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단원 김홍도 화제(畫題)의 서체와 낙관인

        손환일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100 No.-

        Kim Hong-do had a great influence on painting and calligraphy. He had learned from Kang Se-hwang, a representative painter, calligrapher of Joseon period; however, the variety of painting was from the genius of Kim Hong-do. The handwriting style of Kim was following Cursive script(Choseo), Semi-cursive script(Haengseo), Regular script(Haeseo), Palbun(a kind of Clerical script) and Seal script(Jeon-seo). Cursive script(Choseo) and Semi-cursive script(Hangseo) of Kim Hong-do followed the Semi-cursive script(Haengseo) writing style of Wang Xizhi as Kang Se-hwang. Also Kim Hong-do was following the style of small-letter-Regular-script(Haeseo) writing style of Wang Xizhi as Kang. However for the big-letter-Regular-script(Haeseo) writing style, Kim Hong-do accepted the style of Aekche(額體: writing style used in Pyeon-aek, a signboard) of Lee Bugwang of Yuan Dynasty; he used the writing style of Yan Zhenqing, a Chinese calligrapher, of Tang Dynasty, in contrast with Kang Se-hwang. For 전서, Kim followed Lee Han-jin(a calligrapher of Joseon) and Im Deuk-myeong(a painter of Joseon) in part; however, he added the pictorial feature, it was the different point from Lee Han-jin. For Palbun(a kind of Clerical script), he learned from Yu Hanji(a calligrapher of Joseon). Through the pen name and the seal of Kim Hong-do, it is possible to guess his age, personal situation, residential area and so on. The pen name ‘西湖(Seo-ho)’ showed ‘his Seoul life, leaving Ansan area’, the seal ‘士能(Sa-neung)’ showed his youth, the pen name using ‘翁(Ong)’ suggested his old age. Also the pen name ‘檀園(Dan-won)’ and ‘小檀(So-dan)’ reflected his respect to Li Liufang(Yi Yu-bang) of Ming Dynasty, thinking of himself as a disciple of Li; it showed that Kim Hong-do was influenced by the style of Li Liufang. Kim Hong-do used various style of Signature Seal(落款印: Nakgwanin), using the technique of ‘depressed(intaglio) engraving’ and ‘embossed(relief) carving’, and with the circular shape and the square shape. Kim used the depressed(intaglio) engraving seal. The signature seal ‘臣弘道(Shinhongdo)’ and ‘士能(Sa-neung)’, of <Jeon Kim-Hong-do Chu-seong-bu-do(a painting by Kim Hong-do, expressing the poetry of Song Dynasty)>, had confirmed the painting as a genuine work of Kim Hong-do. On the contrary, some paintings with unfamiliar signature seal were difficult to be considered as the works of Kim Hong-do; Kim Hong-do has a significant feature of calligraphy and seal of his own. At the contents of Du-in(頭印: a seal used to beginning of the work), it is possible to guess his taste and tendency. Among the frequently used Du-in, ‘一卷石山房(Ilgwonseoksanbang)’ meant his self-portrait, ‘心醉好山水(Simchwihosansu)’ reflected his landscape paintings. As can be seen, Signature Seal was important to show the feature of artist through writing style and seals. Someone can draw the painting similarly, however it is hard to copy the same calligraphic style. 김홍도는 강세황에게 배워 서화에 미친 영향이 크다. 그러나 그림의 다양성은 그의 천재적 기질에서 발현된 것이다. 김홍도가 구사한 서체는 초서와 행서, 해서, 팔분과 전서 등이 있다. 초서와 행서는 강세황과 함께 왕희지 행서필법을 따랐다. 소자(小字) 해서도 강세황과 같은 왕희지의 소자 해서를 썼다. 그러나 대자(大字) 해서는 원나라 이부광의 액체(額體)를 따랐고, 화제에도 당나라 안진경체를 따른 점이 강세황과 다른 점이다. 전서는 이한진과 임득명을 따랐으나 글자에 회화성을 가미한 점이 이한진과 구별되고, 팔분은 유한지를 배웠다. 김홍도의 아호와 인장은 당시 나이, 개인적 상황, 주거지역 등을 엿볼 수 있다. ‘서호(西湖)’에서는 안산을 떠난 서울생활, ‘사능(士能)’에서는 청년 시절, ‘옹(翁)’에서는 노년, ‘단원(檀園)’, ‘소단(小檀)’에서는 명나라 이유방(李流芳)의 제자임을 자처하여 화법에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김홍도의 낙관인은 음각과 양각, 그리고 방인(方印, 네모인장)과 원인(圓印, 둥근인장)을 사용하였다. 주로 음각을 많이 사용하였다. <전김홍도추성부도>는 날인된 낙관인 ‘신홍도(臣弘道)’와 ‘사능(士能)’을 통하여 김홍도가 그린 그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낙관인과 관지(款識)의 서체가 생소한 그림들은 김홍도의 그림으로 보기 어려운 요건들이 있다. 낙관(落款)의 서체와 인장에 김홍도의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두인의 내용에는 그의 취향과 성향이 나타나있다. 많이 사용한 두인 중 ‘일권석산방(一卷石山房)’은 그의 자화상, ‘심취호산수(心醉好山水)’는 그의 산수화를 연상하게 한다. 이와 같이 낙관에는 서체와 인장에서 작자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림은 유사하게 그릴 수 있으나, 글씨를 같게 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 KCI등재

