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립박물관 법인화 운영 사례 조사 : 일본, 프랑스, 미국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최환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0 동원학술논문집 Vol.11 No.-

        This paper explains the definition and types of corporation followed by the executive agency which applies to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It also examines incorporated museums of Korea as well as representative national museums of Japan,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ir operation methods. The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he Cultural Foundati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incorporated public museums and galleries in Korea. Based on the information above,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le problems and requirements that Korean national museums may encounter and have to implement once they are incorporated. 박물관이 시대의 흐름에 맞게 변화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박물관 분야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국공립박물관의 운영방식이 변해야한다는 주장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 2005년 국립중앙박물관 용산 시대를 열면서 박물관내의 문화 사업에 대한 업무를 총괄하는 문화재단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일본은 2001년부터 국립박물관들을 묶어 ‘독립행정법인’화 하여 운영하다가 2007년부터는 ‘독립행정법인-국립문화재기구’로 개편하여 운영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에도 민간기구와 정부기구의 중간 형태인 ‘공공기관 Etablissement Public: EP’라는 형태가 생겨났으며 루브르박물관 역시 EP의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미국의 스미스소니언의 경우에도 준공공기관의 성격을 띠고 있지만 해마다 적정 부분 연방정부의 예산을 지원받으면서 동시에 자체 사업을 통해 수익을 올리고 이를 다시 박물관에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 속에서 한국 역시 2006년 국립현대미술관을 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박물관을 운영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며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법인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이 글은 국립박물관의 효율적 운영의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법인화와 관련하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단과 일본, 프랑스, 미국 국립박물관 운영 사례를 조사하고, 법인화 또는 법인과 유사한 형태로 운영 중인 해외 주요 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장·단점을 파악, 향후 박물관의 운영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 소통의 확장: 국립박물관의 쉬운 전시 정보 제작

        류승진 국립중앙박물관 2024 박물관과 연구 Vol.2 No.-

        The recent rise in interest toward accessibility improvement initiatives by national museums has highlighted the complexity of exhibition information as a key criterion for evaluating high-quality exhibit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plores the creation and application of easy-to-understand exhibition information implemen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le also examining its sustainability and future direction. Even before the recent accessibility improvement initiatives, the desire for easy-to-understand exhibitions was evident not only among visitors but also among museum curators responsible for organizing exhibitions. With the refinement of legal framework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 legal mandate was introduced requiring the use of easy-to-read materials to ensure information access right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response, museums have shifted their accessibility improvement efforts from focusing primarily on physical and sensory accessibility in spaces and facilities to enhancing intellectual and emotional accessibility across all information provided by museums. For example, the accessibility improvement initiative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ve evolved from developing resources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or sensory disabilities, such as Braille guides, sign language videos, and tactile exhibition objects, to providing clearer and more straightforward exhibition information using easy-to-read materials designed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ever, at present, easy-to-understand exhibition information is offered only in limited locations for a select user base, raising potential concerns about new forms of discrimination within exhibition spaces between those who have access to such information and those who do not. Furthermore, due to the academic nature of museum exhibitions, which are grounded in scholarly research outcomes, exhibition information is often unilaterally delivered by curators to visitors and can result in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To address these issue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made an all-out effort to provide comprehensive, unrestricted and easy-to-understand exhibition information during its December 2023 special exhibition titled Tree and Serpent, Early Buddhist Art in India. Creating easy-to-understand exhibition information that conveys engaging exhibition narratives in clear and accessible language for all, while upholding the objectivity of a public institution and ensuring inclusivity without discrimination for all, required constant communication among the various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exhibition. This effort demonstrated that easy-to-understand exhibition information for all visitors is achievable through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among all participants in the exhibition process. 최근 국립박물관의 접근성 개선 사업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전시 정보의 난이도는 좋은 전시의 평가 기준 중 하나가 되었다. 이 글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도입한 쉬운 전시 정보의 제작과 활용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지속 가능성과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쉬운 전시에 대한 열망은 접근성 개선 사업 이전에 이미 관람객뿐만 아니라 전시를 만드는 박물관 학예연구사들 사이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장애인 관련 법적 제도 정비에 따라 발달장애인의 정보 접근 권리를 보장하는 읽기 쉬운 자료의 사용이 법적으로 의무화되었다. 이에 발맞추어 박물관의 접근성 개선 사업도 박물관의 공간과 시설에 대한 물리적·감각적 접근성 개선에서, 박물관이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대한 지적·정서적 접근성 개선으로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립중앙박물관의 접근성 개선 사업도 지체 및 감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안내, 수어 영상, 촉각 전시품 등의 콘텐츠 개발에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읽기 쉬운 자료를 활용한 쉬운 전시 정보 활용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현재로서는 제한된 위치에서 선별적 대상에 한해 쉬운 전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전시실 안에서 쉬운 전시 정보를 사용하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를 구분하여 새로운 차별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한편 학술적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는 박물관 전시의 성격상, 전시 정보가 전시 기획자로부터 관람객에게 일방적으로 주입되어 전시 기획자와 관람객 사이의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국립중앙박물관이 시도한 특별전 〈스투파의 숲, 신비로운 인도이야기〉의 전면적 쉬운 전시 정보 제공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누구나 쉽고 재밌게 즐길 수 있는 이야기가 있는 전시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말로 전달하기 위해 모든 전시글을 쉬운 전시 정보로 변화하는 과정과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주의할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누구도 차별하지 않고 공공기관의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쉬운 전시 정보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시를 둘러싼 다양한 관계자들의 활발한 소통이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두를 위한 쉬운 전시 정보는 전시를 둘러싼 모든 이들의 소통이 확장될 때 비로소 가능해질 것이다.

