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색채감성척도의 사용현황 분석 및 개선에 대한 연구

        김미리,박연선 한국감성과학회 2022 감성과학 Vol.25 No.3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usage behaviors and improvement factors to increase the academic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value the of color image scal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discuss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on the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on color image scales. Furthermor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5 color experts who have been working in the field for over five year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of them. The contents of the survey are usage behaviors, evaluation, and the improvement of Kobayashi and IRI color image scales. In this process, emotional adjectives that need improvement were derived, and the opinions of experts related to improvements were collec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usage behaviors, 92% were aware of both color image scales. Moreover, 44% used both, and 56% used only one. 2) Regarding familiarity and trust, IRI was higher than Kobayashi. 3) A total of 88% of respondents stated that color image scales were necessary. A total of 43.6% of respondents, the largest group of respondents, indicated that color image scales are necessary in the field of practice. 4) Regarding the need for improvement, 88% responded that IRI color image scales need improvement. 5) The highest response to the factors requiring improvement was the reflection of the times, which was 31.9% for Kobayashi and 30.9% for IRI. 6) When improving color image scales, the adjectives that need to be treated as the most important were shown to be modern (15.8%) → natural, romantic, wild (8.8%) → dynamic (7.0%) → classic, casual, chic (5.3%). In conclusion, limitations were identified in the use of color image scales in practice and in the research areas, and there was a demand for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al study related to color image scales, and it is expected that subsequent research related to color image scales will follow. 본 연구의 목적은 색채 감성척도의 학술적, 실무적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색채 감성척도의 사용 현황과 개선 요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년 이상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색채 전문가 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조사 구성 내용은 고바야시와 아이알아이 색채 감성척도에 대해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감성어휘를 도 출하고, 개선과 관련한 전문가들의 추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분석 결과 1) 친숙도와 신뢰도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 이알아이가 더 높게 나타났다. 2) 필요성과 활용도 조사 결과 색채 감성척도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88%로 나타났으 며, 연구, 교육 분야보다 기업 실무분야에서 필요하다는 의견이 43.6%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3) 개선 필요성 조 사 결과 아이알아이의 색채 감성척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88%로 나타났다. 4) 개선 필요 요인에 대해 가장 높은 응답은 시대성 반영이었으며, 고바야시 31.9%와 아이알아이 30.9%로 나타났다. 5) 색채 감성척도를 개선 할 경우 중요하게 또는 우선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 어휘는 모던한(15.8%) → 내추럴한, 낭만적인, 와일드한 (8.8%) → 다이내믹한(7.0%) → 고전적인, 캐주얼한, 시크한(5.3%) 순서로 조사되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실무 및 연 구 현장에서 색채 감성척도 사용에 한계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정 보완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No-reference Image Blur Assessment Based on Multi-scale Spatial Local Features

        ( Chenchen Sun ),( Ziguan Cui ),( Zongliang Gan ),( Feng Liu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0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 Vol.14 No.10

        Blur is an important type of image distortion. How to evaluate the quality of blurred image accurately and efficiently is a research hotspot in the field of image processing in recent years. Inspired by the multi-scal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visual system (HVS), this paper presents a no-reference image blur/sharpness assessment method based on multi-scale local features in the spatial domain. First, considering various content has different sensitivity to blur distortion, the image is divided into smooth, edge, and texture regions in blocks. Then, the Gaussian scale space of the image is constructed, and the categorized contrast features between the original image and the Gaussian scale space images are calculated to express the blur degree of different image contents. To simulate the impact of viewing distance on blur distorti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ocal maximum gradient of multi-resolution images were also calculated in the spatial domain. Finally, the image blur assessment model is obtained by fusing all features and learning the mapping from features to quality scores by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on four synthetically blurred databases and one real blurred database.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our method can produce quality scores more consistent with subjective evaluations than other methods, especially for real burred images.