        단원 김홍도 아들 연록(延祿)과 양기(良驥) 이름 연원(淵源)에 관한 연구

        이근우 동서미술문화학회 2022 미술문화연구 Vol.24 No.24

        This thesis aims to clarify the origin of 'Yeon-rok' and 'Yang-gi', who was the son of the most famous artist of Do-Hwa Seo; to contribute to the academic research on the names of Kim Hong-do and his son Yeon-rok and Yang-gi has been begun by analyzing literature data. Kim Hong-do and the origin of his son's name Yeon-rok begins in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of Joseon Dynasty, Myeongchi 44 (1911) Joseon Temple Hiaterialsstaterials 'Yeonpung-gun, Gongjeong Mt. Sang-am Temple restoration Monument. 「Samg-am Temple Restoration Monument」; Story of their story starts in section Deuk Sa (birth of Son). The name Yeon-rok and Yang-gi can be found in 「Danwon Yu-Muk Cheop」, a collection fro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Danwon Yu-Muk Cheop」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lics to find Kim Hong-do and his son's history.「Samg-am Temple Restoration Monument」was the built-in the end of February 1795, by Poong–Gae- Guh-Sa; in June 1797, Kim Chun-taek write on the stone. Currently, the Sang-am Temple is located on the eighth ridge of Joryeong Mt. (formerly Gongjeong Mt.) in the Baekdudaegan Mt. range. Kim Hong-do the painter of the Do-Hwa Seo was rewarded by Great King JungJo, by drawing King's Portrait, on December 22nd in 1791, he was assigned as Yeonpoong- Hyeongam for 3 years. Before Kim Hong-do was in the Hyeongam position, there was a severe drought in the Yeonpoong area; Kim Hong-do went to Sang-am Temple in 1792 to pray for the rain. Also, he donated his salary to the temple, and pray for his first son, and had a son when he was 48 years old. The son's name was Yeon-rok which is a temporary name given to a child when they were young, The son's name was Yeon-rok, which the son obtained when Kim Hong-do received the rust from the government when he served as a Hyeongam, so his name was given as Yeon from Yeonpoong area, rok (nok) came from Nokbong (salary). Yang-gi is presumed to have changed when he was an adult. The primary reference of this thesis was 「Sangam-temple Restoration Monument」 「Danwon Yu-Muk Cheop」, Choi Sun-Woo 「Danwaon Kim Hong-do's Retirement solidarity」(Art Material No. 11, 1966), and Oh Ju-Seok 「Danwaon Kim Hong-do special exhibition to celebrate the 250th Birth Anniversary」 (1995). The main reason for choosing these bibliographies are as followed. 「Sang-am Temple Restoration Monument 」 is the first piece of literature that Kim Hong-do has a son later his age, 「Danwon Yu-Muk Cheop」 is a book made by Yang-gi and given to his father, and only record that shows his child name Yeon-rok, Choi Sun-Woo's 「Danwon Kim Hong-do's Retirement Solidarity」 introduced 「Danwon Yu-Muk Cheop」 for the first time. Oh Ju-Seok 「Danwon Kim Hong-do Special exhibition Paper」 is also another material that can confirm the record of Yang-gi followed by 「Danwon Kim Hong-do's Retirement Solidarity」. 본 논고는 조선 당대 최고의 도화서 화원으로 칭송되는 김홍도의 아들 ‘연록’과 ‘양기’ 이름의 연원(淵源)에 대한 선행연구에 대해 면밀하게 고찰하고자 한다. 즉, 연록과 양기 이름이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일목요연하게 논증하여 김홍도 부자 학술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김홍도 아들 연록 이름의 연원은 조선총독부내무부지방국 편, 명치44(1911). (朝鮮總督府內務部 地方局 編. 明治44), 조선사찰사료(朝鮮寺刹史料) ‘연풍군 공정산 상암사 중수기(延豊郡公正山 上菴寺重修記)’(이하 상암사 중수기)의 득사(得嗣)에서 시작된다. 연록과 양기 이름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단원유묵첩(檀園 遺墨帖)에서 확인된다. 단원유묵첩은 김홍도 부자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소중한 유물이다. 「상암사 중수기」는 을묘년(乙卯年, 1795년) 2월 하순에 풍계거사(楓溪居士)가 짓고, 가경(嘉慶) 2년 정사년(丁巳年, 1797년) 윤(閏) 6월일 김천택(金天澤)이 새겼다. 현재 상암사(上菴寺) 터는 백두대간 조령산(鳥嶺山, 옛 공정산公正山) 8부 능선에 있다. 도화서 화원 김홍도는 정조(正祖) 어진동참화사(御眞同參畵師)의 공으로 1791년 12월 22일 연풍현감(延豊縣監)에 제수(除授)되어 약 3년간 봉직(奉職)하였다. 김홍도가 현감으로 부임하기 전부터연풍에는 가뭄이 심각하여 현감 김홍도는 1792년 상암사을 찾아 기우제를 지냈다. 아울러 자신의녹봉(祿俸)을 시주하고 이 산(상암사)에 빌어 48세의 늦은 나이에 아들을 얻었다고 한다. 그 아들아명(兒名)이 연록(延祿) 인데, 즉 김홍도가 현감 봉직시에 나라로부터 녹(祿)을 받을 때 얻은 아들이라하여 연풍의 ‘연(延)’ 자와 녹봉(祿俸)의 ‘녹(祿)’ 자로 ‘연록’이라 한다. 양기는 후일 개명한 이름으로 추정하고 있다.

