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 Study on Iconic Animation based on Object Modeling Technique

        Joung, Suck-Tae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2008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 Vol.6 No.3

        We propose the iconic animation of the software requirement specifications by using the object and dynamic models of the object modeling technique(OMT) methodology. In order to produce the iconic animation, we use "graphical classes" and "icon transformations." In general, the graphical classes are defined for each class of the object diagram. The icon transformations which show the activities of the application are constructed by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activities and are defined by either basic or compound icons. The icon transformations are added to the state diagrams to generate extended state diagrams. The animation system generates the header files and the code instantiating GUI from the object diagram having graphical classes. The system also generates "event methods" from the extended state diagrams. When the event methods are executed, the behavior of the events is animated by the icon transformations.

      • KCI등재

        퍼즐 맞추기 -김기덕 영화의 도상(해석)학적 이해를 위한 분석-

        김소연 대중서사학회 2010 대중서사연구 Vol.- No.24

        Until now, Kim, Ki-duk’s films have attracted international attentions to their sensational and violent aspects as well as to their pictorial images. Nonetheless, those pictorial images have been hardly analyzed with synthetic and systematic approaches. I tried to enlighten that so-called "the Kim, Ki-duk system" has been constructed based on a delicate and discreet semanticmapping of iconic images,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Erwin Panofsky’s iconographical analysis. Even though the iconographical images in Kim, Ki-duk’s films seem randomly intertwined in a complex and incidental way,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colors, natural materials and animals. The three groups have their own subcategories which appear in many of his films repetitively: blue, red, white and black; soil, metal, water and air tortoise, snake, fish, bird, butterfly and human. What these icons signify is based on the contexts where they are located, in short, in a dialectic way. For example, the image of water, which has been indicated as the most important image in Kim’s films, can be contained in a fish tank or can flow freely to a river or an ocean the image of metal can become a handcuff or a birdcage or can become a mobile means of transportation like a motorbike or an airplan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note the way Kim’s films privilege human heads and hands as the representations of human being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anks to the iconographical analysis, the notorious ambiguity of Kim’s films can be cleared and spectators can realize how determined the will-to-be liberated in Kim, Ki-duk system is.

      • KCI등재

        言語類型論의 관점에서 본 韓·日 修飾的 所有構文에 대한 대조 연구

        김희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3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ad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in Korean and Japanese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typology. Both languages belong to the dependent-marked language type according to linguistic typology. In terms of synchrony, a morphosyntactic difference due to the separability of Pr-Pe’s relations is not observed in Korean. In Japanese, however, ‘ga’ appears only in inalienable possessive expression, compared to the unmarked marker, ‘no.’ As such, a morphosyntactic difference exists. In addition, ‘Pr∅Pe’ in Korean and ‘∅Pe’ in Japanese can be understood as ‘structural tightness.’ This is one of the linguistic typological features of ad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which can be explained using the principle of grammatical iconicity. With ad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in the ‘Pe-Pr’ order, both Korean and Japanese have the form ‘modifier + Pe + possessive marker + Pr’ when referring to the possession of a body part, abstract possession of animate Pr, inalienable possession of an inanimate Pr, as well as abstract possession of an abstract Pr. However, in Japanese, such combination can also be used when expressing the possession of the clothes Pr is wearing. It is presumed Japanese shows a more productive pattern in the inverse ad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Japanese has a nominal-oriented structure, while Korean has a verbal-oriented structure. 김희성, 2022,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한·일 수식적 소유구문에 대한 대조 연구, 어문연구, 195 : 35~75 본 연구에서는 언어유형론적으로 종속부 표시형 언어에 속하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수식적 소유구문을 대조, 분석해 보았다. 공시적으로 보았을 때 한국어는 소유관계의 분리가능성에 의한 형태·통사상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나 일본어는 ‘が(ga)’가 분리불가능한 소유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무표적인 ‘の(no)’와 비교하여 형태·통사상의 차이가 있다. 또한 한국어의 ‘Pr ∅ Pe’와 일본어의 ‘∅Pe’를 수식적 소유구문의 언어유형론적 특징 가운데 하나인 ‘구조적 긴밀성’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문법 도상성의 관점에서 설명 가능하다. 한편 소유물-소유주 어순의 수식적 소유구문의 경우 한국어와 일본어 모두 신체 부분 소유, 유정물 소유주의 추상물 소유, 무정물 소유주의 분리불가능한 소유, 추상적 소유주의 추상물 소유에서 ‘수식요소+Pe+소유표지+Pr’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일본어에서는 착용 중인 의류의 소유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역순의 수식적 소유구문에서 일본어가 보다 생산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은 한국어가 동사지향의 표현구조의 언어임에 비해 일본어는 명사지향 표현구조의 언어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 KCI등재후보

