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유와 모방: ‘이야기꾼(storyteller)’과 활자본 신작고소설의 창작

        장유정 근대서지학회 2023 근대서지 Vol.- No.28

        이 논문은 활자본 신작고소설(이하 신작고소설)의 창작 방식에 대한 연구이다. 근대소설과 달리 ‘이야기책’으로 신작고소설이 당시 근대문학 장에 어떻게 자기만의 영토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분석한다. 1910~1930년대 창작 신작고소설은 총 93작품으로 확인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연도순으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근대소설은 통일된 시점, 원근법적 묘사, 개인의 확립을 서술해야 하기에 소설에서 이야기만을 중심에 두지 않는다. 반면 이야기책 신작고소설은 통속소설이라 평가받으며 이야기 자체에서 오는 흥미를 추구한다. 이 논문은 이야기책으로의 신작고소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발터 벤야민의 〈이야기꾼〉 논지를 활용하여 ‘먼 곳 먼 시간’, ‘일체화된 세계’, ‘실질적 조언’이라는 세가지 특성으로 신작고소설을 분석한다. 근대문학사에 이야기와 근대소설은 동시에 공존했으나 근대소설의 특성만이 강조되었다. 이제는 근대소설의 기준으로 모든 서사문학을 줄 세우려 했던 그간의 문제를 다시 생각할 때이다. This study is on the creative method of Printed Ancient Fiction. It analyzes how Printed Ancient Fiction, as ‘storybooks’, had their own territory in modern literature at the time. A total of 93 Printed Ancient Fiction were identified from the 1910s to the 1930s. In this paper, it is presented in chronological order. Novels do not focus only on stories because they must describe a unified point of view, personal establishment. On the other hand, as a storybook, Printed Ancient Fiction is considered a popular work and pursues the interest that comes from the story itself.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nted Ancient Fiction as a storybook, this paper uses the argument of Walter Benjamin’s 〈The Storyteller〉 to analyze the Printed Ancient Fiction with three characteristics: ‘distant places as well as distant times’, ‘unified world’, and ‘moral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이청원이 남긴 검열ㆍ전향ㆍ숙청의 흔적

        홍종욱(Hong, Jong-wook) 근대서지학회 2021 근대서지 Vol.- No.23

        이청원은 식민지 조선과 초기 북한에서 활약한 사회주의 활동가이자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이다. 이 글에서는 이청원의 대표적인 저작을 소개하고 그 주변에서 확인되는 검열, 전향, 숙청의 흔적을 살펴보고자 한다. 1936년에 『조선사회사독본』은 부분 삭제 처분을 받았다. 일본 경찰 자료와 『조선사회 사독본』에 대한 실물 조사를 통해 식민지 시기 검열의 실태를 확인할 수 있다. 1937년에는 근대사 부분을 더해 『조선역사독본』을 간행했다. 1940년에 체포되어 재판에 부쳐진 이청원은 같은 해 전향서를 제출했다. 여기서는 일본 관헌 보고서에 담긴 이청원의 전향서에 대한 분석을 소개한다. 북한 정권에 참여한 이청원은 1947년 조선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같은 해 펴낸 『조선근대사연구』는 러, 중, 일 등 5개 국어로 번역되어 초기 북한 역사학을 대표하는 성과로 평가되었다. 1955년 펴낸 『조선에 있어서 프로레타리아트의 헤게모니를 위한 투쟁』에 드러난 민족 부르주아지 인식이 숙청의 빌미가 된다. 1958년에 과학원 역사연구소가 낸 『삼국 시기의 사회 경제 구성에 관한 토론집』은 이청원의 이름을 종이를 덧대어 가린 채 보급되었다. Lee Cheong-won was a socialist activist and Marxist historian who was active in colonial Korea and early North Korea.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introduce Lee Cheong-won’s representative works and examine the traces of censorship, conversion, and purge found around him. In 1936, the Reading Book of the Korean Social History was partially deleted. The actual inspection of the Reading Book of the Korean Social History and the Japanese police data, could confirm the current state of censorship during the colonial period. Lee Cheong-won, who was arrested in 1940 and put on trial, submitted a conversion form the same year. Here, I introduce an analysis of Lee’s conversion document contained in the Japanese government report. Lee Cheong-won, who participated in the North Korean regime, chaired the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in 1947. The Modern History of Korea, published in the same year, was translated into five languages including Russia, China, and Japan, and was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achievement of early North Korean historiography. The perception of the national bourgeoisie revealed in the 1955 Struggle for the Proletarian Hegemony in Korea served as an excuse for the purge. In 1958, the Discussion Collection on the Social Economic Formation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published by the Institute of History, covering the name of Lee Cheong-won with paper.

