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86세대와 세대단위로서의 학생운동가 집단: 민주화 30년과 세대효과

        조성대,최상명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7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0 No.33

        Regarding the generation effect of the 86-generation of June-democracy movement in Korea, this paper presents a hypothesis that the generation effect of Maanheim’s theory may be confined to the generation-units, while the generation in actuality is not free from the pressure of life cycle. With survey data drawn from both 86-generation citizens and activists of the National Council of Student Representatives, this paper suggests two major findings. First, the generation effects are conditional depending on variables’ type and traits. Second, confirming our hypothesis, the consistency of generation effects is found in the generation-units, not generation in actuality. 이 글은 86세대의 세대효과와 관련하여 세대효과가 세대단위에 국한된 현상일지 모르며 실제세대는 생애주기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을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이의 검증을 위해 2017년 5월 대선의 유권자 정치의식조사와 과거 전대협활동가들을 대상으로 한 정치의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세대와 세대단위를 구분하고 세대효과를 정당, 이념 및 정책, 정치참여 변수들을 통해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첫째, 86세대의 세대효과는 연령효과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변수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조건적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17년의 대선의 경우 진보적 쟁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진보정당에 대한 호감도와 정책에 대한 평가에서 86세대의 세대효과는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세대인 86세대의 정치 정체성은 연령에 따른 보수화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둘째, 전대협활동가로 정의된 86세대의 세대단위는 여전히 가장 높은 수준의 정치의식과 진보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었고 세대효과는 실제세대보다는 세대단위에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86세대와 세대단위로서의 학생운동가 집단: 민주화 30년과 세대효과

        조성대 ( Cho Sungdai ),최상명 ( Choi Sang Myung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8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33 No.-

        이 글은 86세대의 세대효과와 관련하여 세대효과가 세대단위에 국한된 현상일지 모르며 실제세대는 생애주기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을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이의 검증을 위해 2017년 5월 대선의 유권자 정치의식조사와 과거 전대협활동가들을 대상으로 한 정치의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세대와 세대단위를 구분하고 세대효과를 정당, 이념 및 정책, 정치참여 변수들을 통해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첫째, 86세대의 세대효과는 연령효과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변수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조건적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17년의 대선의 경우 진보적 쟁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진보정당에 대한 호감도와 정책에 대한 평가에서 86세대의 세대효과는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세대인 86세대의 정치 정체성은 연령에 따른 보수화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둘째, 전대협활동가로 정의된 86세대의 세대단위는 여전히 가장 높은 수준의 정치의식과 진보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었고 세대효과는 실제세대보다는 세대단위에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Regarding the generation effect of the 86-generation of June-democracy movement in Korea, this paper presents a hypothesis that the generation effect of Maanheim’s theory may be confined to the generation-units, while the generation in actuality is not free from the pressure of life cycle. With survey data drawn from both 86-generation citizens and activists of the National Council of Student Representatives, this paper suggests two major findings. First, the generation effects are conditional depending on variables’ type and traits. Second, confirming our hypothesis, the consistency of generation effects is found in the generation-units, not generation in actuality.