      • 어린이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역할 :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을 중심으로

        박성혜 국립중앙박물관 2017 박물관 교육 Vol.1 No.-

        본 글에서는 국립박물관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단계와 현재 운영 상황, 그리고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초창기 국립박물관의 대표적 어린이교육프로그램은 1950년대 서울과 경주에서 진행한 어린이박물관학교, 1974년 어린이문화재미술실기대회, 1984년 국립중앙박물관과 소년동아일보사가 공동으로 실시한 ‘어린이박물관 현장학습’ 3가지였다. 이후 1990년대 후반기부터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박물관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국립박물관에서 어린이 대상 교육을 하면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목적과 취지 중의 하나는 한국문화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알리는 것이었다. 그러나 어린이 교육에서만은 이보다 더 중요한 문화재 본질에 접근하여 문화재를 아끼고 사랑할 수 있는 마음을 교육시키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앞으로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은 내용적인 면에서는 문화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행동할 수 있는 시각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형식적인 면에서는 온라인과 학교 공교육과 연계하여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양질의 박물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의무가 있다. 즉, 시대에 걸맞게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 개인과 공교육로 연계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원하면 누구든지 교육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향후 국립박물관이 해야 할 일일 것이다. Afte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relocated to Yongsan in 2005, the Children's Museum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newly established as a separate entity. Since its inception on October 28, 2005, the Children's Museum has been a children-centered museum and 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 providing various leisure activities to families. The Children's Museum has operated not only exhibition galleries but also educational programs for families and children. The Museum has developed its own programs and shared them with its affiliated museums. This article goes over the Museum's representa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their development progress and current oper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children's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social change, children's educational program is required to find right methodology and direction with proper educational goals for the next generation. First, in terms of content, programs should lead childre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with love and understanding. Second, in terms of format, museum'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linked with online platform and public education so that more people can gain access to the quality museum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museum education provides the meaning and value of cultural heritage to children so that they real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When educational programs are provided, they should be present both on-site and online in connection with individual and public education so that anyone can enjoy museum education. This is the mandate of national museum.

      • 국립중앙박물관 남산분관품(南山分館品)과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감식안(鑑識眼) :  

