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pop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 및 한국문화 멀티리터러시 교육: 개념적 토대와 비판적 리터러시 교수학습 모델의 탐색

        김성우,김경채,김모란,김진규,정기인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3 현상과 인식 Vol.47 No.3

        영화와 음악 산업을 필두로 한류의 영향이 커지면서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한 ‘보는 음악’으로서의 K-pop 뮤직비디오는 K-pop의 핵심 미디어로 자리잡았다.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은 문자중심주의에서 탈피하여 K-pop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언어 중심 교육의 틀 안에서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기술-문화 텍스트로서의 뮤직비디오의 잠재력은 발휘되지 못 하고 있으며, 부가적인 도구로 인식되는 경향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비판적 멀티리터러시의 관점에서 담론과 문화, 기술과 산업, 예술과 테크놀로지가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K-pop 뮤직비디오의 교육적 잠재력을 탐색하고, 기존의 텍스트 중심 교수를 넘어서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방향을 모색한다. 먼저 멀티리터러시 이론의 문제의식을 분석함으로써, K-pop 뮤직비디오에 기반한 한국어 및 한국문화교육의 목표를 ‘K-pop 뮤직비디오를 향유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새로운 미디어를 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비판적 멀티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로 정의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개념적 작업으로 다중양식 미디어로서의 K-pop 뮤직비디오 분석 방법론 및 젠더와 문화적 혼종성을 중심으로 한 다층적 문화 텍스트로서의 K-pop 뮤직비디오 분석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러한 이론적 작업 위에 멀티리터러시 교수가 이루어지는 네 단계, 즉 (1) 상황적 실천, (2) 명시적 교수, (3) 비판적 프레이밍, (4) 변형된 실천을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에 유기적으로 통합함으로써,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K-pop 뮤직비디오를 교수학습의 핵심 미디어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K-pop 뮤직비디오 기반 멀티리터러시 교육이 폭과 깊이를 더하며, 전 세계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수자와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협력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led by the film and music industry, expands, global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 rising. K-pop music videos, centered on performances and often referred to as ‘the music of the eye,’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 key medium of K-pop.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s shifting away from traditional text-centered literacy pedagogy, utilizing a variety of media, including K-pop music videos. However, within the enduring effect of language-centered education, the potential of music videos as a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techno-cultural media text yet to be fully realized. Rather, they tend to be perceived more as supplementary material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adopts the perspective of critical multiliteracies, explor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K-pop music videos, where discourse, culture, technology, industry, art, and technology are intertwined in a complex and dynamic manner. Furthermore it seeks to offer theoretical and pedagogical directions to move beyond conventional text-centered literacy instruction. In alignment with the conceptual underpinnings of multiliteracies, the study defines the goal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K-pop music videos as ‘cultivating competencies in critical multiliteracies through the process of enjoying, critically analyzing, and creating new media from K-pop music videos.’ As a conceptual foundation for pedagogical praxis, the study proposes a set of methods for analyzing K-pop music videos as a multimodal text as well as a multi-layered cultural text, drawing on literature on gender and cultural hybridity. On top of these theoretical tasks, the study proposes using K-pop music videos as an integral media repertoire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various sociocultural contexts. This can be achieved by seamlessly integrating the four stages of multiliteracies teaching--(1) situated practice, (2) explicit instruction, (3) critical framing, and (4) transformed practice--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can play an instrumental role in enhancing the depth and breadth of K-pop music video-based multiliteracies education, as well as fostering collaboration amo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eachers and researchers worldwide.

