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영산강 하구역 저서동물 군집구조의 10년 전후 변화

        임현식,서총현,Lim, Hyun-Sic,Seo, Chong-Hyun 한국해양학회 2011 바다 Vol.16 No.4

        영산강 하구역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의 10년 경과 후의 변동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임과 박(1998)이 1995년 조사한 정점과 동일한 40개 정점에서 2006년 대형저서동물 군집을 조사하였다. 1995년에 비해 2006년에는 출현종수와 평균 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생체량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사한 값을 보였다. 출현종수 감소는 다모류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1995년의 67종이 2006년에는 48종으로 감소하였으나 점유율은 각각 48% 및 43%로서 유사하였다. 연체동물도 31종에서 22종으로 감소하였으나 점유율은 유사하였다. 갑각류와 극피동물 및 기타분류군의 출현종수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밀도는 다모류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연체동물 및 갑각류는 크게 감소된 것이 특징적이었다. 그 밖에 극피동물과 기타분류군은 밀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과 2006년 동시에 가장 우점했던 종은 이매패류인 Theora fragilis였으며, 두 번째로 우점한 종은 다모류인 Tharyx sp.로서 우점 순위는 10여년이 지난 뒤에도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 T. fragilis는 1995년에 평균 1,254 ind./$m^2$였으나, 2006년에는 235 ind./$m^2$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주 분포역은 영산강 하구둑에서부터 목포항에 이르는 지역으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이들 정점에서의 밀도 감소는 현저하였다. 그 대신 다모류인 Tharyx sp.의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점유율도 증가함으로서 T. fragilis가 우점하던 해역이 Tharyx sp.가 우점한 해역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995년에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던 다모류인 Poecilochaetus johnsoni와 이매패류인 Raetellops pulchella는 2006년에 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고하도 서측해역에 우점적으로 분포하던 표층퇴적물식자인 이매패류의 Yoldia johanni는 급격한 밀도 감소와 함께 분포역도 축소되었다. 종 다양도는 2006년에 평균 $1.95{\pm}0.42$로서 1995년 여름철의 $2.08{\pm}0.47$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으며, Rarefaction 방법으로 비교한 결과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반폐쇄적인 하구역에서 나타나는 지속적인 유기물 축적과 퇴적, 그리고 하구역 준설 및 주변의 토목 공사와 같은 인위적인 영향이 우점종들의 분포와 밀도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전체적인 종 다양도 감소를 초래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assess structure changes of marine benthic communities in the Youngsan River Estuarine Bay for this 10-year period, we sampled macrobenthos in 2006 using the van Veen grab at the same 40 stations where a previous benthic community survey was conducted in 1995. The number of species and mean density of macrobenthos in 2006 decreased significantly than those of 199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number and the density of polychaetous species between the two sampling periods, while both number and den-sity of molluscan species decreased significantly. Although the first two density-dominant species, semelid bivalve Theora fragilis and polychaete Tharyx sp. occurred as most dominant species, but the density of T. fragilis decreased significantly in many stations between 1995 and 2006. However, polychaete Tharyx sp. showed increment in density and percentage composition within community. The area dominated by T. fragilis was replaced by Tharyx sp.. Also, polychaete Poecilochaetus johnsoni and bivalve Raetellops pulchella which were pre-dominant in 1995 decreased significantly by 2006. Bivalve Yoldia johanni decreased its density and reduced its distribution area by 2006. Species diversity and rarefaction curves also revealed that overall species richness decreased.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ominant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of macrobenthic communities in the area should be changed due to anthropogenic stresses during 10 years.

      • 연안생태축 관리를 위한 생태계 건강성 평가시스템 개발 : 한려해상국립공원 남 해대교지구를 사례로

        서종철,서총현,이승찬,박은희,김현선,홍기성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23 地理學論叢 Vol.69 No.-

        해양생태축의 하나인 국립공원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생태계 건강성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하고자 했다. 대상지의 생태적 기능을 부양하거나 생태적 기능에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기 위해 무기환경, 생물환경, 인문·사회환경 3개 분야에서 9개 항목에 19개 지표를 선정하였다. 남해대교 전체의 생태계건강성 평가등급은 3등급으로 완충연안에 속했다. 8개 갯벌 중에서 생태계건강성이 가장 높은 곳은 2등급인 관음포 1개소였고, 월차 갯벌을 비롯한 6개소는 3등급으로 나타났으며, 갈화 갯벌은 집중관리연안에 해당하는 4등급으로 가장 등급이 낮았다. 이 평가에 활용된 지표들은 간단한 현장조사와 자료 조사만으로도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료가 부족한 현장에서 적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서식지의 특성이 뚜렷하게 다른 지역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ecosystem health assessment system for coastal ecological axis management on Korea National Parks. And the developed assessment system was applied to Hallyeohaesang N.P. Value Indices were selected the 19 with physical, biological and humanites and social environment. Among the 8 sites, 2nd grade was appeared at 1 site (Gwaneumpo), 4th grade at 1 site (Galwha) and 3rd grade at the other 6 sites. The purpose of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 national parks is to develop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and long term trends in the composition, structure and function of park ecosystems, and to determine how well current management practices are sustaining those ecosys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reflect in the park conservation and polices.