        김울림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5 동원학술논문집 Vol.7 No.-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남산분관품으로 분류되는 소장품이 4천1백여 점 소장되어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 유물들은 근대 일본의 저명한 종교철학자이자 민예운동가인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1889-1961)가 설립한 조선민족미술관의 수장품으로 출발하여, 한국민속학의 선구자인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1905-1948)의 국립민족박물관을 거쳐 한국전쟁의 와중에 국립중앙박물관 남산분관품으로 접수이관된 것이다. 이 남산품은 크게 송석하의 문화민족주의를 실증하는 콜렉션으로, 일본에서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사상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증명하는 조선민족미술관 콜렉션으로 인식하는 두 가지 방향에서 학계에서 그 존재가 언급되어 왔다. 남산품은 그 현재적 의의와 민감성에도 불구하고 실제적 성격규명을 위한 노력이 적극적으로 경주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남산품의 성격규명을 위해 이관품 목록을 통해 밝혀진 현존유물뿐만 아니라 망실품 및 결번품 그리고 이관이전 타 박물관 대여품 등의 계량적 규모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물질 분류를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산품 전체에 대한 실체적 자료를 도출하며, 기존에 발표된 문헌자료들과의 대조를 통하여 원 콜렉터에 대한 추정과 이에 따른 성격분류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남산품이 전시 및 출판을 통해 어떠한 모습으로 공개되었으며 근현대 한국 및 일본의 미술운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 유물의 역사적, 현재적 의미를 되새겨보았다.

      • 국립중앙박물관 국외전시의 경향 분석: 용산시기를 중심으로

        선유이 국립중앙박물관 2024 박물관과 연구 Vol.2 No.-

        국립중앙박물관 국외전시는 국가기관이 추진하는 정부사업이다. 그만큼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국외에 널리 알리고 국가 간 문화교류에 기여하는 것은 국외전시의 주요 목표가 되어 왔으며, 국가의 정치·외교적 정책 방향은 국외전시가 추진되는 과정에서 일정부분 영향을 미쳐왔다. 초기 국외전시는 ‘명품전’, ‘통사전’, ‘순회전’ 성격의 전시가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국제적 환경변화에 맞춰 국외전시의 흐름도 변화하였으며, 2005년 용산시기를 맞이하여 국립박물관의 새로운 비전과 역할을 정립한 것은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용산시기에는 외국문화재 국내전시의 교환전시로 추진된 국외전시가 증가하였으며, 해외박물관 한국실 지원사업과 관련된 국외전시도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 국외전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외전시의 발전적 개최 방향에 대한 고민이 더욱 요구된다. 국외전시를 기획할 때는 먼저 전시 개최지의 상황에 맞춰 통사전과 주제전, 심화전 중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개최기관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전시주제, 전시구성, 전시품 등을 선정하고, 다양한 전달방식을 시도해 볼 수 있다. 과거와 현재의 한국을 시간적으로 연결하거나, 한국과 다른 국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전시 역시 주목할 만하다. 특히 최근에는 한류에 대한 관심, IT강국인 한국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기대,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이 국외전시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개최기관의 한국학 전공 전문인력의 확충과 이를 통한 전시개최기관과의 활발한 소통은 국외전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overseas exhibitions are the government-led initiatives managed by a national institution. As such, their primary objective is to widely promote Korea’s history and culture abroad. To Some extent,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direction of Korea promotion of these overseas exhibitions. Early exhibitions focused on masterpiece chronological displays and touring exhibitions. However, the trends in overseas exhibitions have evolved in response to changing international circumstances. The museum’s relocation to its current site in Yongsan in 2005 marked a significant inflection point, enabling the museum to redefine its vision and role as a national institution. During the Yongsan period,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overseas exhibitions organized as part of exchange agreements, that allowing Korea to showcase its cultural heritage abroad in return for hosting foreign cultural artifacts in domestic exhibitions. Additionally, exhibitions associated with the museum’s support program for Korean galleries in overseas museums have gained prominence. As the demand for overseas exhibitions continues to ris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explore innovative approaches to organizing these exhibitions. When planning overseas exhibitions, it is crucial to tailor the approach to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host location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format, whether it be a chronological, thematic or in-depth exhibition. Close collaboration with host institutions is essential for determining exhibition themes, structures, and items, as well as for experimenting with diverse methods of content delivery. Exhibitions that bridge Korea’s past and present or create spatial connection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also hold significant potential. Recently, the rising global interest in Hallyu (Korean Wave), growing expectations for Korea’s digital content as an IT powerhouse, and increased cooperation across various fields have been key drivers of change in overseas exhibitions. In this context, expanding the number of specialists with expertise in Korean Studies at host institutions, thereby fostering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organizers and host i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quality and impact of these exhibitions.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영조대 갱진(賡進) 자료 연구

