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에 관한 일고찰

        전한성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2

        Purpose: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nd to redefine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on a realistic level. Methods: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First, how to set up the concept and category of overseas Koreans who are subject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based on the set category, the current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is whether it is reasonable or not. Based on these problems, we explored the direction of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Results: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conclusion is that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overlooked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and the special nature of overseas Koreans as it only focused o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national identity. Conclusion: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discussed. Through the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we should restore the bond between family and minority communities and have an integrated eye to become the main agent of creative mixed culture production. 목적:이 연구는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적 차원에서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재정립하는 데 있다. 방법:이를 위해 두 가지 문제를 살펴보았다. 첫째, 한국어교육의 학습 대상인 재외동포의 개념과 범주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이다. 둘째, 설정된 범주를 근거로 할 때 현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은 타당한가이다. 이러한 문제를 바탕으로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결과:현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은 민족정체성 형성과 유지에 중점을 둔 나머지 한국사회의 현실과 재외동포의 특수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본고에서는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재정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계승어로서 한국어교육의 실천을 통해 가족 및 소수공동체의 유대감을 회복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사회의 분단 및 다문화 현실과 재외동포의 민족적 시각을 아울러 이해하고 나아가 거주국의 사회구성원으로서 창의적인 혼종문화 생산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 안목을 갖추는 것이다.

      • KCI등재

        자서전적 방법(Autobiographical Method)을 활용한 문학교육의 평가 방법 연구

        전한성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80

        One of the difficulties in literature education is that the experiences from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experiences from everyday lives are contradictory. We are learning literature now but we don't live lives based on literature at all. I wonder where this disparity comes from. In this study, I examined if there could be any agreement on the egos from literature education and everyday lives, extracting human-centric factors of literature from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literature curriculum. I drew out a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internalize ourselves on the ground of our literary competences in order to lead literary lives. The assesment of literature education consists in the inspection of the way the literature competences make personal internalization. Accordingly, noticing the Pinar's Currere educational curriculum insisting on the restoration of real self, I set up a new aim for the evalu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It is because Pinar is presenting a new educational curriculum, pointing out the evil practices in school education. I set up the literary competence of handling literary text, language, communication, and forming ego-identity as the contents for evaluation. The reason I included forming ego-identity in the literary competence is that it is possible to grade it by the steps of Erikson's ego-identity. Literary learning through Autobiographical Method can be a new way to bolster independence for the student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cused on this method would accurately discern the level of literary competence and understanding, and it could be a new alternative to the evalu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being nourishment of education for humanization. 문학교육의 어려움 가운데 하나는 문학교육에서의 경험과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이 조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 문학을 배우고 있지만 결코 문학을 통해 삶의 풍부한 이면들을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학교에서 겪게 되는 문학경험과 일상에서의 문학적 삶의 경험은 좀처럼 조응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러한 경험의 불일치는 어디서 비롯하는 것일까. 본고에서는 문학교육과정의 목표가 인간 중심의 문학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살피고 그러한 목표를 바탕으로 자아의 정체 형성에 주목하였다. 학교에서의 문학교육 경험이 우리의 생활과 자연스럽게 조응하여 개인의 성장과 사회 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 위해서는 문학 이해를 통한 자아성찰이 필요하다. 문학교육 평가의 목표는 이러한 문학이해를 통한 자아성찰인 문학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다. 본고에서는 인간을 중심에 둔 교육과정 본래의 의미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파이너의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에 주목하여 문학교육의 새로운 평가방향을 마련하였다. 파이너는 학교교육에서의 나쁜 관행을 지적하며 새로운 방법의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것은 인간 본래의 내면을 회복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는 자서전적 방법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자서전적 방법을 재개념화하여 새로운 평가의 원리를 계획하였다. 평가를 위한 내용으로서는 문학능력을 설정하였는데 이러한 능력은 문학 텍스트, 언어, 의사소통, 자아 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는 자아 성찰적 사고를 모두 포괄한다.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서는 자서전적 방법을 재개념화하여 3단계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자서전적 방법을 활용한 문학의 교수학습은 학습자들에게 문학을 통해 자아 성장과 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러한 평가의 원리 제시는 문학을 이해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교육의 문학을 있는 그대로의 문학으로 경험하고 나아가 공동체 문화 발전에까지 기여할 수 있도록 하자는 바람에서 비롯한 것으로 새로운 문학교육 평가의 시론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현행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죽음교육 양상 고찰 -죽음모티프 서사 갈래의 제재를 중심으로-

