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현의 ‘전통의 단절과 감싸기’ 사관에 입각해 재해석한 이재철의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신동재 한국아동문학학회 202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50

        이재철의 『한국현대아동문학사』에서 높이 평가할 부분은 그가 문학사 서술의 방법론을 ‘원리화’하여 진술하려 했다는 사실이다. 이재철이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서술의 방법을 ‘원리화’해 아동문학사를 기술한 것은 그가 수행한 일종의 ‘한국아동문학의 이념형 구체화 작업’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재철이 보기에 ‘현대’란 ‘접합’의 소산이다. ‘접합’ 사관이 지닌 중간적인 시각으로 인해 그가 말하는 ‘현대’는 다소 모호한 상태로 설명되고 있다. 이재철은 「한국 아동문학사의 시대구분 시고(試攷)」에서 “사회경제적 조건과 변증법적 법칙성에 의한 시대구분”을 통해 문학사를 규정할 것을 강조하고 있으나 정작『한국현대아동문학사』에서 ‘현대’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은 미약하다. 김현의 ‘전통의 단절과 감싸기’ 관점에 입각해 볼 때 이재철의 ‘접합’ 사관은 어떠한 것인가? ‘전통의 단절과 감싸기’ 시각에서 보면 전통이란 과거의 것이 단지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전 시기 전통’에서 ‘그 다음 전통’으로 ‘비선조적으로 대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대치’는 “완전히 새로운 원칙”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전 시기 전통과의 ‘접합’이 아니라 그것으로부터의 ‘비약’을 통해 달성된다. 본고는 이재철이 문학사의 대상으로 삼은 1908년부터 1960년대 사이에 ‘패러다임의 전환’이 발생되었던 6개의 ‘중요 시기’가 있었다고 가정하고자 하는데, 그것은 1908년, 1923년, 1931년, 1945년, 1950년, 1960년이다. 이재철의 관점에 따르면 ‘본격문학’의 순수성은 그것이 발현된 1908년부터 그것이 완성되는 1960년대까지 ‘온전히’ 계승, 강화된다. 그러나 김현의 ‘전통의 단절과 감싸기’ 사관에 입각해 볼 때 해당 시기에는 전(前) 국면에서 이선에 있던 것이 ‘확대·발전’하면서 ‘다음 국면의 핵자’를 이루는 양상이 발견된다. 물론 이것은 문학사를 ‘하나의 양식’으로 보는 가정에 기반한 것이다. 실제 양상에 대한 분석은 여러 실증적 자료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What will be highly appreciated in Lee Jae-cheol's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is the fact that he tried to state the methodology of describ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Lee Jae-cheol's ‘principled’ method of describing was a kind of ‘ideal type navigation tasks’ for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rom Lee Jae-cheol's point of view, ‘modern’ is the result of ‘junctions.’ Due to the intermediate perspective of view of history of ‘junctions’, the era he refers to as ‘modern’ is being explained in an ambiguous state. Lee Jae-cheol has emphasized the definition of literary history through ‘the division of the times based on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dialectical laws’, but the explanation of what ‘modern’ is in the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is weak. How can Lee Jae-cheol's view of history of ‘junctions' be viewed using the perspective of 'rupture and cov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rupture and covering of tradition', tradition is not just 'accumulate' the past, but 'non-linearly replaced' from 'previous tradition' to 'the next tradition'. And that 'replacement' is accomplished by a 'completely new principle', and is not 'junctions' with the previous period, but 'leap'. This paper assumes that there were six important periods in which the 'paradigm shift' took place between 1908 and the 1960s, when Lee Jae-cheol was the object of literary history, which were 1908, 1923, 1931, 1945, 1950, and 1960. According to Lee Jae-cheol's point of view, the purity of 'full-fledged literature' has been 'completely' inherited and strengthened from 1908 to the 1960s when it was completed. However, according to Kim Hyun's view of history of 'rupture and covering of tradition', it is possible to see the pattern in which what was on the line in the previous phase in the period ‘expand and develop’ and form ‘the next core of the situation’. Of course, th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literary history mentioned above is viewed as a 'style'. Analysis of practical aspects will have to go through discussions based on empirical data.

