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불교사회운동으로서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

        조기룡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99

        In 1995, Taegong Wolju (太空 月珠, 1935-2021), executive director of the Reform Order, declared a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It played a role in changing the paradigm of the Buddhist social movement from the old social movement to the new social movement. Due to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the Buddhist social movement changed from an old Buddhist social movement centered on confrontation between classes and between ideologies to a new social movement where citizens were the center to work on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Taegong Wolju declares that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is a civil society movement, not a self-purification movement or ideological movement that defends the interests or positions of certain classes. The self-purification movement refers to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nd the ideological movement refers to the Minjung (民衆) Buddhist movement. He clearly declared that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was a new Buddhist social movement(Buddhist civil society movement) that was different from the old(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Minjung Buddhist movement).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can be confirmed as a new Buddhist social movement from the changes that followed this movement.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implemented by Taegong Wolju himself includes the Korean Buddhist Foundation for Social Welfare, the Buddhist Human Rights Committee and the House of Sharing, the exchange with the Joseon (朝鮮) Buddhist Federation, and the Global Community Association. These social movements are clearly post-class and post-ideological the new Buddhist social movements. Since then,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has become a catalyst to revitalize the Buddhist civil society movement as a new social movement in various areas such as Buddhist social welfare, human rights, inter-Korean exchanges,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1995년, 개혁종단의 태공 송월주 총무원장은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을 선언한다.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은 불교사회운동의 패러다임을 구사회운동에서 신사회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으로 인하여 불교사회운동이 계급과 이데올로기가 충돌했던 구사회운동에서 시민들이 중심이 되어 정치, 경제, 사회적 문제에 대한 활동을 하는 신사회운동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깨달음의 사회화운동 이전의 불교사회운동은 우리사회의 다른 사회운동과 마찬가지로 민중운동과 민주화운동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문민정부의 출범과 더불어 민주화운동의 지향점은 사라지고 ‘민중’이라는 개념 대신 ‘시민’이라는 의식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사회운동의 변화는 한국불교에도 반영되는데 그 전환점에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이 자리하고 있다. 문민정부의 탄생으로 인해 사회운동이 퇴조하고 민중불교운동도 서서히 약화되었다. 이에 불교사회운동의 주체 세력들은 개혁불사로 불리는 불교종단 내적 문제 해결에 집중했다. 그리고 개혁종단의 총무원장인 태공월주 대종사가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을 선언함으로써 불교사회운동은 신사회운동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게 되었던 것이다. 태공월주 대종사는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이 특정 계급 및 계층의 이익이나 입장을 옹호하는 자기정화운동이나 이데올로기운동이 아닌 시민사회운동임을 선언하고 있다. 자기정화운동은 비구승이 대처승을 대상으로 한 불교정화운동을, 이데올로기운동은 계층 간 대립적 성격을 가졌던 민중불교운동을 지칭한다.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이 구불교사회운동인 불교정화운동․민중불교운동과는 다른 신불교사회운동인 불교시민사회운동임을 명백히 하고 있는 것이다.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이 신불교사회운동임은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 이후 불교사회운동의 변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태공월주 대종사가 직접 행한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은 사회복지 분야의 조계종 사회복지재단, 인권 분야의 불교인권위원회와 나눔의 집, 남북교류 분야의 조불련과의 교류,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지구촌공생회를 들 수 있다. 이 사회운동들은 분명 탈계급적․탈이념적인 신불교사회운동이다. 이후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은 불교사회복지, 인권, 남북교류, 국제개발협력 등의 제반 영역에서 신사회운동으로서 불교시민사회운동을 활성화하는 촉매가 되었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閔泳殷의 관직활동과 계몽운동