        전한성 한국종교교육학회 2020 宗敎敎育學硏究 Vol.64 No.-

        본 연구에서는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죽음모티프 서사 갈래 제재들의 죽음교육 양상을 고찰해보았다. 현행 문학 교과서 총 10종 가운데 죽음모티프를 가진 서사 갈래를 살펴보면, 설화, 고전소설, 현대소설, 수필, 영화가 있다. 그 가운데 현대소설이 문학 교과서 10개 종류에 총 21편으로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다. 이들 작품들은 대개 죽음모티프 고유의 형상을 이해하기보다 문학교육의 내용성취기준을 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죽음모티프를 다루고 있는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지만, 특정한 교육 내용을가르치는 데 함몰되어 있거나, 다양한 학습목표를 구현하는 데 소수의 특정 작품이 제재로 활용되고 있었다. 학습활동내용 분석 결과, 이들 작품들은 대부분 죽음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해를 도모하는 데 중점을 둔 교육 내용으로 구성되어있었다. 삶의 과정으로서 죽음을 인식하는 내용이나 죽음에 대한 윤리적 이해를 도모하는 활동이 미흡하였다. 특히 죽음에 대한 철학적·종교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활동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향후 문학교육과정 차원에서 죽음교육의 분명한 목적을 설정하고 그에 부합하는 제재 선정 기준과 체계적인 내용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기 경험 창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전한성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introspecting oneself through writing activity which connects and interprets their own experience based on interests.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examining why it is important to express and understand one’s own experience through writing. Second, three-level creative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was suggested using an autobiographical method for creative writing of one’s own experience. Step 1 is making conversation by free association. Step 2 is creative writing of one’s own experience for forming interest. Step 3 is comprehensively analyzing all the courses of creative writing experience. Finally, this study provided three principles for implementing the model effectively in a classroom situation. They were about the distinction of lessons, the combin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and methods, and the modif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future researches, specific and concrete ways of implementing this model should be drawn up.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이 자기 경험을 관심이라 부를 만한 것을 중심으로 연결지어보고 해석하는 쓰기 활동을 통해 자아성찰을 도모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먼저 자기 경험을 언어행위를 통해 표현하고 이해하는 일이 왜 중요한지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자기 경험 창작을 위해 자서전적 방법을 활용한 3단계 창작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1단계는 자유연상을 통한 대화나누기이다. 2단계는 관심 형성을 위한 자기 경험 창작하기이다. 3단계는 창작 경험의 모든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3단계 창작 교수-학습 모형이 실제 창작 활동이 이루어지는 교실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세 가지 적용 원리를 제시하였다. 첫째, 차시 수업의 구분에 따른 적용 원리이다. 둘째, 교수-학습 모형과 기법을 통합한 적용 원리이다. 셋째, 교수-학습 모형의 변형을 통한 적용 원리이다. 향후 이 모형이 원활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방법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언어의 ‘상호작용적 기능’을 매개로 한 통합적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전한성,민지훈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content of Koreanlanguage education, which integrates the existing content areas of theKorean language and the contents of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bymeans of the ‘intepersonal function of the language’. First, themacrofunction system of language was utilized to integrate existingcontent areas with the conten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Linguisticrealization of wish’ corresponding to interpersonal functions inmacrofunction system of language is set as the medium of integrati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contents were derived by setting‘present realization of wish’ and ‘imaging reproduction of wish’ which areaspects of realizing this in detail as target of education. Second, In termsof media language education, ‘interpersonal functions’ of language wereutilized to implement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aesthetic text’ as thecontent of education. The interpersonal function of language is closelyrelated to the concept of aestheticism, which means human sentimenttoward aesthetic objects in that it values human attitudes. Therefore,based on this discussion, the theme of ‘Wishes of SeoDong’ was definedas ‘Aesthetic text’ by SeoDongyo as Hyangga, folktales associated with itand SeoDongyo as drama. In addition, The knowledge and activitiesrequired to actively accept and produce these were derived as the contentof education. 이 연구는 언어의 ‘상호작용적 기능’을 매개로 하여 국어과의 기존 내용영역과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을 통합한 국어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내용 영역과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을 통합하기 위해 언어의 대기능 체계를 활용하였다. 언어의 대기능 가운데 상호작용적 기능에 해당하는 ‘소망의 언어적 실현’을 통합의 매개로 설정하고, 이를구체적으로 실현하는 양상인 ‘소망의 현재적 실현’과 ‘소망의 영상적 재현’을교육의 대상으로 설정하여 그 교육적 의의와 내용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매체언어 교육의 측면에서 ‘심미적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을 교육의 내용으로 구현하기 위해 언어의 ‘상호작용적 기능’을 활용하였다. 언어의 상호작용적 기능은 인간의 태도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미적 대상에 대한 인간의 정서를 의미하는 심미성의 개념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를 전제로 하여, ‘서동의 소망’을 주제로 하는 향가 <서동요>와 그 전승담 그리고 드라마 <서동요>를 ‘심미적 텍스트’로 규정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수용 및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활동을 교육의 내용으로 구안해 보았다.

