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역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한국 지역색 조사・분석 - 자연공원 토양색 중심으로 -
박연선,이지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This paper conducted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soil colors unique to each region by collecting soil colors of each region as basic research for collecting Korean local colors. As the scope of research, the paper investigated the colors of soil samples from a total of 57 places in the natural parks of 17 cities and provinces. For collecting soil colors unique to a region, the paper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topsoil distributed most widely in natural parks safe from the inflow of outside soil. The spectrophotometric valu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five regions: the central region, the Chungcheong region, the Gyeongnam region, the Honam region and Jeju.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colors of Korean soils were concentrated in 10YR∼1Y. The Chungnam region was discovered to have the reddest soil while the Gyeongbuk region has yellowish soil. The soil of the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Chungnam, Gyeongnam, and Jeonnam had redder soil than that of any other region. Gyeongsangbuk-do, Jeollabuk-do, and Jeollanam-do had soil with a value of below 4; therefore, the soil became darker as the location moved south. Of note, the soil of the Jeju region was the darkest owing to the influence of volcanic ash. Regarding the average soil color in Korea, for hue the value was 0.5Y and for chroma it was 2.6, which is a mid value and low chroma and which showed dark grey with a yellowish tint.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in hue; however, there appeared obvious change and flow of value and chroma. It is hoped that, while taking these research results as basic data, the natural color and harmony of a region may be analyzed so that a comfortable visual local environment may be created, and furthermore, that this will help in building an identity by region. 본 논문은 한국 지역색을 조사·분석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각 지역별 토양색채를 채취하여 지역별 고유의 토양색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행정체계별 17개 시・도 자연공원의 토양을 대상으로 총 57곳의 토양시료 색채를 조사하였다. 지역고유의 토양색 수집을 위하여 외부토양유입으로부터 안전한 자연공원 내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되어있는 토양의 표토층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역별 채취한 토양샘플을 중부지역 ,충청지역, 경남지역, 호남지역으로 총 5개의 지역으로 나눠 지역별 측색 값을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토양의 색상은 10YR∼1Y 에 집중되어 있고 충남지역이 가장 붉은빛을 띤 토양으로 조사됐고 경북지역이 노란빛을 띈 토양으로 나타났다. 충남, 경남, 전남 등 한반도 남쪽의 토양이 다른 지역보다 붉은 색을 띠고 있었다. 경상북도, 전라북도, 전라남도가 명도 4이하의 토양이 많아 토양은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어두워짐을 알 수 있었고, 그중 제주지역은 화산재의 영향으로 가장 어두웠다. 국내 토양 평균 색채는 색상은 0.5Y 명도는 4, 채도는 2.6의 중명도 저채도의 노란기의 어두운 회색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분석결과 지역별 확연한 색상차이는 없으나 명도, 채도의 변화와 흐름은 분명히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지역의 자연색과 조화를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편안한 지역 환경을 조성하고, 나아가 지역별 아이덴티티 구축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박연선,이지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4
As social structures are changing globally, advanced countries are solving social problems through service design methodology and Korea, too, realized its importance and are gradually expanding the execution. This method of social problem-solving is called public service design, which is the production, operation and administration of tangible or intangible services that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provide the people, and an act increasing the functional, relational and economic values of the public services through service design method. When this thought of design is introduced to the public services, the weight of the use of colors is great in the process of research or the products. For instance, the energy saving project carried out by the Korea’s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conomy has drawn out a successful result by using different colors such as red, yellow and green for energy usages in the bills to induce energy saving through an intuitive evaluation of records. Like this, colors are very intuitively recognized by men, so they have a high efficacy in carrying out service design. This study utilized the color of the design process through the public service is to propose a preferred direction. Thus, this study understood public service design comprehensivel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zed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public service design that used colors as a method of problem-solving . And case analysis and apply the results of ‘Seoul S. Elementary School’s Public Service Design Improvement Project’ was proposed. Like this, utilizing colors in service design for the public has greater ripple effects, and improving the country’s public service through the research related to this will lead to the promotion of the efficacy of social systems and further, the enhancement of the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세계적으로 사회구조가 변화해 감에 따라 선진국을 중심으로 서비스디자인방법론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제해결 방식을 공공서비스디자인이라 하고, 이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에게 제공하는 유·무형의 서비스를 제작, 운영, 관리하는 것으로 서비스디자인방법을 통해 공공서비스의 기능적, 관계적, 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행위이다. 이러한 디자인적 사고를 공공서비스에 도입 시, 색채의 활용은 그 비중이 크다. 예를 들어 국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진행된 에너지 절약 프로젝트의 경우, 직관적 성적평가를 통한 에너지 절감을 유도하기 위하여 에너지사용량을 빨강, 노랑, 초록으로 차등 구별해 고지서에 적용하여 성공적 결과를 이끌어 냈다. 이처럼 색채는 인간에게 매우 직관적으로 인식되어 서비스디자인 진행 시 그 효율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공공서비스디자인 시 색채활용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공서비스디자인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하고, 색채를 해결방안으로 진행한 사례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사례분석 결과를 적용한 ‘서울 S초등학교 공공서비스디자인개선 프로젝트’를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색채를 공공서비스디자인에 활용할 경우 그 파급효과가 더 크고, 이와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국가의 공공서비스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사회시스템의 효율성 증대와 나아가 국민 삶의 만족도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색채감성형용사 연구