      • KCI등재

        시문학파의 문학사적 의미망과 정지용

        최동호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4

        1930년 3월 『시문학』 제1호가 간행되었다. 창간 당시 이 낯선 문예지의 파괴력을 그렇게 크지 않았다. 문학사에 기록될 이 동인지에는 김영랑, 정지용, 이하윤, 박용철, 정인보 등이 참여해 27편의 창작시와 5편의 번역시가 수록되었다. 박용철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김영랑의 시가 13편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정지용은 여기에 4편의 시를 발표했는데 그 대부분은 이미 발표한 작품들이었다는 점에서 그는 초기에 소극적인 참여자였다고 여겨진다. 뒤이어 『시문학』2호는 김현구가 동참해 동년 5월에 발간되었으며 제3호는 해를 넘겨 1931년 10월에 간행되었다. 신석정이 제3호에 참가했지만 『시문학』의 발간은 순조롭지 않아 더 이상 간행되지 못했다. ‘시문학파’라는 용어는 처음 동인지로부터 시작하여 1935년 시문학사에서 간행한 두 권의 시집인 『정지용』시집과 『영랑시집』으로 인해 문학사적 의미를 확실하게 갖게 된다. 시문학파의 문학적 운동이 처음에는 동인지를 중심으로 한 작은 집단의 움직임에 불과한 것이었다고 하더라도 시대의 압력을 이겨내고 대를 이어 퍼져나가면서 커다란 물살을 만들어 역사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는 것은 여러 문학사가에 의해 평가되고 있다. 한국근대문학사는 카프파와 순수문학파의 대립과 길항을 통하여 문학적 긴장을 형성해 왔던 까닭에 시문학파의 문학사적 의미도 카프파와 대립하는 순수문학의 문학적 기지로서 중요성을 갖는다고 할 것이다. 시문학파의 문학적 성과는 ‘변설이 아니라 시’를 지향한 일군의 시인들이 ‘민족 언어의 완성’이라는 목표를 성취한 빛나는 문학적 전통의 확립이라고 할 수 있다. 박용철을 필두로 하여 특히 정지용과 김영랑은 한국현대 문학사의 전개에서 서정시의 중심 줄기를 형성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한시인들이었으며 독자적 개성을 유감없이 보여 준 순수문학파의 대표적 선두주자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issue of Simunhak was published in March 1930. At the time when it was first published, the influential power of this new magazine was not such great. Evaluated as one of the major literary magazine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first issue included 27 poems and 5 translated poems by Kim, Young-rang, Jeong, Ji-yong, Lee, Ha-yun, Park, Yong-cheol, Jeong, In-bo, etc. Park played a major role in editing the magazine and Kim, Young-rang published 13 poems. Jeong, Ji-yong published 4 poem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other magazines before. This means that Jeong was a rather inactive participant of the magazine. Kim, Hyun-gu joined in the second issue in may 1930 and the third issue was published in october 1931. Though Shin, Seok-jeong participated in the third issue, the publishment was not in favorable situation and it could no longer be issued. The terminology ‘Simunhakpa’ began with coterie magazine Simunhak and came to have important meaning in literary history with the publishment ofJeong Ji-yong Sijip and Young-rang Sijip. Though literary movement of Simunhakpa was a minor one by small group from coterie magazine, the fact that it endured the pressure of the period and made a influential wave spreading through several generations is highly evaluated by several researchers of literary history. Since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ad been formed literary tension through confrontation and antagonism between KAPF group and pure literature group, historical meaning of Simunhakpa also lies in as the literary home for pure literature confronting with KAPF group. Important literary achievement of Simunhakpa is in that group of poets who intended to write ‘a poem not eloquence’ established a brilliant literary tradition by achieving the purpose of ‘accomplishing the national language’. With Park, Yong-cheol as the head of the group, Jeong, Ji-yong and Kim, Young-rang were poets who contributed greatly to the forming of central flow of lyric poetry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y can be assessed as the representative front-runners of pure literature group and poets who showed a unique individuality most satisfactorily.