      • KCI등재

        1788년 김응환의 봉명사경과 《海嶽全圖帖》

        오다연 국립중앙박물관 2019 미술자료 Vol.- No.96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comprises sixty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depicting Geumgangsan Mountain, the Haegeumgang River, and the eight scenic views of Gwandong regions, as well as fifty-one pieces of writing. It is a rare example in terms of its size and painting style. The paintings in this album, which are densely packed with natural features, follow the painting style of the Southern School yet employ crude and unconventional elements. In them, stones on the mountains are depicted both geometrically and three-dimensionally. Since 1973, parts of this album have been published in some exhibition catalogues. The entire album was opened to the public at the special exhibition “Through the Eyes of Joseon Painters: Real Scenery Landscapes of Korea”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19.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was attributed to Kim Eung-hwan (1742–1789) due to the signature on the final leaf of the album and the seal reading “Bokheon(painter’s penname)” on the currently missing album leaf of Chilbodae Peaks. However,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this signature and seal may have been added later. This paper intends to reexamine the creator of this album based on a variety of related facto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I investigated the eighteenth-century tradition of drawing scenic spots while travelling in which scenery of was depicted during private travels or official excursions. Jeong Seon(1676– 1759), Sim Sa-jeong(1707–1769), Kim Yun-gyeom(1711–1775), Choe Buk(1712–after 1786), and Kang Se-hwang(1713–1791) all went on a journey to Geumgangsan Mountain, the most famous travel destina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created paintings of the mountain, including Album of Pungak Mountain in the Sinmyo Year(1711) by Jeong Seon. These painters presented 86 美術資料 제96호 2019 87 their versions of the traditional scenic spots of Inner Geumgangsan and newly depicted vistas they discovered for themselves. To commemorate their private visits, they produced paintings for their fellow travelers or sponsors in an album format that could include several scenes. While the production of paintings of private travels to Geumgangsan Mountain increased, King Jeongjo(r. 1776–1800) ordered Kim Eung-hwan and Kim Hong-do, court painters at the Dohwaseo(Royal Bureau of Painting), to paint scenic spots in the nine counties of the Yeongdong region and around Geumgangsan Mountain. King Jeongjo selected these two as the painters for the official excursion taking into account their relationship, their administrative experience as regional officials, and their distinct painting styles. Starting in the reign of King Yeongjo(r. 1724–1776), Kim Eung-hwan and Kim Hong-do served as court painters at the Dohwaseo,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as a senior and a junior and as colleagues, and served as chalbang(chief in large of post stations) in the Yeongnam region. While Kim Hong-do was proficient at applying soft and delicate brushstrokes, Kim Eung-hwan was skilled at depicting the beauty of robust and luxuriant landscapes. Both painters produced about 100 scenes of original drawings over fifty days of the official excursion. Based on these original drawings, they created around seventy album leaves or handscrolls. Their paintings enriched the tradition of depicting scenic spots, particularly Outer Inner Geumgang and the eight scenic views of Gwandong around Geumgangsan Mountain during private journeys in the eighteenth century. Moreover, they newly discovered places of scenic beauty in the Outer Geungang and Yeongdong regions, establishing them as new painting themes.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consists of four volumes. The volumes Ⅰ, Ⅱ include twenty-nine paintings of Inner Geumgangsan; the volume Ⅲ, seventeen scenes of Outer Geumgangsan; and the volume Ⅳ, fourteen images of Maritime Geumgangsan and the eight scenic views of Gwandong. These paintings produced on silk show crowded compositions, geometrical depictions of the stones and the mountains, and distinct presentation of the rocky peaks of Geumgangsan Mountain using white and grayish-blue pigments. This album reflects the Joseon painting style of the mid- and late eighteenth century, integrating influences from Jeong Seon, Kang Se-hwang, Sim Sa-jeong, Jeong Chung-yeop(1725–after 1800), and Kim Hong-do. In particular, some paintings in the album show similarities to Kim Hong-do’s Album of Famous Mountains in Korea in terms of its compositions and painterly motifs. However, “Yeongrangho Lake,” “Haesanjeong Pavilion,” and “Wolsongjeong Pavilion” in Kim Eung-hwan’s album differ from in the version by Kim Hong-do. Thus, Kim Eung-hwan was influenced by Kim Hong-do, but produced his own distinctive album.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includes scenery of “Jaundam Pool,” “Baegundae Peak,” “Viewing Birobong Peak at Anmunjeom groove,” and “Baekjeongbong Peak,” all of which are not depicted in other albums. In his version, Kim Eung-hwan portray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features in each scenic spot in a detailed and refreshing manner. Moreover, he illustrated stones on the mountains using geometric shapes and added a sense of three-dimensionality using lines and planes. Based on the painting traditions of the Southern School, he established his own characteristics. He also turned natural features into triangular or rectangular chunks. All sixty paintings in this album appear rough and unconventional, but maintain their internal consistency. Each of the fifty-one writings included in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is followed by a painting of a scenic spot. It explains the depicted landscape, thus helping viewer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painting. Intimately linked to each painting, the related text notes information on traveling from one scenic spot to the next, the origins of the place names, geographic features,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Such encyclopedic documentation began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and was common in painting albums of Geumgangsan Mountain in the mid– nineteenth century. The text following