      • KCI등재

        1950년대 신세대론 연구

        임승빈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ew-generation theory in 1950's and to identify its meaning. It was Park Heon-ho and Kim Yeong-min who studied the New-generation theory in 1950's. They chose carefully the subjects of debate on generation theory and condensed its process pretty well. However they reckoned without the phase or the position of each arguers in the literary circles. Accordingly they summed up the ostensible meaning roughly and they didn't make an in-depth analysis. New-generation theory in our literary circles produced in the late 1930's and in 1950's. New-generation theory in 1950's was closely related to the tradition debate. In this article, first of all, I discuss a debate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Baek Choel and the new generation Jo Yeon-hyeon , New-generation debate around Cheon Sang-byeong's and Lee Bong-rae's works and then conflicts between two generations through the tradition debate between Lee Eo-ryeong and Jo Yeon-hyeon. Finally I renewed the generation discussion in 1950's in the other side by studying the problems of the postwar generation on 1960's through Kim Byeong-ik's and Kim Yun-sik's debates. Cheon Sang-byeong insisted that a strong denial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could make room for the new literature and he suggested the most radical idea among arguers. Lee Bong-rae examined logically new generation's circumstances in the deductive and inductive ways. Lee Eo-ryeong's and Jo Yeon-hyeon's tradition debates progressed the fight of hegemony around its interpretation rather than got at the root of that in theory. It was not appropriate to develop it in this way. And to develop it like that made generation theory and tradition theory triggered. In the meantime, Kim Byeong-ik and Kim Yun-sik discussed the postwar generation. Kim Byeong-ik divided generations in accordance with a person's war experience. Kim Yun-sik distinguished three on the basis of actual attitudes on the war. And he bitterly criticized his generation in the part about the study of man in his generation. 이 연구는 1950년대 신세대론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대 신세대론은 정리한 연구로는 박헌호와 김영민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세대론에 대한 논의를 고르게 취합하여 논의의 전개 과정을 비교적 무리없이 요약해내고 있으나, 개개의 논자들이 처한 문단 내 위상이나 입장에 따른 태도의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표면적 의미를 평면적으로 요약하는 데 그치고, 필자의 의도를 살펴 그 심층적 의미를 밝히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우리 문학사에서 신세대론은 1930년대 후반과 1950년대 두 번에 걸쳐 제기되었다. 1950년대의 신세대론은 전통 논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전개되었다. 이 글에서는 먼저 구세대인 백철과 조연현의 신세대 논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신세대의 신세대 논의를 천상병과 이봉래의 글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어서 이어령과 조연현 사이에 전개된 전통 논의를 통해 신구 세대 간의 갈등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김병익과 김윤식의 논의를 통해 1960년대 전후 세대의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1950년대의 세대 논쟁을 반대 방향에서 재조명해 보았다. 천상병은 기성세대에 대한 강력한 거부와 부정만이 새로운 문학 현실을 열어가는 길이라는 것을 주장하여, 신세대 논자 중에서도 가장 과격한 견해를 제시한다. 이봉래는 신세대 작가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신세대의 실상을 연역적인 차원과 귀납적 차원에서 논리적으로 해명하고 있다. 이어령과 조연현의 전통 논쟁은 전통에 대한 이론적 규명보다는 전통의 해석을 둘러싼 문단의 헤게모니 다툼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결코 바람직하지도 생산적이지도 않은 방향으로 전개되었는데, 당시의 세대론, 전통론이 촉발하게 된 근저의 동기를 드러내고 있다. 한편 전후 세대의 논의는 김병익과 김윤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김병익은 전쟁 체험의 강도로 세대를 구분하고 있으며, 김윤식은 전쟁에 대한 태도를 기준으로 전후 세대의 문학을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자기 세대의 인간 문제 탐구 면에서만 볼 때는 전후 세대보다 철저하지 못한 점을 비판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MZ 세대간 여행상품 유형에 관한 연구

        서헌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24 호텔리조트연구 Vol.23 No.1

        The Statistics Korea reported that 32.5% of the population in 2022 is generation MZ, and their purchasing power is increasing. Also, studies in various fields have been published on generation MZ recentely, but the emergence of studies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M and Z can be seen as a proof of the need to approach generation M and Z separately.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types of overseas travel products purchased by generation M and generation Z, and 400 people from 200 of generation M and 200 of generation Z were respond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from January 6 to 15, 2023. As a result, generation M preferred a packaged travel and generation Z preferred Air-tel travel. On the other hand, the types of travel products that sold only airline tickets and accommodation showed low interest in both generations. Cost-effectiveness was the most considered factor for both generations when selecting overseas travel products. It is tended that generation Z was more faithful to itself and generation M to convenience.

