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교육 : 재미 한인의 국어교육 기관과 국어 교과서 연구-일제강점기 미주 본토 지역을 중심으로

        윤금선 ( Keum Sun Yeun ) 배달말학회 2014 배달말 Vol.55 No.-

        이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미주 본토 한인 사회의 국어교육 활동상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논의에서는 첫째, 재미 한인의 교육 사업과 교육 기관을 분석한 것으로, 당대 국어 교육 기관인 ‘학생양성소’와 ‘국어학교’의 설립 과정 및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어 교과서의 실제를 검토한 것으로, 그 편찬 과정 및 교과서 내용 등을 고찰하였다. 이주 초기부터 미주 한인사회에서는 국어의 보존이 곧 민족의 보존이라는 의식 하에 ‘학생양성소’와 ‘국어학교’ 등을 설립하여 국어교육에 진력하였다. 학생양성소는 ‘대한인국민회’ 산하의 공립학교로서 초기 국어교육 기관에 속한다. 각처에 흩어져 있는 한인 자제들을 모아 자국어와 자국 역사 및 일반 보통교육에 힘썼으며, ‘유년 하기강습소’를 열고 일반 아동에게 국어교육을 시행하기도 했다. 한편 국어학교는 국어교육을 위한 상설기관으로 한인사회에 국어 보급을 확산시키는 데 지대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북미지방총회’를 중심으로 3차에걸쳐 국어 교과서를 편찬하기도 했다. 각 시기별 교과서 개편 과정을 보면 변화되는 사회에 부응하여 시대를 반영하는 편찬을 지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analyzes Korean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of Korean in American mainland area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the specific discussion was noted that the two points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e education and modern institutions of Korean ln Americans. Contemporary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student training school`` and ``korean language school`` were established. 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stablished procedures and content of education. Second, the actual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reviewed. In particular, that was considerd the compilation of textbooks and content. Koreans established schools such as ‘student training school’ and ‘korean language school. And they educated Korean language to migrants. Because they thougt that the preservation of the language was to preserve the nation. Student training school was affiliated with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This school belongs to early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It operated a ‘childhood summer school’, and taught korean languages to children. The korean language school is developed in the form of childhood summer school. The school was established in each local.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widespread. Also they revised edition of a textbooks three times under the direction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 revised edition of a textbook was published as information for each period.

      • KCI등재

        재미 한인의 국어교육 기관과 국어 교과서 연구 - 일제강점기 미주 본토 지역을 중심으로 -

        윤금선 배달말학회 2014 배달말 Vol.55 No.-

        This research analyzes Korean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of Korean in American mainland area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the specific discussion was noted that the two points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e education and modern institutions of Korean ln Americans. Contemporary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student training school' and 'korean language school' were established. 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stablished procedures and content of education. Second, the actual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reviewed. In particular, that was considerd the compilation of textbooks and content. Koreans established schools such as ‘student training school’ and ‘korean language school. And they educated Korean language to migrants. Because they thougt that the preservation of the language was to preserve the nation. Student training school was affiliated with’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This school belongs to early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It operated a ‘childhood summer school’, and taught korean languages to children. The korean language school is developed in the form of childhood summer school. The school was established in each local.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widespread. Also they revised edition of a textbooks three times under the direction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 revised edition of a textbook was published as information for each period. 이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미주 본토 한인 사회의 국어교육 활동상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논의에서는 첫째, 재미 한인의 교육 사업과 교육 기관을 분석한 것으로, 당대 국어 교육 기관인 ‘학생양성소’와 ‘국어학교’의 설립 과정 및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어 교과서의 실제를 검토한 것으로, 그 편찬 과정 및 교과서 내용 등을 고찰하였다. 이주 초기부터 미주 한인사회에서는 국어의 보존이 곧 민족의 보존이라는 의식 하에 ‘학생양성소’와 ‘국어학교’ 등을 설립하여 국어교육에 진력하였다. 학생양성소는 ‘대한인국민회’ 산하의 공립학교로서 초기 국어교육 기관에 속한다. 각처에 흩어져 있는 한인 자제들을 모아 자국어와 자국 역사 및 일반 보통교육에 힘썼으며, ‘유년 하기강습소’를 열고 일반 아동에게 국어교육을 시행하기도 했다. 한편 국어학교는 국어교육을 위한 상설기관으로 한인사회에 국어 보급을 확산시키는 데 지대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북미지방총회’를 중심으로 3차에걸쳐 국어 교과서를 편찬하기도 했다. 각 시기별 교과서 개편 과정을 보면 변화되는 사회에 부응하여 시대를 반영하는 편찬을 지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해방 이후 하와이 한인의 국어학교 운동 연구 - ≪國民報≫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윤금선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1 No.-