      • KCI등재

        후발산업국 환경에서의 K-Pop기업 추격전략

        최현도(Hyundo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5

        후발산업국인 한국 K-Pop의 인기는 독특하다. 추격이론의 관점에서 K-Pop의 등장을 분석한다면 창조산업의 전략적 방향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점에 착안해 본 연구는 K-Pop기업의 내부역량, 시장공략방향 그리고 제품전략을 기존에 연구되었던 제조기업 추격전략과 비교 분석할 것이다. 연구를 통해 첫째, K-Pop기업이 음악생산에서의 인하우스(수직통합) 시스템 도입과 기업규모 확장을 통해 앨범제작이라는 비연속적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젝트 실행역량을 구축했음을 확인했다. 둘째, K-Pop기업들은 일찍부터 해외시장에 진출했고, 글로벌 시장에서 상품성을 검증받은 장르를 중심으로 기회의 창을 적절히 활용했다. 마지막으로, K-Pop기업은 앨범시장에서 점진적 혁신을 적극 활용했다. 이것은 한국 제조기업의 추격전략과도 유사점이 많기 때문에 앞으로 K-Pop기업들은 성장과정에서 한국 제조기업의 경험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rise of K-Pop in the latecomer environment is unusual. There is little research on K-Pop from the catch-up perspective though it would yield some insight into a strategic direction of creative industries in the latecomer environment. Thu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firm capability, market development, and product strategy of K-Pop firms with ones of manufacturing firms during the catch-up period. It reveals first that K-Pop firms developed project execution capability to carry out discrete projects effectively by adopting in-house (vertical) system in music production and increasing the size of firms. Second, they pursued global market and utilized the window of opportunities based on a proven music genre. Third, K-Pop firms pursued the incremental innovation in the product development. Since these characteristics have many similarities with the catch-up strategy in the manufacturing sector, Korean catch-up experience could provide valuable insight in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industries in Korea.

      • KCI등재후보

        일본 애니메이션과 K-POP의 확산과정 비교를 통한 K-POP의 성공요인과 위협요인 분석

        김필수(Pil-Soo Kim),김종호(Jong-Ho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7 No.4

        K-POP은 세계적인 관심을 받으면서 2000년 전후 중화권에서 시작되어 아시아권으로 확산되었으며 이후 2000년대 중반부터 북미, 유럽 지역에서도 K-PO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한류의 탈(脫)아시아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애니메이션을 비롯하여 일본 문화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확산된 1970년대와 1980년대는 일본이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며 세계 경제를 이끌던 시기이다. 한국 역시 수출이 증가하고, 경제 강국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1990년대 후반부터 한류가 확산되었다는 점에서 일본의 애니메이션 확산과 한류의 확산은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 애니메이션의 확산 사례와 K-POP의 확산 사례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K-POP의 성공요인과 위협요인을 분석한 후 K-POP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POP have been spreading quickly from china to asia around 2000 with worldwide interest on it. As the interest of K-POP in north america and europe escalates lately, likelihood and expectation for ‘beyond asia’ of K-POP is very high. Japan had led world economy with rapid economic growth form 1970’s and 1980’s when Japanese culture contents have proliferated worldwide. Global spread of K-POP and Japanese animation is similar in that K-POP diffusion started in late 1990’s when Korea drives export and is recognized as an economic power. Thus this study analyzed success and threat factors anddeduced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growth for K-POP by comparing global spreading process between Japanese animation and K-POP.

      • KCI등재

        K-pop 스타의 크로스오버 활동과 팬 충성도 사이의 상관관계 연구

        윤여광(Yeo-Kwang Yoon),조인희(In-Hee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6

