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소설의 디아스포라 연구 - 『마음이 사는 집』, 『농담이 사는 집』, 『나는 브라질로 간다』를 중심으로-

        윤현진 ( Yun Hyeon-jin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0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출판된 청소년소설 『마음이 사는 집』, 『농담이 사는 집』, 『나는 브라질로 간다』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의식과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고뇌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인류학적으로 볼 때, 인류는 누구나 청소년기를 거쳐 가는 잠재적 디아스포라 의식을 가진 존재다.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은 복합적이고 모호하다. 청소년의 불완전한 ‘나’의 정체성은 어느 곳에도 속하지 못한 채 경계에 서 있는 디아스포라 의식과 일치된다. 세상에 내던져진 존재, ‘나는 누구인가.’란 질문을 끊임없이 되풀이하는 디아스포라의 혼란과 분열을 우리는 청소년기라는 진화의 과정 속에서 비슷하게나마 경험하게 된다. 이에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의식과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고뇌를 살펴보는 것은 인류의 경계인이자, 중간자인 청소년의 모호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다채로운 색깔을 가지고 있는 인간 본연의 존엄을 존중하고자 하는 인류애로 이어지는 확장의 의미를 갖는다.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은 ‘불완전’의 아름다움이다. 청소년소설에서 ‘불안’은 참된 자기, 본래의 자아를 찾을 수 있는 상황으로 만드는 성장의 장치로 작용한다. 청소년의 디아스포라적 경험은 불완전한 존재의 ‘나’를 아름다운 ‘나’로 성장시킨다. 역설적으로 청소년소설에서 디아스포라의 흔들림은 문학적 장치가 되어 아름다움으로 승화된다. 그것은 인종과 민족, 어떤 곳에도 소속되지 않고, 이념에 편향되지 않는 경계인이 가질 수 있는 인류애로 연결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존재는 ‘이중 경계인’으로서 고뇌를 안고 있다. 민족 정체성과 자아 정체성을 동시에 고민하게 되는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은 자기발견의 결과와 타협과 자아각성을 하며, 통과제의 즉 존재론적 위치의 변화를 겪게 됨과 동시에 이민자의 정체성을 통해 타자성에 대한 고뇌를 드러낸다.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존재와 고뇌를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한 개인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문화, 국가, 인종 등의 사회 문제로 확장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itual of Diaspora and the anguish of juvenile diaspora in the following novels published since the 2000s, 『A house where hearts live』, 『the house where jokes live』, 『I go to Brazil』. Anthropologically, mankind has a potential diasporan consciousness that goes through adolescence. The identity of the diaspora is complex and ambiguous. The incomplete 'I' identity of the juvenile is consistent with the diasporic ritual of standing at the border without belonging anywhere. In the growth within adolescence, we experience similar confusion and disruption of the diaspora, which is constantly repeating the question of who is thrown into the world, WhoamI? Tounderstand the diasporicritual sand the a gonies of the adolescent diasporas in juvenile novels is to understand the ambiguity of juvenile, the boundaries of mankind, and the meaning of expansion that leads to humanity in order to respect the dignity of human beings with colorful colors. The diasporic ritual in juvenile novels is the beauty of 'imperfection'. In an adolescent novel, 'anxiety' acts as a device of growth that makes it possible to find one’s true and original self. The diaspora experience of adolescence grows the 'I' of the imperfect existence into a beautiful 'I'. Paradoxically, the youthfulness of diaspora in the juvenile novels becomes a literary device and sublimes to beauty. It is linked to the humanity of race and race, the boundaries that do not belong anywhere, and which are not biased toward ideology. In reality, however, the existence of the juvenile diaspora is suffering as a 'double border'. The juvenile diaspora, who is troubled with both national identity and self-identity, is forced to experience self-discovery, compromise, and self-awakening. and pass the proposal to be born again as another person, Reveal the agony of otherness through the identity of the other. Under standing the existence and agony of the juvenile of diaspora can be extended beyond simply understanding one individual to include larger social issues such as culture, the nation, and race.