      • KCI등재

        이문화 수용과 수용층의 세대연구 - 한국의 `386`세대와 일본의 "단카이세대`를 중심으로 -

        이현주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7 일본언어문화 Vol.40 No.-

        . Early Korean Wave in Japan as China, Taiwan, Southeast Asia appears to be different. Korean Wave was formed centering mainly the younger generation in China and Taiwan, and Southeast Asia. However, the Japanese women over the age of 40 are at the center of early Korean Wave. This can be described as an unusual phenomenon. Starting in the early Korean Wave is a drama “Huyu No Sonata” aired on Japan’s NHK. “Huyu No Sonata” has a nostalgic feel of his youth to the more than 40 women in Japan. And “Huyu No Sonata” was the intermediary evocative memories for the women. This young generation of Japanese could not relate to. This initial background features the Korean Wave in Japan, there are deep gaps and contemporary relevance of similar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Japan and Korea. In this paper, I noted that in 2004 “Huyu No Sonata” The main audiences ‘Tankai Generation’ or after generation. Japan ‘Tankai generation’ is a bay boomers in Japan after World War II. This Generation built an authentic youth culture in Japan, and a variety of events to influence political, economic, social of Japan. Born in 1960 in South Korea ‘386 generation’ has a similar background and Japan ‘Tankai Generation’. It is the times of the two gaps 20 years of gener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early Korean Wave feature in Japan.

      • KCI등재

        세대론에서의 세대 형성 요인과 상호세대론적 세대 개념의 물음

        박성준 ( Sung-jun Park ) 한국하이데거학회 202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2

        본고는 앞서 수행되었던 상호세대론 연구의 연장선상에 있다. 앞선 연구에서 세대를 언제나 ‘자기 세대’와 ‘타세대’의 상호관계 속에서 논의해야함을 정초로 삼아 기존 세대 연구를 포섭하여 수행할 수 있는 방법론적 세대 구분틀을 마련코자 하였다. 그러나 상호세대론이 세대 연구의 담론으로서 충실히 수행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세대 연구에서 다루어지는 세대 개념을 분석적으로 논의하고, 그 의미를 해석적 연구를 바탕으로 상호세대론에 맞추어 세대개념을 이해하고 정의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세대 개념이 가지는 기능을 분석하여 다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세대 개념을 하나의 이론체계로 정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이다. 본고에서는 상호세대론적 맥락에서 세대 개념을 재정의하기 위해 먼저 사회학적 세대 연구의 기초를 세웠다고 평해지는 칼 만하임의 저서 『세대 문제』에서 세대 연구의 2가지 축과 칼 만하임의 세대 개념을 이해하고, 이후 오늘날 세대 개념을 둘러싼 4 가지 용법과 그에 따른 세대론들을 상호세대론적 관점에서 정리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가 세대 개념을 어떻게 받아들이는 것이 옳은가에 대해 상호세대론적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n extension of the previous research on intergenerational theory. The previous study presented a methodological generational division that could include research on existing generations, based on the fact that generations should always be discussed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one's generation' and 'other generations'. However, for the intergenerational theory to be faithfully carried out as a discourse of generation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nalytically discuss the generation concept handled in the existing generation research.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and define the generation concept in line with the intergenerational theory based on interpretive research. This is a part of basic research to establish the multi-purpose generation concept as a single theoretical system by analyzing the function of the generation concept. In this paper, in order to redefine the concept of generation in the context of intergenerational theory, we first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two axes of generation research and Karl Mannheim's concept of generation in Mannheim's book The Generation Problem, which is said to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sociological generational research. The four usages surrounding the concept of generation today and the resulting generational theories are summariz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generational theory. Based on this, we will discuss how to accept the concept of generation from an intergenerational perspective.