      • KCI등재

        영화의상에 표현된 색의 심상(心象)과 서사(敍事)적 상징성의 해석

        박진수(JinSoo Park),박연선(YonSun Park)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1

        시대적 변모가 색채의 감성 이미지를 바꾸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컬러 이미지스케일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감성전달 매체로 활용되는 이미지스케일은 더욱 섬세한 분류가 요구되며, 그 기준의 새로운 정립이 필요한 시점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이미지스케일의 효용성과 한계성을 파악하고, 패션이라는 산업적 특성에 맞는 새로운 감성색채 분류와 DB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검증단계의 논문이다. 분석대상은 감성전달에 있어 종합적 매개체인 영화로 선정하였다. 색채분석은 영화 <게이샤의 추억>의 주인공 게이샤와 대립구도에 있는 게이샤로 제한하고, 그들의 의상인 기모노, 유카타와 오비, 깃 등의 복식요소를 분석했다. 분석범위는 심리와 T.P.O의 변화에 따른 의상색채의 ‘감성적 상징성’과 전통과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한 ‘서사적 상징성’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고바야시 이미지 스케일에 적용하여 효용성과 한계성을 파악했다. 그 결과, 기존의 이미지 스케일은 일반인 위주의 보편적 해석으로 만들어진 관계로 심리변화에 의한 색의 심상은 그대로 적용 시킬 수 있었다. 반면, 전통과 역사적 사실의 고증에 의해 재현 된 패션 이미지의 상징적 표현에는 부적절했다. 이는 패션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의 특성화와 전문성이 결여되어있으며, 각 나라의 세부적인 지역성·민족성을 내포한 감성색채의 부재 또한 드러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판단되며, 연구의 결과가 패션산업의 실질적 색채 활용증대에 일조하기 바란다. Emotional image of colors change along with periodical changes of time. This phenomenon blurs the boundary of existing color image-scale. In this regard, it is suggested that the image-scale as a transmission media of sensibility needs more sensitive classification and that the establishment of new standards is in need. This paper i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n the utility and the limit of existing image-scale and on the needs of new classification and database of emotional colors that can identify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Movie is selected as a subject of analysis because movie can be considered as comprehensive transmission media of sensibility. Targets of color analysis are the heroine of the movie "Memoirs of a Geisha“ and the other geisha who is in conflict composition with the heroine, and the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elements of their costumes such as kimono, yukata, obi, collar and etc. Scope of analysis is restricted to the emotional symbolism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psychology and TPO and the descriptive symbolism rooted on both traditional and historical facts. Lastly, the paper analyze the utility and the limit by applying the results to the Kobayashi image-scale. The result shows that emotional symbolism resulting from the change of psychology can still be applied to the ordinary instances because the existing image-scale is drafted on the basis of very common understanding of ordinary people. However, the findings reveals that the existing image-scale is not appropriate for the use of symbolic expression of fashion image which is reproduced based on traditional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of the facts. It is also recognized that the existing image-scale lacks the professional aspects and trends of various industrial characteristics including fashion industry. Furthermore, the existing image-scale fails to represent the emotional colors which supposed to expose the geographical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untri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could suggest a direction of following studies and could contribute to the increasement of practical applicability of colors in the fashion industry.

