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유와 모방: ‘이야기꾼(storyteller)’과 활자본 신작고소설의 창작

        장유정 근대서지학회 2023 근대서지 Vol.- No.28

        이 논문은 활자본 신작고소설(이하 신작고소설)의 창작 방식에 대한 연구이다. 근대소설과 달리 ‘이야기책’으로 신작고소설이 당시 근대문학 장에 어떻게 자기만의 영토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분석한다. 1910~1930년대 창작 신작고소설은 총 93작품으로 확인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연도순으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근대소설은 통일된 시점, 원근법적 묘사, 개인의 확립을 서술해야 하기에 소설에서 이야기만을 중심에 두지 않는다. 반면 이야기책 신작고소설은 통속소설이라 평가받으며 이야기 자체에서 오는 흥미를 추구한다. 이 논문은 이야기책으로의 신작고소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발터 벤야민의 〈이야기꾼〉 논지를 활용하여 ‘먼 곳 먼 시간’, ‘일체화된 세계’, ‘실질적 조언’이라는 세가지 특성으로 신작고소설을 분석한다. 근대문학사에 이야기와 근대소설은 동시에 공존했으나 근대소설의 특성만이 강조되었다. 이제는 근대소설의 기준으로 모든 서사문학을 줄 세우려 했던 그간의 문제를 다시 생각할 때이다. This study is on the creative method of Printed Ancient Fiction. It analyzes how Printed Ancient Fiction, as ‘storybooks’, had their own territory in modern literature at the time. A total of 93 Printed Ancient Fiction were identified from the 1910s to the 1930s. In this paper, it is presented in chronological order. Novels do not focus only on stories because they must describe a unified point of view, personal establishment. On the other hand, as a storybook, Printed Ancient Fiction is considered a popular work and pursues the interest that comes from the story itself.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nted Ancient Fiction as a storybook, this paper uses the argument of Walter Benjamin’s 〈The Storyteller〉 to analyze the Printed Ancient Fiction with three characteristics: ‘distant places as well as distant times’, ‘unified world’, and ‘morality’.

      • KCI등재후보

        [一般論文] 가정잡지 『신계』(1921)와 강경 지역의 여성 담론

        허윤(Yoon Heo) 근대서지학회 2024 근대서지 Vol.29 No.29

        가정잡지 『신계』(1921)는 일제강점기 근대 상업도시였던 강경에서 만들어진 여성잡지로, 경성 중심의 여성담론이 아니라 지역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매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신계』를 출판한 남선문예사는 지역의 기독교계 사립학교인 만동학교의 교장을 비롯한 교사들이 발간 주체로, 나라의 발전을 위해 여성의 근대화와 교육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신계』는 진화론적 발전주의에 입각하여 여성이 발전하여야 좋은 어머니가 되고, 좋은 가정, 좋은 나라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여성은 어머니와 아내가 아닌 주체로는 상상되지 않는다. 『신계』의 기사나 소설에서 집 바깥의 여성은 기생만 등장한다. 1921년은 이미 신여성들이 학교 교사나 기자, 작가 등으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신계』 속 여성들은 기생이 되어 사치와 향락에 빠져 있거나 기생이 된 자신을 한탄하는 눈물을 흘릴 뿐이다. 이는 『신계』가 말하는 여성 교육과 여성의 근대화가 철저하게 가정 안에서만 상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약 20년의 시차가 있음에도 1900년대 초반의 도구적 여성교육 담론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신계』에는 근대성과 관련된 기표가 거의 지면에 등장하지 않는다. 이는 『신계』가 여성들에게 요구하는 가치가 전통적인 부덕이라는 점을 뒷받침한다. 현모양처가 되는 한에서만, 여성의 근대화는 가능하다. The family magazine Shingye(1921) was created in the Ganggyeong area, a modern commercial c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not a women’s discourse centered on Gyeongseong, but a women’s magazine where local voices can be heard. Namsunmunhwasa, which published Shingye, was the local publisher by teachers including the principal of Mandong School, a local Christian private school. It had an agenda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modernization and education of wome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Shingye argues that women must develop themselves based on the theory of modernization for good mothers, good families, and good countries. From this point of view, women are not imagined as subjects, but as mothers and wives. In the articles or novels in Shingye, there are only Gisaeng outside the family. Although new women began to appear as school teachers, reporters, and writers in 1921, the women of Shingye became Gisaeng, falling into luxury and pleasure, or shedding tears of lamenting themselves as Gisaeng. This shows that the education and the modernization of women in Shingye are thoroughly imagined only in the family and home as in the early modern period. Although there is a time difference of about 20 years, Shingye has not escaped from the instrumental discourse on women’s education. In Shingye, modernity appears rarely on the pages. This supports the fact that the values demanded by Shingye for women are traditional women’s virtues. Only as long as it is a wise mother and wife, the modernization of women is possib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 아동문학과 『아이생활』