        이용철(Lee, Yong-cheol)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4

        閔泳殷(1870~1944)은 일제강점기 충북지역을 대표하는 가장 유력한 유지이자 친일파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그가 일제강점기에 벌인 다양한 유지활동과 친일행각을 규명했지만, 그 활동의 기반이 마련되는 과정과 그가 강점 이전에 벌인 계몽운동의 성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 같은 이유에서 본고는 대한제국기 민영은의 괴산·청주군수 역임과 함께 그가 추진한 계몽운동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는 괴산과 청주의 군수를 역임하면서 나름 선정관의 풍모를 보여주었다. 지방관으로서의 조세행정은 물론 백성을 구휼하고 지역의 유력자와의 관계개선에 노력했으며, 교육을 진흥시키고 풍속을 바로잡으려 한 정황이 포착된다. 주목할 점은 그가 지방관으로서 보인 활동이 일제강점기 유지활동 및 친일행각의 기반이 되고 있다는 것으로, 그가 행한 조세행정과 지역유력자 관리는 일제의 조세행정에 대한 협력 및 각종 관제단체에 대한 참여로 이어지고 있었다. 한편 그는 관직활동을 전후하여 계몽활동에도 나섰다. 직접 사립학교를 운영하기도 했으며 여러 학교에 기부금을 내기도 했다. 또 관직에서 물러난 뒤에는 기호흥학회를 필두로 계몽단체에도 관여했다. 이 같은 활동들은 지방관으로서의 책무인 동시에 국망의 위기에 대한 관리 및 지식인들의 대응책이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대한제국기에 전개된 계몽운동은 ‘애국계몽운동’ 또는 ‘교육구국운동’ 등으로 일컬어지며, 표면상 민영은의 계몽활동 역시 이 같은 범주에서 속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민영은이 벌인 계몽운동의 한계는 자명하다. 경술국치 이후 그가 행한 친일행각으로 인해 그의 계몽운동은 평가절하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Min Yeong-Eun(1870-1944) was the most influential community leader that was pro-Japanese, representing the Chungbuk region during the Japanese rule.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his various activities as a community leader and his pro-Japanese acts during the Japanese rule but did not mention the process of him building a foundation for his activities and the nature of his enlightenment movement before Joseon was occupied by Japan by force.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patterns of his enlightenment movement he engaged in after being appointed as the governor of Goisan and Cheongju counties during Korean Empire. Holding office as the governor of Goisan and Cheongju counties, Min displayed his appearance as a good governance officer. There were circumstances captured in which he tried to relieve people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as well as working on tax administration, improve his relations with local community leaders, promote education, and set the custom straight. It is noteworthy that his activities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became a foundation for his activities as a community leader and pro-Japanese act during the Japanese rule. His tax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community leaders led to his collaboration for the Japanese tax administration and his participation in all kind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He also took the initiative in enlightenment activities around his activities as a government official. He managed a private school himself and made donations to many different schools. After resigning from public office, he got involved in enlightenment organizations starting with Gihoheunghakhoi. Those activities of his were his duties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and also represente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crisis of falling nation among government officials and intellectuals. The enlightenment movement during Korean Empire is generally called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or “save-the-nation movement based on education.” Min’s enlightenment activities may belong to the same category on the surface, but there are obvious limitations to his enlightenment movement. It is inevitable that his enlightenment movement was devalued for his pro-Japanese acts after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of 1910.