      • KCI등재

        교직사회에서의 세대 차이 및 갈등 인식: 초등교사의 세대 간 상호지각 및 상호평가를 중심으로

        한미영,문경화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3

        This study explored the generation gap and conflict among teachers in the teaching society focusing on mutual perceptions and evaluations between teacher generations. For this purpose, in study 1 we classifi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o the following: 86 generation, X generation, and the MZ generation respectively and examined the degree of mutual perception of each other by generation. Results of survey analysis show that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differences between young MZ generation teachers in their 20s and 30s and 86 generation teachers in their 50s and 60s was noticeable, indicating clear generational boundaries. On the other hand, Generation X, who is in their 40s, is a generation sandwiched between the younger generation of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of 86 generation in terms of psychological distance. In addition, MZ generation teachers tended to perceive that generation differences could be the cause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an 86 or X generation teachers, but overall,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 not have a high perception of teacher conflict in schools. In study 2, through empirical data through FGI, how to evaluate each other between generations and the contents of mutual evaluation between teacher generations were examined in more detail. As a result of the study, each generation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other generation, but in particular, the lower generation, the MZ generation, had a stronger negative perception of the upper generation, the 86 generation. However,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discomfort or conflict felt by the other generation seems to be caused by differences in subjective perceptions and interpretations of expression methods or behavior patterns between gener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the teaching societ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 간에 가지고 있는 세대 이미지에 초점을 맞춰 교사 세대 간의 상호지각 및 상호평가를 중심으로 교직사회에서의 세대 차이 및 갈등 인식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세대 정체성에 따라 세대를 86세대, X세대, MZ세대의 3개의 집단으로 구분하고, 세대별로 서로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상호지각 정도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20∼30대인 젊은 MZ세대 교사와 50∼60대인 86세대 교사 간에는 세대 차이 지각이 두드러져 세대 경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40대인 X세대는 학교조직 내 역할 및 업무 측면에서는 MZ세대인 젊은세대와 86세대인 기성세대 사이의 낀 세대로, 심리적 거리 측면에서는 기성세대인 86세대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으로 초등교사들의 학교 내 교사갈등 인식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MZ세대 교사가 86세대나 X세대 교사보다 세대 차이가 세대 간 갈등의 원인일 수 있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 연구 2에서는 FGI를 통한 경험적 자료를 통해 세대 간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인식은 어떠한지, 즉 교사 세대 간 상호평가 및 갈등 인식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각 세대 간에는 상대 세대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인식을 모두 갖고 있었으나 특히 아랫세대인 MZ세대가 윗세대인 86세대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 세대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불편함이나 갈등 인식은 세대 간 표현방식이나 행동양식에 대한 주관적 지각 및 해석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것처럼 보인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직사회에서의 세대 간 소통 및 협력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세대, 계급, 위계: 386 세대의 집권과 불평등의 확대

        이철승 한국사회학회 2019 韓國社會學 Vol.53 No.1

        This study identifies an accumulating process of power and wealth led by the ‘386-generation, so-called the generation of democratization’(D-generation, hereafter) as a process of structur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Korean-style hierarchy system.’ For this identification, first of all, this article highlights D-generation’s work of the ‘politics of occupation’ by gradually occupying the state from being the leaders of the civil society. Second, this article underscores the ‘hierarchy system’ established in the labor market and the firm organization by capital to confront the market competition, intensified withglobalization, as well as the ‘power within the company’ from D-generation, who has been the beneficiary of the system. Through these two processes, the D-generation was able to establish more internally cohesive ‘generational power resources’ across the state, civil society, and the market. To test these arguments, the study shows - through analyzing original data sources and various survey data - that the D-generation has accumulated more social and political capital than other generations in civil and political society. In the labor market, the generation has succeeded in advancing to top-tier leader’s positions in the firms, and occupied the majority in the upper-class labor market status. In turn, the study demonstrates that such cohesive generational networks led to longer duration of members of the generation in firms and higher rates of income increases, which exacerbates excessively competitive job market situations for younger generation. The study concludes with a theorization of the concept, ‘network hierarchy’, making a request for the politics ofinter-generational equity. 본 연구는 1987년 이후, 386 세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온 한국 사회의 정치권력과 부의 불평등한 축적 과정을 ‘한국형 위계체제의 구조화/제도화’의 과정으로 파악한다. 이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첫째, 이 글은 386 세대가 ‘권위주의적 발전주의 국가’에 대항하여 시민사회로부터 국가를 점유해 가는 ‘점유의 정치’(politics of occupation)에 주목한다. 둘째, 이 글은 세계화와 함께 격화되는 시장경쟁에 대처하기 위해 자본의 주도로 기업조직과 노동시장에 수립된 ‘위계 체제’와 그 체제 하에서 최대 수혜를 입은 386 세대의 ‘기업 내 권력’에 주목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두 과정을 통해 한 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더 내적으로 응집된 ‘세대의 권력자원’을 시민사회, 시장, 국가를 가로질러 수립하였고, 이로 인해 세대 간 불평등이 증대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386 세대가 공식 시민사회조직과 국가의 선출 권력직에서 여타 세대를 압도하는 권력자원을 축적했음을 자체 수집 ‧ 가공한 데이터를 통해 실증한다. 또한, 386 세대는 기업조직의 최상층 리더쉽과 상층 노동시장의 자리들 또한 불균등하게 점유함으로써 시장에서도 ‘세대 권력’을 구축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국가, 시장, 시민사회를 가로지르는 386 세대 네트워크의 권력자원화는, 결국, 386 세대의 더 긴 근속년수, 더 높은 소득 상승률과 더 오랜 최고소득 점유를 통해 청년 및 노인 세대와의 세대 간 불평등을 심화시켰다. 필자는 386 세대의 등장과 함께 구조화된 한국사회의 지배‧ 관리‧ 수취 체제를 ‘네트워크 위계’라는 개념을 통해 이론화하고, ‘세대 간 형평성의 정치’를 촉구한다.