      • KCI등재

        기업 이미지 무형자산 가치 측정을 위한 DBRQ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용구,김보영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디자인, 브랜드, 기업 명성을 중심으로 기업의 이미지 무형자산의 범주와 요인들을 정의하여 향후 기업들의 이미지 관련 무형자산 형성 및 강화를 위한 전략적인 의사 결정과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본 연구는 20명의 디자인, 브랜드, 홍보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정성적 연구를 통한 이미지 무형자산 요인과 척도 개발을 이루었다. 디자인, 브랜드, 명성을 구성하는 총 13개 요인을 대상으로 45개 측정 문항에 대해 리 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여 내용 타당성을 검증하고, 2차적으로 Kendall's W 점증을 통해 신뢰도 확보를 이루었다. 이후 각각의 요인 별 가중치를 도출하여 결과적으로 디자인, 브랜드, 명성으로 구성된 이미지 무형자산 측정 척도 모델을 제시했다. 분석 및 연구 결과: 45개의 측정 문항 분석 결과 내용 타당성에서 최종 38개의 요인이 채택되었으며, 이를 기반하여 디자인, 브 랜드, 명성 기준의 총 13개 요인의 요인 타당성과 신뢰도를 획득하였다. 전문가 대상 100점 만점의 고정총합척도(constant sum scale) 를 통해 가중치를 산출한 결과 명성 요인이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받았으며, 디자인과 브랜드는 비슷한 수준으로 중요도를 나타냈 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이미지 무형자산 측정을 위한 DBRQ 컨셉 모델을 제시하였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에서는 기술과 네트워크 무형자산 만큼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이미지 무형자산을 강화하기 위해 기업의 이미지 무형자산 요인인 디자인, 브랜드, 명성의 세부 구성요인을 밝히고, 그 가중치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이미지 무형 자산 평가 척도를 제시하고, 이미지 무형자산 강화를 위한 기업의 의사 결정을 도울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그러나 본 연 구는 델파이기법을 통한 전문가 중심 조사를 이룬 만큼 양적 검증을 기반 한 실증연구를 통해 측정 모델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 이미지 무형자산이 실제 기업의 자산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른 실증 연구와 기업 내 이미지 무형 자산 시스템 구축의 성공 사례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공헌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이미지 무형자산 가치 측정 표준 모델의 개발을 위해 이미지 무형자산 분류 모델을 제시하여 기업 의 무형자산 가치의 또 다른 축으로 자리 잡은 이미지 무형자산 가치 평가를 위한 객관적인 기준과 지표를 제시했다. 기업의 이미지 무형자산에 대한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결국 경제적 가치로서 자산화가 된다. 이에 자산 평가를 위한 척도와 평가 툴이 마련 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이미지 무형자산의 기본적인 측정을 위한 척도 도구로써 가치측정이나 평가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paper aims to define the categories and components of corporate image-related intangible assets based on design, brand, and reputation and suggest how to improve the assets by the corporate image development and manage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article uses delphi method to develop the image-intangible evaluation scale by 20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field of corporate design, brand and PR. Total 13 factors were defined to the scale model and 45 measurement items on five Lickertis scale were used by the questionnaire to analyze content validation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by Kendall's W . Hence, the study proposed a scale standard model of corporate image-intangible assets based on design, brand, and reputation. Results/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45 measurement items's content validation, total 38 items are finally defined as the image-intangible composition factors. And total 13 sub-factors and 3 category factors, design, brand, and reputation was positive on reliability and feasibility. In summary, constant sum scale was used to weighted value analysis of each factors. Reputation had the highest weight value and design and brand indexed similar value. In these research results, DBRQ concept model suggested to measure corporate image-intangible assets.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cale standard and measurement model of corporate image-intangible assets of a firm. The firms can improve and develop the intangible assets with this measurement tools. In addition, the model will be an evaluation tool or self-check list about the assets. However this study has the research limitation is that suggest the concept model was built b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uture work/research: The research can be developed with more rigid empirical study by an extensive survey and successful case study of image-intangible assets management in the global business companies. Originality/value: Although the paper proposes a concept model, which was not invested by empirical research to measure of image-intangible assets, the model can be used as an asset evaluation tool to the firms. Also the study will be a foundation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design, brand and reputation.