      • 광주기에 따른 참전복의 성장

        이현중,서총현,이상민,박상용,방인철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3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9 No.2

        A 73-days rearing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photoperiod on growth and survival rate of juvenile abalone (Nordotis discus hannai). Survival rate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ifferent photoperiod condition (P>0.05). Growth rates on shell length and shell breadth of 12L/12D, 18L/6D and 24L/0D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P<0.05), but growth on shell length, shell breadth and shell height of 0L/24D group was lower than those of control (P<0.05). Soft body weight and fatness index of abalone reared 24L/0D condition was greater than all of experimental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long photoperiod can improve weight gain of abalone

      • KCI등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조도 암반조간대 하계에 출현한 대형저서무척추동물

        이창일,양세희,강선화,서총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6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of benthic species on the southwest coast, a macrobenthos study was conducted at 18 sites on the islands of Wando and Jodo for seven summers (2014-2021) from June to September. Two hundred and twenty species(645 ind./㎡) were collected on the rocky shores of Wando and Jodo. A similar number of species was observed in Wando (165 species) and Jodo (167 species). The mean density was higher in Wando (726 ind./㎡) than in Jodo (564 ind./㎡). The number of species was the highest at Site 15 (116 species), and the density was highest at Site 7 (1,664 ind/㎡). The dominant species were Nodilittorina radiata with 175 ind./㎡ (27.1%), Littorina brevicula with 97 ind./㎡ (15.1%), and Heminerita japonica with 41 ind./㎡ (6.3%). The climate change indicator species, Tetraclita japonca, appeared in 15 sites, and the endemic species, Ptilohyale bisaeta, appeared in some sites. Fusinus spectrum, which appears on the Red List as a Near Threatened (NT) species, the lowest level of extinction risk, appeared in Jodo. The macrobenthos of Wando and Jodo demonstr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ocky shores in Korea. Based on the tides and substrate, the rocky shores revealed a vertical distribution trend where Nodilittorina radiata, Littorina brevicula, Chthamalus challengeri, and Reishia clavigera were dominant. Wando and Jodo exhibited similar habitat distribution patterns. 서남해안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 조성을 알아보기 위해 완도와 조도 18개 정점의 암반조간대에서 2014년부터 2021년까지 6~9월에 7회 조사하였다. 완도와 조도 암반조간대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은 220종, 645개체/㎡이었다. 종수는 완도 165종, 조도 167종으로 유사하였다. 평균밀도는 완도 726개체/㎡, 조도 564개체/㎡로 완도가 다소 높았다. 종수는 정점 15에서 116종으로 가장 많았고, 밀도는 정점 7에서 1,664개체/㎡로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이 175개체/㎡(27.1%)로 가장 우점하였고, 총알고둥 97개체/㎡(15.1%), 갈고둥은 41개체/㎡(6.3%)순으로 출현하였다. 기후변화지표종인 검은큰따개비가 15개 정점에서 출현하였고, 고유종인 털채찍해조숨이옆새우도 일부 정점에서 출현하였다. 국가적색목록(Red List) 중에 절멸위험(Extinction risk)의 가장 낮은 수준인 준위협의 모난어깨긴뿔고둥이 조도에서 출현하였다. 완도와 조도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은 우리나라 암반조간대 해안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을 보였다. 암반조간대 해안은 조위에 따른 노출 시간과 암반의 기질에 따라 수직적인 분포 경향을 보였으며, 완도와 조도는 좁쌀무늬총알고둥, 총알고둥, 조무래기따개비, 대수리 등 우점하여 서식지 분포 양상이 유사하였다.