      • KCI등재

        다와라 마고이치(俵孫一)의 『한국교육의 현상』과 대한제국기 논설

        임상석(Sang-Seok Li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2 No.-

        이 글은 통감부 학부 차관 다와라 마고이치가 총독부 설립 직전에 발간한 『한국교육의 현상』과 『한국교육의 기왕 및 현재』를 대한제국기 한국인의 논설과 비교하여 한국 계몽운동에 대한 일제 교육정책의 대응양상을 파악해 보았다. 다와라는 일제 교육정책을 입안했으며 총독부 설립 이후 토지조사 정책까지 담당해 일제강점의 근간을 구축했다. 그가 가장 불온한 것으로 간주한 상무교육 강조, 의무교육 청원 및 정치 활동과 교육의 결합은 당대의 한국 언론과 학교에서 두루 나타나는 현상이었으며 그 대표적 사례로 「20세기 신국민」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다와라의 주장에 따르면 1909년과 1910년의 짧은 기간 동안 통감부의 제도권 교육의 성과가 비약적으로 증대했고 이는 총독부 설립에 한 배경이 된다. 둘째, 일제 교육정책은 조직적 통계 조사를 광범위하게 실시하고 이를 설득의 논거로 적극적으로 이용했다. 『기왕 및 현재』가 일인 교원과 관료의 내부단속 성격이라면 『현상』은 한국인 고위 관료 및 일제 부역인사들에 대한 홍보의 성격도 가진다. 셋째, 학교와 언론에서 적극적으로 진행된 한국의 계몽운동을 면밀하게 조사하였으며, 권위주의적인 외면 아래 피보호국의 계몽운동에 대해 관료조직을 동원해 능동적이고 치밀하게 대응하고 있다. 넷째, 학부 차관 다와라가 토지조사원 과정을 학교에 위탁 과정으로 설치하고 총독부 설치의 직후 직접 토지조사를 담당하게 되었다는 점은 통감부 교육의 식민적 성격을 집약한 사례이다. 다섯째, 통감부 시대 일제 교육정책은 국민교육을 내세우면서도 국가와 애국을 회피할 수밖에 없는 이율배반의 성격이다. 『현상』은 한국 계몽운동이 극복하거나 적응해야 하는 가장 큰 현실적 조건이 집약적으로 나타난다는 점과 자본주의의 생리와 현실을 전파한다는 점에서 한국 계몽을 파악하기 위한 주요한 자료이다. In this paper, I compare 『the Condition of Korean Education』 and 『the Past and the Present of Korean Education』 by a vice-minister of education ministry, Dawara Magoichi in the Residency General Era with Korean Empire texts about education to grasp Japanese colonial policy response upon Korean Enlightenment movement. Two books are published on the eve of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General Korea and their author, Dawara, the designer of colonial education policy and land investigation is the one of fundamental officials in Japanese colonial ruling. In them, he calls the most seditious three issues, the first is the education provoking military spirit; the second is the demand for obligatory education; the third is the political activity in schools and students, all three are frequently highlighted in Korean media and educators. I compare Dawara's books with New Nations in 20th Century, the representative editorial in Korean Empire Enlighten movement and I can present five issues. The first: according to Dawara, from 1909 to 1910, the outcome of the Residency General's official education is enlarged swiftly and it can be background factor for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General Korea. The Second: Japanese Colonial officials adopt statistical research by bureaucratic organization to publicize their righteousness and regulate colonized Koreans. The third: they closely inspect Korean enlightenment movement in media and schools so, amid in the authoritarian surface of Dawara's rhetoric, active bureaucratic maneuvers can be exposed. The fourth: Japanese education policy in Korean Empire era is thoroughly for the sake of colonial ruling in that Dawara, the official of Education Ministry founded commissioned education courses for colonial land investigation in official schools and is transferred to vice-president of land investigation department in Government General Korea afterward. The fifth: it is the kind of antinomy in that its national education is avoiding the mention of state and patriotism. Dawara's books are essential references to understand Korean enlightenment movement in that they are the combination of its conditions to overcome and their propaganda is based on capitalistic reality.