        This paper is about the Korean language school activities implemented in the Hawaiian Korean Society from the post-liberation period to the 1960s. The Korean language school in Hawaii developed actively from the 1910s to the early 1930s amid the interest of the Korean people. However, in the 1930s, the number of student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schools weakened. Moreover, Korean language schools were almost closed in the 1940s due to the effectuation of the ‘Foreign Language Prohibition Law’ However, as foreign language schools were allowed in the Liberation Period, there was a movement to rebuild Korean language schools.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s’ has been active in projects such as expanding projects to support Korean language schools and setting up dues to maintain schools. In addition, ‘Dongjihoe’ and ‘Women's Association’ also joined to reviv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Since the early 1960s, there has been a systematic Korean language school movement. A coalition of religious, political and educational figures has formed the "Hawaii Korean Language School Foundation" and launched the "Korean Language School Movement" to educate Korean language. The movement was accompanied by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Koreans, who also raised school building costs and donated goods. The school held 'Korean Language School Night' regularly, so the Korean people could have a chance to contribute a time of unity and donations. As the Korean language school movement spreads,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s. Considering this points, the 'Korean Language School Movement' in Hawaii in the 1960s served as the basis for promo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merican society. Migrant Koreans have suffered from various hardships living abroad. Nevertheless, they thought preserving the Korean language would preserve the nation. So they actively develope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eries of Korean language school movements resumed after liberation is an extension of this. Language is the spiritual root of a n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migrant Koreans is a national movement to preserve their own language. 이 연구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를 시기로 하여 하와이 한인사회의 국어학교 전개상을 고찰하였다. 하와이 한인사회의 국어학교는 한인들의 관심 속에서 1910년대 초기부터 설립되어 한인의 국어교육을 담당한 교육기관이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부터 학생이 대폭 감소하고 국어학교의 활동도 약화된 현상을 보였다. 특히 1940년대에 이르러서 하와이에 ‘외국어학교정지법’이 발효되어 국어학교 교육은 거의 차단되었다. 그러나 해방 이후 외국어학교 재개가 허용되면서 국어학교 재건운동이 일게 되었다.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는 국어학교 지원 사업을 확장하고, 학교 유지를 위한 의무금을 책정하는 등 적극적인 교육사업을 펼쳤다. 여기에 ‘동지회’, ‘부인회’ 등도 동참하면서 국어교육 활동들이 다시 활기를 띠었으며, 특히 1960년대 초부터 대대적인 국어학교 운동이 펼쳐졌다. 종교계 인사와 정치계, 교육계 인사가 총 연합하여 ‘하와이 한국어학교 기성회’를 결성하고 소위 ‘한국어학교 운동’을 전개한 것이다. 한국어학교 운동은 국민회를 주도로 하여 한인사회 전반의 관심과 참여가 수반된 운동으로서, 한인들은 학교 설립과 유지를 위한 각종 후원금 기부에 참여했으며, 정기적으로 ‘한국어학교의 밤’을 개최하고 학교 확산을 위한 행사들을 갖기도 했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학생 수도 증가세를 보였으며, 이후 한국어학교는 미주 한인사회의 국어교육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했다. 일제강점기에 조국을 떠나 해외에 거주하게 된 이주민들은 국어를 보존하는 것이 민족을 보존하는 것이라는 인식 하에 국어교육에 힘썼다. 해방 이후에 다시 재개된 국어학교 운동은 이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언어는 한 민족의 정신적 근간으로서, 자국어를 보존하려는 이주 한인들의 국어학교 운동은 일종의 민족운동에 해당된다 하겠다.

