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세기초 경당 장흥효 가문의 제사 관행

        우인수(禹仁秀)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1

        본 논문은 장흥효가 남긴 일기를 통해 17세기 초 안동지역 유학자 가문의 제사 모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7세기 초는 주자가례에 입각한 제례가 완전히 정착하기 직전 시기이기 때문에 과도기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의미가 큰 시기이다. 먼저 기제사의 경우 4대 봉사를 하고 있었다. 장흥효는 고조부모와 증조부모의 기제사를 재종제와 분할하여 봉사하고 있었다. 그는 고조모와 증조부의 기제사를 거의 전담하였고, 재종제는 고조부와 증조모의 기제사를 거의 전담하였다. 조부모와 부모의 제사는 장흥효가 대부분 전담하고 있는 가운데 윤회봉사의 흔적이 약간 남아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자봉사가 아직까지 완전하게 정착되지 않았던 과도기의 모습이다. 장흥효는 부계 친족 외에도 외가와 처가의 제사를 주관하여 지내거나 또는 그 제사에 참석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관심의 크기는 부계 친족에 비교될 정도가 아닐 정도로 약하였다. 부계 중심으로 점차 굳어져가고 있던 상황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라고 하겠다. 다음으로 사시제四時祭는 춘하추동의 중간달인 2?5?8?11월에 사당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사시제의 설행 여부는 주자가례의 정착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주요한 하나의 잣대이다. 경당일기에는 사시제를 지낸 흔적이 곳곳에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일년에 네 번 사시제를 지낸 것은 아니고, 처음에는 11월에 한차례 지낸 듯하다. 일년에 네 번 사시제를 지낸 것으로 분명하게 확인되는 것은 1622년부터였다. 일년에 한번 지내던 사시제를 네 번으로 늘려서 완전하게 지내게 되는 과도기의 모습을 경당일기에서 고스란히 확인할 수 있었다. 명절 제사도 절사節祀 또는 속절례俗節禮라고 표현하면서 당연히 지냈다. 특기할 점은 매번 4대 명절에 즈음하여 조상 묘소를 찾는 성묘를 행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명절날 묘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묘제는 우리 민족의 오랜 습속이었다. 장흥효 집안에서도 4대 명절의 성묘를 거의 행하면서 주자가례에 입각한 가묘에서의 제사도 행하는 절충적인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 점에서도 과도기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전기의 분할봉사와 윤회봉사의 관행이 점차 주자가례의 정착에 따라 조선후기의 장자 봉사로 변화해가는 큰 흐름 속에서 볼 때, 장흥효 집안의 제사 방식은 바로 그 과도기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이고도 명확한 사례인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grasp the aspects of ancestral rites of Confucian clan in Andong area in the early 17th century through the diary that Jang Heung-hyo had left. Since the early 17th century was the time just before ancestral rites based on Zhu Xi"s Family Rituals had been completely established, it was a very significant period to understand the transitional aspects. First, in case of Gijesa(忌祭祀), it had been performed for four generations of ancestors. Jang Heung-hyo had shared the Gijesa of great great grandparents and great grandparents with his younger male second cousin. He had been amost exclusively charged of Gijesa of great great grandmother and great grandfath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re remained some traces of Yunhoe-Bongsa(輪回奉祀) while Jang Heung-hyo had been almost exclusively charged of Gijesa of grandparents and parents. Those were the transitional aspects of period that Jangja-Bongsa(the rite by the eldest son) had not been completely established. Jang Heung-hyo had hosted or attended the rites of his mother"s family and wife"s family other than of his relatives on the father"s side. However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rites of his mother"s family and wife"s family had become weakened not much to compare with that in the rites of his relatives on the father"s side. It should be a specific example showing the circumstance of gradual establishment around the paternal line. Next, Sije(四時祭) are the rites held at shrine in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Whether to hold the rites or not is one of the major standards measuring the settlement degree of Zhu Xi"s Family Rituals. Traces of having held Sije are evident everywhere in the Gyeong-Dang Diary. However, from the beginning, Sije had not been held four times a year, but at first they seem to have been held once in November. It was not clearly identified until 1622 that the seasonal rites had been held four times a year. The transitional aspects that Sije having been held once a year was extended to four times a year could be confirmed in the Gyeong-Dang Diary. Myungjeol-Jesa(rites for the traditional holidays) had also been expressed as seasonal rites(節祀) or common seasonal ceremonies(俗節禮), and naturally performed. A noteworthy feature was that on the every occasion of four traditional seasons, the visit to the ancestral graves had been conducted. On the traditional holidays, Myojae, which is an ancestral rite held before the grave, was our nation’s old custom. Also in the Jang Heung-hyo’s family, Sungmyo of four traditional seasons had been almost held and ancestral rites at ancestral hall based on Zhu Xi"s Family Rituals had appeared in the eclectic form. The transitional aspects can be confirmed from these points. In view of big trend of transition from Bunhal-Bongsa(分割奉祀) and Yunhoe-Bongs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o Jangja-Bongsa(長子奉祀) by gradual establish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Jesa style of Jang Heung-hyo’s family was a specific and clear example illustrating those transitional aspects.