      • KCI우수등재

        의사 참조 이미지를 활용한 무참조 이미지 화질 평가

        용윤정,오희석 대한전자공학회 202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61 No.2

        No-reference image quality assessment (NR-IQA) aims to objectively quantify the level of image quality degradation by reflecting the human visual system in the absence of information about the pristine image. Existing NR-IQA techniques have high sensitivity to specific distortion types, but have limitations in determining semantic quality information or global image quality degradation. In this paper, to resolv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R-IQA approaches and improve predictive power, we propose a multi-scale pseudo image quality assessor (MPIQ). MPIQ is an NR-IQA model that follows the framework of full-reference IQA (FR-IQA), which is more proficient in extracting local distortion patterns and aggregating higher-level perceptual quality information. The proposed MPIQ employs a hybrid scheme that seeks to understand local distortion patterns through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d global level of image quality based on transformers, and consists of two modules: a pseudo-reference image reconstructor and a quasi FR-IQA regressor. Similar to the FR-IQA approach, the pseudo-reference image reconstructor utilizes an encoder-decoder structure to reconstruct the pseudo-reference image and learn image degradation information compared to a distorted one. Here, a multi-scale structure is reflected to extract scale-invariant distortion patterns. Quasi FR-IQA regressor predicts the image quality score by deriving the global distortion level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distorted and the pseudo-reference images. MPIQ was supervised onto the mean opinion score obtained through subjective evaluation in an end-to-end manner,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a 20% performance improvement compared to the existing NR-IQA. 무참조 이미지 화질 평가(no-reference image quality assessment; NR-IQA)는 참조 영상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인간 시각 체계를 반영하여 이미지 화질 저하 수준을 객관적으로 정량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NR-IQA 기술은 특정 왜곡 특성에 대해 높은 민감성을 갖고 있으며, 의미론적 화질 인지 및 화질 저하 수준을 판단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NR-IQA 접근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역적 왜곡 패턴 추출과 고수준 의미 정보 추출에 보다 능숙한 완전 참조 (full-reference IQA; FR-IQA) 방식의 프레임워크를 따르는 NR-IQA 모델인 multi-scale pseudo image quality assessor(MPIQ)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MPIQ는 하이브리드 구조에 기반해 합성곱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적 왜곡 패턴 추출과 트랜스포머 기반의 전역적 화질 수준 이해를 도모하며, 의사 참조 이미지 reconstructor와 quasi FR-IQA regressor라는 두 가지 모듈로 구성된다. 의사 참조 이미지 reconstructor는 FR-IQA 방식과 유사하게 화질 추론 모델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인코더-디코더 구조를 차용하여 의사 참조 이미지를 재구성하고 이미지 왜곡 정보를 학습한다. 이 과정에서 크기 불변 왜곡 패턴의 추출을 위해 다중 스케일 구조를 반영하였다. Quasi FR-IQA regressor는 왜곡 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과 의사 참조 이미지 특징의 차이를 통해 전역적 왜곡 수준을 도출함으로써 이미지 화질 수준을 최종적으로 예측한다. MPIQ는 주관적 평가를 통해 획득된 mean opinion score에 end-to-end로 학습되었으며, 실험 결과 기존 NR-IQA 기술 대비 20%의 성능 향상을 달성하였다.

      • KCI등재

        서예서체 이미지에 대한 대표형용사 추출 연구

        이두희(Lee, Du Hee),곽영식(Kwak, Young Sik),홍재원(Hong, Jae Weo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0 소비문화연구 Vol.13 No.4

        색, 건축, 온라인광고 등에서 느끼는 수용자의 감성을 공간으로 표현한 것이 이미지스케일이다. 서예는 2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문화이지만, 체계적인 이미지스케일이 개발되어 제시된 바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예서체 이미지스케일(image scale)을 구축하기 위한 전 단계로써 서예서체에 대한 감성이미지를 대표하는 형용사(representative adjectives)를 추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욱상 외(2010)가 보고한 114개의 서예서체 감성형용사 풀(pool)을 바탕으로 대표 형용사를 연결망분석(network analysis)으로 추출하였다. 그 결과 114개의 서예서체 이미지를 표현하는 수용자의 감성형용사를 연결망분석 상의 중앙성(centrality)기준으로 대표 형용사 13개를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된 13개의 감성형용사는 고바야시(1990)의 색 이미지스케일 15개 대표 감성군과는 3개의 이미지가 공통되고, 박필제(2006)의 도시경관 이미지스케일의 16개 대표 감성어휘와는 공통 형용사가 없었다. 이는 서예만의 독자적인 이미지 감성표현이 서예서체에서 존재한다는 증거이다. 이 연구는 서예 창작자와 수용자의 이미지를 매개할 수 있는 객관적인 틀을 서예 분야에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mage scale is the evaluation scale of sensibility image in which adjective words are located on the twodimensional space for color, architecture, on-line ad etc. Even though calligraphy has historical culture, there is no systematic image scal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alibrate the representative adjectives for Calligraphy Image scale for calligraphy industry in Korea. Based on Han, Lee, Kim, and Kwak(2010)’s 114 image adjectives for calligraphy, the researchers conducted network analysis and centrality measurement. The researchers find out 13 main adjectives for calligraphy industry in Korea. Working through these image scaling, academically we can provide basic data for construct for calligraphy image scale and practically be able to define the scope of image representation of calligraphy industry.