      • KCI등재

        ‘관심의 장(field of care)’의 전이로 읽는 고려인의 문학(글쓰기)과 고향 공간

        임형모 한민족어문학회 2019 韓民族語文學 Vol.0 No.84

        The life of Koryo-saram was extended from Yunhaju of Russia to Central Asia (Содружество Независимых Государств). Living space of Koryo-saram changed from Yunhaju to СНГ, resulting to their writing changing, and redesigning to hometown space.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diachronic meaning of hometown space in СНГ. In other words, the unfamiliar place and space in Soviet Central Asia. The text used to prepare this report is prose and verse in Soviet-Korean Literature, ЛЕНИН КИЧИ, КОРЕ ИЛЬБО from Soviet-Korean newspapers, and full-length novels. The methodology used to prepare this report is history, social history, cultural geography, anthropogeography. In conclusion, СНГ became a second hometown to Koryo-saram. As the field of care transfers, they redesigned their hometown. With the changing hometown, their cultural ties created new nationalism. There are included the following: Restoring the lost cultural assets and having intimacy in relation to the indigenous people, topophobia became a topophilia, which resulted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СНГ area into a hometown space. 본 연구는 고려인문학에서 ‘관심의 장(field of care)’이 전이됨에 따라 에스엔게(СНГ: Содружество Независимых Государств) 지역이 고향 공간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밝히고자 했다. 고려인들은 제2의 고향으로 생각했던 원동에서 중앙아시아로 집단이주되어 에스엔게 지역인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지로 떠밀려오면서 수많은 낯선 장소 및 공간과 대면하게 된다. 자발성에 기인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문화지리학의 측면에서 봤을 때는 장소공포(topophobia)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가 없었다. 이주 전에 지녔던 공포감은 황폐화되고 텅빈, 광활한 대지에 부려졌을 때 실제로 현현되었다. 그러나 어떻게든 살아내야 했기에 공간은 장소로 바뀌기 시작했다. 비록 강압적인 방식으로 관심의 장이 바뀌었으나 낯선 장소와 공간을 새로운 고향으로 구성해 나갔던 것이다. 에스엔게 지역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들에서 고려인의 공간적 세계관은 자연, 꼴호즈(колхоз), 구역(촌)에 닿아 있다. 공화국명칭 자체가 거대한 공간 개념으로 사용되는 가운데 척박한 환경을 극복하고 농사를 지을 수 있게 해준 씨르다리야강과 아무다리야강을 고마움의 대상으로 형상화하면서 고려인 꼴호즈를 그들만의 생활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잃어버렸던 문화적 자산을 회복했으며 원주민들과의 관계에서 친밀성을 지니게 됨으로써 장소공포는 장소애(topophilia)를 띠며 그 결과 에스엔게 지역은 고향 공간으로 변모하게 된다.

      • KCI등재

        이야기 구조 교육 내용 분석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홍인영 한민족어문학회 2019 韓民族語文學 Vol.0 No.85

        Story structure is treat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 in that it is a basic element of text understanding and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tory gen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fic aspects of story structure education, and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limited to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Activ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educational material texts(works) and the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he unit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at includes key words such as 'flow of text', 'summarizing contents', 'components of story', and 'story structure' in the learning goals and unit names. As a result, story structure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3rd to 6th grade, and it was conducted in the reading area and the literature area. A number of reading theories are used to understand story texts, and this phenomenon is natural when considering the advantages about comprehension of story texts in elementary reading education. The hierarchization by grade of story structure education was appropriate in terms of learner's language development and sequentiality of activities. A total of 12 texts contained in the story structure unit had a structure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the flow of events. However, in the case of learning activities, detailed guidance and elaborated question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ould limit learner's subjective thinking. In this regard, first, it was suggested to expand active intervention of learners in grasping the story structure, and secondly, to move beyond the learning of the basic structure and to give an opportunity for creative structure design. 이야기 구조는 텍스트 이해의 기본이 되는 요소이자 이야기 장르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진다. 이 연구는 이야기 구조 교육의 구체화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국어』 및 『국어활동』 교과서로 한정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초등 국어 교과서 중에서 학습목표 및 단원명에 ‘글의 흐름’, ‘내용 간추리기’, ‘이야기의 구성 요소’, ‘이야기 구조’ 등의 핵심어가 포함된 단원을 중심으로 수록 제재(작품)와 학습활동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이야기 구조 교육은 3학년부터 6학년에 걸쳐 실시되고 있었으며 읽기 영역과 문학 영역에 걸쳐 이루어졌다. 이야기 텍스트의 이해에 다수의 읽기 이론이 활용되고 있으며 초등학교 읽기 교육에서 이야기 텍스트가 갖는 이해도 측면에서의 장점을 고려했을 때 이 현상은 자연스럽다. 이야기 구조 교육의 학년별 위계화는 학습자의 언어발달과 활동의 순차성 측면에서 적합하게 이루어졌으며, 이야기 구조 관련 단원에 수록된 총 12편의 제재들은 초등학생 학습자가 사건의 흐름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학습활동의 경우 상세한 안내와 정교화된 질문이 오히려 학습자의 주체적인 사고를 제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이와 관련하여 이야기 구조 교육을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이야기 구조 파악에서 학습자의 능동적 개입을 확대하고, 둘째, 기본 구조의 학습을 넘어 독자 중심의 독창적인 설계의 기회를 주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해석적 언어 사용의 두 측면에서 바라본 간접인용구문의 용법