      • KCI등재

        The Research of policy suggestion through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overseas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Focusing on Korean Language Schools

        김한나(Kim, Hanna),반정민(Ban, Jeongm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5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글학교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한글학교 관련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함과 동시에 한글학교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된 한글학교와 한국어교육 관련 논문 180편을 대상으로 한글학교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 영역은 학습자 중심, 교사 중심, 한글학교로 분류함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재외동포에 관한 연구를 포함함으로 한글학교에 관한 정보 부족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주제의 경우 학습자, 교사, 부모 등의 한글학교 관련 인물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 한글 교재, 한글학교 운영 및 교육과정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 진행에 있어서 한글학교에 관한 정보가 부족하여 연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결론] 한글학교와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연구의 경우, 과거 연구에서도 문제화 되었던 교재 개발, 교수 연수 관련 문제, 교육 과정 및 교육 자료 개발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글학교의 발전을 위한 향후 연구의 경우 학습자 및 교사, 학부모의 요구분석을 통해 현지 한글학교에 실질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지화된 학습 자료 및 교수활동 설계 및 한글학교 간의 정보 공유를 통해 교육과정 차별화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Korean Language Schools, suggest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Korean Language Schools, and at the same time examine policy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Schools. [Method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Language Schools on 180 papers related to Korean Language School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from 2005 to 2021. [Results] In the case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on people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school such as learners, teachers, parent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schools operation, curriculum and more. It is shown that various studies are in progress. However,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Korean language schools in the progress of the study suggests that the study is having difficulties. [Conclusion] In the case of future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Schools, research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local Korean school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eeds of learners, teachers, and parents. In addition, discussions on differentiation of curriculum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through localized learning materials and design of teaching activities and sharing information among Korean Language Schools.

      • KCI등재

        해외 한글학교 당면 과제 및 발전 방향 -프랑스 지역 한글학교를 중심으로-

        김윤주 ( Kim Yoon-joo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1

        본고는 유럽 지역, 그 중에서도 특히 프랑스 소재 한글학교의 운영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주요 쟁점을 검토한 후, 해외 한글학교의 당면 과제와 해결 방안에 대해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지 학교장과 교사 면담, 수업 참관 등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프랑스는 파리 소재 한글학교와 지방 소재 한글학교의 현황에 큰 차이가 있다. 학교의 역사와 규모에도 차이가 있고, 학습자 구성이 크게 다르다. 파리의 한글학교는 재외동포 유아동과 청소년 학습자가 주를 이루고, 지방한글학교는 외국인 성인 학습자 비율이 높은 편이다. 체류 기간에 따른 차이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어 교수-학습의 목표와 학습자 동기,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 방식도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프랑스 소재 한글학교의 발전을 위해 첫째, 재외동포와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교재 등 학습 자료 개발이 필요하고, 수업에 활용할 방안, 교수법 개발 등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의 연령별 변인에 따른 교재 및 교수 자료, 교수법 개발도 시급하다. 셋째, 초중고 학생의 경우 현지 정규학교 및 교육과정과의 융합을 위한 장기적 계획과 실천이 필요하다. 넷째, 단기 체류자와 영구거주자 사이의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교사 교육과 재교육의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여섯째, 현지 지역사회와 공생의 관계를 유지해 장기적 발전 방향을 마련하는 일도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한글학교를 통해 한국어를 학습할 수밖에 없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수용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은 너무나 다양한 변인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논의의 범주도 매우 광범위할 수밖에 없다. 해외 여러 지역 여러 국가 소재 한글학교와의 정보 교환 및 차별화 방안, 현지 지역사회안착 및 조화를 위한 방안, 교육 내용 및 수업 설계의 현지화, 교육과정 차별화 등에 대한 숙고와 논의가 지속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schools in France, discusses major issues, and tries to find future directions for schools. The investigator of this study observed classroom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schools in France and interviewed principals,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of schools.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ailored and differentiated curriculums,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for oversea Korean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Second, education materials and reference materials for teachers should be diversified considering various ages and generations of students. Third, it would be better if curriculums, planning, and practices of Korean language schools are coordinated with public schools in the target country. Fourth, Korean language schools’ education needs to consider differences between shortterm residents and permanent residents in the country. Fifth, education of teachers of Korean language schools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Meanwhile, there are much needed confronting tasks of Korean language schools that should be discussed, including issues associated with information exchange among Korean language schools in various regions, measures for how Korean language school can root in the community and get along with residents, alternatives for domest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designs of edu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all these issues should be discussed continuously to have successful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제2언어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장애에 관한 재외 한글학교 교사들의 인식 탐색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대상으로