the painting of Baekhwaam Hermitage in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documents the reconstruction of the Baekhwaam Hermitage in 1845, which provides crucial evidence for dating the text. Therefore, the owner of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might have written the texts or asked someone else to transcribe them in the mid- or late nineteenth century. In this paper, I have inferred the producer of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to be Kim Eung-hwan based on the painting style and the tradition of drawing scenic spots during official trips. Moreover, its affinity with the Handscroll of Pungak Mountain created by Kim Ha-jong(1793–after 1878) after 1865 is another decisive factor in attributing the album to Kim Eung-hwan. In contrast to the Album of Famous Mountains in Korea by Kim Hong-do,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exerted only a minor influence on other painters. The Handscroll of Pungak Mountain by Kim Ha-jong is the sole example that employs the subject matter from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and follows its painting style. In the Handscroll of Pungak Mountain , Kim Ha-jong demonstrated a painting styl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Album of Seas and Mountains that he produced fifty years prior in 1816 for Yi Gwang-mun, the magistrate of Chuncheon. He emphasized the idea of “scholar thoughts” by following the compositions, painterly elements, and depictions of figures in the painting manual style from Kim Eung-hwan’s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 Kim Ha-jong, a member of the Gaeseong Kim clan and the eldest grandson of Kim Eung-hwan, is presumed to have appreciated the paintings depicted in the nature of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which had been passed down within the family, and newly transformed them. Furthermore, the contents and narrative styles of Yi Yu-won’s writings attached to the paintings in the Handscroll of Pungak Mountai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ifty-one writings in Kim Eung-hwan’s album. This suggests a possible influence of the inscriptions in Kim Eung-hwan’s album or the original texts from which these inscriptions were quoted upon the writings in Kim Ha-jong’s handscroll. However, a closer examination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order of the transcription of the writings.The Album of Complete View of Seas and Mountains differs from Kim Hong-do’s paintings of his official trips and other painting albums he influenced. This album is a siginificant artwork in that it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the art world of Kim Eung-hwan and illustrates another layer of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海嶽全圖帖》은 금강산과 해금강, 관동팔경을 그린 60점의 실경산수화와 51편의 記文으로 이루 어진 화첩으로 규모와 화풍에 있어 보기 드문 작품이다. 그림의 특징은 화면을 가득 채운 구성과 남 종화풍을 따르면서도 거칠고 파격적인 화법, 山石의 기하학적이고 입체적인 표현 등이다. 1973년의 특별전, ‘韓國美術二千年’을 처음으로 화첩의 일부만 공개되었던 작품은 2019년 국립중앙박물관 특 별전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에서 그 전모가 공개되었다. 《해악전 도첩》이 金應煥(1742~1789)의 작품으로 알려진 것은 화첩의 마지막 장에 쓰여진 款識와 현재 행방 이 묘연한 <칠보대>에 찍힌 ‘복헌’이라는 도장 때문이었다. 그러나 김응환을 지시하는 관지와 도장은 모두 후대에 더해졌을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화첩을 둘러싼 여러 요소를 고찰하여 제작자를 재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악전도첩》 제작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18세기 금강산 기행사경도의 전통과 봉명사경을 살펴보았다. 鄭敾(1676~1759)의 《辛卯年楓嶽圖帖》(1711)을 비롯하여 沈師正(1707~1769), 金允謙 (1711~1775), 崔北(1712~1786 이후), 姜世晃(1713~1791) 등은 조선 후기 최고의 여행지였던 금강산 을 유람하고 기행사경도를 제작하였다. 화가들은 이전의 전통을 계승하여 내금강의 명승명소를 주 로 그렸고, 자신들이 경험한 장소를 새롭게 시각화하였다. 이러한 기행사경도는 여행을 기념하며 동 행자나 후원자를 위해 여러 장면을 담을 수 있는 화첩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개별적인 금강산 기행사 경도의 제작이 증가하는 가운데 1788년에 正祖(재위 1776~1800)가 도화서 화원인 김응환과 金弘道 (1745~1806 이후)에게 영동9군과 금강산의 名勝을 그려오도록 명한 일은 공적 업무였다. 정조는 이 들의 관계 및 지방관으로서의 경력, 서로 다른 화풍 등을 고려해 봉명사경의 화원으로 선발하였다. 김 응환과 김홍도는 英祖(재위 1724~1776)조부터 도화서 화원으로 활동하며 선후배이자 동료로서 친밀 한 관계를 유지했다. 나아가 이들은 영남 지역의 察訪으로서 지방관의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었다. 두 화원의 화풍은 서로 달라 김홍도는 부드럽고도 섬세하게 필선을 운용한 반면, 김응환은 굳세면서 도 울창한 풍치를 잘 표현했다. 두 명의 화원은 각자의 개성으로 봉명사경 기간 동안 100여 폭의 초본 을 그렸고, 이를 선별하여 60~70여 폭의 화첩 혹은 두루마리를 완성하였다. 이들의 그림은 18세기 전 중반에 내금강과 관동팔경 위주로 제작된 금강산 기행사경도의 전통을 더욱 풍부하게 했고 영동과 외 금강의 명승명소를 새롭게 발견하며 소재를 확장시켰다. 현재 《해악전도첩》은 元, 亨, 利, 貞 4책으로 이루어졌는데, 元, 亨책은 내금강의 그림 29점이 며 利책은 외금강의 장면 17점, 貞책은 해금강과 관동팔경 14점으로 구성되었다. 비단 위에 그려진 각 그림은 기하학적으로 산석을 표현했으며, 연백으로 금강산의 암봉을 흰색 혹은 회청색으로 표현 했다. 《해악전도첩》의 구도와 화법은 정선, 강세황, 심사정, 鄭忠燁(1725~1800 이후), 김응환, 김홍 도의 화법과 비교할 수 있어 18세기 후반의 시대 양식을 갖는다. 특히 화첩의 일부 그림은 김홍도의 《海東名山圖帖》(1788)과 구성 및 회화적 모티프가 매우 유사하여 두 화첩간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반면에 <영랑호>, <해산정>, <월송정> 등은 김홍도의 그림과는 구별된다. 이를 통해 화가가 김홍도 와 영향을 주고받으면서도 자신만의 개성적인 화첩을 제작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해악전도첩》 에는 다른 화첩에는 등장하지 않는 <자운담>, <백운대>, <안문점망비로봉>, <백정봉> 등이 포함되 어 있으며 각 장면마다 경물의 특징을 구체적이고 참신하게 묘사하였다. 특히, 화가는 산석을 기하 학적으로 표현하고 선과 면을 도드라지게 하여 입체감을 강조하였다. 그는 남종화풍을 바탕으로 자 신만의 화법을 확립했고 이를 자유자재로 운용하면서 화면에 동적인 리듬감을 부여했다. 이처럼 60 점의 그림은 거칠고 파격적으로 보이지만 나름의 질서 안에서 일관성을 견지하고 있다. 본고는 화법과 봉명사경의 정황을 종합해 《해악전도첩》의 제작자를 김응환으로 추론하였다. 나 아가 金夏鍾(1793~1878 이후)의 《楓嶽卷》(1865년 이후)과의 친연성은 《해악전도첩》의 화가를 김응 환으로 추정한 또 하나의 이유였다. 《해악전도첩》은 김홍도의 《해산첩》과는 달리 후대에 미친 영향 력이 미비한데 김하종의 《풍악권》만이 《해악전도첩》의 소재와 화법을 따르고 있다. 김하종은 《풍악 권》에서 50년 전, 춘천부사 李光文(1778~1838)을 위해 제작한 《해산도첩》(1816)과는 전혀 다른 화 법을 구사했다. 그는 김응환의 《해악전도첩》과 유사한 구성과 회화적 요소, 화보식 인물표현을 따르 면서 사의적인 분위기를 강조하였다. 개성김씨의 일원이자 김응환의 종손인 김하종은 가문에 전해 지는 《해악전도첩》류의 그림을 감상했고 이를 새롭게 번안했다고 추측된다. 화첩에 포함된 51편의 기문은 그림 다음 장에서 그려진 장소를 설명하고 있어 각 그림을 이해하 고 감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기문은 그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앞의 장소로부터의 이동 정보, 이 름의 유래, 지형적 특징, 관련 정보 등이 서술되었다. 이와 같은 백과사전식 혹은 지리지와 같은 기 문은 19세기 전반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금강산 화첩류에 더해졌다. 《해악전도첩》의 백화암 기문 에는 1845년의 암자에 대한 중건 내용이 기록되어, 기문의 연대를 추정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김하종에게 《풍악권》을 주문한 李裕元(1814~1888)도 각 그림에 글을 붙였는데 이 글들은 김응환의 화첩에 포함된 기문 51편과 내용 및 서술방식이 흡사하다. 이유원의 기문은 《해악전도첩》의 기문이 나 그 초고(원본)와 관련성이 높지만 두 화첩의 기문 필사의 선후관계를 판정하는 데에는 좀더 면밀 한 검토가 필요하다. 《해악전도첩》은 김홍도의 봉명사경 초본 및 김홍도의 영향으로 제작된 19세기의 금강산 화첩과 는 구별된다. 이 화첩은 화원 김응환의 회화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지평을 넓히고 18세기 후반 실경 산수화의 또 다른 층위를 보여주고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김용준 著 『단원 김홍도』 해제 : 고독한 천재의 눈에 비친 사실주의 화가 김홍도