      • KCI등재후보

        신발굴 자료를 통해 본 『인민창작(구전문학)』 (1960-1962)의 내용과 전개 양상

        김광식(Kwang-sik Kim) 근대서지학회 2022 근대서지 Vol.- No.25

        본 논문에서는 북한을 대표하는 아카데미즘 연구 조사 기관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가 간행한 『인민창작』(1960-1962)의 전체상을해명하였다. 국내에 소개된 『인민창작』(1960-1961) 전6권과 함께, 필자가 새롭게발굴한 1962년판 3권을 추가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인민창작』 전9권의 내용을처음으로 밝혔다. 과학원은 구전문학(구비문학) 자료를 크게 봉건 시대의 ‘전통적구전문학’과 근대 이후의 ‘현대 인민창작’으로 구분하였다. 전자는 우리에게 친숙한 구비문학인데 비해, 후자는 매우 낯설다. 그러나 구전문학연구가 근대 이후에본격적으로 출발한 새로운 근대 학문임을 고려할 때, 근현대 인민창작의 전개양상을 살피는 작업은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북한에서의 실천 내용을 구체적으로검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문에서는 ‘현대 인민창작’ 중 ‘혁명적 설화’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과학원은「인민 창작 수집 요강」에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 과정에서의 전투 실화 및김일성 원수를 비롯한 혁명가들의 고귀한 인민적 품성을 주제로 한 이야기들”을 전면에 제시함으로써, 김일성을 비롯한 혁명가들의 이야기를 수집하려는 명확한의도를 가지고 자료를 공모, 선별, 편집, 간행하였음을 명확히 하였다. 본고에서 명확히 한 바와 같이, 과학원의 의도와 달리 김일성을 비롯한 혁명가들의이야기는 적게 보고되었고, 과학원은 거듭해서 관련 자료의 보고를 요청하였다. 또한 이를 주도한 한룡옥에 대해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는 고정옥을 중심으로분석되었지만, 한룡옥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그 역할을 명확히하였다. 한룡옥과 고정옥은 ‘현대 인민창작’ 특히 ‘혁명적 설화’의 채록과 연구의중요성을 거듭해서 강조했지만, 실제로 그들이 발간한 단행본은 모두 전통적 설화연구서에 한정되었다. 1960년대까지 북한의 구비문학 연구자는 ‘혁명적 설화’의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전통적 설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북한에서 김일성 유일사상이 강화되고 좌경적으로 교조화 되어, 1967년 5.25교시의 후속조치로 1968년 3월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도서정리사업’이 단행되었고, 전통적 설화도 ‘낡은 사상’으로 낙인 찍혀 배제되었다. 1970년대 구전문학의공백기를 거쳐서 1980년대 이후 구전문학연구는 전통편과 항일전설(혁명설화)편으로 양분되었다. 이러한 변화 이전에 『인민창작』이 자리하고 있음을 명확히하였다. In this paper, the entire image of People’s Creation (1960-1962) published by the Institute of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Korean Academy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 academy research institute representing North Korea, was explained. Along with all six volumes of People’s Creation (1960-1961), which were introduced in Korea, the contents of all nine volumes of People’s Creation were revealed for the first time by additionally reviewing the three newly discovered 1962 editions. The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largely divided the data of old specialties (old literature) into ‘traditional old specialties’ in the feudal era and ‘modern people’s creation’ in the modern era. The former is familiar to us, whereas the latter is very unfamiliar. However, considering that old professional studies are a new modern study that started in earnest after modern times,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modern and contemporary people’s creation,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ractice in North Korea in detail. Accordingly, the text focuses on ‘revolutionary narrative’ among ‘modern people’s creation’. The institute made it clear that the materials were publicized, selected, edited, and published with a clear intention to collect the stories of Kim Il-sung and other revolutionaries by presenting “the true story of the battle during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the 1930s.” As clarified in this paper,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institute, the stories of revolutionaries, including Kim Il-sung, were reported less, and the institute repeatedly requested reports of related data. We also looked at Hanryongok, who led this. In previous studies, it was analyzed centering on Gojeongok, but the necessity of reviewing Hanryongok was suggested and its role was clarified. Han Ryong-ok and Ko Jung-ok repeated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collection and research of “modern people’s creation,” especially “revolutionary tales,” but in fact, all of their books were limited to traditional folk tales. Until the 1960s, researchers in North Korea’s Gubi literature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revolutionary narrative’ but developed discussions focusing on traditional narratives. In North Korea, Kim Il-sung’s unique ideology was strengthened and cultivated left-leaning, and as a follow-up to the May 25 period in 1967, the “Book Organization Project” was carried out from March 1968 to the mid-1970s, and the traditional narrative was also branded as an “old idea.” After the hiatus of old professional studies in the 1970s, research on old professional studies has been divided into traditional and anti-Japanese legends (revolutionary tales) since the 1980s. It was clarified that “People’s Creation” was located before these changes.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 아동문학과 『아이생활』