        채숙희 ( Chae Sook-hee )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87

        간접인용구문은 일반적으로 발화 전달의 의미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지만, 발화 전달의 의미를 유지하면서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해석적 언어 사용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는 각각 ‘발화 전달’의 상황에서 적절성을 획득하는 경우와 ‘반향적 발화’의 상황에서 적절성을 획득하는 경우로 볼 수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간접인용구문의 용법을 이에 따라 구분하여 검토한다. ‘발화 전달’의 상황에서 간접인용구문은 발화 행위를 전경화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고 발화 내용을 전경화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는데, 발화 행위의 전경화와 관련된 용법으로는 원발화자, 원청자, 그리고 발화 여부를 확인하는 용법이 있으며, 발화 내용의 전경화와 관련된 용법으로는 제3자 발화나 청자의 이전 발화에 대한 전달 및 확인, 발화 내용 전달과 관련된 명령·요청이나 제안, 화자의 과거 발화 상기 등을 들 수 있다. ‘반향적 발화’의 상황과 관련된 용법으로는 청자의 선행 발화 내용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놀람, 의심, 거부, 반발, 불만 등의 태도를 표현하는 경우와, 화자 자신의 이전 발화를 반복하여 전달하면서 청자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간접인용구문 자체가 갖는 반향적 용법은 아니지만, 상위문 동사에 양태소가 결합하거나 상위문이 수사의문문인 경우에도 반향적 용법과 유사한 효과가 발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sages of indirect quotative constructions in the aspect of interpretive use of language. Under 'reported speech' contexts that focus on speech report, quotative constructions are used to identify the original speaker or hearer and to ascertain if the reported speech is conveyed or not. They are also used in reporting and verifying the speech of hearer or the third person, in requesting or suggesting a speech report, and in reminding the speaker's former speech. 'Echoic utterance' contexts focus on the speaker's attitude towards the hearer or reported speech as well as on the speech report. 'Echoic' type of usages includes expressing speaker's complaint while repeating the speaker's former speech and expressing the speaker's attitude such as astonishment, suspicion, rejection, opposition, and complaint while verifying the hearer's former speech. When some modals are combined with a speech verb or when quotative constructions are used in rhetorical questions, quotative constructions can also be used in echoic contexts.