        다양한 초등학교 감상그림악보 개발

        임미경 ( Mik Yung Rim ),이상완 ( Sang Wa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감상곡의 음악요소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그림악보를 개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3, 4 학년의 음악교과서에 제시된 서양음악 감상 관련 그림 자료를 모두 검토하여 적절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감상그림악보와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하여 초등학교 감상곡의 그림악보를 제작할 때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감상그림악보를 조사한 후 주제그림악보, 주제막대악보, 번호도표, 감상맵, 동영상 악보들을 추출하였다. 초등학교 3, 4 학년 서양음악 감상곡에 제시된 주요 음악요소를 선정하고 그 음악요소를 쉽게 표현할 수 있는 감상그림악보를 제작하여 12 개의 감상곡 모두를 그림악보로 개발하였다. 감상곡의 주제선율을 익히는 것이 우선일 때에는 주제그림악보, 주제막대악보, 동영상 악보들을 사용하였고 감상곡의 전체적인 구조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할 때에는 번호도표나 감상맵을 활용하였다. 감상그림악보에 표현된 음악요소를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 지 그 방법도 모두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arious iconic scores which can be easily grasp the music elements in the elementary listening examples. After examining the iconic materials presented in the listening examples of the third and fourth music textbooks, the researchers suggested the better ideas for the improper part of the iconic materials. Reviewing of the related literatures dealing with the iconic scores of listening and investigating of several kinds of iconic scor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music listening led the researchers choose a thematic iconic score, a thematic bar score, a call chart, a listening map, and an animated iconic score. After analyzing of main music elements of Western music examples listed in the third and fourth music textbooks, the researchers developed listening iconic scores of all of the Western music examples which expressed the music elements. The thematic iconic score, the thematic bar score, and the animated iconic score were fit to understand the theme of the listening example. The call chart and the listening map were appropriated to grasp the whole structure of the listening example. Teaching strategies of the music elements represented in the iconic scores were devised and presented in the paper.

      • KCI등재

        애니메이션 <라바>의 글로벌 성공요인 분석

        오동일(Dong Il Oh)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6 애니메이션연구 Vol.12 No.2

        디지털 시대가 가져온 소통의 혁신적인 환경은 문화콘텐츠산업 분야의 전 세계적인 활발한 교류를 이끌어내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은 산업적 점유율 면에서도 타 산업분야를 압도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선진국가에서는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애니메이션산업은 캐릭터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산업적인 가치와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국내 순수 창작 애니메이션 <라바(Lava)> 시리즈의 성공은 크게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라바>의 성공 요인은 문화적 장벽을 뛰어 넘어 전 세계 관객이 쉽게 이해하고 읽어낼 수 있는 비언어적 소통에서 찾을 수 있다. 실제로, <라바>는 비언어적 소통을 중심으로 한 의미작용을 추구함으로써 다른 문화권의 관객이 작품에 내재된 가치를 감소시키는 ‘문화적 할인’의 폭이 크지 않다. <라바>에서 보이는 비언어적 소통의 유형은 ‘도상’, ‘지표’, ‘상징’의 관점에서 접근될 수 있으며, 비언어적 표현들의 직관적인 이해와 해석을 통해 관객과의 의미작용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라바>의 비언어적 소통 유형에 대한 연구 성과는 국내 애니메이션 작품의 세계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 방식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innovative communication environment brought about by the digital era is stimulating active exchanges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round the world.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growing steadily, overwhelming other industries in terms of industrial share. Consequently,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being spotlighted as an important growth engine in advanced nations. Furthermore, the animation industry is creating add values through interconnection with the character industry, thereby receiving recognition for their industrial value and importance. In this stream of the times, the success of the Lava series which is a creative animation that has been produced in Korea is a highly remarkable achievement. The success factor can be found i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that allows audiences around the world to easily understand and read beyond cultural barriers. In fact, Lava has a very small ‘cultural discount’, which refers to the reduction of intrinsic value of a work for the audiences of other cultural areas, because it pursues signification around nonverbal communication. The typ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Lava can be approached from the aspects of ‘icon’, ‘index’, and ‘symbol.’ It effectively draws signification with the audience through the intuitiv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nonverbal expressions. In this res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type of Lava have practical values because they can be sufficiently utilized as a strategic approach for the globalization of domestic animation works.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Balance>에 나타난 도상 기호에 관한 연구 -어윈 파노프스키의 Iconology를 중심으로