        K-pop 스타들의 ‘장르파괴’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단순히 노래와 춤만으로 전 세계 수용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이 아니라 음악을 기반으로 연기와 CF까지 영역을 확장시키며 크로스오버(Cross over) 활동을 하고 있다. 가수와 배우, 그리고 CF모델의 경계를 넘나드는 탈(脫) 아이돌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음악과 연기, 음악과 CF를 넘나들며 다양한 활동을 펼치는 아이돌을 ‘연기돌’‘CF돌’등으로 부르고 있다. 그렇다면 K-pop스타들의 크로스오버 활동을 팬들은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아쉽게도 K-pop 스타의 크로스오버 활동에 대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고 아이돌 가수들의 ‘장르파괴’ 연예활동이 수용자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미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K-pop의 최대 수요층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K-pop 스타의 크로스오버 활동이 그들의 팬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한류 마케팅 등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변수들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K-pop 스타의 크로스오버활동은 연기, 음악, CF 등 3개로 설정하였으며, 수용자의 팬 충성도는 스타 충성도와 팬 커뮤니티 충성도로 구분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과 수도권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pop 스타 크로스오버 활동은 대학생 수용자의‘스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K-pop 스타에 대한 수용자들의 충성도는 음악 활동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연예활동(연기활동, CF활동 등)의 복합적인 결과물로 나타나는 것이다. 둘째, 커뮤니티에 대한 충성도에는 음악활동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기활동과 CF활동은 커뮤니티 충성도에 큰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커뮤니티 활동은 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행동으로 완성된다. 가장 적극적인 충성도의 표현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자들은 K-pop 스타가 장르파괴를 통해 다양한 연예활동을 하는 것은 좋지만 음악을 통해 아이돌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길 바라고 있었다. The "genre destruction" of K-pop stars is continuing to accelerate. Rather than captivating consumers around the world simply with singing and dancing, they are engaged in crossover activities expanding to the fields of acting and commercial films based on their music. They are de-idolizing by going beyond the boundaries of singing, acting as commercial models. These idols in various activities such music and acting or music and advertisements are called "actor-dols" and "CF-dols". So how do fans evaluate these crossover activities of K-pop stars? Unfortunately, there are few preceding studies on the crossover activities of K-pop stars and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the effects of "genre destroying" activities of idol singers on consumer loyalty.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act of crossover activities by K-pop stars on fan loyalty among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biggest consumer groups of K-pop to provide implications on Hallyu marketing, etc. The components of variables deduced from preceding studies are as follows. The crossover activities of K-pop stars were set in the three fields of acting, music and CF (commercial films, advertisements) and the fan loyalty of consumers were categorized as star loyalty and fan community loyalty. Furthermore, the hypothesis was set based on preceding studies, and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surveys were held for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rossover activities of K-pop stars affected the "star loyalty" of college consumers. In other words, the loyalty of consumers for K-pop stars were found to be a compound outcome of not only music activities, but various celebrity activities (acting, CF, etc.). Second, it was found that loyalty in communities was only affected by music activities, while acting and CF activities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community loyalty. Community activities are completed with the assertive participation and actions of fans.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most assertive method of expressing loyalty. Therefore, while it is good for K-pop stars to engage in various celebrity activities through genre destruction, they are also expected to strengthen their identity as idols through music.

      • KCI등재

        K-POP의 유튜브 활용 양상 연구

        사기이,장용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YouTube by K-POPXie Di & Yongjie Zhang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focus on the K-POP utilization method of YouTube, which has the most users and is actively being conducted in a new media environment. In this regard, the transition process of Hallyu, understanding of YouTube, and K-POP’s YouTube utilization plan were specifically studied. First, it was found that K-POP users’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content produ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pread of the K-POP ecosystem and the combination and convergence of various media cont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pread of K-POP can create a positive image for the entire Korean Wave and enhance the national brand due to its cultural ripple effect. Third, the spread of K-POP and the enhancement of the national brand will affect the growth, development, and innovation of domestic entertainment, suggesting that domestic companies can create many profits and values ​​in a wider global market. Since this study was centered on literatur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rehensiv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and meta-analysis on the utility of K-POP and YouTube and the spread of K-POP through the platform in future studie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n future research, research on the use of social media represented by YouTube will be more actively conducted. It is expected that cultural innovation of K-POP will be realized. Key Words: K-POP, YouTube, Social Media, Korean Wave, National Competitiveness K-POP의 유튜브 활용 양상 연구사 기 이*ㆍ장 용 재** 요약: 본 연구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유튜브의 K-POP 활용 방안에 관해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에 구체적으로 한류의 변천과정, 유튜브에 대한 이해, K-POP의 유튜브 활용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K-POP 이용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컨텐츠 생산에 대한 참여는 K-POP 생태계의 확산과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의 결합 및 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K-POP의 확산은 한류 전체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조성하고 문화적 파급력으로 인해 국가브랜드 제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POP의 확산과 이로 인한 국가브랜드 제고는 곧 국내 엔터테인먼트의 성장과 발전, 혁신에 영향을 미쳐 보다 넓은 세계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이 많은 이익과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하였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K-POP과 유튜브의 활용성 및 플랫폼을 통한 K-POP의 확산에 관한 종합적인 양적 질적 연구 및 메타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연구에서는 유튜브로 대표되는 소셜 미디어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 문화의 확산을 넘어 세계 속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하나의 국가경쟁력으로 발돋움 할 수 있는 K-POP의 문화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핵심어: K-POP, 유튜브, 소셜미디어, 한류, 국가경쟁력 □ 접수일: 2022년 5월 11일, 수정일: 2022년 6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주저자,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Sejong Univ., Email: 806995630@qq.com)** 교신저자, 경희대학교 겸임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yunghee Univ., Email: zyjinkr@khu.ac.kr)