        허문행 국립중앙박물관 2024 박물관과 연구 Vol.1 No.-

        조선의 국왕은 나라를 경영하거나 개인적으로 느낀 바를 시(詩)로 남기곤 했다. 태종(太宗, 재위 1400–1418)·성종(成宗, 재위 1469–1494)·영조(英, 재위 1724–1776) 등 국왕은 신하들에게 직접 지은 시를 내리고 운자(韻字)를 맞추어 화답하도록 했는데, 이러한 군신 간의 문학적 교유를 갱진(賡進)이라 한다. 갱진과 관련한 자료는 국왕들의 언행을 기록한 연대기자료, 역대 국왕들이 지은 글을 모은 『열성어제(列聖御製)』, 국왕이 갱진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한 《갱진첩(賡進帖)》, 갱진에 참여한 신하들의 문집 등에 다수 남아 있다. 이 중 《갱진첩》은 국왕과 신하의 갱진 직후에 제작된 것으로, 갱진의 배경과 내용 그리고 참석자 등 다양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갱진첩》은 국립중앙박물관·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에 다수 소장되어 있는데, 현전하는 갱진첩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은 영조대 제작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연대기자료를 통해 영조가 52년의 즉위 기간 내 공식적으로 200여 차례가 넘는 갱진을 시행했음을 분석하고, 영조의 노년기에 해당하는 1769년(영조 45)부터 1776년(영조 52)까지 갱진이 대폭 증가하는 양상을 살폈다. 또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18~19세기 갱진 관련 자료 첩(帖)·책(冊)·현판(懸板)·병풍(屛風) 16건을 소개하고, 그중 영조대 제작된 《갱진첩》 8건을 중심으로 제작 배경과 내용 그리고 해당 작품의 특징에 대해 정리했다. 영조 연간 제작된 갱진 자료는 국가(또는 왕실)의 경사, 국정 운영, 군신 간의 문학 활동 등 당대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ings of the Joseon Dynasty composed poems exploring their thinking about the governance of the country or personal feelings. Kings Taejong (r. 1400–1418), Seongjong (r. 1469–1494), Yeongjo (r. 1724–1776), and other kings bestowed poems upon their officials and had them compose response poems using rhyming words. Such literary exchanges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were called gaengjin. The vast body of surviving materials related to gaengjin includes chronological materials recording the words and acts of kings, Yeolseong oeje compiling writings by Joseon kings, the so-called gaengjin albums that kings specially produced to commemorate officials’ composition of response poems, and literary collections by officials who took part in the composition of response poems. Gaengjin albums were produced immediately after the king’s bestowal of a poem and the officials’ composition of response poems. They provide diverse information about the background, content, and participants of literary exchanges. Many of these albums are held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Gyujanggak Archiv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 majority of the extant gaengjin albums were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is paper analyzed chronological materials on the gaengjin literary exchanges that were officially conducted 200 times during the fifty-two-year reign of King Yeongjo. It also explored the drastic increase in gaengjin literary exchanges between 1769 (the forty-fifth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1776 (the fifty-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 period corresponding to King Yeongjo’s latter years. The paper introduced sixteen items (albums, books, hanging boards, and folding screens) related to the gaengjin literary exchanges held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mong them, it shed light on the production background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ight gaengjin albums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gaengjin literary exchanges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re valuable in that they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aspects of the respective period, including joyous events of the state (or royal court),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ffairs, and literary activities among the sovereign and subjects.

      • 박물관 교육을 통한 문화의 재창조 : 국립광주박물관 현대작가 연계 교육 개발 과정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영신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2 동원학술논문집 Vol.13 No.-