      • KCI등재

        1933년 천주교신학생 김필현의 유럽행 여행기 속 아시아 경유지 기록

        윤선자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2 敎會史硏究 Vol.- No.61

        김필현은 평양지목구장의 성직자 양성정책에 따라 로마 울바노대학에 유학하였다. 1933년 9월 6일 사리원역을 출발하여 그해 10월 29일 울바노대학에 도착한 김필현은 그의 여정을 1935년 평양지목구에서 발행하는 잡지에 게재하였다. 김필현은 평양지목구장이 결정한 항로를 따라 가며 보고 듣고 느낀 것들을 일기체 형식으로 기록하였다. 김필현의 여행기는 종교 관련 장소들, 방문 지역의 사람들, 1930년대 서구제국주의세력의 아시아 지배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김필현은 배가 기항하는 곳마다 천주교 관련 장소들을 찾았고 천주교 신자들과 대화를 하였다. 그는 그가 방문한 장소들에 대한 사전 지식도, 방문한 곳에서의 자료 수집도 거의 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콜롬보에서는 이슬람교 교당과 성공회 회당을 언급하였고, 지나쳤지만 말라카는 일본천주교회와, 페낭은 한국천주교회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홍해도 성서의 내용으로 서술하였는데, 다른 여행기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내용들이다. 이것이 김필현의 여행기가 갖는 첫 번째의 특징이다. 김필현은 여행 중 만난 사람들에게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가 만난 사람들은 여러 인종이었고, 한국인들보다 어둡고 검은 피부색을 가졌다. 그런데 남아시아 원주민들의 검은 피부색에 대한 김필현의 두려움은 문명과 야만에 대한 생각으로 이어져 원주민들의 용모와 차림차림을 야만 종족의 본색을 벗지 못한 것이라 서술하는 한계를 보였다. 콜롬보 아이들의 구걸 행위를 미개한 주민의 풍습, 남아시아 원주민 장사꾼과 탑승객들의 매매행위를 문명인과 야만인 사이의 물물교환으로 생각한 것도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1920년대의 여행기들에서도, 1930년대 이순탁의 여행기에서도 이런 인식은 보이지 않는다. 처음으로 보기 때문에, 피부색 등 용모의 다름을 공포, 이상함, 야만 종족의 본색으로 생각한 것은 김필현의 여행기에 그려진 두 번째의 특징이자 아쉬움이다. 김필현은 사람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정치와 경제에도 깊은 관심을 두었다. 탑승한 일본우선의 규모와 설비에 감탄하였고, 상하이에서는 상해사변을 언급하고 조계지를 언급하였다. 홍콩‧싱가포르‧콜롬보에서는 경제발전에 놀라워하며 영국의 통치정책에 감탄하였다. 김필현이 아시아의 경제 상황에 관심을 둔 것은, 경제 관련 과목들을 공부하였고, 세계대공황으로 인해 더욱 힘들어지고 있던 한국의 경제 현실을 직‧간접으로 겪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부족한 음료수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홍콩과 아덴의 저수기관을 수탈의 상징인 한국의 수리조합 저수지와 같다고 한 것은 겉모습만의 서술이었다. 제국주의 수탈을 위한 개발이라는 것을 간파하지 못한, 김필현의 여행기에 보이는 세 번째의 특징이자 한계이다. Kim Pil-hyeon studied at the University of Ulvano in Rome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of cultivating the Diocesan of the Pyongyang Apostolic Prefecture. He left Sariwon Station on September 6, 1933 and arrived at Ulvano University on October 29 of that year. And he published his journey in a magazine published by Pyongyang Apostolic Prefecture in 1935. He followed the route decided by the Diocesan of the Pyongyang Apostolic Prefecture and recorded what he saw, heard, and felt in the form of a diary. His travel journals consist of religious-related places, the people of the regions visited, and the Western imperialism's domination of Asia in the 1930s. Kim Pil-hyeon looked for Catholic-related places wherever the ship stopped and had conversations with Catholics. He had little prior knowledge of the places he visited and little data collection on the places he visited. Nevertheless, he mentioned the Muslim and Anglican synagogues in Colombo, and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Japanese Catholic Church in Malacca and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 Penang. He described the Red Sea as biblical, which is not found in other travel accounts. This is the first characteristic of his travel diary. Kim Pil-hyun showed a deep interest in the people he met during his travels. The people he met were of different races, and had darker skin tone than Koreans. However, Kim Pil-hyun's fear of the black skin color of the indigenous peoples of South Asia led to his thoughts on civilization and barbarism, and showed a limit in describing the appearance and attire of the indigenous people as not taking off the true color of the barbarian race. It was the same way he viewed the begging behavior of Colombo children as a barter between civilized and savages, the customs of savage villagers and the buying and selling of South Asian indigenous merchants and passengers. However, this perception is not seen in the travel journals of the 1920s, nor in the travel journals of Lee Soon-tak in the 1930s. The second characteristic and disappointment drawn in Pil-hyun Kim's travel diary is that, because it is the first time seeing it, the difference in appearance, such as skin color, is considered to be fear, strangeness, and the true color of a savage race. Kim Pil-Hyun was also deeply interested in politics and economy, which greatly influence people's lives. He admired the scale and facilities of the Japanese postal ship on board, and in Shanghai mentioned the Shanghai Incident and the Concession. In Hong Kong, Singapore and Colombo, they were amazed at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admired the British imperial policy. He was interested in the economic situation of Asian countries because he studied economic subjects and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d the economic reality of Korea, which was becoming more difficult due to the Great Depression. However, it was only a description of the appearance that he said that the water reservoirs in Hong Kong and Aden, which he built to solve the shortage of drinking water, were like the reservoir of the irrigation association of Korea, a symbol of exploitation. This is the third characteristic and limitation of Kim Pilhyun's travel diary, which he did not understand as development for the exploitation of imperialism.