      • KCI등재

        K-pop 음악의 글로벌 성공 요인 분석

        이승연,장민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4

        2012년 Psy의 강남스타일은 K-pop의 세계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2018년에서 2019년 사이BTS가 3년 연속 빌보드 1위를 달성하며 글로벌 흥행에 성공했다. 세계 음악 시장에서의 성공은 엄청난경제적 수익과 문화적 파급력을 가져오기 때문에K-pop의 글로벌 흥행은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세계 음악 시장에서 K-pop의 성공은 역사가 짧고 일부가수에 제한되어 있어 앞으로도 K-pop의 인기가 지속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본 연구는 K-pop의본질인 음악적 측면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여 K-pop 음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방향성을 찾고자 한다. 세계적으로 흥행한 K-pop 음악의 특징을 찾기 위해전 세계인들이 접속하는 공간이자 대중음악의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글로벌 인기를 반영하는 유튜브의 K-pop MV 조회 수 상위 20곡을 연구 대상으로선정했다. K-pop MV 조회 수 상위 20곡의 창작자를조사해 글로벌 흥행에 성공한 K-pop 음악이 어떻게제작되었는지 알아보았다. 조회 수 상위 20곡 모두다수 창작자의 공동 작업에 의해 만들어졌다. 유행의주기가 짧은 아이돌 음악 시장에서 신속하게 완성도높은 곡들을 만들기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함께 음악을 제작하는 체계적인 집단 창작 시스템이 확립되었다. 음악도 상품화되어 공장의 분업과같은 원리를 적용해 완성도 높은 음악을 효율적, 지속적으로 제작하기 위한 방법이다. 글로벌 트렌드를반영하기 위해 해외 프로듀서와 협업한 곡이 많고사운드가 중시되는 댄스 음악에서 작곡가의 역할은사운드까지 총괄하는 프로듀서로 확대되었다. 특정프로듀서와 아티스트가 지속적으로 작업하며 연이은히트곡을 만들었는데 지속적인 관계 속 상호간의 특징과 생각을 파악하여 음악 제작의 효율성과 음악의 진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조회 수 상위 20곡의음악을 분석한 결과, 초국적 장르 융합, 빈번한 영어가사의 사용, 최신 글로벌 트렌드의 반영, 세련된 사운드는 해외 청취자들에게 친숙하면서도 트렌디한음악 스타일로 접근성을 높였다. 곡의 동기가 반복되는 후크송은 한국어를 모르는 청취자에게도 강렬한인상을 남기며 쉽게 따라 부르고 기억되는 음악이되었으며 명확한 콘셉트로 아티스트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건전하고 참신한 주제는 해외 팬들의 정서적 공감을 이끌어낼 뿐 아니라 한국적 정서도 반영되었다. 현재 K-pop의 세계적 성공은 우연이 아닌국내 음악 제작자들이 해외 진출을 목표로 다양한방법을 시도하며 발전을 거듭한 결과이다. K-pop은음악 스타일이 비슷하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으나다양한 장르가 융합된 실험적 음악, 독특한 콘셉트등으로 경쟁적인 음악 시장에서 새로운 차별점을 만들어내고 있다.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 만큼 K-pop은 세계적으로 흥행할 만한 요소들을 지니고 있고 장점을 지속하면서 취약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세계 음악 시장에서의 인기를 지속하며 영향력을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K-Pop 노랫말의 운율구조 변화 현상 : 댄스음악을 중심으로