      • KCI등재후보

        서예서체 이미지형용사 풀(pool)구축에 관한 연구

        한욱상(Han Uk sang),이두희(Lee Du hee),김달기(Kim Dal kee),곽영식(Kwak Young sik) 글로벌경영학회 201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7 No.1

        오랜 역사를 가진 서예서체에 대한 이미지스케일(image scale)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써 이미지스케일에 삽입될 이미지형용사 풀(pool) 구축이 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서체 이미지를 수용하는 대학생 및 일반인이 느끼는 감성어인 이미지형용사를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서체 이미지 제공자가 느끼는 감성은 2차 자료에서 수집되었다. 한국에서는 4종의 서예잡지, 중국에서는 한나라에서 청나라에 이르는 서예이론서에서 서체 이미지형용사를 추출하였다. 이 둘을 3명의 서예전문가가 정제하여 114개의 한국 서체 이미지형용사 풀(pool)을 구축하였다. 산업화된 제품에 한정하여 개발되고 활용되어 왔던 이미지스케일을 문화산업 중의 서예시장에 처음 도입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서예시장 고유의 독자적 이미지스케일 공간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향후 해당 서체의 감성 변화를 추적하고 서체유행의 변화 시기를 판단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제공자가 작품 활동에 있어 수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선호범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서예시장 활성화에 발전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Image scale means the positioning of user s or customer s emotional consensus which is expressed by adjectives. Although the applications of the image scale well documented in various industry including psychology, architecture, clothing, textile, aesthetics, and marketing, the report of application of image scale to cultural industry such as art and calligraphy market in practice has been relatively rare. The researcher aims to try to full this gap by applying a image scale development process to calligraphy marke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Researchers have conducted the calligraphy consumer survey with four chinese calligraphy types such as Chunsu, Haesu, Hengsu, Yesu and Chosu. The researchers added the adjectives from the second data based on calligraphy critics and books from Korea and China into these survey data. The researchers find out 114 adjectives as the Calligraphy Specific Image Pool, which can be regard as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the Calligraphy Image Scale. Working through these image pool, calligraphers can be able to obtain the image sources to develop competitive works by finding the adjectives images which is seen through the customers’ point of view.

