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의 여행경로에 따른 탐방특성 및 만족도 분석

        심규원,장진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8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basic materials useful for the visiting management policies’ establishment of national park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visit to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ccording to travel routes. For this, a total of 671 visitors to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were recruited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hree times in spring, summer, and fall from March to November 2017.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s visitors were survey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bout visitor characteristics (ex: motivation of visiting, travel routes, travel time, and participating activities, etc.) and satisfaction (ex: satisfaction with the visit, intention to revisit, and intention to recommend).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samples t-test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motivation of visiting, those who visited only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 single destination) showed a mean valu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level in health improvement and vacation, relaxation, and healing compared to those who had visited or would visit other places along with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multi-destinations). Single destination visitors spent less time traveling from home to national park than multi-destinations visitors. Those who visited only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s a single destination) showed a mean value statistically high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significance in providing basic materials to develop efficient park management policies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visitors.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여행경로에 따른 탐방특성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해 국립공원 탐방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한려해상국립공원을 방문한탐방객 총 671명이고, 현장조사 기간은 2017년 3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봄, 여름, 가을 3차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주요내용은 탐방특성(방문동기, 여행경로, 탐방 소요시간, 참여활동 등)과 만족도(탐방 만족도, 재방문의향, 추천의향) 등이며,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려해상국립공원만 방문하는 단일목적지의 탐방객이 한려해상국립공원 이외에 다른 여행 목적지가 있는 다목적지의 탐방객보다 방문동기 중 건강증진, 휴양·휴식·치유를 위한 동기 항목에서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에서 국립공원까지 오는데 소요된 시간은 단일목적지 방문객이 다목적지 방문객 보다 소요시간이 적게 나타났다. 한려해상국립공원만을 방문한 단일목적지 탐방객의 탐방 후 만족도 평균값은 다목적지의 탐방객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재방문의향 및 추천 의향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원관리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태안해안국립공원 및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생육하는 해초류의 분포 및 생육환경 특성 연구

        이규성(Gyu-sung Lee),오선관(Sun-kwan Oh),홍성원(Seung-won Hong),정주학(Joo-hak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11 국립공원연구지 Vol.2 No.1

        태안해안국립공원과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생육하는 해초류의 분포와 생육환경을 14개 지역에서 조사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는 거머리말과 새우말 2종이 출현하였으며,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는 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 수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 4종이 출현하였다. 조사대상인 두개의 국립공원에서는 거머리말이 가장 우점종으로 분포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에는 소규모의 초지와 패치 형태로 생육하였으나,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출현한 해초는 초지형태로 대부분 생육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거머리말과 새우말은 조간대에서 출현하였다. 새우말은 조간대 암반의 조수웅덩이에 생육하였으며, 다른 해초류들은 사질, 사니질, 니사질에서 생육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거머리말, 수거머리말과 포기거머리말은 조하대에서 출현하였으며, 애기거머리말은 조간대에 생육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4개 해초지에서는 총 16종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출현하였으며, 한려해상국립공원의 5개 해초지에서는 총 22종이 출현하였다.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seagrasses were investigated in the 14 sites of Hallyeohaesang and Taeanhaean National Park. Zostera caespitosa, Zostera caulescens, Zostera japonica, Zostera marina were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Zostera marina, Phyllospadix iwatensi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Zostera marina was the dominant species among the surveyed sites. The most common habitat type was bed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whereas bed and patch type were comm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Zostera caespitosa, Zostera caulescens, Zostera marina were located in subtidal areas and Zostera japonica was located in intertidal areas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Zostera marina and Phyllospadix iwatensis were in intertidal area in Taeanhaean National Park. Phyllospadix iwatensis was in rocky tidal pool and other seagrasses were in sand, muddy sand and sandy mud. In the benthos survey of seagrass habitat, 22 species were surveyed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16 specie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 KCI등재

        국립공원 구역 해제가 지가변동률에 미치는 영향

        김세혁(Kim, Se-Hyuk),심규원(Sim, Gyu-Won),한상열(Han, Sang-Yoel),김태균(Kim, Tae-Kyu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공원 구역의 해제가 공시지가 변동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2010년 국립공원 구역 해제가 된 곳은 총 542지역(마을)인데, 그 중 한려해상국립공원 두모지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두모지역의 공시지가 변동률을 지목종류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하여 해제, 유지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고, 2006년에서 2015년까지 총 10년간의 공시지가를 조사하여 이중차분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지목전체의 공시지가 변동률의 평균은 해제가 유지 보다 3.39% 더 높았다. 또한 이중차분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국립공원 구역 해제가 공시지가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influence of release of The National Park area on fluctuation rate of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542 villages were released in 2010, this case is focused on Dumo village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 difference in differences estimator(DID) model was estimated using 10 years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s from 2006 to 2015. The average fluctuation rate of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s in released region is 3.39% higher than that in maintained region. The result of difference in differences estimator model shows that the release of The National Park area increased land price.