      • KCI등재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김동식(Kim Dong-shik)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0

        이 글은 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규정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겪어왔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이 주제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주로 고전문학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다보니 근대문학 관련 자료들이 참조의 대상에서 많은 부분 누락되었다. 이 글에서는 근대문학 관련 자료들을 폭넓게 참조하면서 역사적으로 한국문학의 자기규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주제화되었는지를 살폈다. 1910년대 안확과 이광수의 논의들, 1920년대에 있었던 이광수와 경성제대의 대립, 1930년대의 『삼천리』의 설문과 임화의 『신문학사』, 1950년대 초반 정병욱의 한문학=한국문학 논의, 이병기 · 백철의 『국문학전사』와 조윤제의 『한국문학사』, 1970년대 김윤식 · 김현의 『한국문학사』에서 이루어진 근대성 논의, 1980년대 구비문학을 통해서 문학사를 재구성한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그리고 최근에 구체화된 북한문학, 디아스포라 문학, 이중어 문학공간 등에까지 연구의 대상을 확대하였고 역사적 맥락을 재구성했다. 한국문학은 자기규정의 역사 속에서 중층적으로 구성되어왔으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복잡성을 증대시키는 쪽으로 움직여왔다. ‘한국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한국문학의 역사적 무의식들을 드러내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에 대한 자기배려의 의지를 생성하는 계기였다. This article inquires how the regulations regarding the concept and the scope of Korean literature historically have been chang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theme have mostly carried out with and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o far. Hence the substantial portion of research materials referred to in Korean modern literature has undergone left out. The methods by which the self-definition of Korean literature stipulated and thematized in historic phases are supplied herein with the ample consultations on diverse Korean modern literature references: Ahn Hwak and Lee Kwang-su's opinions in 1910s, Lee Kwang-su's confrontation with Kyoungseong Imperial University in 1920s, a questionnaires of SamCheonli(三千里) in 1930s, Jung Byung-wook's controversial opinions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Korean Chinese Literature) equal to Korean literature' in early 1950s, Lee Pyoung-ki & Paek Cheol's The Whol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國文學全史) and Cho Youn-je's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韓國文學史), the 1970s' modernity discourses brought up by Kim Yun-sik & Kim Hyun's in their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韓國文學史), Cho Dong-il's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韓國文學通史) which was based on the oral literature studies. Furthermore, North Korean literatures, the diaspora literatures and bilingual literary sphere are engaged herein as well to reshape the historical context within my expanding process of study objects. Korean literature has constituted itself onto the multiplicity of layers in the self-stipulation-wise history and moved toward increasing the complexity both inwards and outwards in the meantime. The question or the quest on ‘What is the Korean Literature?’ has not only uncovered its unconscious, but also served as a momentum to beef up the will to take care itself.