      • KCI등재

        대한제국기~일제강점기 雲人 宋鴻의 계몽운동과 민족교육

        한규무 호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1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enlightenment movement and national education of Song Hong, who is known to have studied under Song Byeong-seon. The Great Powers such as Japan and Russia reinforced their attempts to dispossess Joseon of its rights and interest in 1904 and 1905, when he took active part in the movement of submitting a memorial to the king in order to deter them and was an active member of Korean Collaboration Council. In 1905, he went on a trip to inspect China. Arriving in Tenjin, he was deeply impressed by constitutionalization explained by Chief Editor Ryu of Takung Pao. Returning back to Korea, he took the roles of an executive at the Constitution Society, which was formed to study constitutionalization in 1905, and engaged in the enlightenment movement. He joined the Nampyeong Branch of Korean Association in 1908. As the enlightenment movement did not go well, he devoted himself to the education movement by becoming a teacher. His teaching career began at Gwangju Public Primary School in 1909 and continued on at Gwangju Public Agricultural School and Jeonnam Public Normal School. He joined Gwangju Primary High School as a member of the faculty in 1924. His subjects were Korean and Chinese writing, but he taught the history of Joseon to his students at every chance he got and tried to arouse their national consciousness. The Students Event of Gwangju broke out in November, 1929 and resulted in many students in prison. Song did not show up in school for illness and submitted a letter of resignation on their first court day. It was a rare case of a teaching resigning due to the event. Since then, he made few apparent achievements except for the publication of Hyundaishinjinshilyongseoganmun in 1933. After Liberation, he returned to Gwangju Primary High School and started to teach Korean history at Gwangju Medical School. He was even elected as the head of Jeonnam Association of Cultural Groups in 1947. He resigned from his teaching career due to his deteriorating health and passed away in 1949. 이 논문은 송홍의 계몽운동과 민족교육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송병선에게 수학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일본・러시아 등 열강의 이권침탈이 거세진 1904~1905년 이를 저지하기 위한 상소운동에 적극 참여했고 대한협동회에서도 활동했다. 1905년 중국시찰에 나선 그는 天津에서 『大公報』의 ‘劉主筆’로부터 들은 立憲制에 큰 감명을 받았다. 귀국 후 그는 1905년 입헌제 연구를 위해 창립된 헌정연구회의 임원을 맡아 계몽운동을 벌였으며, 1908년에는 대한협회 남평지회에 참여했다. 계몽운동이 여의치 않자 그는 자신이 직접 교사가 되어 교육운동에 투신했다. 1909년 광주보통학교 교사가 된 그는 이후 광주농업학교・전남사범학교 등을 거쳐 1924년 광주고등보통학교 교사로 부임했다. 그의 담당과목은 조선어와 한문이었으나, 그는 틈틈이 학생들에게 조선의 역사에 대해 가르치면서 민족의식을 일깨우려 노력했다. 송홍은 1929년 11월 일어난 광주학생사건으로 많은 학생들이 투옥되자 신병을 이유로 출근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제1차 공판기일에 사직했다. 이는 광주학생운동 때문에 교사가 교단에서 물러난 흔치 않은 사례였다. 이후 1933년 『現代新進實用書簡文』을 간행한 것 외에는 그의 뚜렷한 행적이 보이지 않는다. 해방 이후 그는 다시 광주고보에 복직했으며, 광주의대에서도 한국사를 강의했다. 1947년 전남문화단체연맹의 위원장으로 선출되기도 했던 그는 건강이 악화되어 교단에서 물러났으며, 1949년 별세했다.

      • KCI등재

        2014~2015년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조규태(Cho, Kyu-tae)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3