      • KCI등재

        『敬堂日記』에 나타난 꿈의 양상과 그 의미

        김종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6 No.-

        Gyeongdang, Jang, Heung-Hyo(1564-1633) was the Hermit who devoted himself to academic study by retreating to being out of the government without entering into the governmental post. He was only a person who promoted and practiced Taoism without clinging to the official position. He was also at the heart of the 17th-century Yeongnam Neo Confucianism. The “Gyungdang Diary” disappeared, but a total of 2 books still remain. The pursuit of study was the core content in these books. This study analyzed the discussions in the diary and the records of numerous dreams. The Aspects of dreams are as follows: First, Meetings and questions with a dear teacher were appearing. Great Masters of Confucianism from the masters of those days to a person named Confucius, he was meeting. Next, The extension and reproduction of the extreme tenets of everyday life were appearing. Questions and answers as well as Neo Confucian related books were discussed by extending its scope into the dream. The meaning of Gyeongdang, Jang, Heung-Hyo’s dream is as follows. First, he reflected on the placidity which was not realized on a daily basis through the dream. Jang, Heung-Hyo enjoyed Hansujak with refined taste such as sightseeing, and writing poems, which were not possible in daily life. Next, He inherited and practiced the central idea of the Toegye school. The way things are and evidence are seen in the Gyeongdang Diary. He passionately tried to complete respect and seeking the truth not only in his daily life, but also in his dreams. Jang, Heung-Hyo wanted to become a wise person and a saint through respect and seeking the truth. 敬堂 張興孝(1564-1633)는 벼슬을 하지 않고 은거하여, 학문만을 탐구한 隱求之士이다. 은구지사는 관직에 연연하지 않고, 오로지 道學을 증진하고 실천한 인물이다. 그는 17세기 영남 성리학과 영남학파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기도 한다. 『경당일기』는 소실되어 총 2권이 남아있고, 내용은 講學이 그 중심을 이룬다. 본 논의는 일기에 나타나고 있는 수많은 꿈에 대한 기록을 분석하였다. 꿈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그리운 스승과의 만남과 문답이 나타나고 있었다. 당대의 스승과 공자에 이르기까지 성리학의 宗師와 만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일상생활의 지극한 강학의 연장과 재현이 나타나고 있었다. 성리학과 관련된 책과 문답이 꿈까지 연장을 시켜 논의를 하고 있었다. 경당 장흥효의 꿈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루지 못한 일상의 실현과 꿈을 통해 다시 성찰을 하는 계기를 완성했다. 장흥효는 유람, 詩會 등 일상에서 누리지 못한 풍류의 閒酬酢을 이렇게 누리고 있었다. 다음으로 장흥효는 퇴계학의 중심 사상을 이어받아 실천하고 있었다. 그 상황과 증거가 『경당일기』를 통해 나타나고 있었다. 그는 持敬과 求道를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꿈속에서조차 완성하려고 열정적으로 노력했다. 장흥효는 持敬과 求道를 통해 自得하여 賢人과 聖人이 되고자 했다.