      • KCI등재

        다차원적 국가이미지 척도의 타당도

        김은정,박상준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4

        A favorable country-of-origin image has a considerable impact on consumers' evaluation of products originating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therefore influences their subsequent buying decisions. Numerous articles published in the business press underline the importance of this effect. This body of research shows that a product's national origin acts as a signal of product quality and also affects perceived risk and value as well as likelihood of purchase. Conventional country-of-origin studies allow researchers to analyze if consumers prefer products or brands from one country in comparison to another. However, deficiencies in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its facets have contributed to ineffective and infrequent use of country-of-origin image as a competitive tool. Despite the acknowledged importance of the construct, literature has reached no consensus on how to conceptualize and operationalize country-of-origin. Indeed, no systematic analysis of extant conceptualizations and associated measurement scales of the country-of-origin construct exists, leaving researchers with little guidance on how to best operationalize the construct in empirical efforts. The present study addresses this gap by undertaking a state-of-the-art review of current conceptualizations and operationalizations of the country-of-origin construct, proposes an approach to derive a robust multi-dimensional scale of the construct, and highlights important areas for future research. For the research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aggregation of survey data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of country image. Based on a review of marketing and non-marketing literature and the factor analyses (EFA and CFA), for the purpose, this paper derives the three (economic, relational, and cultural image) and applies them to the four countries (U.S.A, Japan, Australia, and China).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are tested based on the data sets of which aggregation level is various: each of the four country data sets, possible pairs of the four country data set, possible trios of the four countries, and the aggregated data set of four countr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rived scale of country image has low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hen it is applied to each of the four data sets whereas it has high ones when it is applied to the aggregated data of more than two countries. The proposed approach, which derive a robust scale of the country-origin construct with aggregation of survey data, has a few limitations. However,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achieving further progress in the field and the framework will assist researchers in overcoming the problem of previous scales. 국가이미지는 해당 국가 상품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영향을 주고 최종적으로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국가이미지의 정의와 측정의 문제로 인하여 기업 또는 국가의 경쟁도구로서 많은 활용이 되고 있지 않다. 특히, 연구자마다 다른 척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 간의 비교가 어렵고 연구 간의 시너지를 기대하기 매우 어렵다. 다양한 국가를 평가대상으로 도출된 국가이미지 차원이라고 할지라도 단일국가의 국가이미지 평가 자료에 적용하면 해당 국가 특성이 국가이미지에 영향에 미치기 때문에 개발된 국가이미지 척도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복수의 국가를 대상으로 국가이미지 척도를 개발하여 복수의 국가에 적용하였을 때, 개별 국가 특성이 상쇄되어 척도의 타당성이 제고됨을 보여주고 있다. 시뮬레이션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와 252명의 한국 소비자들이 평가한 4개국의 국가이미지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대상 국가의 통합수준을 달리 하여, 도출된 척도의 일반화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단일 국가에 적용한 경우에는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낮게 나타났지만 2개국 이상의 통합자료에 적용한 경우에는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칼라 이미지 스케일의 보간

        김성환 ( Sung Hwan Kim ),정성환 ( Sung Hwan Jeong ),이준환 ( Joon Whoan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07 감성과학 Vol.10 No.3

        칼라 이미지 스케일은 칼라 전문가들의 지식에 의해 획득되고, 형용사와 대응되는 칼라(들)을 선택하기 위해 동일한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들에서 형용사들과 칼라를 표현한다. 이들은 이미지 스케일을 얻기 위한 실험과 통계분석의 어려움 때문에 일반적으로, 단지 제한된 수의 칼라들만이 이미지 스케일에 위치한다. 이는 칼라를 선택하는 과정을 비전문가에게 어렵게 만든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스케일에 따라 연속적인 칼라를 제공하는 퍼지 K-근접 이웃 보간 방법에 기초를 둔 칼라 이미지 스케일의 보간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의 결과들은 보간된 이미지 스케일은 칼라 선택 과정에 있어 실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Color image scale captures the knowledge of colorists and represents both adjectives and colors in the same adjective image scales in order to select color(s) corresponding to an adjective. Due to the difficulty of psychological experi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in general, only a limited number of colors are located in the color image scales. This can make color selection process hard especially to non-exper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rpolation of color image scale based on the fuzzy K-nearest neighbor method, which provides continuous colors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image scal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interpolated image scales can be practically useful for color selection process.

      • KCI등재

        형용사 이미지의 특성을 적용한 여성헤어스타일 연구

        김명옥 ( Kim Myung-ok ),진용미 ( Jin Yong-mi ) 한국미용학회 2018 한국미용학회지 Vol.24 No.5

        The significance and objective of this study are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by classifying total 12 adjective image scales and then analyzing the relevant images based on the photo data extracted through data search on the roles in the expression of hair accessory, costume, and background image suitable for the image after understanding the adjective image, color-matching image, and women's hairstyle. The 12 adjective images included the cute image, cheerful image, dynamic image, fancy image, modern image, clear image, natural image, elegant image, gentle image, mild image, delicate image, and noble image. The hairstyle using the adjective image scale was applied to the image color-matching and image scaling. Just like the above results,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more diverse hairstyles and the applicability of image could be verified by understanding the women's hairstyle using the adjective image scale. Based on this study,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es on the beauty image and hairstyles of adjective image and diverse image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basis of beauty image expression for the expression of sensibility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