        김윤경 ( Yunkyung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0 예술과 미디어 Vol.9 No.1

        애니메이션에서 이미지와 스타일은 단순히 시각 이 미지의 표현이 아닌, 도상 기호를 통해 의미 작용을 확장시켜 가는 시각커뮤니케이션이다. 이러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애니메이션에 표출된 시각적, 문화적 요소의 분석은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이미지와 스타일이 단순히 미학적 메커니즘이 아닌 새로운 스타일을 이끌어가는 문화코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어윈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의 개념을 들어 애니메이션 <Balance>의 분석을 시도 하면서 애니메이션이 나타내고 있는 도상 기호들을 연구하였다. The image and style in animation not just an expression of a visual image but visual communication that expands the action of meaning through the icon sign. The analysis of a visual and cultural factor suggests that the image and style in animation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as a cultural mode leading to new styles not merely as an aesthetic mechanism. The study there with analyzed animation <Balance> systematically to discern where the icon sign shows up in animation under the concept of Erwin Panofsky`s Iconology.

      • KCI등재

        불교 조형물에 구현된 동물화생도생 고찰

        이해주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6 No.-

        이 글은 인도불교문화에서 초기 스투파 건축 장엄에 등장하는 다양한 동물화생도상이 간다라불교문화의 스투파 불전부조 장엄에 그다지 나타나지 않는 배경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했다. 먼저 인도와 간다라 불교조형물에 구현된 동물화생상의 유형을 검토했는데, 인도의 경우 건축 장엄에 동물화생상이 매우 활발하게 장엄된 가운데, 특히 마카라가 선호되었다. 간다라의 경우 동물화생상이 그다지 나타나지 않았지만 보살상 장신구에 주로 케토스 도상이 나타난다. 인도에서 활기차게 조각된 동물화생도상을 간다라에서 찾아볼 수 없는 이유를 인도에서 초기 스투파가 건립되었던 시점과 간다라에서 불전부도가 유행한 시점에서 찾았다. 인도 불교조형물에장엄된 마카라를 첫째, 무불상시대의 소산으로 본생담에서 중생을 구제하는 붓다의 위대한 힘의 상징이자 방편으로 보았다. 둘째, 비슈누의 배꼽에서 피어난 연꽃에서 탄생한 브라흐마가 등장하는 인도의 신화적 사고가본생담과 결합되어 나타난 도상으로 파악했다. 특히 꽃줄을 토하는 마카라 도상은 무불상시대 붓다의 설법을신비롭게 표현한 모티프로 해석했다. 인도의 마카라가 무불상 시대 붓다의 상징이라면, 간다라의 케토스는 불상 성립 이후 불전부조에 채택된 모티프이다. 화장명 부조에서 볼 수 있듯 간다라는 그리스 문화권역이자 케토스에 대한 선호가 특별한 지역이었다. 실제 케토스는 화장명의 여타 그리스 기원 모티프와 달리 불상 성립이후 간다라 불전부조에까지 등장하는 연속성을 담지하는 모티브이다. 그러므로 간다라의 불교조형물에 투영된 기왕의 그리스풍 문화 – 사원 건축에 반영된 그리스식 주두와 기둥양식, 불보살상에 투영된 서구적인 마스크와 옷 주름 등 – 는 마카라에 상응하는 모티프로서 케토스를 도입케 한 배경이라 할 수 있다. 아시아의 교차로에 위치하는 간다라의 지리적 특징이 낳은 이러한 이종교배적인 문화양상은 그들 자신이 여러 민족 간의 혼인으로 태어났을 그 지역사람들에게 효과적인 포교수단으로 어필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불교조형물에장엄된 동물화생 도상의 의의는 불교와 민간수용의 결합 양상(마카라)이라는 점, 불교와 그리스 문화 교류의소산(케토스)이라는 데서 찾을 수 있다. This text was set off from a question on the unknown backgrounds of the rare appearance of various transforming animal icons, those which appear frequently on the early stupa ornaments, in the ornamental relief depicting Buddha‘s life on Gandhara stupas. First, the types of transforming animal icons found on Buddhist sculptures in India and Gandhara weer examined, and for India, transforming animal icons were used frequently as ornaments while makara was particularly preferred. For Gandhara, transforming animal icons were rarely found but, ketos icon is found on many bodhisattva statues. The reason why transforming animal icons, those which are used frequently in India, appear rarely in Gandhara was found from the time when the early stupas in India were built and the time when pagodas in Buddhist temples became popular. The makara on Indian Buddhist sculptures were: firstly, viewed as a symbol and an expedient of the great power of Buddha salvaging the mankind; and secondly, understood as an icon created by combining the mythical idea of India, in which Brahma born from the lotus flower that bloomed on the navel of Visnu, with the Jataka tales. The makara icon that brings up a stem of flowers, in particular, was interpreted as a motif expressing the preaching of Buddha during the pre-iconic phase. While makara is the symbol of Buddha during the pre-iconic phase, ketos is a motif that was adopted on the ornamental relief depicting Buddha’s life after the pre-iconic phase. It is thought that the greek elements in Gandhara Buddhist art such as the greek capitals and columns in temples and the Westernized masks and drapes on bodhisattva statues had caused the introduction of ketos as a motif equivalent to makara in India. Such hybridism of cultures caused by the geographical background of Gandhara that stands on the crossroad of Asia is thought to have been an effective means of propagation for the locals with multiethnic backgrounds. The significance of transforming animal icons on Buddhist sculptures lies in the point that they are created as a combination of Buddhism and public acceptance(makara) and that they are the product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Buddhists and greeks(ketos).