      • KCI등재

        한려해상국립공원 히어리군락의 생육환경 분석

        신승호,김종섭,김종명,서동진,강희곤,김민규,조계중,구철현,박은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5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특별보호구로 지정된 히어리군락의 생육상태와 향후 자생지의 지속적인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분석하였다. 히어리군락은 계곡부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암 및 자갈 노출도가 60%이상으로 식피율이 낮게 나타났고 계곡범람으로 조사구의 훼손과 교란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히어리군락의 교목층은 졸참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였으며, 아교목층은 히어리, 당단풍, 사람주나무, 편백, 산딸나무가 우점하였다. 관목층은 작살나무, 청미래덩굴 등이 우점하였으며, 초본층은 애기나리 등이 우점하였다. 계곡부에 위치한 히어리군락의 3년동안(2008∼2010년) 생육기인 5∼9월의 강수량 및 강우일수는 점차 증가하여 침식 및 훼손 등의 교란가능성이 높았으며 히어리가 주로 수광량이 높은 계곡부에 분포함으로서 성숙된 종자의 산포가 토양층이 얕은 계곡으로 분산되어 유묘 발생에 의한 개체군 증가가 빈약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data for the maintenance of the Corylopsis coreana community with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urvey site of Corylopsis coreana community was located at a valley, which composed of over 60% exposed rock. As this result, much of the species was damaged or washed away due to the water flow from rainfall. The tree layers dominant species were Quercus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while the subtree layers dominant species were Corylopsis coreana, Acer pseudosieboldianum, Sapium japonicum, Chamaecyparis obtusa and Cornus kousa etc. The shrub layers dominant species were Callicarpa japonica and Smilax china etc., and herbaceous layers dominant species were Disporum smilacinum etc. Increased precipitation and rainfall days were observed from May to September in this valley during 2008∼2010, which likely increased soil erosion and damage. Because water flow pattern was dispersed the Corylopsis coreana seed and the soil floor was shallow, and population of Corylopsis coreana seedlings were diminished.

      • KCI등재후보

        Vascular plants of Namhae-gun area (Namhae Bridge and Sangju⋅ Geumsan district)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장영종,서율희,조원범,소순구,이은도,AMARSANAA GANTSETSEG,한은경,이정현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24 국립공원연구지 Vol.15 No.1

        This study surveyed vascular plants in the Namhae-gun area (Namhae Bridge and Sangju ‧ Geumsan District)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Five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between April and October, 2020. The identified vascular plants comprised 303 taxa, including 98 families, 218 genera, 277 species, three subspecies, and 23 varieties. Twelve taxa of endemic Korean plants were investigated, including Asarum maculatum Nakai and Hosta jonesii M. G. Chung. Peucedanum hakuunense Nakai, designated according to the IUCN Red List Category as near threatened (NT), was also identified. Sixteen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comprised 5 taxa of IV degree and 11 taxa of III degree. Alien plants were recorded in 20 taxa, resulting in naturalization and urbanization indices of 6.6% and 6.2%, respectively. Additionally, two taxa of ecosystem-disturbing plants,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Humulus japonicus Siebold and Zucc., were investigated.

      • 연안생태축 관리를 위한 생태계 건강성 평가시스템 개발 : 한려해상국립공원 남 해대교지구를 사례로

        서종철,서총현,이승찬,박은희,김현선,홍기성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23 地理學論叢 Vol.69 No.-