        박물관은 시대가 변하면서 박물관이라는 장소적 인식이 점차적으로 공공화되어 가고, 그 기능은 더욱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박물관은 사회의 문화적인 거점으로써 사회문화를 재확립하는 문화시설이면서 과거의 유산을 보존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육의 장소로 변화하고 있다. 즉, 단지 유물의 연구조사·보존·관리·전시 외에도 사회와 국가의 문화거점시설이고, 동시에 문화생활을 창조하기 위한 학습의 장이 된 것이다. 박물관은 박물관 특성 즉 박물관이 속한 지역, 박물관의 소장품 및 전시와 밀접하게 연계되고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다목적 다차원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박물관이 지역 문화예술 기반의 중심 역할을 하는데 일조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이 글에서는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총 8단계로 나누어 정리하였으며, 국립광주박물관 현대작가 연계 교육 개발 과정 사례를 소개하였다. The human desires for cultural recreation, as well as cultural enjoyment, are on the rise due to the increasing amount of free time. Under such a social background, museums are faced with the social need for them to concentrate more on playing new roles in educational activity and developing diverse programs on the basis of cultural learning opportunities, experiences, etc. It can be said that exhibition is a way of revealing the aesthetic senses of historical meanings of relics, while education is a process of providing explanations turning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relics into today's implications. Inasmuch as such, future museum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functions which provide spaces for creation and presentations to users with cultural talents, at the same time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reflecting the features of the relics owned by each museum.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at suggesting how to develop, reinvent, and utilize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Korea's traditional cultures in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cases of the education programs at Gwangju National Museum in conjunction with modern artists.

      •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박물관 공간 구성—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마음보듬소’를 중심으로

        정민영(鄭旼英) 국립중앙박물관 2024 박물관과 연구 Vol.2 No.-

        어린이박물관 체험활동은 아동의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여 호기심과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신체 운동능력 및 창의성 발달을 촉진한다. 그러나 장애 또는 성격적 특성으로 이러한 활동을 과도한 감각자극으로 받아들이는 아동도 있다. 특히 발달장애아동의 다수는 불빛, 소리, 질감 등 외부에서 오는 감각 입력을 통합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BR/> 2023년 기준, 국내에 등록된 0 세부터 12 세까지의 발달장애아동은 38,752명으로, 동일 연령대 장애등록 아동의 70.61%, 주민등록 아동의 0.82%에 해당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과에서 운영한 장애아동 단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장애유형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도 발달장애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발달장애아동의 박물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마음보듬소’를 조성하였다. ‘마음 보듬소’는 빛과 소리를 조절해 마음의 안정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스트레스나 과도한 감각자극으로 전시를 관람하기 어려울 때 이용할 수 있다.<BR/> ‘마음보듬소’ 이용 실태 분석 결과, 이용자 대부분이 공간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전시 관람에 도움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린이가 ‘마음보듬소’에서 심리적 안정을 되찾고 전시 관람 또는 다음 일정을 이어갔다는 참가자의 경험 공유는 공간을 기획한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확인하게 해주었다. 효율적 사용을 위한 설명서 제공, 심리적 접근성 확대를 위한 입구 디자인 보완, 감각자극을 위한 교구재 추가 비치, 홍보 확대 등 이용자의 수요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마음보듬소’ 발전 방안으로 그림상징 및 사용설명서 개발, 다양한 촉각 교구 제공, 적극적인 홍보 전략 실행을 제시하였다.<BR/> 국립박물관에서 장애·비장애아동을 모두 포용하는 심리안정 공간을 만든 첫 사례로서 ‘마음보듬소’가 가지는 의의가 크다. 그러나 ‘마음보듬소’ 조성은 접근성을 높이는 조건을 갖춘 것에 불과하다. 이용자의 의견에 더 귀 기울이고, 일관적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학문적인 체계 속에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Children’s Museum provides stimuli for children’s various senses including sight, hearing, and touch in order to induce curiosity and learning motivation,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physical motor skills and creativity. Some children, however, may perceive these activities as sensory overstimulation due to disabilities or personality traits. In particular, man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y integrating external sensory inputs such as light, sound, and texture.<BR/> As of 2023, there are 38,752 children aged 0 to 12 with registere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accounting for 70.61% of all register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same age group and 0.82% of all registered children in the country.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programs run by the Children’s Museum Divis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BR/> As such,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reated the ‘Quiet Room’ to increase accessibilit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pace allows children to find peace of mind by controlling light and sound, and is available for use in cases of stress or sensory overstimulation that hinders their exhibition viewing experience.<BR/> The analysis of the usage of the Quiet Room revealed that most of the users agreed with the need for the space and found it helpful in viewing the exhibition. Participants’ feedback, that children regained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Quiet Room and continued with the exhibition or their subsequent activities confirmed the fulfillment of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pace. The analysis also identified specific user demands including the provision of user manuals, improvement of the entrance design to enhance psychological accessibility, provision of additional teaching materials, and expansion of publicity. Based on its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venue,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pictorial symbols and user manuals, provision of various tactile teaching aids, and implementation of active publicity strategies.<BR/> The Quiet Room is significant as the first instance in which a national museum created a mental health space to embrace both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However, the creation of the Quiet Room represents the first step toward enhancing accessibility. Efforts to further develop the space in an academic framework must be sustained by listening more closely to users feedback and establishing consistent evaluation criteria.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활자(活字) 조사 : 연자활자(連字活字)를 중심으로