        김미정(Kim, Mi jeong) 근대서지학회 2020 근대서지 Vol.- No.22

        이 글의 목적은 김용준(金瑢俊, 1904~1967)의 『단원 김홍도』를 해제하고 김용준의 김홍도 연구가 지닌 미술사적 의의를 찾고자 함이다. 2018년 학계에 처음으로 소개된 『단원 김홍도』는 1955년에 북한에서 출판된 단행본이다. 이 책은 조선회화사 연구서를 통틀어 고전 화가를 개별 작가론으로 서술한 가장 이른 사례의 단행본으로 확인된다. 전체 분량은 51쪽으로, 앞표지는 김홍도의 인장과 신선도(神仙圖)로 꾸며졌다. 15점의 작품 이미지와 함께 수록된 작품해설에는 김용준의 빼어난 문장력과 더불어, 그림에 대한 자신의 감성을 충실하게 묘사하는 수필체 미술사 서술의 진면목이 드러난다. 1955년은 북한 미술사학계에서 비정(比定)한 김홍도의 생년에 따라 김홍도 탄생 195주년이 되는 해였다. 이 무렵 미술사 관련 출판물의 수가 늘어났고 각지에서 수집·발굴된 고서화와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전람회도 개최되었다. 북한 미술계는 1955년을 전후해 민족 미술에 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조선화에 적용할 내용과 형식의 변화를 모색했다. 이에 따라 『단원 김홍도』는 민족문화에 대한 관심이 촉발된 시기에 맞춰, 위인의 업적을 기려 대내외에 홍보하려는 목적에서 출판되었던 것이다. 월북 이후 김용준은 김홍도를 단일주제로 여러 편의 글을 저술했다. 일련의 글에서 그는 김홍도를 애국주의 화가이자, 18세기 사실주의 미술 발전의 핵심적 역할을 담당했던 화가로 평가했다. 또 김홍도의 신선도와 인물, 풍속 그림들의 필법에 주목했다. 김홍도의 인물화에서 인물형상의 조형적 특징을 찾으려고 했던 김용준은 전통 회화기법을 조선화 창작에 직접 적용했다. 그는 유려한 선조(線條)와 담백한 색채로 조선화를 창작해 여러 전람회에 출품하면서 조선화가 전근대적 산물이라고 보았던 1950년대 중·후반 북한 미술계의 인식을 개선하고자 몸소 실천했다. 조선회화에서의 독창성과 사실성 탐구에 집중했던 김용준의 미술사 연구는 1950년대 후반 북한미술이 조선화를 바탕으로 민족 형식의 전형을 확립해나가는데 밑거름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briefly describe ‘Danwon Kim Hong-do’ written by Kim Yong-jun (金瑢俊 1904~1967) and to understand the art historical implications of Kim Yong-jun’s studies on Kim Hong-do. ‘Danwon Kim Hong-do’ first introduced to academia in 2018 is a book of Korean art history published in North Korea in 1955 and is confirmed to be the earliest book that describes one of the most renowned classical painters based on an individual writer’s theory among all research papers as to the painting hist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year 1955 marks the 195th anniversary of Kim’s birth based on his birth year presumed by the North Korean art history academia. In this light, the publication of ‘Danwon Kim Hong-do’ apparently aimed to commemorate the great achievements of one of the most noteworthy painters in Korean art history at home and abroad at a time of soaring interest in national culture. Following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Kim Yong-joon wrote a number of articles dedicated to Kim Hong-do. In a series of his writings, he appraised Kim Hong-do as a patriotic painter who played a key role in developing the realism in the 18th century. He also noted Kim Hong-do’s brush stroke in his famous paintings, including Immortals, portraits, and customs paintings. Kim Yong-jun, who sought to identify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igures in Kim Hong-do’s portraits, applied the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 directly to creating the Joseon paintings. He made sincere effort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North Korean art academy in the mid- and late 1950s who found the Joseon paintings outdated as he created some Joseon paintings with elegant brush and plain colors and presented them to several exhibitions. Kim Yong-jun’s art history studies, which focused on seeking the originality and realism in Joseon paintings,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 North Korean art world to establish an exemplary model of national formality in the late 1950s based on the Joseon paintings.

      • KCI등재

        안산시의 김홍도 브랜드 개발에 대하여

        고운기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7

        안산시는 1990년대에 김홍도 벽화사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조각공원 조성, 전시관 운영 등의 지역 고유 문 화자산인 김홍도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김홍도가 안산의 대표 브랜드라고 하기에는 부족하다. 안산시가 가지고 있는 차별화된 자산(첨단산업도시)과 김홍도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이미 지(천재화가, 미래지향정신)의 교집합을 찾아, 문화 산업도시로 포지쇼닝(Positioning)하기 위한 실질적인 컨 설팅이 필요하다. 컨설팅을 위해, ‘안산시 브랜드 이미지 및 김홍도 관련성 조사 → 안산 소재 김홍도 관련 문화원형 발굴 조사 → 유사 브랜드 도시 사례 조사 → 컨설팅 밴드를 통한 김홍도 관련 브랜드화 전략 → 김홍도 관련 브랜드化를 위한 활성화 방안 → 안산시 브랜드화를 위한 홍보 방안’의 단계를 설계해 볼 수 있다. 이 설계에 따른 구체적인 컨설팅의 예로 단원미술관을 들었다. 안산은 단원 김홍도가 안산 출신인 데 대해 자신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 비록 그가 안산에서 지속적으로 거주 하지 않았더라도, 안산이 그에 대해 강력한 소유권을 주장하여 이상하지 않다. 그런데 현재 단원미술관에는 정작 단원의 그림 진본이 없다. 이를 극복할 방안은 무엇일까?첫째, 디지털의 여러 방식을 활용한 전시관의 구 성을 추진하는 일. 디지털 미술관의 개발은 현재 세계적인 추세이다. 진품의 구입에 드는 수고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둘째, 김홍도의 그림을 인문학적으로 해석하고 이와 관련된 체험적 요소가 구현되는 디지털 체험관 의 조성. 방문객의 유대감을 진작시키는 이야기를 ‘내가 참여하여 완성하는 이야기’가 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 성하는 것이다. 셋째, 김홍도와 관련 있는 지역과 벨트를 맺고 교류하는 방법. 충북 괴산은 김홍도가 연풍 현 감을, 경북 안동은 안기역 찰방을 지낸 인연으로 안산-괴산-안동의 벨트를 만들 수 있게 한다. Ansan City has built a mural project, sculpture parks, and exhibition halls associated with Kim Hong-do contents business since 1990s. However, merely claiming that Kim Hong-do is Ansan’s brand representative is not adequate. Ansan requires practical consultation. We can design a consulting plan as follows: "Conduct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Kim Hong-do and the brand image of Ansan →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of Kim Hong-do-related cultural archetypes in Ansan → Case studies → Kim Hong-do-related branding strategy by the consulting band → Revitalization strategy for branding Kim Hong-do → Scheme for brand promotion in Ansan." The Danwon Art Museum is proposed as the example for this process. The city should feel proud that Kim Hong-do is from Ansan. Though he did not live in Ansan throughout his life, it would not be inappropriate for Ansan to claim strong ownership of the artist. However, the Danwon Art Museum currently has no authentic picture of Kim Hong-do. What are some ways to solve these issues?First, Ansan should promote exhibitions utilizing various digital media. Development of digital art galleries is a current global trend. Second, Kim Hong-do’s pictures should be analyzed by humanities experts, and a digital experience center with experiential elements should be built. Third, Ansan should create a business belt with other regions related to Kim Hong-do and engage in mutual exchanges.