      • 투고논문 : 여중군자 장계향과 운악 이함의 사회적 실천

        장윤수 ( Jang Yun Su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6 No.-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장씨부인과 그 시아버지인 운악 이함의 사회적 실천을 설명하고자 했다. 특히 양자 간의 유기적 관계에 주목하면서 이함의 사회적 실천성과 그 家風이 장씨부인의 삶을 구성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끼친 사실을 해명하려 했다. 장씨부인은 친정아버지인 경당 장흥효로부터 聖人의 학문, 즉 敬의 이론과 실천을 배웠으며, 시아버지 이함으로부터는 이웃과 사회를 향한 뜨거운 관심과 함께 나누는 삶을 배웠다. 즉 장씨부인은 엄격한 자기성찰과 수양이라는 내면적 실천에서는 아버지 경당의 영향을 깊게 받았고, 개방적 인품과 타인을 향한 관심 및 사회적 실천이라는 측면에서는 시아버지 운악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장씨부인의 삶과 인격이 친정과 시댁의 家風을 균형 있게 흡수한 결과임을 입증하고자 했으며, 장씨부인과 이함의 행적을 철저하게 문헌을 중심으로 하여 재구성하였다. 이 글은 다음 세 가지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첫째, 장씨부인의 삶을 사회적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선행연구의 연구범위를 확장하였다. 둘째, 장씨부인의 사회적 실천을 시댁 가풍 특히 시아버지인 운악 이함과의 관계에서 해명함으로써 그 삶을 다양하게 해석하였다. 셋째, 논지의 전개과정에서 언급된 일화들을 철저하게 구체적 문헌들을 통해 재구성함으로써 구체적 전거가 약한 선행연구의 약점들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In this paper, I will expound Jang Gye-hyang and her father-in-law, Lee Ham’s social practice. By closely focusing on their organic relationship, I will explain that Lee Ham’s social practices and his family customs largely impacted Jang Gye-hyang’s life. Although Jang Gye-hyang was a paragon of feminine virtue, few primary sources exist about her today. Fortunately,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her but there is little certainty regarding the accuracy of these stories. For this reason, I recasted the story of Jang Gye-hyang and Lee Ham on the basis of books. Throughout her life, Jang Gye-hyang learned to be a sage through a number of influential people. She learned the theory and practice of esteem from her father, Jang Heung-hyo, who helped her develop sincere concern for her neighborhood and society. She was strongly impressed by his inner peace, strict self-examination and morality. And she learned to share life from her father-in-law who further developed her open-mindedness and concern for others and social practice. Therefore, in this paper I have intended to explain that Jang Gye-hyang’s life and personality are the result of the harmonious assimilation of both her family’s customs.

      • KCI등재

        敬堂 張興孝를 통해 본 퇴계학파의 心學

        김낙진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4 한국인물사연구 Vol.21 No.-

        Jang Heung-hyo was a mediator who attached the study of Yi Hwang and Kim Seong Il to junior scholars such as Yi Hyeon-il. This article aimed to make clear that he was a successor to the Mind study of the Toegye School and he was a performer of Neo-Confucian moral. His practice was based on the theory of essence and function, that carried his opinion that Tao is the essential act ordered by Heaven. And for realization of Heaven’s order, he practiced moral training of mind, namely the study of Reverence and Righteousness(敬義), and the study of Sincerity and Reverence(誠敬). He wished to have pure moral sense Instead of ego-consciousness for any personal motive. And he wished to attend to his duties to Tao with single-hearted devotion, instead of untrue attitude. His goal was the state of Saint who can realize his Nature all. The Hobal theory of Yi Hyeon-il, his daughter’s son, is nothing but metaphysical arrangement of Jang Heung-hyo’s thought and practice. His view is that Life is a long continuation of moral training. He, a exemplary master, contributed to the organization of Confucian culture dominated by passionate moral immersion in the Gyeong-sang Province.

      • KCI등재

        敬堂 張興孝를 통해 본 퇴계학파의 心學

        金洛眞 한국인물사연구소 2014 한국인물사연구 Vol.21 No.-

        Jang Heung-hyo was a mediator who attached the study of Yi Hwang and Kim Seong Il to junior scholars such as Yi Hyeon-il. This article aimed to make clear that he was a successor to the Mind study of the Toegye School and he was a performer of Neo-Confucian moral. His practice was based on the theory of essence and function, that carried his opinion that Tao is the essential act ordered by Heaven. And for realization of Heaven`s order, he practiced moral training of mind, namely the study of Reverence and Righteousness(敬義), and the study of Sincerity and Reverence(誠敬). He wished to have pure moral sense Instead of ego-consciousness for any personal motive. And he wished to attend to his duties to Tao with single-hearted devotion, instead of untrue attitude. His goal was the state of Saint who can realize his Nature all. The Hobal theory of Yi Hyeon-il, his daughter`s son, is nothing but metaphysical arrangement of Jang Heung-hyo`s thought and practice. His view is that Life is a long continuation of moral training. He, a exemplary master, contributed to the organization of Confucian culture dominated by passionate moral immersion in the Gyeong-sang Province.

