하였고, 정의적 측면에서 학습자들의 흥미, 학습동기, 자신감 등을 지속할 수 있도록 수업활동을 설계하지 못하였다. 넷째,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학습자의 인지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유아기에 해당되는 활동을 설계하였기 때문에 의미있는 의사소통을 함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평가를 할 수 있도록 계획하거나 학습자의 성찰 및 수정 안내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수업 활동의 과정 속에서 학습자들의 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백워드 설계 모형 기반 자기평가표를 제안하였다. 자기평가표는 백워드 설계 모형을 바탕으로 학습태도와 학습활동의 평가영역을 좀 더 확장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학습태도에 관점 갖기와 공감하기를 설정하여 학습자들이 학습목표를 제대로 이해했는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습활동에서의 수업내용 이해도에서는 학습자들이 의미를 알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를 기준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영어는 상대방의 말이나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제대로 파악해야 하고, 자신의 의도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학습활동 영역에서 상호작용의 정도를 평가의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무엇보다도 교실수업의 성패는 교사와 학생 간, 학생들 간 상호작용을 역동적으로 하여 서로의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기평가표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목표에 제시된 학습의 변화를 설명, 해석, 관점 가지기, 공감 등으로 세분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명이나 해석의 측면에서는 학습한 어휘, 의사소통 기능, 언어형식 등에 대한 의미를 파악했는지, 학습자 자신의 관점을 가지고 공감하는 능력을 갖추었는지 등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서는 흥미를 가지고 주어진 과제를 자신감있게 완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는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rimary learner self-assessmen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in primary English classes. For this, recent papers on backward design model and self-assessment tools were reviewed and investigated, and expert meetings were carried out to deliberate on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self-assessment shee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in primary English classes. According to Wiggins and McTighe(2005), the model was composed of three steps such as identifying the results desired, culminating assessment tasks, and designing activities. Compared with Tyler(1949), the phase of setting up assessment criterion is carried out before designing task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framework of backward design model, the self-assessment sheet was composed of learning attitude(preparation, learning involvement, motivation, self-confidence, perspective, and empathy) and learning activity(understanding of lesson content, accomplishing of tasks, interaction among learners, checking learners` progress, personalization, and creativity) considering WHERE-TO approach(where and why, hook and hold, explore and equip, rethink and reflect, evaluate, tailor, and organize).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self-assessment shee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needs to be applied to improve primary learners`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asks implemented in the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