      • KCI등재

        김남천의 ‘감각’적 신체로의 탈주 - 김남천의 「공장신문」과 「물!」을 중심으로 -

        김지연 ( Kim Ji-yeon )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5

        이 글은 1930년대 초반, 카프 문학사에서 이른바 「물」 논쟁의 중심에 섰던 김남천의 소설 창작방법의 전회 지점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공장신문」(1931)과 「물」(1933)을 비교하여 창작방법이 전회한 이유와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생성의 철학자로 알려진 들뢰즈의 사유를 통해 김남천의 초기 단편소설을 읽었다. 「공장신문」과 「물」은 공통적으로 ‘물’을 매개로 한 소설이다. 「공장신문(工場新聞)」은 김남천이 김기진 등의 대중화론을 비판하던 때에 발표한 작품으로 볼셰비키론에서 내세우던 구체적인 창작 지침이라고 할 수 있는 ‘전위의 활동’과 ‘어용 노조의 분쇄’를 드러내고 있다.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전위의 수단이 되고 당의 관점을 널리 알리는 목적으로 활용되며 대중의 정치의식을 고취하려는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감옥에 다녀온 경험을 바탕으로 한 김남천의 「물」은 신체의 감각을 바탕으로 인간의 욕망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방식을 취하게 되는데 이는 그 전의 작품들과는 확연히 다른 지점이다. 따라서 이 글은 ‘전위’의 활동과 구호에 집중하였던 소설의 인물들이 「물」에 이르러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살펴보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 연구는 회화 작품에서 예술적 힘을 발견한 들뢰즈의 시도처럼 1930년대 소설인 김남천의 「물」에서 그 미학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김남천이 당시의 창작방법론을 근본적으로 갱신했다고 볼 때, 들뢰즈의 철학적 사유의 태도와 방법을 김남천의 소설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바로 감각적 신체를 통한 인물의 형상화 방법과 이 인물의 ‘동물-되기’, 나아가 ‘기관 없는 신체’로의 탈주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들뢰즈의 시각을 통해 신체의 생리적 감각을 넘어서는 새로운 힘을 포착하고 반재현을 통한 새로운 이미지로의 탈주의 지점을 작품 내에서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읽기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김남천 문학에 대한 긴 오해의 관행을 극복하고, 그의 문학을 재사유하는 시작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Kim Nam-cheon’s short story, Water, which was at the center of the so-called Water discussion in the history of KAPF literature in the early 1930s, focused on the turning point of Kim Nam-cheon’s novel creation method. To analyze the reason and the effect of Kim Nam-cheon’s creation style change by comparing the Factory Newspaper and Water, the perspective of J. Deleuze who is the philosopher of becoming is introduced. Water is the main material that is used in Factory Newspaper and Water. Publishing Factory Newspaper, Kim Nam-cheon criticize the popularization theory of Kim Ki-jin and others, and in this novel. He also describes Potential Activities and Crushing of the Fishing Union, which can be said to be specific creative guidelines used in Bolshevikiron. Literature can be means to enhance the political perspective that the Nation promot the partys perspective. However, Kim Nam-cheons Water, which is based on his experience in prison, shows human desires from the senses of the bod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revious works. Th, his novel is severely criticized by Lim Hwa and other KAPF writers as a dev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ight-wing. However, this kind of evaluation o Kim Nam-cheons creation style doesn’t focus on his work. Th, this paper analyze how the characters in the novels of Kim Nam-cheon focused on the new laboring movement by men intelligence activities and slogans have changed in Water. Just like Deleuzes to discover aesthetic meaning in paintings, it is attempted to discover aesthetic meaning in Water in 1930s by Kim Nam-cheon, The methodology that Kim Nam-cheon to change his creation style shows Deleuzes philosophical perspective of becoming. Deleuzes philosophical perspective, such like Becoming an Animal and even A Body without Organs is shown in Kim Nam-cheon’s depiction of the character through the feelings of the body. T, it is possible to capture new forces through Deleuzes perspective beyond the physiological sense of the body and identify the point of escape to a new image through anti-reproduction. This new reading shall be the beginning of the new interpretation on Kim Nam-cheon’s works, which shall the rebirth of his work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금동 소설 <인정루> 연구

        김현주 ( Kim Hyun-ju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7

        본고는 고려인 작가 문금동의 장편소설 <인정루>를 통해 추방과 억압의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작가의 문학적 대응양상을 고찰해보았다. 작품은 17, 18세기 조선을 배경으로 주인공 문옥산의 팔 십 평생에 걸친 정착과 유랑의 반복된 삶을 그리고 있다. 그의 영웅적인 활동들은 해체된 가족의 회복과 혈연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 정립, 나아가 애민정신을 바탕으로 평등한 사회를 실현하고자 하는 희구를 담고 있는 것이었다. <인정루>는 전통기억하기를 통한 디아스포라 고려인으로서의 자기서술 방식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삶의 양상을 소설로 재현하는 방식을 통해 이주와 유랑 속에 흩어진 전통들을 수집, 보존한 것으로서 22년이라는 긴집필 기간은 작가의 자기 정체성 찾기를 위한 역사적인 삶의 기록과 증언이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uthor`s literary response to the absurd reality of deportation and oppression by examining the full-length novel Injeongru, by the Koryeoin author, Moon Geum-dong. The work is based on the 17thand 18th-century Joseon dynasty, and it shows the settlement and wandering of the main character Moon Ok-san for 80 years. His heroic activities included disorganized families and establishing a blood-based Furthermore, he was filled with the desire to realize an egalitarian society based on people-loving spirit. Injeongru is a meaningful work because it is a self-narrative of the diaspora Koryeoin through traditional memory. In other words, this novel is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s scattered in migration and wandering through recreating past life as a novel. The 22-year period of the writing is a record and testimony of historical life for finding his identity.