        정민주 ( Chung Minju ),조은미 ( Cho Eunmi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글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습장애가 있는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교수 경험 및 교육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글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설문 조사 결과, 첫째 한글학교 교사들은 학습장애가 있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의 필요성을 어느 정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일반 학생과의 통합 교실 수업 운영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미국 한글학교 교사들이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관심이나 활용 경험은 있지만 아직까지 학습장애가 있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부족한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한글학교 교사들은 학습장애가 있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여섯 가지 한국어 교육 현안 중에서 맞춤형 교재 부족의 문제를 가장 시급한 문제로 인식하였다. 심층 인터뷰 결과, 첫째 한글학교 교사들은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장애 문제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둘째, 한글학교 교사들은 학습장애가 있는 한국어 학습자의 상태를 그들의 부모들과 공유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셋째, 통합 교실 수업 방법과 관련해서도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현실적인 수업의 어려움 때문에 필요에 따라 통합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설문 조사와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제2언어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장애와 관련하여 한국어 교사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experience and education method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learning disabilities by studying Korean language school teachers in California. The survey results showed, first, that the Korean language school teachers had a relatively high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an educational pla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urthermore, most teachers positively recognized the need to conduct courses in integrated classrooms for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although the Korean language school teachers were interested and proficient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al methods, it was confirmed that their interest and practice with regard to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still insufficient. Third, the Korean school teachers identified the lack of customized textbooks as the most critical among the six educational issues related to teaching Korean to those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in-depth interviews revealed, first, that the Korean language school teachers were cautious in dealing with problems related to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although the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integrated classroom courses. they preferred selective integrated classroom courses as required, due to the practical difficulties encountered while teaching. Thir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customized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as recognized. Based on the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in relation to learning disabilities of those who study Korean as their second language.

      • KCI등재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National Ident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nd the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Schools as Heritage Schools

        성기욱,전한성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9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meaning of Korean ident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In addition, it explores, from the heritage language perspective, the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schools (which serve as a community for overseas Koreans) working as heritage schoo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strives to promote national identity, which means different things to different subpopulations due to Korea's unique historical context. Rather than developing an identity through the Korean language as the people of a modern country, Koreans formed their identity when they had no country under Japanese occupation, by strengthening their ethnicity identifying Korean as their national language. Following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a process of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emphasized the growth of key national aspects, and attention focused on both the identity of the Korean citizen and the definition of national identity. It was found that under this process, "nation" is perceived differently among political forces, South and North Koreans, and Koreans around the world. Therefore, the educational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should be established to enable reflection on individual identity beyond national identity, considering their sociocultural contexts. In addition, we need to redefine the purpose of education to help overseas Koreans produce hybrid culture in their countries of residence rather than emphasizing national identity. This study emphasized that to achieve this purpose, heritage schools should be established as systematic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Korean language, which is promoted as a heritage language that restores emotional ties in communi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the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Korean language schools as heritage schools by examining bo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schools.

      • KCI등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사례를 통해 본 해외 한국 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 : Focus on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

        김창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해외 한국학교 국어교육의 지향과 현황을 알아보고.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를 위하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 평가 자료를 분석하고, 교장과 교사, 학생 및 학부모를 면담하였으며, 정규 초등학교와 토요학교의 국어 및 다른 교과 수업을 관찰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사관과 한인회의 관련자와 면담하였으며, 싱가포르 일본인학교 및 호치민과 상해, 자카르타의 한국(국제)학교 자료도 참고하였다. 기초 조사 결과 싱가포르 한국학교는 국적 교육과 현지 적용 교육, 문서로서의 제7차 교육과정과 현지화 한 학교 교육과정, 한국학교 자체의 완결된 교육 시스템과 현지 학교 및 국제 학교와 연결된 교육시스템 사이의 긴장 관계속에서 국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긴장은 영어ㆍ중국어 중심의 생활 언어의 압박, 학교의 언어 환경과 학교 밖의 언어 환경의 차이, 중학교를 국내/현지 중 어디로 진학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로 인해 더욱 첨예화 되고 있다. 그에 따라 국어교육의 방향이나 교수법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국어교육 방법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방법에 이르기까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접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이 태생적으로 가지는 문제로서, 일거에 해결하기보다는 기초 여건을 개선하고 학부모의 인식을 제고하면서 조금씩 해결해나가야 하는 문제다. 이 연구에서는 그와 관련하여 해외 한국학교용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한국학교 지원센터 설치를 제안했거니와, 그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물들을 이끌어낼 때 의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학교를 위하여 정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해설본을 만드는 일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한 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좁게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넓게는 재외 동포를 위한 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I, in this article, intended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efficient method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t overdseas Korean schools through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SKS)',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the topic, I analyzed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evaluation data of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and interviewed the principal and teacher, students and parents. I observed the classes of primary school and Saturday Korean school, too. And I tried compare the SKS's case to 'Singapore Japanese School' and Korean International School of Shang Hai, Ho Chimin City, and JaKar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informations, I know that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has some conflicts between Korean national education and localized education to Singap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MOE and SKS's Singapore oriented school curriculum, and Singapore's educational system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that SKS based on. Moreover, the problem is getting worse by influences of English and Chinese used in Singapore, difference of language using enviroment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and confusion of the choice to secondary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it needs that reform the fundamental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changing of parents' consciousness about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is article, I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Schools" and establishing the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Oversea Korean school". Especially, I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 "Adapted Korean Language Texbooks for Overseas Korean School."

