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시민의식과 학교 시민교육: 교실 환경의 관점에서

        민희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2 국제정치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시민의식 수준이 보여주는 흥미로운 현상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시민의식을 인지적 차원과 비인지적 차원으로 구분한다. 시민지식과 태도 및 행태적 의향이바로 그것인데 한국 청소년은 높은 시민지식 수준을 보여준다. 그러나 시민의식의 비인지적차원을 구성하는 태도 및 행태적 의향은 상대적으로 낮다. 구체적으로 한국 청소년은 정치제도 및 타인에 대한 신뢰가 낮고 미래 정치참여에 대한 기대도 낮다. 이 연구는 이러한 양자간 차이를 학교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알아본다. 그 중 학교 환경을 구성하는 핵심 수단으로서교실 환경의 개방성 수준에 따른 시민의식의 태도 및 행태적 의향의 차이를 분석한다. 그 결과 교실 환경을 자유로운 토론이 가능한 개방적인 공간으로 인식하는 학생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정부, 정당, 국회와 같은 제도 및 타인에 대한 신뢰도나 정치참여 의향에서 높은 수준의 시민의식을 보여준다.

      • KCI등재

        Why Are South Korean Citizens Dissatisfied with Democracy?

        민희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2019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5 No.1

        This study’s purpose is to analyze the sources of dissatisfaction with Korean democracy, and, more specifically, the origin and detail of citizens’ dissatisfaction with the political system. Though many democracy indices categorize Korea as a full democracy, most Korean citizens distrust political institutions more than ever before. Even though Korean citizens have a high level of political efficacy,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working of democracy. This study conceptualizes this phenomenon as the type of critical citizen. In sum, this study tries to show the level of democracy in Korea through this concept and examine the citizen deficits which appear in current Korean democracy.

      • KCI등재

        지능정보기술과 민주주의: 알고리즘 정보환경과 정치의 문제

        민희,김정연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정보화정책 Vol.26 No.2

        This study explores how the advanced data analysis capabilities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re being utilized in politic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fact that voter behavioral targeting in election campaigns comes into conflict with the democratic process in various way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political micro-targeting and political bots. It is aimed at showing that these technology-based campaign techniques work as a factor preventing free expression of opinions and discussions, which are the core of democracy itself. Then we identify the attributes of the algorithm that affects them.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llowing issues might arise regard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based politics and democracy. First, inequality in political participation becomes more severe. Second, the public debate between voters gets more difficult. Third, superficial politics is prevalent. Fourth, single-issue politics and the exclusion of political representation is likely to increase. Fifth, political privacy might also be invaded. Based on our discuss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it is our role to find ways by which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democracy can coexist. 최근 선거캠페인에서 수집되는 유권자 모델링 및 맞춤형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데이터는 양적 확장성과 질적 유용성 측면에서 새롭다. 본 연구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고도의 데이터 분석 능력이 정치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주목한다. 그 중에서도 선거캠페인에서의 유권자 행동 타게팅이 다양한 측면에서 민주주의 과정과 충돌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 타게팅과 정치 봇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술 기반의 캠페인 기법들이 민주주의의 핵심인 자유로운 의견 표출과 논쟁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동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동시에 이에 영향을 미치는 알고리즘의 속성을 파악한다. 본 연구는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정치와 민주주의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첫째, 정치참여의 불평등이 심화된다. 둘째, 유권자 간 공적 논쟁이 어려워진다. 셋째, 피상적인 정치가 만연한다. 넷째, 단일 이슈 정치와 배제의 정치 현상이 증가한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있다. 요컨대, 지능정보시대 우리의 역할은 점점 고도화되고 있는 지능정보기술과 민주주의가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 KCI등재