      • KCI등재

        자전적 서사의 형상화 과정을 통한 서사 창작 교육 방향 연구 - 『백범일지』를 중심으로

        전한성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89

        It is well-known that creative writing would be helpful educationally in life by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and by reflecting the self. However, there are lots of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gardless of realizing the necessity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ny arguments should be confronted in the design and practice in creative writing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This study would emphasize on configuration education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in creative writing education. And the discussion on creative writing in the study would be developed by narrative creative writing. All the while it is apparent that configuration in creative writing has been focused on only descriptive aspects, for example, character, incident, background, sequence of time and so on. However, configuration should be stressed on emotional aspects, such as, interest, motive, imagination, move, rather than descriptive aspects. This study examined how these aspects would be configurated in autobiographical narrative 『Paekpom Ilchi』, the autobiography of Kim-Ku. Then, the study proposed four ways for configuration education in narrative creative writing; the recognition of the self and the world, the meaning of individual experience, the interaction between narrator and actor, and the meaning of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aimed at specific readers. It is significantly necessary relating to the teaching-learning aspects that the factors of configuration are extracted and they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principle of actions in creative writing education. It is not easy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teach or learn the process of creative writing since it could be ended up just simply analyzing texts. Therefore, the work of establishing the factors of configuration and its relationship, and explaining the principles of actions will be useful to define the concepts, for example, creative writing move, imagination, move, and creative writing competence. 창작은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계, 그러한 세계와 자신의 삶의 관계를 인식하는 데 교육적인 측면을 함의하고 있다. 그러나 국어교육에서는 창작의 교육적 필요성을 깨닫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국어교육에서 창작 교육은 어떻게 위치할 것인가 하는 영역을 포함한 교육과정상의 문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할 것인가 하는 교수․학습의 문제, 학생들의 창작 과정과 결과를 어떻게 점검해야 할 것인가 하는 평가의 문제 등, 창작 교육의 설계와 실천의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이론적 논의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어, 서사 창작 교육에서 교수․학습 방법의 일환으로서 형상화교육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동안 창작 교육에서 형상화란 인물의 성격이나 사건, 배경 혹은 시간의 구성과 같은 기술적인 측면에 함몰되어 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형상화는 정밀한 묘사보다 작가의 흥미, 상상, 감동, 경험과 같은 측면에서 이루지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백범일지』라는 자전적 서사에서 이러한 형상화 요소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서사 창작 교육에서 형상화 교육의 방향에 대해 크게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자아와 세계인식, 체험의 의미화, 서술주체와 행위주체의 상호교섭, 구체적인 독자를 대상으로 한 솔직한 소통방식의 의미 등이 바로 그것이다. 텍스트 중심의 분석․이해교육에 함몰된 감이 없지 않은 오늘의 국어교육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소통을 중시한 창작 교육을 실천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자신이 가장 잘 아는 이야기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자전적 서사의 형상화 요소를 추출하여 형상화 과정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서사 창작을 도모하는 일은 서사, 창작, 상상력, 서사 창작 능력 등의 개념을 밝히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1』에 관한 비판적 소고 -교재의 ‘실제성’ 구현 방안을 중심으로-

        전한성,민정호 한국언어문학회 2015 한국언어문학 Vol.9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real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materials based on reality by analyzing "Korean languag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is study, the real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defined by the general performance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activities by themselves in order to accomplish its goal in a real context. By the definition, this study proposed three categories for analysis; the reality of communicative situation, the reality based on the distinctiveness of learners, and the reality based on the surroundings of learners. After analyzing the material "Korean languag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practical ways for materials and activities were proposed a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ontexts of learners, time and places in communicative situation. Secon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include activities which can recognize and distinguish written and spoken words considering the distinctiveness of learners. Third,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should be taught together depending on the learners' individual circumstances. In the end, the emphasis of real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ns the consideration of all the circumstances and sociocultural contex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ers will face. Finally, it is meaningful for this study to discuss ways of perform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ing to reality in aspect of materials and activities.