        서근영(Keun-Young Se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영어는 강세 박자 언어로서 강세 변화에 의한 발화의 재구조가 이루어지는 음운체계를 갖는다. 반면 한국어는 각각의 음절을 거의 똑같은 길이와 강도로 발음하는 음절 박자 언어로 일반적 발화 속에서 한국어와 영어는 분명하게 다른 운율체계를 갖는다. 그러나 K-Pop 음악 속에서 노랫말의 언어가 한국어와 영어, 두 가지 언어로 혼용되면서 K-Pop 음악속에서의 한국어 노랫말은 영어처럼 강세변화에 의한 운율체계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한국어 노랫말의 운율구조 변화 현상을 신한류 지속화를 위해 앞으로도 지속될 수밖에 없는 필연적 현상으로 보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Pop 음악의 주요 장르이자 리듬표현에 중점을 두는 댄스음악을 한류 변화양상에 따라 1998년, 2003년, 2009년으로 구분하고, 각 시기의 노랫말 운율구조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K-Pop 운율구조 특징을 도출하여 한 음표당 하나의 음절씩 배당하여 작사하던 기존의 제한적 작사법에서 벗어난 K-Pop 한국어 작사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가 K-Pop에서 한국어 노랫말로 작사할 때의 하나의 방법론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더불어 한국어 노랫말 사용의 장려 방안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English is a stress-timed language that has a phonetic system in which the speech is restructured by stress changes. On the other hand, Korean is a syllable-timed language in which each syllable is pronounced at almost the same length and intensity, and Korean and English have distinctly different metrical systems in general speech. However, as the language of the lyrics in K-Pop music is mixed in both languages, Korean and English, the Korean lyrics in K-Pop music have a metrical system by stress changes as in English. The writer’s view is that the change in the metrical structure of Korean lyrics is inevitable in order to sustain the new Korean Wave. Therefore, in this study, dance music - a major genre of K-Pop music that focuses on rhythm expression - is classified into 1998, 2003, and 2009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Korean Wave, and the metrical structure of each period i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the current K-Pop metrical structure features are derived and the K-Pop Korean writing method is proposed that deviates from the existing limited writing method which allocates one syllable per note. The author hopes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methodology for writing lyrics in Korean songs in K-Pop, as well as a way to encourage the use of Korean lyrics.

      • KCI등재

        관객과 소비자 관점에서의 중국 K-pop 팬덤에 대한 연구

        소하미자(Xiameizi Su),장웅조(Woong-Jo Ch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3

        K-pop 팬덤 중 중국 팬들은 지리적 인접성과 문화의 상대적 유사성으로 인해 K-pop 산업에 있어 매우 강한 소비력을 갖는 오래된 소비자 집단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K-pop 팬덤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부진한 실정인데, 있다 하더라도 K-pop 제작자 혹은 생산자의 입장에서 기술된 연구가 많아, 관객이자 소비자인 중국인 팬들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한 연구는 심각하게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심층 인터뷰 및 참여관찰을 통해 K-pop의 관객이자 소비자인 중국 팬들의 팬덤 경험을 톺아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 팬들의 심리적 특성과 행위적 특성, 그리고 격동하는 외부환경에 대한 팬들의 대응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들의 입장에서 K-pop 문화의 발전에 관한 기대와 의견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K-pop 문화와 산업의 발전에 있어 주체적 개인으로서의 팬(independent fan)과 상호의존적 집단으로서의 팬덤(interdependent fandom)의 역할과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팬들과 K-pop 아티스트, 그리고 기획사/소속사 간의 소통 및 신뢰의 구축을 촉진하는 기획사/소속사의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로서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Among global K-pop fandoms Chinese fandom is a longtime and very strong consumer power in the K-pop industry due to its adjacent geographical location and low cultural barriers. Yet,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Chinese K-pop fandom; most of what is available is from the producers" points of view. Research that explores the position and experience of Chinese fans, who are both mass audience and consumers, is slow to emerge. Thus,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and careful study of Chinese K-pop fandom.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experience of Chinese fans of K-pop culture. We conducted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including a FGI) with Chinese superintendents and active participants in Chinese K-pop fan clubs and fan pages. We then coded the data, following the theory of fandom developed by scholars such as Fiske (1992), and analyzed the phenomenon of Chinese K-pop fandom from the frame of the overall societal environment. We considered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fans and the influences they receive from their turbulent social environments. We also considered the expectations of and opinions on the development of K-pop culture from their perspective. Based on our findings, the significant role and influence of independent fans and interdependent fandom in the development of K-pop culture and industry are identified. Finally, we emphasize that the role as facilitators of K-pop agencies is critical in the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and trust between fans, K-pop artists, and the agencies.