      • KCI등재

        敬堂 張興孝와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이 연구는 외적으로 敬堂 張興孝(1564~1633)의 삶과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17세기 경북 북부 지역 성리학의 특징을 해명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그리고 내적으로는 영남학파 특히 퇴계학파가 지닌 이론적 특징과 실천적 관심을 장흥효와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자들을 통해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장흥효는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는 여러 면에서 퇴계학파의 중심에 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퇴계학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 관심은 이론 논변에만 머물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종래 학계에서 장흥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퇴계학파의 이론적 標識를 염두에 두고 경당의 기본 성리이론과 실천적 삶의 특징을 그려보고자 한다. 경당의 성리이론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體用論이다. 그는 體用의 구조로써 성리이론의 전모를 체계적으로 설명해 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당은 인간과 만물을 理氣妙合의 존재로 보나, 퇴계와 마찬가지로 오직 인간만이 유일한 윤리적 존재일 수 있는 근거를 理에서 찾는다. 경당의 이러한 이론은 퇴계학파의 기본 이론을 이루는 標識 중 하나이다. 한편 경당은 성리학적 이론을 삶 속에 구체화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持敬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持敬論은 퇴계의 입장을 기본적으로 계승한 것이기는 하나, 경당에 이르러 더욱 구체적 삶의 모습으로 體現되며 이후 퇴계학파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하나의 특징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경당은 퇴계학을 思辨的 이론뿐만 아니라 실천의 영역에서도 균형 있게 발전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17세기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하며, 특히 퇴계학파의 형성에 관한 이론적 토대가 보다 선명하게 그려질 수 있기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in terms of Jang-Heung-Hyo"s (1564∼1633) life as a scholar and his thoughts. This study also compares Jang-Heung-Hyo and other scholars with Toe-Gye School in terms of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concerns of Neo-Confucianism. Jang-Heung-Hyo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through the 17th century. His concerns had not been limited to theoretical arguments. He also emphasized practical and moral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His main concerns were Yi-Hak(理學), Gyeong-Ron(敬論) and Sim-Hak(心學). These concerns had led him to pursue a society in which those fields are realized through cultivation and practice.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Neo-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by educating young students in northern areas of Kyeong-Buk Province.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has not been shed a proper light. Hopefully, this stud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 areas of Kyeong-buk and the spread of Toe-Gye School.

      • KCI등재

        여중군자 장계향과 운악 이함의 사회적 실천

        장윤수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6 No.-

        In this paper, I will expound Jang Gye-hyang and her father-in-law, Lee Ham’s social practice. By closely focusing on their organic relationship, I will explain that Lee Ham’s social practices and his family customs largely impacted Jang Gye-hyang’s life. Although Jang Gye-hyang was a paragon of feminine virtue, few primary sources exist about her today. Fortunately,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her but there is little certainty regarding the accuracy of these stories. For this reason, I recasted the story of Jang Gye-hyang and Lee Ham on the basis of books. Throughout her life, Jang Gye-hyang learned to be a sage through a number of influential people. She learned the theory and practice of esteem from her father, Jang Heung-hyo, who helped her develop sincere concern for her neighborhood and society. She was strongly impressed by his inner peace, strict self-examination and morality. And she learned to share life from her father-in-law who further developed her open-mindedness and concern for others and social practice. Therefore, in this paper I have intended to explain that Jang Gye-hyang’s life and personality are the result of the harmonious assimilation of both her family’s customs.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장씨부인과 그 시아버지인 운악 이함의 사회적 실천을 설명하고자 했다. 특히 양자 간의 유기적 관계에 주목하면서 이함의 사회적 실천성과 그 家風이 장씨부인의 삶을 구성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끼친 사실을 해명하려 했다. 장씨부인은 친정아버지인 경당 장흥효로부터 聖人의 학문, 즉 敬의 이론과 실천을 배웠으며, 시아버지 이함으로부터는 이웃과 사회를 향한 뜨거운 관심과 함께 나누는 삶을 배웠다. 즉 장씨부인은 엄격한 자기성찰과 수양이라는 내면적 실천에서는 아버지 경당의 영향을 깊게 받았고, 개방적 인품과 타인을 향한 관심 및 사회적 실천이라는 측면에서는 시아버지 운악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장씨부인의 삶과 인격이 친정과 시댁의 家風을 균형 있게 흡수한 결과임을 입증하고자 했으며, 장씨부인과 이함의 행적을 철저하게 문헌을 중심으로 하여 재구성하였다. 이 글은 다음 세 가지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첫째, 장씨부인의 삶을 사회적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선행연구의 연구범위를 확장하였다. 둘째, 장씨부인의 사회적 실천을 시댁 가풍 특히 시아버지인 운악 이함과의 관계에서 해명함으로써 그 삶을 다양하게 해석하였다. 셋째, 논지의 전개과정에서 언급된 일화들을 철저하게 구체적 문헌들을 통해 재구성함으로써 구체적 전거가 약한 선행연구의 약점들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유가적(儒家的) 삶의 탈현대적(脫現代的) 함의(含意) - 경당(敬堂) 장흥효(張興孝)의 공부론(工夫論)과 지경(持敬)의 삶을 중심으로-