        이 글은 2014~2015년 독립운동사연구의 동향을 검토하여 그 성과를 확인하고 독립운동사 연구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의 과제를 제시한 글이다. 먼저 국내외의 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시군별 · 부문별 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 독립운동사 연구의 발전을 위한 여섯 가지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국내의 독립운동사 연구는 의병, 애국계몽운동, 헤이그특사와 순국투쟁, 비밀결사, 3 · 1운동, 의열투쟁, 사회주의계 독립운동, 신간회, 민족문화수호운동과 강제동원에 대한 투쟁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중에서 특히, 의병, 유림계의 3 · 1운동인 파리장서운동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국외의 독립운동사 연구는 중국 관내지역, 만주지역, 노령지역, 미주 · 일본 등지의 독립운동에 대한 연구가 행해졌다. 이 지역 중에서 중국 관내지역의 독립운동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중국 관내지역의 독립운동 중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고, 위생 · 의료 및 기념식과 같은 사회문화사적 검토가 시도되었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진보적 인물을 비롯한 미주지역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연구의 성과가 컸다. 이에 비해 무장투쟁의 현장인 만주지역과 노령지역의 독립운동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도 · 시 · 군별 독립운동사 연구는 경북지역, 안동시의 독립운동사 연구가 가장 왕성하게 행해졌다. 그리고 부문별로는 여성독립운동, 아나키즘계 독립운동, 교과서의 독립운동 서술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다. 이처럼 적지 않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2014~2015년의 독립운동사 연구는 1990년대와 2000년대의 독립운동사 연구에 비해서 그 수효가 적다. 이는 독립운동사 연구자의 은퇴와 노령화, 그리고 연구자들이 사회 · 문화사 분야로 연구의 주제를 변경한 탓이다. 앞으로 독립운동사 연구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첫째 무장독립운동의 현장이었고, 희생이 많았던 만주 · 노령지역의 독립운동가와 독립운동단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데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둘째 일치된 결론에 도달하지 않은 주제와 사건에 대해서는 콜로키움이나 학술회의를 통해 명확한 결론을 내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주의계 독립운동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독립운동을 진압한 일제의 기관과 조직과 직원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신문이나 일제의 정보문서와 행형자료 외에 독립운동가가 생성한 회고록과 문집과 문서 등을 디지털화 해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사진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 관리하고 서지학적 연구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This is a paper to review the trend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researches and to look into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es. In this paper, I intend to review the researche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one in internal and external places, and check out the searches by regional group and theme. Themes of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 researches done in 2014~2015 were righteous army, national enlightenment movement, Hague envoy and suicide struggle, secret society, the first of March movement, patriotic struggle, socialist independence movement, Shin-gan-hoe, national culture protection movement and resistance against compulsory mobilization, and etc. Especially, righteous army, letter to Paris movement of the first of March movement by Confucian scholars were studied much more than others. Themes of external independence movement researches had differences in places, which were main land of China, Manchuria, Russia, America and Japan, etc. Among these, there were plenty of researche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researches of the Korean American independence movement in America were the second in number. And the social and cultural history researches like medical treatment and ceremony have been done. But the researches of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and Russia were unsatisfactory in number. Among the researches of independence movement in province, the researches of independence movement in Kyung-book were most frequent. And among them in cities, those of Andong were most frequent. In researches by theme, the researches of Anarchist movement and women movement were enacted. But the researches of independence movement have been reduced in 2014~2015 than 1990’s and 2000’s. These are down to retirement and aging phenomenon of researchers, and to changing of research theme. From now on, to develop independence movement researches, we must fulfill several tasks as follows. First we must make a study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nchuria and Russia, where were typical sites of armed struggle. Second we must make a conference and homogenize different views. Third we must increase the researches of socialist independence movement. Fourth the researches of the organization, agency, and officer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ust be fulfilled. Fifth biographies, and memoirs, and documents of patriots must be collected and digitalized to be used easily. Sixth we must collect and organize photographies, and do bibliographic study about them.