      • KCI등재

        Onomatopoeia and Universality of Sound Symbolism:A Phonological Comparison between Animal Sounds in Korean and English

        김우정 대한영어영문학회 2024 영어영문학연구 Vol.50 No.2

        In contrast to the mainstream arbitrariness of sound-meaning relationships in modern linguistics, sound symbolism manifests a direct resemblance between sign and referent. Cross-linguistic observations have indicated that onomatopoeia, the direct representations of natural sounds in an iconic way, are spread worldwide and may provide a scaffolding mechanism for children in the early stages of language acquisition. Focusing on the universality and language-specific idiosyncrasy of sound symbolism in onomatopoeic forms,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animal sounds in Korean and English.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articulatory criteria is performed to describe the features of consonants and vowels in onomatopoeic words. The results suggest that even though the onomatopoeic animal sounds of Korean and English manifest themselv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phonotactics and phonological systems, these highly dissimilar languages with distinct phoneme inventories employ conventionalized forms that bear certain phonetic similarities. Both demonstrate similar patterns in the distributions of segments and share analogous representations for animal sounds to some extent. Along with cross-lingual phonological alikeness, sound symbolic correspondences between sound and size are observed in the animal sounds of both languages. Such findings support the universality of iconic links and sound symbolism in language. (Korea University)

      • KCI등재

        A study on the figurative art expression reflect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animal companion and the inner self