      • KCI등재

        재일조선인시의 "이야기 정체성"(narrative-identity) 연구 - "낙원 모티프"를 중심으로-

        최종환 ( Jong Hwan Choi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0

        총련계 재일조선인은 1959년 공화국 측의 1차 귀국 사업에 부응하면서 ‘민족 이야기’에 더욱 집착한다. ‘민족’에 집착해 온 그들이 민족 ‘이야기’에 몰입하게 된 것이다. 그 이야기의 대부분은 공화국으로부터 건네진 것이고, 재일본조선인문학예술가동맹 측 시의 분명한 창작 동력이 되어주었다. 그때부터 문예동 시인들은 수령이나 공화국에 대한 이야기를 ‘반복’하는 행위에 돌입한다. 지상 낙원인 공화국에 대해 이야기할 때 고향의 기억이 선명해졌고, 민족적 정체성도 분명히 감지됐기 때문이다. 이 순간 쓰이는 그들 시에서 고향 강원도나 제주도 등에서 노닐던 유년기의 노스탤지어도 강하게 일어났던 것이다. 동포 집단 이데올로기의 외부에 존재할 것이라 생각된 ‘민족’, 그래서 민족적 정체성의 원본이 되어줄 것이라 믿어진 민족은 공화국 이야기가 선재(先在)해줄 때만 나타나는 민족의 시뮬라크르였던 것이다. 본 연구는 이 맥락을 신형기가 ‘북한문학론’에서 언급한‘이야기론’을 참조하고 데리다의 에크리튀르 이론을 간접 원용하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를 분석할 수 있는 틀로서 ‘이야기정체성’ 문제에 대해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총련계 류인성과 고봉전의 시에 주목하였다. 류인성의 시에서는 공화국 측이야기를 반복할 때 유년의 장소가 강하게 환기된다. 그가 돌아가고자 하는 고향 강원도는, 공화국의 이야기나 수령의 항일혁명 등의 이야기 속에서만 ‘순수한’ 민족적 정체성을 드러낸다. 가령 류인성 시에 나타난 “제비” 모티프와 “귀로”의 상상력은 어머니와 할머니가 있던 유년의 강원도로 회귀하려는 시인의 발걸음이 공화국의 낙원으로 돌아가는 발걸음과 다른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고봉전 또한 공화국 이야기를 반복하면서 어린 시절의 눈부신 제주 바다 속으로 들어간다. 그 순수의 자리에서 그가 본 것은 제주도의 푸른바다처럼 일어나는 공화국의 건설현장이었다. 그는 공화국의 속도전 사업에 헌신할 때열리게 될 주체조선의 이야기와 수령의 교육전사로 활동하는 동포들의 이야기까지도 반복한다. 이야기가 순환하는 이 순간에 경험되는 그의 ‘민족적 정체성’ 또한 궁극적으로 상기 ‘이야기 정체성’과 다르지 않은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In 1959, Korean Japanese of Consolidated Alliance of Koreans in Japan begin to focus more and more on the ‘story of minjok’ to support North Korea’s first project to return Korean Japanese to Korea. They had been obsessed with the idea of ‘minjok’ and now there were immersed in it ‘story’. Most of the stories were handed down from North Korea, which was supported by creative force of poetry of Alliance of Korean Artists and Writers in Japan. Since then, the poets of the ‘Alliance’ began to reiterate the story of Kim Il-seong and North Korea. It was because talking about North Korea as a paradise on earth made their memories of home clearer and more powerful nationality identity could be experienced. That is, at least at that moment, it was possible to invoke powerful nostalgia about the period of youth in Gangwon-do or Jeju-do. Minjok was an idea that had been thought outside the ideologically oriented Koreans in Japan and therefore expected to provide a prototype national identity. Therefore, it was a simulacre of minjok that would appear only when discussing the story of North Korea, its carbon copy. The research uses as analytical method Shin Hyung Ki’s ‘Theory on North Korean Literature’ and Derrida’s supplement theory and approached the problem in the framework of ‘story identity.’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tory identity, the poetry of Ryu In-seong and Go Bong-jeon, who were not studied extensively in previous literatures, were selected for re-examination. The place of youth is powerfully reminded in Ryu In-seong’s poetry when the story of North Korea is told repeatedly. His hometown he wished to return to was Gangwon-do and it reveals its pure national identity only in the story of anti-Japanese revolutions against Kim Il-seong. Likewise, Go Bong-jeon also drives into the sparkling sea of Jeju-do island in his youth only when he reiterates the story of North Korea. The goal of this paper to prove that ‘national identity’ in such experiences is not different from ““story identity””suggested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