      • KCI등재

        연구논문 : 대한제국기~일제강점기 雲人(운인) 宋鴻(송홍)의 계몽운동과 민족교육

        한규무 ( Kyu Moo Ha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1 No.-

        이 논문은 송홍의 계몽운동과 민족교육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송병선에게 수학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일본·러시아 등 열강의 이권침탈이 거세진 1904~1905년 이를 저지하기 위한 상소운동에 적극 참여했고 대한협동회에서도 활동했다. 1905년 중국시찰에 나선 그는 天津에서 『大公報』의 ‘劉主筆’로부터 들은 立憲制에 큰 감명을 받았다. 귀국 후 그는 1905년 입헌제 연구를 위해 창립된 헌정연구회의 임원을 맡아 계몽운동을 벌였으며, 1908년에는 대한협회 남평지회에 참여했다. 계몽운동이 여의치 않자 그는 자신이 직접 교사가 되어 교육운동에 투신했다. 1909년 광주보통학교 교사가 된 그는 이후 광주농업학교·전남사범학교 등을 거쳐 1924년 광주고등보통학교 교사로 부임했다. 그의 담당과목은 조선어와 한문이었으나, 그는 틈틈이 학생들에게 조선의 역사에 대해 가르치면서 민족의식을 일깨우려 노력했다. 송홍은 1929년 11월 일어난 광주학생사건으로 많은 학생들이 투옥되자 신병을 이유로 출근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제1차 공판기일에 사직했다. 이는 광주학생운동 때문에 교사가 교단에서 물러난 흔치 않은 사례였다. 이후 1933년 『現代新進實用書簡文』을 간행한 것 외에는 그의 뚜렷한 행적이 보이지 않는다. 해방 이후 그는 다시 광주고보에 복직했으며, 광주의대에서도 한국사를 강의했다. 1947년 전남문화단체연맹의 위원장으로 선출되기도 했던 그는 건강이 악화되어 교단에서 물러났으며, 1949년 별세했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enlightenment movement and national education of Song Hong, who is known to have studied under Song Byeong-seon. The Great Powers such as Japan and Russia reinforced their attempts to dispossess Joseon of its rights and interest in 1904 and 1905, when he took active part in the movement of submitting a memorial to the king in order to deter them and was an active member of Korean Collaboration Council. In 1905, he went on a trip to inspect China. Arriving in Tenjin, he was deeply impressed by constitutionalization explained by Chief Editor Ryu of Takung Pao. Returning back to Korea, he took the roles of an executive at the Constitution Society, which was formed to study constitutionalization in 1905, and engaged in the enlightenment movement. He joined the Nampyeong Branch of Korean Association in 1908. As the enlightenment movement did not go well, he devoted himself to the education movement by becoming a teacher. His teaching career began at Gwangju Public Primary School in 1909 and continued on at Gwangju Public Agricultural School and Jeonnam Public Normal School. He joined Gwangju Primary High School as a member of the faculty in 1924. His subjects were Korean and Chinese writing, but he taught the history of Joseon to his students at every chance he got and tried to arouse their national consciousness. The Students Event of Gwangju broke out in November, 1929 and resulted in many students in prison. Song did not show up in school for illness and submitted a letter of resignation on their first court day. It was a rare case of a teaching resigning due to the event. Since then, he made few apparent achievements except for the publication of Hyundaishinjinshilyongseoganmun in 1933. After Liberation, he returned to Gwangju Primary High School and started to teach Korean history at Gwangju Medical School. He was even elected as the head of Jeonnam Association of Cultural Groups in 1947. He resigned from his teaching career due to his deteriorating health and passed away in 1949.

      • KCI등재

        한말 민족운동 연구성과와 과제

        이성우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is study reviewed papers on the National Movement during late period of Joseon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researcher analyzed 55 papers and the topics were on Wijeongcheoksa Movement, Righteous Army Movement,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Patriotic Struggle, Jajeongsunkuk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Foreign countries. Only 6.84 % of 55 papers in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ere on the National Movement during late period of Joseon, and 26 of 55 papers were o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8 papers studie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one or two papers were published for 10 years. It is due to researchers who got their doctorate during 1980~90. They have dominated the academic circles and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National Movement. This is why the publication rate of papers on the National Movement went down after 2010. The Association fo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need to consistently effort to nurture new scholars and seek for solutions for establishing the status of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한국근현대사학회 학술지 ≪한국근현대사연구≫(1~99집)에 수록된 한말 민족운동의 연구성과와 과제를 검토한 연구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55편이며 한말위정척사사상과 위정척사운동, 의병전쟁, 계몽운동, 의열투쟁, 자정순국, 국외독립운동과 관련된 연구이다. 의병연구는 가장 많은 26편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의열순국투쟁(14편)·계몽운동(8편)·위정척사사상과 위정척사운동(5편)·국외독립운동(2편) 순이다. 한말 민족운동 논문은 전체 수록논문의 6.84% 정도로 현저하게 낮았으며, 연구주제는 의병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1980~90년대 박사학위를 받은연구자들이 학계를 주도하면서 많은 연구성과가 축적된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성과들이 축적되면서 신진연구자들이 한말 민족운동으로 연구주제를 선정하지않는 경향을 보였다. 2010년 이후 한말 민족운동 관련 논문의 게재율이 현저하게 낮아진 것도 이러한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한국근현대사학회는 신진연구자양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서 추진해야 하며 ≪한국근현대사연구≫의 위상 정립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최용신의 농촌운동론 - 농촌계몽론자에서 브나로드운동론가로 -