      • KCI등재

        정선아리랑의 문화 수용 양상과 과제-현대시와 대중가요의 수용을 중심으로-

        박경수 한국민요학회 2019 한국민요학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modern Korean literature, arts, culture have embraced folk song Jeongseon Arirang, and how Jeongsun Arirang has been accepted as a creative element in these cultures. For this, I forcused Korean modern poems and popular mus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sympathy of Jeongseon Arirang’s rhythm, emotion, Korean modern poems which newly sought aesthetic modernity to be linked with specific awareness of today’s life and history, can be achieved. On the other hand, Ha Chun-hwa, Cho Yong-pil, Kim Young-im, Park Ae-Ri and Song So-hee recalled Jeongseon Arirang or Gangwondo Arirang as popular pop songs and made Jungseon Arirang popular again. Besides, among the CD music album, “I want to see Jeongseon!”(Sora Planning, 2011) produced by Kim Hyun-sung, a song based on Ahn Sang Hak’s poem <Night Train> attract attention because it was called by popular singer Choi, Baek-ho. The efforts to create a culture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based on Jungsun Arirang will require more advanced efforts in the field of music so that the public can gain empathy in the future. In particular, it should lead to active efforts in the arts, movies, and contents. 이 글은 민요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현대의 문학문화와 예술문화를 대상으로, 정선아리랑이 이들 문화에 어떻게 수용되면서 창조적인 요소로 작용하였는지, 그리고 그 결과 문화 텍스트가 가지는 의미와 의의는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현대시와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정선아리랑의 문화 수용 양상과 과제를 집중 검토했다. 그 결과 현대시의 경우, 정선아리랑의 리듬, 정서, 주제의식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하면서, 그것을 오늘날의 삶과 역사에 대한 구체적 인식과 연결되도록 미적 근대성을 새롭게 모색한 시 작품들이 민요의 바람직한 시적 변용을 이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가요의 경우, 다른 지역아리랑에 비해 가수 김옥심, 하춘화, 조용필, 김영임, 정세훈, 김현성, 이현수, 송소희 등을 만나면서 활기를 띠고 있는 것에 비해 창의적인 대중가요로의 재진입은 <보고싶다! 정선아>를 제외하면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이었다. 정선아리랑의 예술문화 분야의 문화 창출 노력은 앞으로 대중적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가요 분야에서 더욱 창의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특히 미술, 영화, 디지털 콘텐츠 등의 분야에서도 문화 창출 노력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소설에 나타난 생태 환경 담론의 특성 연구

        오창은 한국언어문화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 Vol.0 No.67

        북한은 1990년대 중반 식량난과 에너지난으로 ‘고난의 행군’을 겪은 이후 자연 생태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북한의 생태환경 변화는 한반도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인간은 생태계의 일부이다. 그렇기에, 인간에 의한 자연의 변화가 다시 자연에 의한 인간 삶의 변화로 이어지는 순환적 흐름이 존재한다. 북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김정은 시대에 이르러, 북한의 중요 당정책은 산림복구와 국토 보호를 중시했다. 생태환경 보호 정책의 실제적 효과를 위해 북한 당국은 계몽주의적 담론을 강화했다. 이 글은 한은희의 <새들이 날아들 때>와 황철현의 <푸른 숲>, 김창림의 <생활의 선율>, 김향순의 <두번째 작별> 등을 분석해 북한 생태담론 작동 양상을 규명할 분석할 목적으로 쓰여졌다. 북한의 생태 환경담론은 주체사상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북한은 주체사상의 인간중심주의에 기반해, ‘만리마 시대’, ‘사회주의 강성대국 건설’의 외치고 있다. 북한 주민들은 당정책에 순응하면서도 생태환경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자각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북한 민중들이 국가가 주도하는 생태환경 정책에 대한 우회적 반발로 의미화할 수 있다. 산림황폐화로 인한 자연재해, 에너지문제와 연관된 생태 불균형은 인간 삶 자체를 위태롭게 한다.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삶의 질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면서도 자연과 인간이 충돌하지 않는 방안은 독립적 중소규모 공동체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 가능성을 북한 사회가 간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North Korea ever increased its interest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after it experienced march of hardship due to difficulties of food and energy in the mid-1990s. Its ecological changes affected the entire Korean peninsula. Humanity is a part of ecology, and a change to nature caused by humans will change the human life in turn. In the rule of Kim Jong Un, North Korea’s important communist-party policy focused on restoration of forests and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lands. To boost the effects of the policy, discourses on enlightenment efforts were emphasized. This article aimed to analyze novels such as 「When Birds Fly In」 by Han Eun-hui, 「Green Forests」 by Hwang Cheol-hyun, 「Melodies of Life」 by Kim Chang-rim, and 「Second Farewell」 by Kim Hyang-sun so as to prove North Korea’s ecological discourses. North Korea’s ecological discourses are deeply related to its Juche ideology. North Korea cries out ‘Era of Mallima’ and ‘the construction of socialist power state’ based on humanitarianism of Juche ideology. North Korean residents complied with the party’s policy, yet were awakened to the seriousness of ecological problems. This suggests that North Korean people indirectly resist the state-led ecological policy. Ecological unbalance associated with natural disasters and energy problems due to deforestation endangers the human life itself. From an ecological viewpoint, measures of graduall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yet preventing conflicts between nature and humanity are to maintain independent small and medium-sized communities. North Korean society, which has distanced itself from global capitalism, has the possibility of forming such ‘independent small and medium-sized communities.’