        이재정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5 동원학술논문집 Vol.7 No.-

        국립중앙박물관에는 조선후기에 주조한 활자가 다량 소장되어 있다. 이 활자 중 일부는 전시되고 실체가 밝혀지기도 했지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활자의 구체적인 상황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조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활자의 구체적인 성격 파악, 학술적 분류 및 정리를 위한 진행 방안을 모색하는 일환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먼저 이들 활자가 어떻게 국립중앙박물관에 수입되어졌는지 조사하고 아울러 소장 활자의 편년과 활판 제작방식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는 연자활자(連字活字)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중앙박물관 소장 활자는 막연히 규장각에서 사용하던 것이었다고 생각해왔으나 연자활자의 조사를 통해 볼 때 중앙박물관 소장 활자는 무신자(戊申字)가 제작된 시기인 현종(顯宗) 9년(1688)년부터 대한제국시대(大韓帝國時代) 정부에서 사용하던 활자까지 폭넓게 분포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후보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通信使 受贈 日本 金屛風 考察

        정미연 국립중앙박물관 2017 미술자료 Vol.- No.91

        After the Imjin War, also known as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1592–1598), the Tokugawa shogunate presented to twelve missions of Tongsinsa (通信使, Joseon diplomatic delegation to Japan) gold-leafed folding screens, which were appended to the diplomatic letter. Japanese academia refers to these screens as "folding screens presented to the Joseon court as a gift" (贈朝鮮王室屛風) or zōchō byōbu (贈朝屛風) for short. The Joseon court received 20 pairs of folding screens upon each mission from the fourth through the eleventh, eventually totaling more than 200 works. However, only three work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have been identified as this particular type of folding screen–a pair of Folding Screen with Image of Wild Geese and Lotus (芙蓉雁圖屛風) and one Folding Screen of with Image of Peonies (牡丹圖屛風). This paper determines that the Japanese folding screen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llection– Tadanobu (忠信) and Warriormonks at Yoshino (吉野) and Kasuga Festival (春日祭) (Duk 2152), and Chinzei Hachirō (鎮西八郎) (Duk 2119)–are in fact among those presented to Joseon court by the Tokugawa shogunate. Tadanobu and Warriormonks at Yoshino and Kasuga Festival folding screens and the Chinzei Hachirō folding screen became part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llection early on in 1909 through the means of transfer and acquisition, respectively. Tadanobu and Kasuga were transferred from the Supplies Department (用度課), which was an organ likely affiliated with the Imperial Museum of the Korean Empire, the first modern museum in Korea. Tadanobu and Warriormonks at Yoshino and Kasuga Festival folding screens were gifted to Gapsin sahaeng, meaning the eleventh diplomatic mission dispatched in 1764. Tadanobu and Warriormonks at Yoshino folding screen painted by Kanō Tanrin (狩野探林, 1732–1777) depicts an episode from the life of the loyal subject Satō Tadanobu (佐藤忠信) as he risked his life to save his lord, Minamoto no Yoshitsune (源義經, 1159–1189), from a group of monk-soldiers at Yoshino (吉野). As emphasized in this screen, the theme of loyalty corresponded to a remark made by Arai Hakuseki (新井白石, 1657–1725) to the eighth diplomatic mission in 1711: "painting is the sole means to disprove that Japanese merely pursue a policy of militarism." In other words, the Tokugawa shogunate sought to convey particular intentions to Joseon by carefully choosing the motifs of the folding screens. Painted by Kanō Dōju (狩野洞壽, ?