      • KCI등재

        해외 정규교육기관을 통한 한국어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원장 대상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김선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plan to revitalize Korean language adoption of overse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fter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with directors of Korean Education Center overseas on how to activ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abroad.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long been centered on adult education through no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is continuously expand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hich are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anks to developing and executing strategic projects centered on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the past 20 years. In order to continue this atmosphere and to expand the interest in the adoption of Korean as a subjec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more countries, systematic and strategic support at the Korean government level is needed. The Korean language support progra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hich is being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a timely move to take a leap forward considering the local situation where the interest in Korean culture has recently increased due to the Korean Wave. In order to activate the Korean language ado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local universities must first be activated and then expand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Korean Education Center overseas. In addition, it will focus on the location of Korean companies and the formation of overseas Korean communities, build infrastructur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astly, Korean language adoption programs have to be executed as well as policy suppor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addition, management of schools that have already adopted Korean language as a subject is necessary. To this end, ac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level and organic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required.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교육원장들을 대상으로 해외 한국어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이를 바탕으로 해외 정규교육기관의 한국어 채택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오랫동안 비정규교육기관을 통한 성인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 오던 한국어교육이 지난 20년 동안 정부에서전략적인 사업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정규교육기관에서의 한국어교육이 지속적으로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보다 많은 국가의 초중등학교에서 한국어를 교과목으로 채택하는일에 대한 관심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국 정부 차원의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교육부가추진하고 있는 초중등학교에서의 한국어 채택 지원 사업은 최근 한류 등으로 인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있는 해외 현지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지금이 도약을 꾀할 수 있는 적시라고 할 수 있다. 초중등학교의 한국어 채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현지 대학을 먼저 활성화한 후 초중등학교로 확대해야 한다. 또한 초중등학교 한국어교육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원을 확대하고, 한국교육원의 설치 확대 및 운영을 활성화해야한다. 이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 진출 소재지 및 한인사회 형성지역을 집중 공략하고, 한국어교육을 위한 인프라를구축하면서 한국어교육의 질을 제고해야 한다. 끝으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함께 한국어 채택 지원사업을 추진함과 아울러 한국어를 이미 채택한 학교의 관리에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 차원의적극적인 지원과 해외 한국어교육 관련 기관 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해방 후의 기독교 선교사를 위한 한국어교육기관의 역사적 의미- Korean Language School(1949-1958) -

        오대환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3 언어와 문화 Vol.9 No.2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there has been existed the ‘Korea Language School’ that replaced ‘The Language School’,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Christian Missionaries in Korea before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s colonial rule. This is a part of the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until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t Yonsei University, the first modern Korean Language Institute, was established in Seoul, Korea.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Korea Language School' has existed from the year of 1949 to 1958, which had never been reported before, and also examined the purpose, the participants, the contents and the curriculum of education, showing some problems the language school had at the time which eventually brought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t Yonsei university as a solution to those problem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rted from the establishment of Yonsei Korean Language Institute, was originated fro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Christian Missionaries. In addition, this study clarifie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some extent, despite that it remains some extra works to review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used in the beginning of Yonsei Korean Language Institute more clos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