      • KCI등재

        김홍도 《풍속화첩》을 통해 본 구도 특징에 관한 연구

        황연화 충북대학교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2023 기술경영 Vol.8 No.3

        While previous research has analyzed Kim Hong-do's genre paintings to understand their overall characteristics, in-depth analysis of specific painting techniques has still been challenging to fin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Korean art research and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compositional features of Kim Hong-do's genre painting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was on 'Pungsokhwacheop,' a collection of Kim Hong-do's genre paintings. 'Pungsokhwacheop' vividly portrays various aspects of daily life and emotions of people in the Joseon era, with intricate depictions of human and animal emotions. Moreover, it serves as a valuable historical source providing a realistic portrayal of the society and environment of that time.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Kim Hong-do displayed exceptional skills in composition and spatial arrangement. His compositional and spatial feature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main aspects: First, he predominantly employed circular compositions to arrange groups of people in his paintings. This circular composition ingeniously directed viewers' attention towards the central theme. Second, he employed diagonal compositions to create dynamism in his works, while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sitions conveyed a sense of stillness. He also utilized X-shaped compositions, balancing stability and movement effectively. Third, Kim Hong-do demonstrated meticulous spatial arrangement by skillfully positioning figures, props, and even perspective to maintain interest without causing monotony in the space. Notably, he intentionally adjusted perspective to consider the viewer's experience. Fourth, a distinctive feature of 'Pungsokhwacheop' was its direct depiction of the central theme in the center of the composition. This reflected Kim Hong-do's intention to emphasize multiple subjects on a relatively small canvas. Through this analysis, it becomes evident that Kim Hong-do's artistic spirit went beyond typical compositional techniques, showcasing his creativity. His work not only provides insight into the creativity of the artist but also serves as a guide for contemporary readers, highlighting the continuity of creative art and tradition.

      • KCI등재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관료행적(官僚行蹟)과 작품에 나타난 윤리의식(倫理意識)에 대한 연구(硏究)

        이근우 ( Lee Keun Woo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7 동양예술 Vol.36 No.-

        Year 2017 is Danwaon Kim Hong-Do`s 272th birth year and also 226th year, he had been in Yunpoong- Hyeongam. Danwon Kim Hong- Do is a person who had been both artist and government officer at the same time which is hard to be at that time. As a government officer, he has been Chalbang officer in Ahn-dong city, Ahn-ki area, and Yunpoong-Hyeongam in Chungcheong-do, Goesan-gun. Also, he was rewarded by Great King Jung-Jo, by drawing his portrait, he was assigned to be Yunpoong-Hyeongam in 1791 December 22nd and served until 1795 January 7th, for three years. Formal studies about Danwon Kim Hong- Do is about his artistic skills and his painting, but his history as in government officer and his work during the time are very marginal until now. Also, there are insufficient amount of research data and studies about his ethical consciousness as government officer. This study is not only about his art or his artistic skill, however this study is also about proving his ethical consciousness as in government officer. These are the thee point. First, House fire in Ahn-bu station area after Danwon Kim Hong-Do post as a Yunpoong-Hyeongam. Second, Mt. Gong-Jung Sangam Temple restoration monument Third, King`s portrait, Modang-Pyungsaeng-Do, seodang.

      • KCI등재

        논문 : 비상(悲傷)의 공명 -구양수와 김홍도의 추성(秋聲)

        이선옥 ( Seon Ok Le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2 감성연구 Vol.4 No.1