      • KCI등재

        불교생태학 관점에서 본 만해와 미당의 시에 나타난 관계적 주체 인식 양상

        전한성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1

        이 연구는 불교생태학 관점에서 본 만해와 미당의 시에 나타난 관계적 주체 인식의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불교생태학은 생태학이 갖는 개인의 자율성이 훼손될 수 있는 공동체주의 강조에서 벗어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해준 다. 또한 불교사상을 생태 문제에 그대로 일반화하여 접목시키는 또 다른 의미 에서 오리엔탈리즘적 접근법을 경계한다. 따라서 불교생태학적 관점에서 만해 한용운과 미당 서정주의 시 세계를 해석해 보는 작업은 생태학의 한계와 불교경전의 초세속적 담론을 현실적 문제를 위한 담론으로 재해석하는 일로서, 한국 현대시의 불교생태학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식민지시대 불교생 태 시학을 대표하는 만해의 시 세계에 나타난 관계적 주체 인식 양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살생의 윤리를 통한 생명 중심 사상이다. 둘째, 연기(緣起) 를 통한 존재의 비실체성에 대한 깨달음이다. 셋째, 불성론을 통한 평등 추구이 다. 한편, 한국 전쟁 이후 불교생태시학을 대표하는 미당의 시 세계에 나타난 관 계적 주체 인식 양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살생의 윤리를 통한 생명 탄생의 경외이다. 둘째, 존재의 비실체성에 대한 구체화로서 신화적․종교적 상상 력의 작용이다. 셋째, 생명성의 미학을 통한 정서적 유대 형성 추구이다. 두 시 인은 불교의 생태윤리를 자신의 시에 수용하면서 미학적이면서도 생태윤리적인 시학의 전통을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perception of relational subjects in Manhae and Midang poems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ecology. Buddhist ecology provides a view to escape from the emphasis on communalism that can undermine individual autonomy of ecology. In addition, it keeps away from the orientalist approach in another sense of generalizing and incorporating Buddhist ideas into ecological problems. Therefore, the work of interpreting the poetic worlds of Manhae Han Yong-woon and Midang Seo Jeong-ju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ecology is to reinterpret the limitations of ecology and the super secular discourse of Buddhist scriptures as a discourse for practical problems. This can be sai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Buddhist ecology of modern Korean poet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al subject in the world of Manhae, which represents Buddhist ecological poetry during the colonial period,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life-centered idea through ethics of non-violence. Second, it is the realization of the non-substance of existence through dependent origination theory. Third, it is the pursuit of equality through the theory of Buddha-Nature. On the other hand, after the Korean W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al subject in the contemporary world of Midang, which represents Buddhist ecological poetr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praise for the birth of life through the ethics of non-violence. Second, it is the action of mythical and religious imagination as a concrete example of the immateriality of existence. Third, it is the pursuit of emotional bond formation through the aesthetics of life. The poetry of the two poets is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secured an aesthetic and ecological tradition of poetry while accepting Buddhist ecological ethics in their poems.

      • KCI등재

        중등 국어과 교과서에 나타난 이태준 단편소설의 제재 수록 및 학습활동 양상 고찰

        전한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textbook topic and learning activities of Lee Tae-joon's short stories, thereby revealing problems in the process of textbooks' content configuration of modern novel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e following are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in modern novels. Fir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more diverse categories of educational content in relation to the inclusion of textbook contents. Second, regarding the integration between field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rizontal content integration needs to be achieved in the fields of literature and other fields of "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grammar." Third, for the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literary interpretation methods, including the approach to the theory of the writer and the approach to the subject, as well as the approach of the work theory. Fourth, with respect to learners who accept literary works, the educational methodology of other departments should be adapted to the actual conditions of literature education. 본 연구는 이태준 단편소설의 교과서 제재 수록 및 학습활동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교과서 제재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태준 단편소설의 제재 및 학습활동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과서 제재 및 내용 구성의 개선 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제재 수록과 관련하여 보다 다양한 교육 내용의 범주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어교육 내 영역 간 통합과 관련하여 문학영역과 그밖에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영역이 수평적인 내용 통합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문학작품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작품론적 접근방법 뿐만 아니라, 작가론적 접근과 주제론적 접근 등 다양한 문학 해석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학습자와 관련하여 타 교과의 교육방법론을 문학교육의 실정에 맞게 변용하여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