        류덕제(Ryu Duck-jee) 근대서지학회 2021 근대서지 Vol.- No.24

        『아이생활』은 일제강점기를 관통하다시피 오랜 기간 발행된 아동문학 잡지이다. 1926년 3월에 창간호를 내어 1944년 1월호를 마지막으로 17년 11개월간 지속적으로 발간하였다. 처음 제호가 『아희생활』이었으나 1930년 11월호부터 『아이생활』로 바꾸었다. 1925년 10월말경 정인과, 한석원, 장홍범 등 조선인 목사들이 창간 발기회를 열어 발행을 주도하였다. 허대전, 곽안련 등 선교사들도 도왔다. 창간 비용은 사우들로부터 주금을 모금해 해결하였다. 그러나 재정적인 문제가 어렵자 1927년 10월경 ‘조선주일학교연합회’에 『아이생활』의 발행을 인계하기로 하였다. 1929년 10월경에는 ‘조선야소교서회’의 도움까지 받기로 하였다. 그러나 1936년 10월경에 ‘조선주일학교연합회’와 ‘조선야소교서회’가 후원을 중단하자, 다시 창립이사들로부터 주금을 모금하고, 장로회종교교육부로부터 출채하여 난국을 타개해 나갔다. 1941년경부터는 ‘아이생활후원회’가 결성되어 재정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아이생활』은 고장환, 전영택, 송관범, 이은상, 윤석중, 박용철, 이헌구, 윤복진, 김영일 등이 고선자로 새로운 작가 발굴에 기여하였다. 김태영과 김태오의 동요작법과 주요한과 남석종 등의 비평은 독자들의 창작 능력을 키워주었다. 『아이생활』의 필자들로는 목사와 신자 등 기독교계 인사들이었다. 『아이생활』이 문서선교라는 종교적 목적으로 간행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였다. 문인들 중에는 ‘해외문학파’와 ‘극예술연구회’ 쪽 인사들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념적 방향성과 더불어 당시 ‘극예술연구회’ 활동을 하였던 최봉칙이 가교 역할을 한 것으로 짐작된다. 독자투고란에는 ‘북선<SUP>北鮮</SUP>’ 지방 소년문사들의 투고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당시 ‘북선’지역에 선교기지가 많았고, 교육선교의 일환으로 설립한 학교 졸업생이 다수 참여했기 때문이다. 『아이생활』은 시종일관 정인과 목사가 주관하였다. 그의 기독교민족주의는 『아이생활』지면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민족주의적인 내용이 많았는데도 검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것은 국제적인 연대망을 가진 기독교와 선교사들이 뒷배가 되었다. 그러나 민족모순과 계급모순이 중첩된 식민지 현실을 의도적으로 외면한 것은 『아이생활』의 한계라 하겠다.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검거된 정인과는 재판 도중 변절하여 친일을 길을 걷게 되었다. 지면에는 점차 군국주의 파시즘의 모습이 노골적으로 드러나게 되었고, 일본어가 확대되었다. 동시대에 발간된『소년』이나 다른 일반문학 잡지도 이와 다를 바 없어 『아이생활』만이 유독 혹은 더 친일의 길을 걸었다고 할 수는 없다. 하나 민족문학의 관점에서 보자면, 1938년 ‘본지 폐간사’를 남기고 발행을 중단한 『가톨릭소년』과 같이 과감하게 붓을 꺾었더라면 치욕은 면했을 거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가시적인 교회의 보존 방편으로 친일의 길을 걸었다는 견해도 있으나, 태평양전쟁 이후『아이생활』 지면엔 그들이 원했던 하나님마저 사라지고 군국주의 찬가와 국책 홍보 구호가 지면을 뒤덮었다. Aisaenghwal(Child’s Life) is a long-term children’s literature magazine publishe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first published in March 1926 and continued for 17 years and 11 months until the January 1944 issue. The title was initially “Ahuisaenghwal(아희생활)” but changed to “Aisaenghwal(아이생활)”, reflecting the change in contemporary language, from the November 1930 issue. Around the end of Oct. 1925, the launching of the magazine was led by Korean pastors such as Jeong In-gwa, Han Seok-won, and Jang Hong-beom who held a meeting of promoters. Missionaries such as James Gordon Hold-croft(허대전) and Charles Allen Clark(곽안련) also helped. The founding cost was raised by collecting shares from the colleagues. When financial problems became difficult, the issuance of Aisaenghwal(Child’s Life) was handed over to the ‘Korea Sunday School Association(조선주일학교연합회)’ around Oct. 1927.