        李炫知 ( Lee Hyun-ji )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4 No.-

        인류는 문명의 진화에 따라서 다른 삶의 목표와 이상적인 삶에 대한 기대, 그리고 이상적인 삶에 이르는 방법을 모색해왔다. 이러한 문명에 따른 삶의 양태의 차이점이 발생하는 이유는 각 문명이 토대로 하고 있는 사회구조 그리고 세계관과 인간관이 다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가의 삶의 목표와 이상적인 삶에 대한 기대, 그리고 이상적인 삶에 이르는 방법에 주목하여 탈현대적인 함의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탈현대문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생산력, 여가중심의 삶, 다문화사회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탈현대세계관은 나와 세계의 통일성을 인정하는 관점이다. 우주적인 존재로서의 나에 대해 자각하며, 삶의 목표는 우주적인 나의 자각과 활동이다. 이때, 이상적인 삶이란 ‘참된 자기’의 자연을 즐기는 樂道의 삶이다. 이런 이상적인 삶에 도달하는 방법은 修行이다. 본 연구에서 敬堂 장흥효의 삶에 주목하는 이유는 평범한 일상에서 오묘한 이치를 발견한 생활인이면서, 철저한 사상가이고자 했고, 투철한 실천가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사회학의 관점에서 볼 때, 유교는 개인의 삶과 사회적 관계에 천착하면서 유교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사상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 유교에서 이상의 실현은 나로부터 시작해서 家로 나아가 天下로 뻗어나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교의 이상이 현실과 맞닿아 있다는 점은 사회학적인 함의가 풍부한 사상이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유가적 삶의 탈현대적 함의를 살펴보기 위해서, 敬堂 장흥효의 삶을 다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첫째, 유가적 이상을 현실의 삶에 그대로 투영한 모습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장흥효가 道學者로서 공부에 대해서 어떤 자세를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셋째, 삶을 있는 그대로 즐기는 樂道의 모습을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敬堂의 삶에서 발견할 수 있는 유가적 삶이 가지는 탈현대적 함의를 설명할 것이다. Life styles of human-being are different by specific civilization. It'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social structure and the world-view by specific civilization. This is the time of grand transition of civilization. We need to develop a new goal of life and ideal life. I think that we can get hints in Confucious way of life. This is why this paper explores post-modern implications of Confucious life. The emerging new social structures of post-modern civilization are produ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leisure centered life, and multi-culture society etc.. The post-modern world view perceives the unification of I and world. The goal of post-modern life is to acknowledge his real self and enjoy his real self. The way to arrive at the goal is the mind practice. In this paper, we focus on Gyeong-Dang Jang-Heung-Hyo's life because he was the typical thinker and practitioner of Confucious thoughts. In terms of sociological aspects, Confucian has very interesting base because Confuious ideal is pursued through individual life and social relationship. The realization of Confucious ideals starts from I and finally expands to world. In this paper, we will explain Gyeong-Dang Jang-Heung-Hyo's life as follows. First, we will review how Confucious ideals are represented in his life. Second, we will analyze the his attitude toward mind practice. Third, we will summarise enjoy of Tao in his life. Finally, we will explain the post-modern implications of his life.

