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말 일제강점기 세종지역의 국권회복운동과 사회운동

        이성우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4 No.-

        During the late period of Joseon, the Ganjae school was formed at Sejong area. Ganjae, Jeon Woo did educational activities in Chung-cheong-do, and Sejong area was the center of the Ganjae school. the Ganjae school produced many men of letters and tended to focus on pursuit of study rather than raising an army, so Confucian scholars at Sejong area did no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war of righteous army. All the Confucian scholars c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Ganjae school, but formation of the Ganjae school was one of the reason why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were inactive. Jang, Jae Hak, Jang, Jae Kyu, and Jang, Hwa Jin, some of the Ganjae school led rejection census registration and tax payment after Japans’ colonization of Joseon. It was the will of anti-Japan of the Ganjae school at Sejong area.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schools was the central part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at Sejong. The Kiyang school, Il-eo school, Baedal school, Daedong school, Gwangdong school, Gwangdong cheuk-lyang school were established at Sejong area, and the Baedal school and Daedong school were the representative. In 1908, The Baedal school was established, and turned to Yeonki public primary school, the first public primary school at Sejong area in 1912. The Daedong school was established at Jeonui in 1908. Founders of the Daedong school were participated in the Daedong hakhoe, and established Jeonui branch of Daedong Hak-hoe. When they established Jeon-ui branch of Daedong hakhoe, they also established the Daedong school, and instructed the science of law at the Daedong jeonmun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Daedong Hak-ho. At Sejong area, Yeonki cheong nyeon hoe and Kumnam cheong nyeon hoewere organized and led youth movement. Compared to the national movement during 1920s, however, it was very inactive. Futhermore, the two organizations were not developed to revolutionary stage, but only conducted cultural movements. At Sejong area, the Jochiwon labor union was organized, but was inactive. Also, Bakjeongjaesa and workers at Jochiwon station struck, but the strike did not expand to joint strike of workers at Sejong area. It was due to lack of revolutionary groups at Sejong area. There was no group of men advocating a particular doctrine of ideology, and so-called Sam-chong related groups at Sejong area. 세종지역은 한말 간재학파가 형성된 곳이다. 艮齋 田愚는 충청도를 중심으로강학활동을 전개했고, 세종지역에서는 다수의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세종지역 유림들은 의병전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 간재학파가 擧兵보다는 講學에 전념했기 때문이다. 세종지역 유림을 모두 간재학파로 볼 수는 없으나 간재학파의 형성은세종지역에서 의병전쟁이 활발하지 못했던 요인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세종지역문인들은 한일강제병합 후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세종지역 계몽운동은 사립학교 설립운동이 중심이었다. 세종에서는 기양학교·일어학교·배달학교·대동학교·광동학교·광동측량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세종지역 대표적 사립학교는 배달학교와 대동학교였다. 배달학교는 1904년 연기군 남면에 설립된 기양학교를 계승해 1908년 설립되었으며, 1912년 연기공립보통학교로 인가를받으면서 세종지역 최초의 공립보통학교가 되었다. 대동학교는 1908년 전의에서 설립되었다. 대동학교 설립주체들은 대동학회에 참여하고 있었고, 대동학회 전의군지회를 설립한 이들이었다. 이들은 전의군지회를 설립하는 시점에 대동학교를 설립하고 법률학을 중심으로 교육운동을 벌였다. 세종지역에서는 연기청년회와 금남청년회가 조직되어 청년운동을 전개했다. 두청년단체는 혁신조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문화운동을 전개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세종지역에서는 조치원노동조합이 결성되었으나 노동조합차원의 활동은 전개되지않았고 백정제사와 조치원역 화물운송 노동자들이 파업을 단행했다. 그러나 이들의파업은 세종지역 노동자들의 연대파업으로 확대되지 못하고 일회성 파업에 머물렀다. 이러한 원인은 세종지역에서 혁신세력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세종에서는 사상단체가 조직되지 않았으며 소위 3총(청년·농민·노동총동맹)과 관련된 단체도 조직되지 않았다.