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조선야소교서회)’ also helped Aisaenghwal(Child’s Life) around Oct. 1927. However, KSSA and CLSK stopped sponsoring around Oct. 1936, and the founding directors raised shares again and borrowed money from the ’Religious Education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조선장로회총회종교교육부)’ to overcome the crisis. From around 1941, the ‘Child Life Sponsorship Association(아이생활후원회)’ was formed to resolve financial problems. In Aisaenghwal(Child’s Life), Go Jang-hwan, Jeon Young-taek, Song Gwanbeom, Lee Eun-sang, Yoon Seok-joong, Park Yong-cheol, Lee Heon-gu, Yun Bok-jin, and Kim Young-il were the reviewers who contributed to the discovery of new writers. Kim Tae-young and Kim Tae-o wrote on children’s songwriting, while Joo Yo-han and Nam Seok-jong wrote criticisms, which developed the readers’ creative skills. The authors of Aisaenghwal(Child’s Life) were Christian figures such as pastors and believers. It was a natural result as Aisaenghwal(Child’s Life) was published for religious purposes called literary mission work. Among the literary people, there were relatively many participants from ‘Foreign Literature Group(해외문학파)’ and the ‘Research Association of Drama Arts(극예술연구회)’. Along with the correspondence of their ideological direction, it is presumed that Choe Bong-chik, who was active in the ‘Research Association of Drama Arts’, played a bridge role. There were relatively many contributions by local juvenile writers from the Northern Korea region. This is because there were many missionary bases in the area at that time, who as part of the educational missions established missionary schools, which consequently produced many graduates that participated in Aisaenghwal(Child’s Life) as writers. The actual supervision of Aisaenghwal(Child’s Life) was conducted consistently by pastor Jeong In-gwa. His Christian nationalism was plainly reflected in the magazine. The magazine’s relative freedom from censorship despite its nationalistic contents was thanks to the Christian missionaries who had an international network of solidarity.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magazine had limitations of intentionally ignoring the colonial reality where national contradictions and class contradictions overlapped. Jeong In-gwa, who was arrested in 1937 for ‘Suyangdonguhoe(수양동우회)’, changed his mind during the trial and walked the path of pro-Japanese. Militarist fascism gradually emerged in the magazine, and the amount of Japanese language increased. Magazines like Sonyeon(『소년』) and other general literature magazines that were published during the same time were no different, so it cannot be said that only Aisaenghwal(Child’s Life) took a particularly more pro-Japanese route.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literature, it is regrettable that Aisaenghwal(Child’s Life) did not spare themselves from disgrace like Catholic Youth(『가톨릭소년』) who stopped publishing after their issuance of ‘Words of Discontinuance’ in 1938. Some say that they walked the pro-Japanese path as a means of preserving the church, but after the Pacif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