      • KCI등재

        1920년대 초기 아일랜드 희곡 수용의 의미

        김지혜 ( Kim Ji-hy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9 No.-

        1920년대 초기 아일랜드 희곡의 수용이 증가한 사실은 기존의 연구에서 지적되어 왔다. 본고는 그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현철의 번역으로 『개벽』에 실린 「달 □ 때」와 「바다로 가는 자들」, 그리고 김우진이 무대화하고 『동명』에 작자미상으로 실린 「번□이는 문」을 `텍스트`와 `번역자` 및 번역극이 실린 `매체`의 아일랜드 담론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그 수용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가 아일랜드와 조선의 정치적 동일성을 전제로 하고 번역극의 의미를 밝힌 것에 비해, 본고는 1920년대 초기 민족담론 형성의 중심 매체였던 『개벽』과 『동명』이 구축하는 아일랜드 담론과 번역극이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지, 그리고 당시 근대극을 선두에서 이끌었던 현철과 김우진이 조선의 근대극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아일랜드 연극을 참조하였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구체적으로 현철은 「달 □ 때」와 「바다로 가는 자들」을 세계적으로 유명한 서구의 모범적인 `근대극`을 소개하기 위해 선택, 번역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당시 수록 매체인 『개벽』이 구축해가던 `식민지`로서의 아일랜드와 두 텍스트가 조응하면서 `아일랜드 연극`이 `민족`의 차원에서 전유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달 □ 때」의 경우, 주동인물인 독립운동가가 반동인물인 경찰을 민족적 동질감에 근거해 회유하는 서사를 보여줌으로써, 식민지 조선의 독자에게 탈식민의 상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다음으로 『동명』에 실린 「번□이는 문」은 궁핍과 차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인간의 절망적 운명을 다룬 텍스트로서, 아일랜드 문예부흥운동의 후계자이자 세계적인 위상을 갖는 작가 던세이니의 작품으로 소개되었다. 『동명』에서는 민족이라는 특수성보다 세계문학이라는 보편성의 차원에서 「번□이는 문」이 소개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그러나 김우진이 번역 연출한 「찬란한 문」의 의미는, 평소 아일랜드 연극을 `민족어 수립`의 차원에서 참조했던 그의 연극의식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당시 김우진은 `민족어수립`을 통한 근대극 형성을 자신의 문제의식으로 삼았으며 그 대표로서 아일랜드 연극을 주목하였다. 그는 이러한 자신의 연극적 의도를 드러내면서도, 대본과 무대에서 이중 검열이 있었던 식민지 공연 환경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작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김우진은 의도적으로 아일랜드 번역극 「찬란한 문」을 공연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3.1운동 후 `아일랜드`라는 기표가 상징하게 된 `민족의식`을 겨냥했다고 볼 수 있다. As it has been pointed out by the preceding studies that the acceptance of Irish plays increased in the early 1920s, this study empirically looked into Irish discourses, especially represented in the media publishing the writings, 「The Rising of the moon」, 「Riders to the sea」 and 「The glittering gate」 which represent Irish discourses, in order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the acceptance of them. 「The Rising of the moon」 and 「Riders to the sea」 were translated by Hyun, cheol in order to interpret the famous modern play to the readers. More to the point, Irish national discourse of liberation in 『Gaebyeok』 coincides national consciousness from the narratives. As a result, Irish plays have been appropriated(from Homi Bhabha) by nationalism. 「The glittering gate」 in 『Dongmyeong』 says about the limit of the universal fate of human. The first mesning of it published in the media is to introduce world literature. But the meanings of acceptance of it translated and directed by Kim, woo-jin are needed to consider his consciousness of national language. He needs to consider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censorship. Therefor he choose it because Irish play 「The glittering gate」 symbolizes national consciousness after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광복기 개성 지역문학의 좌표 -북한 지역문학사 연구 2