        김인식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1

        최용신은 식민지시기 수원군 반월면 샘골과 인근의 마을에서 농촌운동에 헌신하다가 26세로 삶을 마감한 농촌운동가였다. 대한민국정부는 그를 “식민지 수탈에 의해 피 폐된 농촌사회의 부흥을 위해 농촌계몽운동으로 일생을 바친 독립운동가이다.”고 평가하며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식민지시기 그의 농촌운동이 독립운동으로 인정받은 까닭은, 동일 영역의 다른 운동자들과도 구별되는 일관성과 헌신성 때문이었다. 농촌운동가에서 독립운동가에 이르는 모든 범주를 포괄하여, 최용신을 한마디로 규정한 다면 ‘크리스천 브나로드운동가’가 가장 적절하다. 이 논문은 최용신이 크리스천 농촌계몽론자에서 출발하여 크리스천 브나로드운동가로 발전하였다는 시각에서 서술하였다. 여기서 ‘크리스천’은 그의 농촌운동의 의의와 한계를 그대로 드러내는 본질이다. 19세기 러시아의 브나로드운동은 농민운동․계급운동으로서 성격을 지니면서도 구호와 달리 민중과 괴리되었다. 최용신의 브나로드운 동은 농민운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지만, 민중과 일체가 되었다는 점에서 말과 그대로 일치한다. 그러나 최용신의 브나로드운동은 농민의 자각을 촉구하는 측면에 머물 렀을 뿐, 농민계급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농민운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최용신의 농촌운동을 지탱한 토대는 기독교신앙이었고, 그의 농촌운동은 기독교신앙에 입각한 기독교복음화운동의 일환이었다. 그는 계급․민족․빈부․귀천 등 모든 대립과 차별을 동시에 넘어설 수 있는 길은 ‘그리스도 예수의 사랑’이라고 믿었다. 최용신의 농촌운동론은 농촌여성을 계몽하기 위하여 그들의 문맹부터 퇴치하자는 농촌계몽론 에서 출발하였다. 협성여자신학교에 입학한 뒤에 황애덕의 지도를 받으면서 그의 농촌운동은 실천단계에 들어갔다. 최용신은 농촌실습과 브나로드운동에 참여하면서, 또 조선YWCA 운동에 관계하면서 돋보이는 실천력을 인정받았고, 이것이 그가 샘골에 파견된 배경이었다. Choi Yong-shin, who died at the age of twenty-six, was an activist dedicated to the rural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warded her an Order of National Pride (Aejok Jang) posthumously citing “She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dedicated her life to the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to revive rural communities impoverished by the colonial exploitation.” The reasons why her activities in the rural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occupation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were her consistency and dedication that differentiated her from other rural movement activists. Of all possible definitions for Korean activis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Choi Yong-shin can be most appropriately characterized as a Christian Narodnik. This paper takes a view that Choi Yong-shin started out as an activist in the Christian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and developed into a Christian Narodnik. Here, being ‘Christian’ is the essence that reveals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 of her rural movement. Even though the Narodniks, or the ‘V narod’ movement, of the 19th century Russia were characteristically a peasant movement and a class movement, there was a large gap between the Narodniks and the people. But Choi Yong-shin’s V narod movement was true to its slogan by being with the people. Nevertheless, Choi Yong-shin’s V narod movement was limited to one of encouraging peasants to be self-aware without evolving into a peasant movement that represented the interests of the peasant class. The foundation that sustained Choi Yong-shin’s rural movement was her Christian faith, and her rural movement was part of a Christian evangelical movement. She believed that the way to overcome all conflict and discrimination in class, race, wealth, and social status was through ‘the love of Jesus Christ.’ Choi’s theory of rural movement wa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enlightenment of rural women began with enhanced literacy. Choi put her ideals into practice after enrolling in the Union Theological Seminary for Women under the tutelage of Hwang Ae-duck. She gained recognition for her power of execution while participating in practical farming works and the V narod movement, along with her activities in the Korean YWCA movement. It was YWCA that sent her to Saemgol village as a dispatched teacher, where she began her work as a rural activist.