      • KCI등재후보

        386세대의 정치적 태도 연구

        민희,김창남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08 주관성연구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386 generation’s political attitude from the public’s standpoint. This study also tries to suggest a proper role of the 386 generation in the Korean society. Methods: Q-methodology, which is effective in studying human subjectivity, is employed. A total of 42 Q-statements describing the 386 generation‘s political attitude were drawn from the three areas of political system, political process and public policy. And, 34 subjects sorted the Q-sample by using a Q-distribution of 11 point scale. Four main factors were identified. Factor A represents the 386 generation’s progressive inclination. This study ascertains that progressive inclination is the strongest factor constructing the 386 generation’s political attitude. Factor B shows that the 386 generation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communalism. In line with this attitude, this study ascertains that the 386 generation takes a negative view of the 386 politicians due to their secession from communalism. Factor C displays the enterprising confidence of the 386 generation. Factor D expresses the sense of mission of the 386 generation for the nation. This sense of mission is related with the progressive inclination, moral confidence,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386 generation for the Korean society. The 386 generation’s peculiar political attitude consisting mainly of such factors as progressive inclination, communalism, enterprising confidence and a sense of mission for the nation have expedited their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is study implicates that the 386 gener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conciliating and integrating the progressives and the conservatives, as well as the new and old generations, in their intermediary social position.

      • KCI등재

        미래세대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요인: 세대별,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민보경,박민진 한국도시행정학회 2023 도시 행정 학보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gender happiness gap between various generations, along with the factors affecting their happiness, by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Assembly Future Research Institut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among the members of both Generation MZ (a combination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and Generation X, women are happier than men. Factors contributing to the happiness of members of Gen MZ include the amount of time they spend doing what they like, a sense of security, general trust, and trusting their neighbors. An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happiness by generation and gender showed that health, income, education, household type, and housing occu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for Generation Z women, but these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Generation Z men. For Generation M women, age, income, marital status, household type, and education were found to affect happiness, while income and marital status affected happiness for Generation M men. In terms of perceptions of equality, equality of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gender e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for Generation Z men, while the happiness of both male and female members of Generation M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ir perception of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in society. Therefore,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future generations, it is suggested that active efforts be made to ensure more equality in society. 본 연구는 국회미래연구원의 ‘한국인의 행복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래세대 특히, MZ세대의 성별 행복 격차와 그들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MZ세대의 성별 행복 격차는 남성보다 여성의 행복이 높게 나타났다. MZ세대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 요인은 좋아하는 일을 하는 시간의 양, 안전감, 일반적 신뢰, 이웃에 대한 신뢰 등으로 나타났다. 세대별, 성별 행복 영향 요인을 살펴보면, Z세대 여성은 건강, 소득, 학력, 가구유형, 주거점유형태가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Z세대 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M세대 여성은 나이, 소득, 혼인상태, 가구유형, 학력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은 소득, 혼인상태가 행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등인식에 있어서 Z세대 남성은 취업기회의 평등과 성평등이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M세대의 행복은 우리 사회의 성 평등 수준의 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래세대들의 행복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를 보다 평등한 사회로 만들기 위한 적극적 노력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