        이 논문은 중국 북송 대 문인 구양수(1007~1072)의 『추성부』와이를 그림으로 그린 조선 후기 김홍도의 <추성부도>를 통해 가을바람 소리(秋聲)라는 이미지가 시와 그림에 어떻게 형상화되었으며, 이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 있는지 살펴 본 것이다. 양수의 『추성부』는 52세의 구양수가 가을날 밤 독서 중에 밖에서 나는 소리를 듣고 가을이 왔음을 느끼며, 이에 일어나는 감흥을 동자와의 대화 형식을 빌려 쓴 글이다. 이상을 추구하려고 노력했지만 자신의 의지와 달리 쇠잔한 심신만이 남은 사대부의 내면과 외양을 가을바람소리에 빗대어 읊은 것이다. 김홍도의 <추성부도>는 구양수의 『추성부』에 공감하여 탄생한 작품이다. <추성부도>에는 『추성부』의 일부를 직접 적었을 뿐 아니라, 글에서 드러내고 있는 이미지를 포착하여 조형적 언어로 다시 표현해내었다. <추성부도>에는 독서하는 구양수와 그의 물음에 답하는 동자를 중심으로 스산한 가을 풍경이 묘사되어 있다. 『추성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가을의 쇠잔한 풍경에서 연상할 수 있는 인생 노년의 쓸쓸함을 화폭에 담아낸 것이다. <추성부도>를 제작한 1805년 무렵 김홍도는 건강도 안 좋고 생활 형편도 좋지 않아서 크게 낙담을하고 있었음이 그 무렵 쓴 편지에서 확인된다. 이 그림을 그린 다음해 김홍도는 세상을 떠난 것으로 추정되며, <추성부도>는 그의 마지막 작품이다. 『추성부』 에 쓰인 구양수의 슬픔은 수 백 년이 지난 뒤 조선의 화원화가 김홍도의 <추성부도>로 다시 형상화되었다. 김홍도 이전에도 이후에도 여러 <추성부도>가 그려졌다. 그럼에도 김홍도의 <추성부도>가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는 것은 한 때는 최고의 명성을 누린 화가였지만 노년의 그의 처지가 무척이나 고단했으며, 그만큼 추성부를 쓴 구양수의 심경에 공감했기 때문일 것이다. This study analysed how the image of autumn sounds was configured in a poetry titled 「Qiushengfu」 by Quyang Hsiu(歐陽脩, 1007∼1072), a literary person of North Song Dynasty of Chna and <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a painting byKim Hong-do(金弘道, 1746~1806), and what meaning they have. In 「Qiushengfu」, Quyang Hsiu described what he felt listening to sound heard outside while reading on an autumn night ina form of dialogue with a young boy,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status of a high official who was only to be declined inhealth although he tried to pursue an ideal<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by Kim Hong-do responded to the 「Qiushengfu」, Quyang Hsiu. It contains part of 「Qiushengfu」 and reproduces images in the poetry through artistic words. The <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describes the scenery of autumn focusing on Quyang Hsiu who is reading and a young boy who is answering to his question. It also describes loneliness of the old age which is recalled from declining scenery of autumn as the 「Qiushengfu」. About805 when the painting was reproduced, it was confirmed froma letter that Kim Hong-do declined in health and economic status and was depressed. It is assumed that he passes away next year and the <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is the last pieces of his painting. Quyang Hsiu`s sorrow described in Qiushengfu was reproduced in the <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by Kim Hong-do, a painter of the late Joseon period.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paintings on the Sounds of Autumn before and after Kim Hong-do, the <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by Kim Hong-do is very sensational because he was very exhausted in his old age and sympathized with Quyang Hsiu who wrote 「Qiushengfu」.

      • KCI등재후보

        진경산수화를 이용한 풍화 침식 추척 연구 가능성

        박용필,김학성,위수민,김경수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3 현장과학교육 Vol.7 No.2

        이 연구에서는 도담삼봉이 1796년 이래로 과거 217년 동안에 어떤 형태로 풍화 침식이 진행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700년대 후반에 조선에 '카메라옵스큐라'라는 광학기계가 도입되어 그 시대의 화가들이 사물을 사진과 같이 정밀하게 그렸음을 밝혔다. 또한, 도담삼봉의 축소 모형 실험에서 유수에 의해 모래톱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재현하고, 1959년에 찍은 도담삼봉 사진과 1796년 김홍도의 그림을 비교 분석하여 도담삼봉 주변의 모래톱의 위치가 모두 동일함을 밝혔다. 이것은 김홍도가 도담삼봉 뿐만 아니라 주변의 지형도 매우 정확하게 그렸음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1796년 김홍도가 그린 도담삼봉 그림을 그 시대에 찍은 사진으로 간주하여, 도담삼봉 그림의 윤곽선과 1959년 도담삼봉을 찍은 사진의 윤곽선, 동일한 각도에서 찍은 현재 사진의 윤곽선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담삼봉의 세 봉우리중에서 중간 봉우리가 유수에 의해 가장 많이 풍화 침식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형 실험 결과에서도 유수에 의해 중간 봉우리가 가장 많은 충격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김홍도가 그린 도담삼봉 그림의 윤곽선을 동일한 시점에서 찍은 현재 사진의 윤곽선을 비교 한 결과 중간 봉우리에서 가장 많은 차이가 남을 밝혔다. 과거 217년 동안 유수에 의해 가장 많은 충격을 받은 도담삼봉의 중간 봉우리가 현재의 사진의 윤곽선과 가장 많이 차이가 난다는 것은 김홍도가 도담삼봉 그림을 실제처럼 그렸다는 간접적인 또 다른 증거이기도 하다. XRD, XRF, 육안과 편광현미경을 이용한 암석학적 분석 결과 도담삼봉은 석회암-돌로마이트로 이루어져있으며 화학적 풍화 보다는 기계적 풍화가 활발 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앞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담삼봉 중간 봉우리의 풍화 침식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담삼봉과 같은 지질 유산이 수 백년 동안에 어떻게 풍화 침식 되는지를 연구하는데, 선조들이 그린 진경산수화가 이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way Dodamsambong had undergone weathering and erosive actions for the 217 years since 1796. To this end, an optical instrument called 'cameraobscura' was introduced in the second half of the 1700s into Joseon Dynasty,confirming that painters at that time had depicted objects with a high degree of precision almost on a par with photographs. Moreover, downsized simulations of Dodamsambong reproduced the process of sandbars being formed by flowing water,and the photograph of Dodamsambong taken in 1959 and the picture of Dodamsambong drawn in 1796 by Kim, Hong-Do were compared and analyzed, confirming that the locations of the sandbars in the vicinity of Dodamsambong were exactly as they had been in the picture of Kim, Hong-Do. This indicates that Kim, Hong-Do depicted highly precisely geographical features in the vicinity of Dodamsambong as well as Dodamsambong themselves. As a result, the picture of Dodamsambong depicted in 1796 by Kim, Hong-Do was regarded as the photograph taken in 1959, and the contour in the picture of Dodamsambong and that of the photograph taken in 1959 and that taken at present from the same angle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the middle peak of the three peaks of Dodamsambong were most noticeably weathered and eroded by flowing water. Results of simulations also confirmed that the middle peak was most severely affected. A comparison of the contour of Kim, Hong-Do's picture of Dodamsambong with that of the photograph taken at present shows that the middle peak differed most noticeably. The fact that the middle peak of Dodamsambong most noticeably affected by flowing water for the past 217 years conspicuously differs from the contour of the photograph taken at present serves as another indirect evidence that Kim, Hong-Do had drawn Dodamsambong as it really was. XRD, XRF, Unaided eye and lithological examinations with the aid of a polarizing microscope confirms that Dodamsambong consists mainly of limestone-dolomite, and that mechanical weathering was predominant rather than chemical weathering. Over time, the middle peak is expected to undergo weathering erosion at an accelerated pace, thus making it necessary to cope with the ongoing ero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putting into use real landscape pictures depicted by ancestors for the study of the ways such geological heritage as Dodamsambong had undergone weathering and erosion for hundreds of years.