      • KCI등재

        중국 내 K-pop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진성,홍성규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0

        K-pop has gone through ups and downs for 30 years since it was introduced to China in the 1990s. As the trigger for the ‘Korean wave’, K-pop has become a business card of Korean pop culture, which is another popular culture that has culminated in China after the ‘Western wave’, ‘Japanese wave’ and ‘Hong Kong·Taiwan’s wave’. Its wide range of influences and long time are rare in the world, so it can be regarded as a typical example of moder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 paper takes 1988-2018 as the time interval, combs the process of K-pop’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China. Based on this theory, it can make an objective evalu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K-pop in China. Then this paper discusses the influence of K-pop culture on the current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puts forward some developmental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people. In order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and enlightenment for the study of K-pop in China. K-pop은 1990년대 중국으로 유입된 후에 부침을 거듭하며 30년에 접어들었다. ‘한류’ 현상을 일으킨 도화선으로서의 K-pop은 한국 대중문화를 대표하는 한 장의 명함이 되었고, ‘서양풍’, ‘일본풍’, ‘홍콩·대만 풍(港台風)’에 이어 중국에서 열풍을 일으킨 하나의 대중문화로서 자리매김 하였다. 해외문화가 중국에 영향을 미친 영역이 넓고, 긴 시간 지속된 것은 지극히 드물어서 현대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전형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1988-2018년의 기간 동안 K-pop이 중국에 전파된 본말을 상세히 정리한 것을 이론적 기반으로, K-pop의 중국 내 전파 현황 전반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를 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K-pop 문화가 중국 대학생 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중국인들의 시각에서 발전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것으로 중국 내 K-pop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이론적 기초와 시사점을 제공하려고 한다.

      • KCI등재

        4대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경영전략 연구: 제작시스템 가치사슬 활동 및 기업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최희림,임성준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치사슬 분석을 통해 K-POP 4대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경영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의 검색을 통해 K-POP 4대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가치사슬 각 단계의 활동 내역을 보여줄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K-POP 엔터테인먼트 4대사는 고질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제작 시스템 개발과 다양한 해외 진출 전략, 사업 다각화를 시도했다. 각 기업이 추구하는 바에 따라 제작시스템의 세부적인 부분은 다소 상이했지만 공통점도 많았는데, 결론적으로 4대 기업 모두 아티스트의 양과 질을 높이고 수익모델을 다각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K-POP 고유의 아티스트 제작시스템에 대한 가치사슬 분석을 도입하여 활동 단계별로 K-POP 4대 엔터테인먼트사의 전략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비해 해외 아이돌 비율, 해외 저작자 비율 등 구체적인 측정항목을 개발해 연구 결과의 정확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한발 더 나아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글로벌 음악산업에 새롭게 도전하는 기업이나 중소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사업 방향 및 전략 수립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four major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through value chain analysi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that could show the activity details of each stage of the value chain of the four major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were collected through search. The four major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attempted to develop production systems, various overseas expansion strategies, and business diversification to overcome chronic limitations and generate continuous profits. The details of the production system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hat each entertainment company was pursuing, but they shared many characteristics, and in conclusion, all four major companies were able to increas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artists and diversify their profit models. This study identifies the strategic characteristics of the four major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at each stage of activity by introducing a value chain analysis of K-POP's unique artist production system.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 step forward in that it improved the accuracy of the research results by developing specific measurements such as the proportion of foreign idols and the proportion of foreign auth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business direction and strategy setting by companies that are newly challenging the global music industry or by small and medium-sized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