        온라인 정치참여: 국내∙외 연구동향

        민희,윤성이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정보화정책 Vol.22 No.2

        본 연구는 국내의 온라인 정치참여 연구 쟁점을 해외 연구 동향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 기존 연구의 한계 및 전망에 대해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의 온라인 정치참여 연구를‘누가’참여하는가에 중점을 둔 시각으로 본다. 반면, 해외의 온라인 정치참여 연구를 새로운 참여‘유형’은 무엇인가에 중점을 둔 시각으로 본다. 즉, 기존 연구는 참여자의 확장에 초점을 맞추면서 온라인 미디어가 수용자 중심의 자발적 참여 모델을 촉진하는 기회구조로서 작용하는 것에 보다 관심을 보였다. 그리고 민주화로 인한 급격한 시민사회의 참여 분출과 민주화 이후 지속된 제도정치에 대한 불신이 온라인 미디어의 이러한 역할을 더욱 자극했다. 그런데, 국내 연구가 이 같은 참여자의 확장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새로이 나타나는 온라인 정치참여를 개념화하고 유형화하는 데는 소홀했다. 이제는 온라인 정치참여를 더욱 다층적으로 관찰하고 이론적으로 개념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참여하는 자’못지않게‘참여하지 않는 자’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지금의 미디어 환경이 과거에 비해 자발적으로 정치에 참여하지 않는 자를 양산시키는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는 앞으로 정보 격차를 넘어 민주주의의 격차를 고민해야 할 상황과 대면하게 될지도 모른다. We explore the issues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study in Korea compared with international one. More specifically, we characterize Korea’s study trends as focusing on “who”is participating while international studies center on what the new “forms”of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are. In other words, domestic studies try to show that online media play a role as a factor promoting bottom-up model of civic participation. Moreover, this function of online media is stimulated by the rapid growing of civic participation during democratization and citizens’deep disapproval of political institutions since then. However, previous studies are more interested in the expansion of participants, in particular, ordinary people. Therefore, the themes on conceptualizing and categorizing the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seem to have been treated lightly. In this perspective, we need to view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in a more multidimensional manner. In additi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ose who do not participate”as well as“ those who participate”in politics. Because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more tends to provoke citizens’political indifference than ever before. If it comes to that, we will be likely to face the circumstances worrying the democratic divide beyond the digital divide.

      • KCI등재

        다른 마음: 청년세대와 공정

        민희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3 국제정치연구 Vol.26 No.2

        지난 대선 이후, 우리 사회는 20대의 표심 분열을 두고 한동안 뜨거웠다. 다수가 선거운동기간을 장악했던 20대 내 젠더갈등이 표를 통해 분출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표면적 갈등에 집중할 뿐 그 갈등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소홀했다. 이러한 인식하에본 연구는 20대의 젠더갈등을 공정 인식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20대의 다른 세대나 젠더에 따른 절차적・분배적 공정 원칙의 선호 차이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세대 및 젠더가 ‘대학입학저소득층 할당제 확대’와 ‘능력이나 노력에 따른 보수 차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자의 경우 20대 남성은 20대 여성에 비해 대학입시 저소득층 할당제확대를 반대하는 경향이 컸다. 이는 다른 세대 남성과 비교했을 때에도 동일한 태도를 보였다. 후자의 경우, 20대 남성은 다른 세대 남성에 비해 능력이나 노력에 따른 보수 차이가 클수록좋다는 인식이 강했다. 이 부분에서 20대 내 젠더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요컨대, 20대 여성과 남성은 절차적 공정에 대한 선호에서 ‘다른 마음’을 드러낸다. 20대 여성은 실질적 평등 원칙을 선호함으로써 불평등한 출발선이 누구에게나 평등한 출발선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에 반해, 20대 남성은 형식적 평등 원칙을 선호함으로써 누구에게나 평등한 출발선이불평등한 출발선이 되지 않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386세대의 정치적 태도 연구

        민희,김창남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08 주관성연구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386 generation’s political attitude from the public’s standpoint. This study also tries to suggest a proper role of the 386 generation in the Korean society. Methods: Q-methodology, which is effective in studying human subjectivity, is employed. A total of 42 Q-statements describing the 386 generation‘s political attitude were drawn from the three areas of political system, political process and public policy. And, 34 subjects sorted the Q-sample by using a Q-distribution of 11 point scale. Four main factors were identified. Factor A represents the 386 generation’s progressive inclination. This study ascertains that progressive inclination is the strongest factor constructing the 386 generation’s political attitude. Factor B shows that the 386 generation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communalism. In line with this attitude, this study ascertains that the 386 generation takes a negative view of the 386 politicians due to their secession from communalism. Factor C displays the enterprising confidence of the 386 generation. Factor D expresses the sense of mission of the 386 generation for the nation. This sense of mission is related with the progressive inclination, moral confidence,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386 generation for the Korean society. The 386 generation’s peculiar political attitude consisting mainly of such factors as progressive inclination, communalism, enterprising confidence and a sense of mission for the nation have expedited their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is study implicates that the 386 gener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conciliating and integrating the progressives and the conservatives, as well as the new and old generations, in their intermediary social position.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정서적 상태, 소셜 미디어 이용 그리고 남한생활 만족도