      • KCI등재

        전통극과 사실주의

        장원재(Jang, Won-j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5 외국문학연구 Vol.- No.21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ason why the leaders of modern Korean theatre movement neglect to success or recreate the heritage of traditional Korean theatre. The traditional Korean theatre and performances is an important cultural asset which, in spite of their long history and popularity, lost the support of the Korean audience and was almost eradica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Furthermore, during the period of the modern Korean theatre movement, traditional Korean performances were almost completely neglected by the members of the Korean intelligentsia who took the main role in the movement. They considered that there were no theatrical elements which would be either useful or suitable for the modern theatre. Consequently, there was no positive effort to keep the traditional Korean theatre and performances alive, either by reformation of their artistic form or preservation of their essential elements. This meant that Korean intellectuals' concept of modern theatre was totally new an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theatre movement was based on foreign theatre culture without any connection with traditional Korean theatre. The main reason was that the members of the Korean intelligentsia believed the Korean mask dance drama partly reflected the modern spirit of the time but that it was not a type of modern drama which could be used to suggest their ideas and intentions and promote socio-political thoughts. Korean intelligentsia considered there were three essential elements of modern drama. Firstly, modern drama had to find its theme in the reality of contemporary life. Secondly, the playwright had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ditions, the environment and human life. Thirdly, the playwright had to provide rational criticism or a progressive alternative idea. However, the principles of Korean mask dance drama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modern drama. There was an addition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Korean mask dance drama which meant that the Korean intelligentsia regarded its form as far from the theatrical conventions of modern drama; the first was the role of the musicians and the audience and the second was the concept of theatrical space. The members of the Korean intelligentsia considered that this was an uncivilized theatrical convention which did not take into consideration basic scientific reality. They, therefore, found it impossible to give the modernized audience of the new generation a satisfactory explanation of the changing theatrical space using the principles and theatre conventions of the Korean mask dance drama. They valued it as a primitive theatrical convention rather than a unique and sophisticated theatrical style, and refused to accept it for their modernized performance.

      • KCI등재

        ‘김 씨’, 그리고 ‘알았소’와 ‘몰라요’: 한말 윤치호가 그린 ‘개화하는 한국인’과 자신의 내면

        박주영 진단학회 2020 진단학보 Vol.- No.134

        윤치호의 영문 기고문 「A Korean Abroad」와 그가 작성한 『The Independent』의 기사들, 그리고 그 속에 등장하는 창작 캐릭터들은 1897-1898년 당시 그가 인식하고 있던 한국인의 상과 그 자신의 내면을 은밀히 드러낸다. 독립협회의 개화 운동이 실패로 끝나기 전인 이 시기에 그는 아직 ‘전근대적’ 한국인에 대해 개화의 희망을 품고 있었는데, KA에 나타난 ‘김 씨’의 인식의 변화에서 이러한 그의 긍정적 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그가 창조한 캐릭터 ‘알았소’와 ‘몰라요’는 그의 페르소나로서 그의 메시지를 은밀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몰라요’의 경우 당시 한국 정치상황의 변화에 따라 단순한 필명에서 『The Independent』의 지면 속에서 독특한 성격을 가진 캐릭터로, 이후 독립협회의 운동을 보도하는 리포터로 역할을 바꾸어 갔다. 윤치호는 ‘몰라요’라는 허구의 캐릭터를 통해 신문 편집자로서의 메시지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내면의 갈등을 간접적으로 드러내었다. 그가 일련의 저술에서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익명이라는 형식 뒤에 숨은 것은 당시 그가 처해 있던 사회적 환경을 반영하는 것이다. A series of fictional narratives and characters created by Yun Tchi-Ho(1865-1945) secretly reveal the image of Koreans he recognized in the late 1890s and his inner self. “A Korean Abroad,” Yun’s contributions to the English magazine, The Korean Repository, shows his postive view of Korean general public in this period by describing the change in Mr. Kim’s view of Western culture. At this point, before the social movements of the Independence Club ended in failure, he still had the hope of enlightening for the ‘pre-modern’ Koreans. Araisso and Molayo, the characters created by Yun, as his persona, secretly conveyed the message he wanted to express in public.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olayo, Yun changed its role from a simple penname to a unique character in the pages of The Independent (English Edition), and later to a reporter informing the movement of the Independence Club, as the changes of political situation of Korea in this period. By creating the fictional narratives of Molayo, he revealed not only the messages which he wanted to express as the Editor of The Independent, but also his inner conflict. His hiding behind the form of anonymity in his writings reflects the social background he was 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