      • KCI등재

        간재학파와 한주학파의 논쟁에서 비판논리 연구

        이종우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Hanjoo school insist that mind make principle. Ganjae school insist that mind make energy. They have dispute logic. They are based on Confucius and Mencius theory. They are based on Cheng master and Zhuxi. Jun Woo criticize that Yi Jinsang of Tao mind and Confucian Analects of ethic mind because principle follow principle and principle was out principle. A preside theory is different Hanjoo school and Ganjae school. Hanjoo school of Goak Jongsuk interpret a preside theory demand. Ganjae school interpret a preside theory demand. Goak Jongsuk criticize fake king. Jun Woo interpret management and loot in a preside theory. A virtue theory is different Hanjoo school and Ganjae school. Hanjoo school of Choi Ikhan insist principle a get ready principle. Ganjae school of Goun Soonmung criticized that it is similar logic of eye saw eye. 寒洲學派는 心卽理說, 艮齋學派는 心卽氣說을 주장하면서 논쟁을 벌였다. 그들의 주장에 대하여 논리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서로 비판한다. 그들의 주장은 주로 『서경』, 『논어』, 『맹자』 등의 경서와 程朱의 성리학을 근거로 하였다. 『서경』의 道心과 『논어』의 從心에 대한 이진상의 해석에 대하여 전우는 理가 리를 따르고, 리 밖에 리가 또 있다고 하여 그 논리에 대하여 비판하였다. 주재설에서도 한주학파의 곽종석은 그것을 임금이 명령하는 의미로 해석하였으나 전우는 리의 주재는 뿌리, 기의 주재는 운용이라고 해석하였다. 리와 기가 둘 다 주재하는 것은 전자는 진짜 군주이지만 후자는 가짜 군주로서 참주에 불과하다며 임금이 둘이 될 수 없다며 간재의 논리를 비판하였다. 명덕설에 대해서도 한주학파의 최익한이 以理具理라고 주장하자 간재학파의 권순명은 눈으로써 눈을 보는 것이라고 하여 그 논리를 비판하였다.

      • KCI등재

        한말 기호학파의 전개와 특징

        유지웅 ( Ji Woong Yoo ) 한국공자학회 2016 孔子學 Vol.30 No.-

        한말 기호학파는 이전 시기 기호학파의 전개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된다. 한말 기호학파의 가장 큰 특징은 새로운 자가설을 수립하면서 이에 따라 학파 내부의 분기 현상이 가속화되었으며, 그리고 이를 따르는 문인들이 모여들면서 전국적으로 큰 세력을 형성하는 양상이 벌어진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인물과 학파로는 이항로를 종장으로 하는 화서학파, 기정진을 종장으로 하는 노사학파가 있다. 이들은 학맥상 기호학파에 속하지만 뚜렷한 사승관계가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항로와 기정진은 기호학파의 전통적입장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자가설을 수립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을 따르는 문인들이 생겨나면서 집단 세력화 한다.반면 기호학파 내부의 분기가 가속화되는 상황 속에서도 전통을 지키며, 특히 기호학파 낙론에 반하는 화서·노사학파와 치열한 성리설 논쟁을 벌인 인물로는 전우가 있다. 전우는 김창협으로부터 이어진 기호학파 낙론의 뚜렷한 학맥 속에서 성장한 인물로 평생을 낙론 선배들이 구축한 이론을 확고하게 정립하는 것을 자신의 사명으로 삼았으며, 전국적으로도 많은 문인을 형성하여 간재학파로 발전하게 된다. 이처럼 한말 기호학파는 이항로와 기정진이 등장하여 학파를 형성하면서 분기 현상이 가속화되었으며, 동시에 기호학파 낙론의 전통을 철저하게 고수하고 계승하는 간재학파가 공존하고 있었다. 그리고 세 학파는 기호학파 뿐 아니라 한말 도학계를 이끄는 대표적인 학파로 발전하게 되며, 특히 이 시기에 치열하게 벌어졌던 성리설 논쟁의 중심에 서 있게 된다. 이에 이 논문은 조선 성리학 특히 기호학파의 사상사적 전개 과정에서 볼 때 한말의 시기는 이전 시기와는 독특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전제 아래, 한말 기호학파의 전개 과정 특히 화서·노사·간재학파의 활동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는 사상사적으로 한말 기호학파가 가지고 있는 차별성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구를 통해얻게 된 결론은 첫째,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전국적인 학파로의 성장’, 둘째, ‘학파내의 보수적인 상황을 극복’, 셋째, ‘심에 대한 리기론적 해석에 주목’ 넷째 ‘주리적 성리학으로 종합’으로 정리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to find what is ideal historical significance which Kiho School in the late Joseon Korea had with study in a process of study of Kiho School and features of main schools. After nineteens century Kiho School showed a very different aspect from before. The best feature is that they made their own theory because split of Kiho School inside had been accelerated. Many scholars who followed Kiho School gathered and made a big group national wide. Yi, HangNo and Ki, JungJin are representative. They seemed to be member of Kiho School academically but their feature is that they had no relations between master and pupil distinctly. Yi Hangno and Ki Jungjin, therefore, had chance to build their theoretical system freely without academic tradition. Many scholars who followed them, then, gathered so they grew the representative of Kiho School in the late Chosun. Jeon Woo is a scholar who had a controversy with Hwaseo School and Nosa School which were against Naknon of Kiho School. Jeon Woo studied in clear academic traditions of Naknon of Kiho School from Kim Changhyup and he aimed to build the theoretical system of which were made by his senior in Naknon. His school grew up in Honam which were his main area and also expanded nationally, then this school became Ganjae School which were representative of Kiho School in the Late Joseon Korea. In history of Joseon’s neo-confucianism, moment of neo-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Korea is the time to make finale of Joseon’s neo-confucianism. Especially, to establish the ideal historical significance of debate of neo-confucianism in Kiho School is very important to complete historical process of Joseon’s neo-confucialsm because we can find the end of Chosun’s neo-confucianism with this process.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see the process of Kiho School in the late Joseon Korea and the feature of major schools to find the ideal historical significance of Kiho School.