        해양생태축의 하나인 국립공원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생태계 건강성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하고자 했다. 대상지의 생태적 기능을 부양하거나 생태적 기능에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기 위해 무기환경, 생물환경, 인문·사회환경 3개 분야에서 9개 항목에 19개 지표를 선정하였다. 남해대교 전체의 생태계건강성 평가등급은 3등급으로 완충연안에 속했다. 8개 갯벌 중에서 생태계건강성이 가장 높은 곳은 2등급인 관음포 1개소였고, 월차 갯벌을 비롯한 6개소는 3등급으로 나타났으며, 갈화 갯벌은 집중관리연안에 해당하는 4등급으로 가장 등급이 낮았다. 이 평가에 활용된 지표들은 간단한 현장조사와 자료 조사만으로도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료가 부족한 현장에서 적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서식지의 특성이 뚜렷하게 다른 지역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ecosystem health assessment system for coastal ecological axis management on Korea National Parks. And the developed assessment system was applied to Hallyeohaesang N.P. Value Indices were selected the 19 with physical, biological and humanites and social environment. Among the 8 sites, 2nd grade was appeared at 1 site (Gwaneumpo), 4th grade at 1 site (Galwha) and 3rd grade at the other 6 sites. The purpose of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 national parks is to develop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and long term trends in the composition, structure and function of park ecosystems, and to determine how well current management practices are sustaining those ecosys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reflect in the park conservation and polices.

      • KCI등재

        한려해상국립공원 지형・지질경관 자원의 분포와 관리방안-동부 지구를 중심으로-

        신재열(Shin, Jae Ryul),홍영민(Hong, Yeong Min),추창오(Choo, Chang Oh),이진국(Lee, Jin Kook) 한국지역지리학회 202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지구를 대상으로 보전 가치가 높은 지형・지질경관 자원을 발굴 및 조사하고 분포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동부 지구의 특성에 적합하고 유용한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지역의 대표적인 지형・지질경관 자원은 신선대 일대에서 관찰된다. 신선대 일대에서는 다양한 지질 구조들과 공룡발자국 및 새발자국 화석이 분포하고 있어 교육적 활용도가 매우 뛰어나며 다양한 지형 자원들이 위치하고 있어 경관적 다양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를 활용한 탐방 프로그램 개발은 관광지로서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지구의 저변 확대와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며, 지형・지질경관 자원을 보존・관리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효과적이다. 더불어 지역공동체의 소득 향상을 촉진하여 지형・지질경관 자원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관심과 책임을 고취시킴으로써 공원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the eastern district of Hallyeohaesang Marine National Park. Based on this we also propose a management plans that are suitable and useful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district. In the study area, the most representativ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resources are observed in the Sinseondae area. The various geological structures and fossils of dinosaur and bird footprint around the Sinseondae area are educationally available, and many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form a beautiful landscape and scenic diversty. The development of exploration programs utilizing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resources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eastern area of Hallyeo Marine National Park as a tourist destination and also very effective in preserving and managing resources.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the efficiency of park management.

      • KCI등재후보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해금강 지구에 도래하는 아비과(Gaviidae) 조류 도래현황 및 해양환경인자 상관성 분석

        김재훈(Jae-Hoon Kim),홍길표(Gil-Pyo Hong),황보연(Bo-Yeon Hwang)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거제도 연안의 아비류 도래지는 국내 유일의 아비류 대규모 월동지로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해금강지구에 위치해 있다. 해마다 12월에서 익년 4~5월까지 거제도 해안을 따라 1,000~2,000개체 이상이 규칙적으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국립공원연구원, 2017), 문화재청은 거제도 연안 아비도래지를 천연기념물 제227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본조사는 아비류 월동현황 파악을 위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차년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조사는 전년도 12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각각 6개월간 진행되었다. 2019년에 월동하는 아비류 군집은 2018년 12월 중순 첫 도래를 기록하였고, 3월 초순에 개체수가 급등하여 4월 초순에 최대개체수(1,027개체)를 기록하였다. 2020년에는 당해연도 1월 초순에 첫 도래를 하였고, 4월 초순에 최대개체수(1,174개체)를 보였다. 2021년에는 1월 중순에 첫 도래를 하였고, 4월 초순에 최대개체수(825개체)를 나타냈다. 최대개체수로 군집된 아비는 서식지로 회귀하게 되므로 첫 도래부터 최대개체수가 나타난 시기의 범위를 대상으로 해양환경인자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2019년은 수온이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2020년은 염분과 기온이 유의하였으며 2021년은 유의한 값이 없었다. 3년 간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수온, 기온, 풍속이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2019년과 2021년은 회귀식 전체의 유의성을 판단할 수 없었고, 2020년은 염분, 수온, 용존산소 순으로 유의수준이 나타났다. 3년 간 종합한 데이터에 대한 전체 회귀결과는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지만 해양환경인자별 분석에선 유의한 값을 나타내지 않았다. 2월과 4월에 기록된 최대개체수와 해양환경인자의 분산 동질성을 분석한 결과 수온, 염분, pH, 클로로필-a 모두 최대개체수와의 각 유의한 분산 차이가 있다. The habitat of Gaviidae off the coast of Geoje Island is the only large-scale wintering site for Gaviidae in Korea and is located in the Geoje and Haegeumgang districts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It is known that from December to April of the following year, more than 1,000 to 2,000 individuals regularly overwinter along the coast of Geoje Isl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designated and protected the Gaviidae habitat along the coast of Geoje Island as Natural Monument No. 227. The first arrival was recorded in mid-December of the previous year (2018), and the population surged in early March, and the maximum number (1,027 indiv.) was recorded in early April. In 2020, it first arrived in early January of the year, and the maximum number (1,174 indiv.) was shown in early April. In 2021, it first arrived in mid-January, and the maximum number (825 indiv.) was recorded in early April. Since the Gaviidae clustered in the maximum number of individuals return to their habita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from the first arrival to the range of the period when the maximum number appeared. In 2019, water temperatur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2020, salinity and temperature, and in 2021, there was no significant value. As a result of analyzing three years of data, water temperature,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2019 and 2021, the significance of the entire regression equation could not be determined, and in 2020, salinity,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in the order of significance level. The overall regression result for the three-year data collection showed high significance, but it did not show a significant value in the analysis by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persion homogeneity of the maximum population recorded in February and April and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it can be said that water temperature, salinity, pH, and chlorophyll-a all had significant variance differences from the maximum population.