        박태일 ( Tae Il Par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1

        이 글은 지역문학이라는 관점에서 북한문학에 다가선 두 번째 논의다. 광복기, 1945~1950 개성특급시에서 이루어진 문학을 대상으로 삼았다. 을유광복과 함께 그어진 38도선은 개성을 남북한에서 가장 먼저, 좌우 대립과 군사 분쟁을 온몸으로 겪는 지역으로 내몰았다. 그런 가운데 어린이문학은 앞 시기의 전통을 이어받으며 깊어졌다. 마해송이 보여 준 수필과 상승적 통합, 이영철의 활발한 영역 확대가 그것을 대표한다. 거기다 고한승의 복간 ?어린이? 편집이 이바지한 바가 크다. 시에서는 광복 이후 구세대 김광균의 생활시에다, 지역 청년의 고뇌와 격정을 온축한 듯한 신세대 청년시인 고영진 박승훈 김병호의 활동이 이채를 띠었다. 광복기 개성소설은 김소엽이 홀로 맡았다. 아울러 1949년에 벌어진 송악산 전투는 ?십용사전?이라는, 대한민국의 첫 정훈문학을 낳아, 개성의 지역성을 더욱 정치화 했다. 따라서 광복기 개성 지역문학은 광복 이전 간행 작품집에 대한 잦은 복간, 구세대 문인의 압도적인 비중, 온건 좌파 활동에서 급진 우파 활동으로 옮겨간 문학사회 동향이라는 세 가지 됨됨이를 특징적으로 드러낸다. This writing is about the second discussion on North Korean literature in the view point of regional literature. Literature of Kaesong City during 194 5~1950 `s was mainly focused. The 38th parallel set with the independence exposed 개성 to a situation with military conflict and confrontation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t the very first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At this situation, children `s literature became deeper and deeper by former tradition. Essays and ascending unification by Ma Hhe Song and active enlargement of domain by Lee Young Cheol represent the fact. Furthermore, the role of Urlini edited by Go Han seung was very important. At the field of poetry, everyday life poem by old generation poet Kim Gwang Kyun and new generation poet Go Young Jin, Park Seung Hun, Kim Byeong Ho showed their passion to Kaesong regional poetry On the other hand, Kim So Yup himself was in charge of novel. In addition, battle of Songaksan in 1949 produced Sipyongsajeon which is the first Agitation-Propaganda Literature in Korea. And that made Kaesong City `s regional characteristic more political. Hence,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in Kaesong regional literature during 1945~1950 `s. Those characteristics are, frequent reissuing of the publications before the 1945 independence, overwhelming importance of old generation writers and movement of the literature society trend from the moderate left to the radical right. This writing is an intermediate work toward Kaesong literature in 1950s. So we have to hurry for next discussion.

      • KCI등재

        1950년대 후반 이승만정권의 ‘권력복합체’ 형성과 운영

        이혜영(Yi Hye-young) 한국역사연구회 2019 역사와 현실 Vol.- No.112

        Examined in this article is a core power group which supported and sustained Rhee Syngman’s one-man ruling of the country in the late 1950s. So far, this issue was mostly examined within studies that focused on the ruling party Jayu-dang(Liberal Party). According to those studies, coming into the late 1950s an oligarchy-type elite group -composed of several officials including Yi Ki-bung was formed within the Liberal Party, and from 1959 till the next year(when the regime collapsed), the party practically run the country from a dominant status, even sidelining the executive(administrative) branch. This kind of approach allowed us to view the Liberal Party which had only been considered as a tool for Rhee Syngman’s governing so far as yet another political entity that composed the very structure of governance. Yet at the same time, such studies -which also tended to ‘narrow’ the examination to the Liberal Party itself- ended up only discussing whether the party was able to serve as an actual ruling party or not, or emphasizing the existence of oligarchic elite group connecting the party and the cabinet and the expansion of the party"s influence in the operation of the state. In this article a larger focus will be placed on all three sources of power: the Liberal Party, the government’s Cabinet and the Presidential residence, Gyeongmudae[secretariat]. How they connected themselves with each other, and functioned within a singular structure, will be examined.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a core power group -with Yi Ki-bung at the center- that connected all the above three sources, featuring a radial human network originating from Yi. Also confirmed is that there was a limit to the party’s control over the cabinet, and that the party and the cabinet had quite a ‘checks and balance’ sort of dynamic betwee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