–1777), the Kasuga Festival folding screen portrays a parade (お渡り式, owatari shiki) during the festival of the Kasuga Ōmiya and Wakamiya Shrine (春日大宮若宮御祭禮, Kasuga Ōmiya Wakamiya gosairei) held at Kasuga Shrine and Kōfukuji (興福寺), a historic temple in Nara (奈良). During the owatari shiki parade, the arts of dengaku (田樂, ritual music and dancing performance) and isaseuma (將馬, pulling a horse offered by feudal noble family), both of which are dedicated to gods, are performed. Moreover, keiba (競馬, horse racing) and nodachi (野太刀, carrying a large sword) events intended to show off the bravery of warriors were included in the parade. Although the Joseon populace did not know about such traditional Japanese arts, the Tokugawa shogunate seems to have been attempting to boast of their deep-rooted ritual traditions and advanced level of culture through the Kasuga Festival folding screen. Tadanobu and Warriormonks at Yoshino and Kasuga Festival folding screens presented to the eleventh diplomatic mission in 1764 and the Folding Screen of with Image of Peonies owned by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ll bear a signature mark that contains the Chinese character "圖 (drawing)" and the pen name of the artist, as well as the artist’s name seal. Such features only appear in the folding screens given to the eleventh diplomatic mission in 1764, and these three screens carry signatures written in this manner reserved for the Tokugawa shogunate. Thu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Tokugawa shogunate meticulously oversaw how to write the artist’s signature, how to place the backing paper, and even how to mount these paintings. Kanō Ryūsetsu (狩野柳雪, 1647–1712) painted the Chinzei Hachirō folding screen that the Tokugawa shogunate gifted to the Joseon court during Sinmyo gihaeng, the eighth diplomatic mission in 1711. This screen portrays an old fable in which Minamoto no Tametomo (源為朝, 1139–1170?), an uncle of Kamakura shogunate founder Minamoto no Yoritomo (源頼朝, 1147–1199), subjugated the Kyushu area to which he had been exiled and earned the nickname "Chinzei Hachirō (鎮西八郎, The Firstborn of the God of War in Kyushu)." The Chinzei Hachirō screen includes an explanatory note recounting the theme of the painting. Arai Hakuseki ordered the addition of this note in order to allow Joseon people to understand the story. Such an addition was made exclusively in the case of the eighth mission in 1711. The original explanatory note for the Chinzei Hachirō screen is now lost, and only a slight vestige of the note remains. Nonetheless, the Chinzei Hachirō screen is significant as the sole extant example demonstrating an attempt by the Tokugawa shogunate to assist Joseon viewers in understanding its motif. Japanese folding screens presented to the Joseon court provided a medium for transmitting the cultural and political policies of the Tokugawa shogunate to Joseon. By carefully choosing the motifs for the screens, the Tokugawa shogunate intended to demonstrate that, like Joseon, Japan could fully appreciate Confucian values and enjoyed a long history and sophisticated indigenous culture. The rediscovery of Tadanobu and Warriormonks at Yoshino, Kasuga Festival, and Chinzei Hachirō folding screens as gifts to the Joseon court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the Joseon Tongsinsa, which has previously been focused on its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임진왜란 이후 총 열두 차례에 걸쳐 파견된 朝鮮의 通信使는 에도 막부[江戶幕府, 1603~1868]로부터 國書에 대한 別幅 중 하나로 金屛風을 증정 받았다. 