      • KCI등재

        儒家的 삶의 脫現代的 含意 -敬堂 張興孝의 工夫論과 持敬의 삶을 중심으로-

        이현지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Life styles of human-being are different by specific civilization. It'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social structure and the world-view by specific civilization. This is the time of grand transition of civilization. We need to develop a new goal of life and ideal life. I think that we can get hints in Confucious way of life. This is why this paper explores post-modern implications of Confucious life. The emerging new social structures of post-modern civilization are produ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leisure centered life, and multi-culture society etc.. The post-modern world view perceives the unification of I and world. The goal of post-modern life is to acknowledge his real self and enjoy his real self. The way to arrive at the goal is the mind practice. In this paper, we focus on Gyeong-Dang Jang-Heung-Hyo's life because he was the typical thinker and practitioner of Confucious thoughts. In terms of sociological aspects, Confucian has very interesting base because Confuious ideal is pursued through individual life and social relationship. The realization of Confucious ideals starts from I and finally expands to world. In this paper, we will explain Gyeong-Dang Jang-Heung-Hyo's life as follows. First, we will review how Confucious ideals are represented in his life. Second, we will analyze the his attitude toward mind practice. Third, we will summarise enjoy of Tao in his life. Finally, we will explain the post-modern implications of his life. 인류는 문명의 진화에 따라서 다른 삶의 목표와 이상적인 삶에 대한 기대, 그리고 이상적인 삶에 이르는 방법을 모색해왔다. 이러한 문명에 따른 삶의 양태의 차이점이 발생하는 이유는 각 문명이 토대로 하고 있는 사회구조 그리고 세계관과 인간관이 다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가의 삶의 목표와 이상적인 삶에 대한 기대, 그리고 이상적인 삶에 이르는 방법에 주목하여 탈현대적인 함의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탈현대문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생산력, 여가중심의 삶, 다문화사회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탈현대세계관은 나와 세계의 통일성을 인정하는 관점이다. 우주적인 존재로서의 나에 대해 자각하며, 삶의 목표는 우주적인 나의 자각과 활동이다. 이때, 이상적인 삶이란 ‘참된 자기’의 자연을 즐기는 樂道의 삶이다. 이런 이상적인 삶에 도달하는 방법은 修行이다. 본 연구에서 敬堂 장흥효의 삶에 주목하는 이유는 평범한 일상에서 오묘한 이치를 발견한 생활인이면서, 철저한 사상가이고자 했고, 투철한 실천가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사회학의 관점에서 볼 때, 유교는 개인의 삶과 사회적 관계에 천착하면서 유교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사상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 유교에서 이상의 실현은 나로부터 시작해서 家로 나아가 天下로 뻗어나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교의 이상이 현실과 맞닿아 있다는 점은 사회학적인 함의가 풍부한 사상이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유가적 삶의 탈현대적 함의를 살펴보기 위해서, 敬堂 장흥효의 삶을 다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첫째, 유가적 이상을 현실의 삶에 그대로 투영한 모습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장흥효가 道學者로서 공부에 대해서 어떤 자세를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셋째, 삶을 있는 그대로 즐기는 樂道의 모습을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敬堂의 삶에서 발견할 수 있는 유가적 삶이 가지는 탈현대적 함의를 설명할 것이다.

      • KCI등재

        敬堂日記를 통해서 본 張興孝 學團의 地形圖와 性理學的 思惟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7 No.-

        이 연구는 敬堂 張興孝(1564~1633)의 日記(敬堂日記)를 통해 장홍효 자신의 삶과 사상을 해명하고, 그리고 장홍효 學團이 중심이 된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地形圖를 그려내고 그 성리학적 문제의식과 이론적 특징을 재구성해보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장홍효는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는 여러 면에서 퇴계학파의 중심에 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퇴계학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 관심은 이론 논변에만 머물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하였다.’退溪學脈의 중심에 있는 장홍효는 退溪의 경우처럼 칠십 평생을 持敬의 삶으로 일관했다. 그리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추스르는 일환으로 日記를 썼는데, 成人이 된 이후 거의 평생을 써갔다. 그의 日記는 무엇보다 자신의 수양과정을 기록해나간 工夫錄이라는 점이 특색이며, 門下生들과의 학업과정도 충실하게 기록해두고 있어서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대단히 귀중한 자료이다.’종래 학계에서 장홍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장홍효의 성리사상 뿐만 아니라, 17세기 경북 북부 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이해를 도모해 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yeong-Dang-Diary and Neo-Confucian in the District of Kyeong-Buk North in the 17th Century. Jang-Heung-Hyo(1564~1633)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through the 17th century. His concerns had not been limited to theoretical arguments. He also emphasized practical and moral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These concerns had led him to pursue a society in which those fields are realized through cultivation and practice.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Neo-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by educating young students in northern areas of Kyeong-Buk Province. Jang-Heung-Hyo kept a diary to reflect on own life. After he became a adult, he wrote a diary almost all life. He accounted for class process faithfully with disciples in a diary. First of all, his diary is study journal that account for own moral culture process. Therefore, His diary is a very important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Neo-Confucian in the District of Kyeong-Buk North in the 17th Century. Hopefully, this stud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 areas of Kyeong-Buk and the spread of Toe-Gy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