        Lee,Hee-Young,Cho,Myung-Shi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2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대상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을 수 있는데, 첫 째가 바로 우리와 같은 사람이고 그 중에서도 아리따운 여성과 귀여운 아기들이다. 그 다음 순위가 바로 인간의 동반자로 자리매김한 개과 동물이다. 이는 광고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3B법칙(미인 Beauty, 아기 Baby, 동물 Beast - 긍정적인 이미지 덕분에 광고나 선거에서 많이 사용)인데, 이러한 관계는 미술사에서도 오랜 기간 표현되고 있다. 인간과 함께 1만년 이상의 역사를 살아 온 개는 사냥의 임무이자, 목동의 양 떼를 지키거나 농부의 집과 재산을 지키는 임무를 지녔던 인간의 조력자에서, 동반자로서 반려동물이라는 주요한 역할과 함께 현대 도시 문화 안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이처럼 개는 유목과 목축, 시골과 도시 생활 등 여러 가지 상황에 끊임없이 적응해왔는데, 이 논문은 인간과 반려동물이 맺고 있는 밀접한 관계를 수많은 예술가들의 손을 거쳐 나타난 개와 강아지의 다양한 도상들을 통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여기서 반려동물이라는 뜻은 사람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companion animal)이라는 뜻인데, 서로가 도움을 주는 일방통행이 아닌 왕복의 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필자는 각 시대별로 생존을 위한 가장 훌륭한 사냥꾼의 모습부터, 왕실의 품격으로 우대 받았던 모습, 그리고 기쁨을 선사하며 현대인들에게 일상의 행복감을 전하는 마스코트와 같은 모습을 개, 강아지의 시각적 신호인 ‘표정’이라는 논의로 담론화 해보고자 한다. 20세기에 들어서는 종종 스크린과 대중매체의 영향을 받아왔는데, 비글, 달마티안이 유행한 시기에는 <피너츠>의 주인공 스누피와 영화 <101 달마티안>이 영화관과 텔레비전에서 성공을 거둔 때와 일치한다. 이런 주인공들은 관객들로 하여금 절로 행복감에 젖어들게 하는데, 이처럼 현대 형상 예술에서도 작가와 독자 간의 소통으로 이루어진 개, 강아지의 도상을 통하여 인간과 개가 나눈 끈끈하고 오랜 우정을 다시 확인해 보고, 각박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심리적 안정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희망해본다. 따라서 인간과 개의 교감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 논문이 새로운 텍스트로 거듭나고 향후 개와 인간과의 여정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target stimulating human"s sensitivity can include several things; the first is human like us including beautiful women and cute babies. The next ranking is the dog animal that established itself as a human"s companion. It is the 3B law26)(beauty, baby, beast - much used in the ad or election due to the positive image) that is widely used in the advertising. This relationship is being expressed in the art history for a long time. Dogs that have lived a history more than 10 thousand years with humans hunted, protected flock of sheep, and kept the farmer"s house and property. They have been human"s assistants and companion who entered into the modern urban culture. Like this, dogs have adapted to several situations endlessly such as the nomadic life, farming, country life, and urban life. This paper will explore the close relationship of humans and companion animals through various icons of dogs and pups that appeared through a number of artists" skills. The companion animal means an animal that lives with people, which means the relationship of round-trip rather than the one-way relation those each other gives a help. Therefore, there artist tries to examine the figure of great hunter for survival, highly evaluated figure as the royal dignity, and the mascot-like figure delivering the daily happiness to modern people as presenting joy through a discussion of the "countenance", a visual signal of the dogs and pups. They have been influenced by screen and popular media in 20C. Snoopy, a main character of <Peanuts> and the movie <101 Dalmatians> made a success on the theater and television when Beagle and Dalmatian were prevalent. These main characters make audience feel happy involuntarily. Like this, the continuous and old friendship of the human and dogs will be confirmed again through the icon of dogs and pups consisting of the communication of artists and readers in the modern shape art, and it is hoped to be a psychological stabilizing effect to modern people living in the intense modern socie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is study paper will be reborn as a new text and be expanded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journey of dogs and human in the future in investigating the communion of dogs and human.

      • KCI등재후보

        서울시 홍보용 동물캐릭터 ‘해치'의 상징성 분석

        이화자(Lee Hwa-Ja)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7

        현대에 와서 동물캐릭터의 도상적 상징성은 자의로 만들어져 사회적 약속에 의해 기호작용을 하게 되었고, 공공기관이나 기업을 상징하기 위해 동물캐릭터는 심벌로 만들어져 적극 활용되고 있다. 오늘날은 이 환영의 동물캐릭터들이 중요한 아이콘으로 작용하고 있고, 상품개발자는 세속적인 동물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학사에서의 ‘상징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며, 동물캐릭터의 시작이었던 애니메이션과 동물캐릭터의 접목을 통해서 살펴본 매체 발달에 의한 현대 동물캐릭터의 응용을 기술한다. 그리고 기업 및 공공기관 홍보용 동물캐릭터의 활용 사례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서울시의 동물캐릭터 ‘해치’의 상징성을 분석한다. In modern days, the iconic symbolicity of animal characters functions as a sign by the social promise after being made with voluntary intentions. Representing a public organization or corporation, an animal character is put to active use as a symbol. Today illusionary animal characters serve as important icons, and product developers incessantly put out animal content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applications of animal characters in modern times according to media development by integrating animal characters into animation, which was the beginning of animal character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ymbolicity" in the aesthetics history. It also analyzed the symbolicity of "Haechi," which is Seoul's animal character and one of the good examples of utilization of a promotional animal character by a corporation or public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