이 일군의 금병풍을 일본 학계에서는 ‘贈朝鮮王室屛風’, 줄여서 ‘贈朝屛風’이라 부른다. 통신사를 통해 조선국왕에게 증정된 금병풍은 그 전체 규모가 총 이백여 점에 달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확인된 작품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芙蓉雁圖屛風> 한 쌍과 <牡丹圖屛風> 한 점 등 총 세 점뿐이다. 본고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본병풍인 덕수2152 두 점과 덕수2119 한 점이 에도 막부가 증정한 금병풍이라는 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忠信吉野軍圖屛風>(덕수 2152-2)과 <春日祭圖屛風>(덕수 2152-1)은 제11차 갑신사행(1764) 때 조선왕실에 증정된 병풍이다. 가노 단린[狩野探林](1732~1777)이 그린 <忠信吉野軍圖屛風>은 주군 요시쓰네를 요시노의 승병 무리들로부터 구하기 위해 죽음도 불사한 충신 사토 다다노부의 일화를 그렸다. ‘忠’이라는 유교적 가치관을 강조하는 이 병풍의 화제는 제8차 신묘사행(1711) 당시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1657~1725)가 “일본인들이 武만 숭상하는 무리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줄 수단은 회화밖에 없다.”라고 언급한 것에 부합한다. 가노 도주[狩野洞壽](?~1777)가 그린 <春日祭圖屛風>은 나라[奈良]의 유서 깊은 사찰인 고후쿠지[興福寺]와 가스가 신사[春日大社]에서 거행하는 ‘가스가 오미야 와카미야 제례[春日大宮若宮御祭禮]’의 ‘오와타리시키[お渡り式]’ 행사를 묘사했다. 이 행렬은 신에게 바치는 예능인 덴가쿠[田樂]와 이사세우마[將馬], 무사들의 용맹함을 과시하는 야부사메[流鏑馬], 게이바[競馬]와 노다치[野太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1차 갑신사행 때 조선왕실에 증정된 <忠信吉野軍圖屛風>과 <春日祭圖屛風>, 그리고 가노 바이쇼[狩野梅笑](?~1808)필 <牡丹圖屛風>(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은 화가의 號와 ‘圖’를 결합한 서명, 그리고 화가의 이름을 새긴 인장이 병풍 오른쪽 하단에 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이는 갑신사행 때 증정된 금병풍을 규정하는 중요한 특징이다. <鎮西八郎圖屛風>(덕수2119)은 제8차 신묘사행(1711) 당시 증정된 병풍으로 가노 류세쓰[狩野柳雪](1647~1712)가 그렸다. 이 병풍은 가마쿠라 막부를 개창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頼朝](1147~1199)의 숙부인 미나모토노 다메토모[源為朝](1139~1170?)가 자신의 유배지였던 규슈를 평정하고 ‘진제이 하치로[鎮西八郎]’라는 별명을 얻은 고사를 그리고 있다. <鎮西八郎圖屛風>에는 화제의 내용을 해설한 설명문이 부착되었는데, 이는 일본의 고사를 모르는 조선인들을 위해 아라이 하쿠세키가 고안한 방법으로, 신묘사행 때만 취해진 특별한 조치였다. 비록 지금은 설명문의 흔적만이 남아있지만, <鎮西八郎圖屛風>은 일본의 고사에 익숙하지 않은 조선인의 이해를 돕고자 막부 차원에서 노력하였음을 보여주는 현존 유일의 작례이다. <忠信吉野軍圖屛風>과 <春日祭圖屛風>, 그리고 <鎮西八郎圖屛風>은 1909년이라는 이른 시기에 각각 ‘引繼’와 ‘購入’이라는 형태로 박물관 소장품이 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관리카드에는 <忠信吉野軍圖屛風>과 <春日祭圖屛風>이 1909년 ‘用度課’에서 인계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용도 과’는 근대적인 직제에 보이는 용어이다. 이 기록은 1909년 11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박물관인 대한제국 帝室博物館의 개관과 함께 근대적인 성격을 지닌 어떤 기관의 ‘용도과’부터 두 병풍이 ‘인계’ 되었음을 의미할 가능성이 있다. <忠信吉野軍圖屛風>의 화제에 담긴 ‘충’이라는 유교적 가치, <春日祭圖屛風>의 화제가 내포하는 일본 특유의 전통적인 사회의 모습, 그리고 미나모토노 다메토모라는 가마쿠라 막부 관련 인물의 일화를 통해 武士政權이라는 에도 막부의 태생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鎮西八郎圖屛風>은 막부가 조선에 증정한 금병풍에 위탁한 정치, 외교, 문화적 메시지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한국과 일본은 정치, 문화적으로 상호 막대한 영향을 주고받은 인접국임에도 불구하고 한국회화사는 물론 일본회화사 연구에서도 지금까지 양국의 정치적, 문화적 상황을 균형 있게 고려한 미술사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忠信吉野軍圖屛風>(덕수 2152-2)과 <春日祭圖屛風>(덕수 2152-1), 그리고 <鎮西八郎圖屛風>(덕수 2119)은 조선의 시각에서만 바라보았던 기존의 통신사와 한일회화교류사 연구에 일본 측의 정치적, 문화적 상황과 의도까지 시야에 넣은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