박연선,문은배,이지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Local color is a basis for inherent emotion as a distinct color of one local area. It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for landscape resources that has an impact on establishing emotion of local people. However, the systematic data about local color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our country.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such a difficulty, we processed the research about color sensitivity adjective to develop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available to everyone.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draw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that will be used as an internal element when developing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In the research process, we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expert group verification, user group survey and so on to extract more correct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About 260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drawn from the research process enable people to express not only local color image of Korea but also color images in various fields by using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have been developed to elevate the utility of the application by putting the 260 words finally selected to each area by categorizing the color image words into 25 fields to help users in using the application. The final representative adjectives used in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are “pretty, beautiful, active, dynamic, rough, lovely, funny, gorgeous old, heavy, soft, elegant, mild, gentle, modern, comfortable, natural, sophisticated, decent, profound, pure, clean, cheerful, intellectual, authoritative and so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can be used when planning Korean local landscape coloring by amounting it to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Through this, we are expecting to heighten the understanding in expressing the Korean image and color emotion. In addition, we will be able to utilize this in the field of geographical color, architecture, design, art and formative art. However, since the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from the research are drawn to elevate the utility of specific applications, we may need additional research about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for universal use. 지역색은 한 지역의 고유색채로 지역의 고유감성의 근거가 되고 지역사람들의 감성형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경관자원요소이다.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지역색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이러한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누구나 활용 가능한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하여 색채감성형용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내부 구성요소 중 하나로 사용할 색채감성형용사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과정에서는 보다 정확한 색채감성형용사의 추출을 위하여 문헌조사, 전문가집단 검증, 사용자집단 설문등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260개의 색채감성 형용사는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 한국 지역색채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색채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다. 색채감성형용사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색채이미지 언어를 2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최종 선정된 260개의 언어를 각 영역에부여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이려 하였다.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최종 대표 형용사는‘귀여운, 아름다운, 활동적인, 역동적인, 거친, 사랑스러운, 재미있는, 화려한, 오래된, 무거운, 연한, 우아한, 온화한, 중후한, 모던한, 편안한, 자연의, 세련된, 격조있는, 깊이있는, 순수한, 깨끗한, 경쾌한, 이지적인, 권위있는’등이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하여 한국지역의 경관 색채계획 시 활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한국적 이미지와 색채감성을 표현할 때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지리적 색채 연구, 건축디자인 미술 조형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색채감성형용사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다 범용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색채감성형용사에 대한 추가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한 환경색채 연구Ⅰ - 서울시청사 진입경로를 중심으로 -
박연선,손동승 한국색채디자인학회 2006 한국색채디자인학 연구 Vol.2 No.4
Meaning or the power of influence with country image re-intensified by shared information and spreading following advance and change of technology. As country image connect with environment color influence, It makes occur with place of identity, history, culture, geographical feature. Lately new cities are different with site. They have linear and mechanical street but old cities have irregular road and meandering. As a result, the other cities have diversity scene. In spite of some change they have peculiar scene in site accordingly such environment characteristic. In conclusion, this study is for proper image forming of city and country through research on environment color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 of site - from slip road for seoul to Seoul City Hall.
애니메이션의 컬러키 설정을 위한 색채 교육에 관한 연구
박연선,이지은 한국색채디자인학회 2005 한국색채디자인학 연구 Vol.1 No.1
Color is one of the most powerful expressing methods in animation and it has become even more important when the 3D animation showed up. Since then it's importance and need has been emphasized more and more. In order to produce the master peace of animation the perfect color keys are the must. Therefore, studying color key is one of the essential stages in animation producing system. This is study about what students should learn form color the theory, how to choose color in pre production stage and fix the color in production stage. This study is to help the animation students in creating their project effectively by taking this color course as well as to assist them working in the professional field as directors, art directors and animation color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