        류덕제(Ryu Duck-jee) 근대서지학회 2021 근대서지 Vol.- No.24

        『아이생활』은 일제강점기를 관통하다시피 오랜 기간 발행된 아동문학 잡지이다. 1926년 3월에 창간호를 내어 1944년 1월호를 마지막으로 17년 11개월간 지속적으로 발간하였다. 처음 제호가 『아희생활』이었으나 1930년 11월호부터 『아이생활』로 바꾸었다. 1925년 10월말경 정인과, 한석원, 장홍범 등 조선인 목사들이 창간 발기회를 열어 발행을 주도하였다. 허대전, 곽안련 등 선교사들도 도왔다. 창간 비용은 사우들로부터 주금을 모금해 해결하였다. 그러나 재정적인 문제가 어렵자 1927년 10월경 ‘조선주일학교연합회’에 『아이생활』의 발행을 인계하기로 하였다. 1929년 10월경에는 ‘조선야소교서회’의 도움까지 받기로 하였다. 그러나 1936년 10월경에 ‘조선주일학교연합회’와 ‘조선야소교서회’가 후원을 중단하자, 다시 창립이사들로부터 주금을 모금하고, 장로회종교교육부로부터 출채하여 난국을 타개해 나갔다. 1941년경부터는 ‘아이생활후원회’가 결성되어 재정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아이생활』은 고장환, 전영택, 송관범, 이은상, 윤석중, 박용철, 이헌구, 윤복진, 김영일 등이 고선자로 새로운 작가 발굴에 기여하였다. 김태영과 김태오의 동요작법과 주요한과 남석종 등의 비평은 독자들의 창작 능력을 키워주었다. 『아이생활』의 필자들로는 목사와 신자 등 기독교계 인사들이었다. 『아이생활』이 문서선교라는 종교적 목적으로 간행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였다. 문인들 중에는 ‘해외문학파’와 ‘극예술연구회’ 쪽 인사들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념적 방향성과 더불어 당시 ‘극예술연구회’ 활동을 하였던 최봉칙이 가교 역할을 한 것으로 짐작된다. 독자투고란에는 ‘북선<SUP>北鮮</SUP>’ 지방 소년문사들의 투고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당시 ‘북선’지역에 선교기지가 많았고, 교육선교의 일환으로 설립한 학교 졸업생이 다수 참여했기 때문이다. 『아이생활』은 시종일관 정인과 목사가 주관하였다. 그의 기독교민족주의는 『아이생활』지면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민족주의적인 내용이 많았는데도 검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것은 국제적인 연대망을 가진 기독교와 선교사들이 뒷배가 되었다. 그러나 민족모순과 계급모순이 중첩된 식민지 현실을 의도적으로 외면한 것은 『아이생활』의 한계라 하겠다.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검거된 정인과는 재판 도중 변절하여 친일을 길을 걷게 되었다. 지면에는 점차 군국주의 파시즘의 모습이 노골적으로 드러나게 되었고, 일본어가 확대되었다. 동시대에 발간된『소년』이나 다른 일반문학 잡지도 이와 다를 바 없어 『아이생활』만이 유독 혹은 더 친일의 길을 걸었다고 할 수는 없다. 하나 민족문학의 관점에서 보자면, 1938년 ‘본지 폐간사’를 남기고 발행을 중단한 『가톨릭소년』과 같이 과감하게 붓을 꺾었더라면 치욕은 면했을 거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가시적인 교회의 보존 방편으로 친일의 길을 걸었다는 견해도 있으나, 태평양전쟁 이후『아이생활』 지면엔 그들이 원했던 하나님마저 사라지고 군국주의 찬가와 국책 홍보 구호가 지면을 뒤덮었다. Aisaenghwal(Child’s Life) is a long-term children’s literature magazine publishe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first published in March 1926 and continued for 17 years and 11 months until the January 1944 issue. The title was initially “Ahuisaenghwal(아희생활)” but changed to “Aisaenghwal(아이생활)”, reflecting the change in contemporary language, from the November 1930 issue. Around the end of Oct. 1925, the launching of the magazine was led by Korean pastors such as Jeong In-gwa, Han Seok-won, and Jang Hong-beom who held a meeting of promoters. Missionaries such as James Gordon Hold-croft(허대전) and Charles Allen Clark(곽안련) also helped. The founding cost was raised by collecting shares from the colleagues. When financial problems became difficult, the issuance of Aisaenghwal(Child’s Life) was handed over to the ‘Korea Sunday School Association(조선주일학교연합회)’ around Oct. 1927.