      • KCI등재후보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팔색조(Pitta brachyura) 분포 현황

        권영수(Young-Soo Kwon),김한진(Han-Jin Kim)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3

        본 연구는 2008-2009년에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학동 동백림에서 서식하는 팔색조 서식현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팔색조는 국제적인 보호종이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II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조사결과 2008년과 2009년에 각각 1개체의 울음소리를 확인하였지만 번식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학동동백림은 1959년에 3개체가 확인된 이래로 지속적으로 소수가 관찰되고 있는 보호지구이다. 앞으로 팔색조 서식지 보호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심을 갖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에 도래하여 서식하는 팔색조의 현황을 파악하여 멸종위기종 보호 및 공원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cited literature of habitat status of Fairy pittas (Pitta brachyura)breeding at Hagdong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Fairy pittas were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08 and 2009, a call of Fairy pitta was identified in Hagdong but breeding nests were not found. Since 1959 (3 individuals identify), Hagdong dongbaekrim was designated as the natural conservation zone. These results will be provided with foundation data for conservation of Fairy pittas.

      • KCI등재후보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조간대 태형동물 분포상

        민범식(Bum Sik Min),양호진(Ho Jin Yang),채현숙(Hyun Sook Chae),노건우(Geon Woo Noh)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의 태형동물 분포 연구를 위해 2019년부터 2020년까지 한려해상국립공원[2019년 7월, 10월 한려해상국립공원(동부), 2020년 5월, 9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연안과 도서지방의 20개 지점으로부터 채집된 재료들을 동정한 결과 총 2강 3목 28과 30속 37종(한려동부: 2강 3목 22과 23속 27종 113군체, 한려: 2강 3목 26과 28속 33종 550군체)이 조사되었다. 지구별 종수로는 통영⋅한산지구 2강 20과 20속 23종, 거제도⋅해금강지구 2강 2목 11과 11속 13종, 사천지구 2강 3목 17과 17속 20종, 남해대교지구 1강 2목 3과 3속 3종, 상주⋅금산지구 2강 3목 23과 24속 26종, 오동도지구 1강 2목14과 14속 15종을 확인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에 서식하는 태형동물의 종 목록을 제시하고, 도판을 작성하였다. 위 결과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태형동물만을 확인한것으로 조하대에 서식하는 태형동물을 추가적으로 조사한다면 더 많은 종수가 포함될 것이다. The intertidal bryozoan fauna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diversity of intertidal bryozoans which were collected from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A total of 37 species, 30 genera, 28 families, 3 orders and 2 classes of intertidal bryozoan were found in 20 locations (Tongyeong, Geoje, Sacheon, Namhae, and Yeosu)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from (July, October) 2019 to (May, September) 2020. Tongyeong⋅Hansan: 23 species, Geoje⋅Haegeumgang: 13 species, Sacheon: 20 species, Namhae: 3 species, Sangju⋅Geumsan: 26 species, Odongdo: 15 species were inhabited by region. The intertidal bryozoan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re provided with distributional data and detailed illustrations here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