        민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정보화정책 Vol.25 No.2

        This study explores how social media influences individual’s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Social media is discussed as an effective tool when individuals lacking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s are trying to expand their social networks.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al media use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in general, have closed social media network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This study tries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 of social media use on North Korean defectors’satisfaction with our societ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use of social media influences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in South Korea at different levels of their emotional states. This study explor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and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in South Korea varies based upon the degree of self-esteem and anxiety. This study expects that social media might provide greater benefits for those who are experiencing low self-esteem and high anxiety.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s the same analysis for the general public and then compares its results with the survey on North Korean defe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North Korean defectors’ survey, the impact of social media use on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in South Korea was greater for those with high anxiety than for those with low anxiety. Meanwhile, the impact was greater for those with high self-esteem than for those with low self-esteem.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발전 및 안녕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을 분석한다. 기존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는사회적·심리적 자원이 결여된 개인이 사회적 연결망을 확장하고자 할 때 효과적인 수단으로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소셜 미디어 이용에 주목한다. 우리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은 폐쇄적인 사회 연결망을 가진 것으로 인식된다. 이들은 사회구조적인 요인으로 인해 새로운 커뮤니티를 만들거나 그 속에서 관계를 확장하고자 하는 것에 소극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특히 정서적 상태에 따른소셜 미디어 이용이 남한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생활 만족도에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효과는 정서적으로 취약한 조건일 때 더욱 크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자아존중감이 낮거나 불안감 수준이 높을 때 남한생활 만족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더욱 클 것이라고 본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동일한 분석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북한이탈주민의 경우와 비교한다. 분석 결과 다소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은 불안감이 강한 사람이 약한 사람에 비해 남한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크지만 자아존중감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남한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노르웨이 민주주의의 가치와 실천

        민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6 『選擧硏究』 Vol.1 No.7

        In this study we explore what makes Norwegian democracy work. For this purpose, we focus on the civil society with active engagement in the public life. In addition, we try to examine the issue of which values enhance Norwegian democracy and how Norway practices its democracy. First, we show the harmony of equality and liberty as the values sustaining Norwegian democracy. Norway has characteristics of strong communitarianism. Also its communitarianism is rooted in the equal ideals guaranteeing liberty. Second, Norway has inherited these values through education. Education system encourages citizenship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ublic life and promotes democratic values. Furthermore, Norway, for a long time, has been interested in non-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for adults. Especially, Adult Learning and Education(ALE) makes citizens voluntarily have their view on the public issues and participate in social or political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way that Norway implements democracy in the lens of ALE system. 본 연구는 노르웨이의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요소들에 관심을 갖는다. 이를 위해 공공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사회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가능케 하는 가치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노르웨이 민주주의가 추구하는 가치로 ‘평등과 자유의 융합’을 제시할 것이다. 노르웨이 민주주의는 강한 공동체주의를 특징으로 한다. 공동체주의는 평등의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개인의 자유를 보장받기 위한 평등의 의미를 지닌다. 둘째, 노르웨이는 이러한 가치를 교육을 통해 계승해왔다. 교육시스템은 시민의 공적 이슈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독려하고 이를 통해 민주주의의 가치를 증진시킨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지식과 역량이 높은 개인이 정치참여 및 사회활동에 적극적이고 사회적 신뢰도 높다. 이러한 인식 하에 노르웨이는 특히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비정규교육 혹은 비형식교육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노르웨이 민주주의는 성인교육(ALE: Adult Learning and Education)을 통해 시민의 의식수준을 높이고 시민 스스로 사회문제에 참여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본 연구는 노르웨이의 민주주의 실천 과정을 성인교육시스템을 통해 들여다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