      • KCI등재

        사료 공급 횟수가 넙치 치어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상민(Sang Min Lee),서총현(Chong Hyun Seo),조영식(Young Sik Cho) 한국수산과학회 199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2 No.1

        A feed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eding frequency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riplicate groups of the 40 fish averaging 1.6 g were fed the 2 different commercial diets (D-1 and D-2) and moist pellet (MP) contained frozen horse mackerel and commercial binder meal at different feeding frequencies of 4 times daily, 3 times daily, 2 times daily, once a day or once in 2 days. Growth and feed intake of fish were affected by diets and feeding frequencies (P<0.05). Feed intake (% of body wt.) in the all diet group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feeding frequency decreased (P<0.05). Weight gain of fish fed the each diet were increased according to feeding frequency increased,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3 times and 4 times daily (P>0.05). In the same feeding frequency, feed intake and growth of fish fed the moist pellet were tower (P<0.05) than those of commercial diets (D-1 or D-2), probably due to the relatively high moisture content or unbalanced nutrients. Whole body lipid content of fish fed the each diet at once in 2 days was the lowest among feeding frequenc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3 times daily feeding regimen may be more effective than that of 4 times daily and moist pellet in this study will not be used as a practical type of diet for juvenile olive flounder weighing between 1.6g and 4g.

      • KCI등재

        남해안 특정도서 암반조간대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공간분포

        양세희,양효식,이창일,서총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6

        In this study, from August to October 2019, we conducted a survey of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dominant species of macrobenthos on the rocky intertidal zones of 38 specified islands distributed alo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 On the basis of observation made using 50 × 50 cm quadrats, we identified a total of 80 species, among which, Mollusca were the most abundant fauna, with 54 species that accounted for 67.4% of the total, followed by Crustacea with 15 species (18.7%). The recorded numbers of Cnidaria, Porifera, and Echinodermata species ranged from 1 to 6. In terms of the regional patterns of species richness, specified islands in Yeosu were found to be the most species rich, supporting 61 species, whereas islands in Hadong, Namhae, and Chujado were found to have a similar level of species richness, ranging from 42 to 46 species. Islands in Boseong and Goheung were home to the fewest species, with only 29 species being recorded. At the sampling station scale, we noted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faunal richness, ranging from 6 (St. 6) to 33 (St. 20) species. Among the recorded species, Echinolittorina radiata was identified as the dominant species on 15 specified islands, with the next most abundant species being Tetraclita japonica, considered an indicator species of climate change, which was recorded on 11 islands. In terms of frequency, E. radiata, found on 36 islands, was identified a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species, followed by Reishia clavigera (30 islands), Mytilisepta virgata (29), Nerita japonica (28), Ligia. exotica (27), and Littorina brevicula (26). Of the 80 species identified, 9, 4, and 2 species of Mollusca, Crustacea, and Cnidaria, respectively, are classified as Marine fauna of accepted foreign export, whereas 50 are Red List species, 44 are species of Least Concern, 3 are Data Deficient species, and 1 species was not evaluated. However, during the survey, we found no Near Threatened or Not Applicable speci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urvey, it would appear that the abundance and richness of macrobenthic fauna inhabiting the rocky intertidal zones of specified islands alo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 differ according to different habitat conditions,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duration of exposure and the extent and properties of the substr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eline data for futur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specified islands in Korea. 본 연구는 남해안 38개 특정도서의 암반조간대에서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방형구(50x50cm)를 이용하여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와 우점종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정도서에서는 총 80종이 출현하였으며, 연체동물이 54종으로 67.4%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고, 절지동물은 15종(18.7%)이었다. 그 외 자포동물, 해면동물, 극피동물은 1~6종의 범위내에서 출현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여수의 특정도서에서 61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하동, 남해, 추자도 등에서는 각각 42~46종으로 유사하였고, 보성과 고흥은 29종으로 출현종수가 가장 적었다. 정점별 출현종수는 6종(정점 6)~33종(정점 20)의 범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주요 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으로 15개 특정도서에서 우점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검은큰따개비가 11개 특정도서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좁쌀무늬총알고둥은 36개 특정도서에서 출현하여 가장 넓게 분포하였으며, 대수리 30개, 굵은줄격판담치 29개, 갈고둥 28개, 갯강구 27개, 총알고둥 26개의 특정도서에서 출현하였다. 국외반출승인 대상종은 연체동물 9종, 절지동물 4종, 자포동물 2종이며, 국가적색목록은 총 50종으로 관심대상(LC)은 44종, 정보부족(DD) 3종, 미평가(NE), 준위협(NT) 및 미적용(NA)은 각각 1종씩 출현하였다. 남해안 특정도서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지역에 따른 노출시간, 암간 조간대의 길이, 암반기질 등 서식환경 차이에 의한 출현종수와 우점종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특정도서 모니터링과 관리방안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