      • KCI등재

        朝鮮 後期 關西名勝圖 연구

        朴晶愛(Park Jeongae)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8 No.258

        關西名勝圖는 關西地方, 즉 平安道의 명승을 그린 實景山水畵이다. 그동안 실경산수화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전되었으나 관서명승도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 관서 관련 화적은 平壤만을 다룬 작품이 가장 많지만, 이 글에서는 여러 폭이 한 벌을 이루는 조선 후기 관서명승도에 집중하였다. 조선시대 평안도는 중국과의 접경지대로서 군사와 외교 면에서 특히 중요하였다. 또 使臣들의 노정 인근에 분포한 名勝名所는 文學과 美術의 제재가 되었다. 문헌기록을 통해 15세기 후반-16세기 초에는 관서지역의 거점인 평양명승이 알려졌고 이어서 그림으로도 그려졌음이 확인되었다. 16세기 중반 明宗代 이후에는 瀨翁 李楨(1578-1607)의 傳稱作《關西名區帖》처럼 평양 외의 지역도 화폭에 수렴되었다. 金昌翕(1653-1722)의 「關西日記」나 正祖(재위 1776-1800)의 詩「題關西地圖」는 18세기 들어 진경산수화가 유행하면서 관서명승도가 정형화되는 양상과 연관되는 사료이다. 작화대상과 구성, 화풍이 유사한 일군의 관서명승도는 작자미상의 개인 소장 《關西名勝帖》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개인 소장 《관서명구첩》과 국립중앙박물관의 《關西十景圖》는 화면의 크기까지 거의 같아서 정형화된 양태를 잘 보여준다. 그리고 영국도서관 소장 《韓中名勝圖帖》과 서울역사박물관의 《關西八景圖帖》은 《관서명구첩》유형이 저변화된 양상을 반영한다. 이 유형에 적용된 양식은 18세기 말 畵員畵風이 대세를 이루는데, 南宗畵法과 함께 地圖와 版畵의 표현법도 파악되며 檀園 金弘道(1745-1806 이후) 화풍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개인 소장본의 ‘馥軒’이 해명되지 않았고 국립중앙박물관본의 김홍도 인장이 後落으로 의심되어 작자에 대한 최종 판단은 유보할 수 밖에 없다. 다만 화풍과 인장을 토대로 《관서명구첩》유형의 제작시기와 화가를 추론해봄으로써 앞으로의 연구에 실마리로 삼고자 했다. 김홍도는 1789년 冬至使行을 계기로 관서지역을 방문한 바 있다. 또 정조에게 주청하여 김홍도를 자신의 군관자격으로 동행시켰던 湖隱 李性源(1725-1790)은 平安道觀察使를 지낸 적이 있어 당시 관서명승도를 주문했을 개연성이 있다. 《관서십경도》에 찍힌 ‘貞敬夫人申氏’라는 인장이 이성원 부인의 작호와 일치하는 것도 그의 집안과 연계되는 자취이다. 따라서 현재 전하는 작품들을 김홍도가 그렸다고 확단하긴 어렵지만, 18세기 말 김홍도에 의해 정형화된 저본에서 파생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Paintings of scenic spots of Gwanseo (關西名勝圖) depict the scenic beauty of Pyeongan province. Over the past couple of years there has been considerable progress in the study of Korean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but paintings of scenic spots in Gwanseo area have not attracted much attention. Actually, the majority of paintings of scenes from this area illustrate only the views of Pyongyang city, But this author deals with paintings depicted widely the beauty spots of Gwanseo in this article. During the Joseon Dynasty Pyeongan province was bordering with China and it was therefore a very important area from a military and diplomatic viewpoint. Moreover, as envoys of China and Joseon passed through this province, the well-known scenes of beauty which were located on their route became subjects of arts and literature. According to documentary records, some scenic spots in Pyeongyang City were known in the latter half of the 15th century and the early 16th century, and it is known that they were also painted. From the mid-16th century onwards, other scenes from Gwanseo area were also painted, as exemplified in an album titled Album of Famous Spots of Gwanseo (關西名區帖), attributed to Yi Jeong (1578-1607). Writings such as the Dairy of Ganseo (關西日記) by Kim Chang heup (1653-1722) and the Colophon on Gwanseo Map (題關西地圖) by King Jeongjo (r. 1776-1800) helped bring focus to scenic spots in Gwanseo. As a result, when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became popular in the 18th century, well-known beauty spots from this area had already become standardized. A number of the paintings of Gwanseo sceneries with similar subject matters, composition and style can be classified as a type of Album of Famous Spots of Gwanseo. The anonymous album now in a private collection, and Ten Scenic Spots of Gwanseo (關西十景圖) kept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almost identical, even in their size, thus highlighting the standardization of such types of paintings. The Album of Scenic Spots in Korea and China (韓中名勝圖帖) kept at the British Library in London and the Album of Eight Scenic Spots of Gwanseo (關西八景圖帖) housed i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show broad expansion of the genre. The painting style of these albums shows strong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of Southern school painting as well as court paintings of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n particular maps and woodblock prints. At the same time we can se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style of Kim Hong-do (1745-after 1806). The album in the private collection bears a signature of Bokheon (馥軒) though the identity of the painter is still unclear. The painting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bears a seal of Kim Hong-do but it is possible it was added at a later date. We should reserved final judgment on the identities of the painters for these reasons. This author has attempted to find further ways of studying the paintings based on painting styles and seals. Kim Hong-do visited the Gwanseo area through the occasion of an winter solstice embassy to China which took place in 1789. At that time Yi Seong-won (1725-1790) who allowed Kim Hong-do’s participation in that embassy as qualification for his military escort is recorded as having been a provincial governor of Pyeongnan Provinc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e ordered a painting of Gwanseo area at that time. Besides, a seal called "Jeonggyeoingbuin Sinssy" (貞敬夫人申氏) of the Ten Scenic Spots of Gwanseo is identical to the peerage of the wife of Yi Seong-won. Although it is difficult to say that? works handed down to us now were painted by Kim Hong-do, it is possible that these types of works were painted with reference to the paintings of Gwanseo area which were standardized by Kim Hong do during the end of the 18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