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조선야소교서회)’ also helped Aisaenghwal(Child’s Life) around Oct. 1927. However, KSSA and CLSK stopped sponsoring around Oct. 1936, and the founding directors raised shares again and borrowed money from the ’Religious Education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조선장로회총회종교교육부)’ to overcome the crisis. From around 1941, the ‘Child Life Sponsorship Association(아이생활후원회)’ was formed to resolve financial problems. In Aisaenghwal(Child’s Life), Go Jang-hwan, Jeon Young-taek, Song Gwanbeom, Lee Eun-sang, Yoon Seok-joong, Park Yong-cheol, Lee Heon-gu, Yun Bok-jin, and Kim Young-il were the reviewers who contributed to the discovery of new writers. Kim Tae-young and Kim Tae-o wrote on children’s songwriting, while Joo Yo-han and Nam Seok-jong wrote criticisms, which developed the readers’ creative skills. The authors of Aisaenghwal(Child’s Life) were Christian figures such as pastors and believers. It was a natural result as Aisaenghwal(Child’s Life) was published for religious purposes called literary mission work. Among the literary people, there were relatively many participants from ‘Foreign Literature Group(해외문학파)’ and the ‘Research Association of Drama Arts(극예술연구회)’. Along with the correspondence of their ideological direction, it is presumed that Choe Bong-chik, who was active in the ‘Research Association of Drama Arts’, played a bridge role. There were relatively many contributions by local juvenile writers from the Northern Korea region. This is because there were many missionary bases in the area at that time, who as part of the educational missions established missionary schools, which consequently produced many graduates that participated in Aisaenghwal(Child’s Life) as writers. The actual supervision of Aisaenghwal(Child’s Life) was conducted consistently by pastor Jeong In-gwa. His Christian nationalism was plainly reflected in the magazine. The magazine’s relative freedom from censorship despite its nationalistic contents was thanks to the Christian missionaries who had an international network of solidarity.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magazine had limitations of intentionally ignoring the colonial reality where national contradictions and class contradictions overlapped. Jeong In-gwa, who was arrested in 1937 for ‘Suyangdonguhoe(수양동우회)’, changed his mind during the trial and walked the path of pro-Japanese. Militarist fascism gradually emerged in the magazine, and the amount of Japanese language increased. Magazines like Sonyeon(『소년』) and other general literature magazines that were published during the same time were no different, so it cannot be said that only Aisaenghwal(Child’s Life) took a particularly more pro-Japanese route.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literature, it is regrettable that Aisaenghwal(Child’s Life) did not spare themselves from disgrace like Catholic Youth(『가톨릭소년』) who stopped publishing after their issuance of ‘Words of Discontinuance’ in 1938. Some say that they walked the pro-Japanese path as a means of preserving the church, but after the Pacifi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