      • KCI등재

        近現代 湖南儒學의 地形과 전개 양상 – 도학 계열 문인 집단의 형성과 지역별 분포에 주목하여 –

        박학래 동양고전학회 2020 東洋古典硏究 Vol.0 No.78

        Confucianism in Honam area grew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of Yulgok school(栗谷學派) since the 16th century, but it did not play a central role throughout the academic world of the Kiho region. However,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the school of Yulgok, various literary groups grew up in the background of Honam since the mid-19th century, and Honam area became the center of modern and contemporary Confucianism in Korea until the mid-20th centur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certain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 overall size of each school that has been active in maintaining the aspect of the school until the 1960s by analyzing the literary group only by the disciples of the previous period while analyzing the literary group or the study of individual literary students including the central scholars of each school.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of various schools and distribution of literary figures in Honam area, one of the activity centers of the New Confucian literary group that led the Yulgok school since the mid-19th century,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Prior to this review, it was noted that one of the backgrounds that Honam area, which had stayed in the periphery of Yulgok school until the 19th century, became one of the centers of Yulgok school since the 19th century was that various scholars of semiotics had expanded their academic influence in Honam area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how various schools leading the academic world Kiho area including Nosa school(蘆沙學派) formed literary groups in connection with Honam area after the mid-19th century was organized based o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literary people listed in each school's literary record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literary group that has been active in the background of Honam since the mid-19th century was not only the Nosa school and Ganjae school(艮齋學派) but also the Myeonam school(勉菴學派) of Choi Ik-hyun(崔益鉉), the Yeonjae school(淵齋學派) of Song Byung-sun(宋秉璿), and the Myeonwoo schoo(俛宇學派)l of Kwak Jong-seok(郭鍾錫), a Toegye school(退溪學派).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about 20,000 literary people in the literary group that was formed in the background of Honam area for about 100 years and maintained the academic background.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literary group research in Honam area, which was active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will be activated.

      • KCI등재

        19세기 湖南 性理學의 전개와 특징

        박학래(Park Hak-Rae) 한국국학진흥원 2006 국학연구 Vol.9 No.-

        본 논문은 19세기 호남 성리학에 대해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과 노사학파蘆沙學派를 중심으로 그 학문 활동과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대체적으로 조선성리학의 흐름 속에서 호남 지역은 기호나 영남과 비교하여 독자적인 학맥이나 학파, 그리고 학풍이 수립되지 않았던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19세기에 접어들어 호남 성리학은 기정진을 종장으로 하는 노사학파, 전우田愚를 종장으로 하는 간재학파艮齋學派 그리고 다수의 연재학파淵齋學派 문인과 화서학파華西學派 문인들이 활동하면서 조선성리학의 중심지역으로 부상하였다. 특히 기정진을 중심으로 하는 노사학파는 리理 중심의 일원적 세계 구성과 현실 인식을 통해 학술적 위상을 높였고, 기정진 사후에 빚어진 논쟁을 통해 학파적 동질성과 일체성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학파적 결집과 지향성은 학술논쟁에 그치지 않고, 한말의병으로 연결되는 실천적 의리구현에도 같은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면모를 이해하기 위해 본 논문은 19세기 이후 호남을 지역적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고 전개된 유학 사상을 기정진과 노사학파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특히 기정진을 중심으로 형성된 노사학파의 위상을 호남사림이 형성되고 전개되었던 시기의 그것과 관련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기정진의 성리설을 대략적으로 검토하고, 그의 저작을 둘러싸고 제기된 기호학파 문인들의 논쟁 과정과 추이 등을 정리하여 노사학파 성리설의 한 단면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대前代의 호남유학과 차별화된 19세기 호남 성리학의 구도를 확인하여, 시론적試論的인 접근이지만 이들의 학문과 활동이 호남 사림 형성기의 위상을 계승하여 독자적인 학파를 수립하고, 호남유학의 위상을 정초한 것으로 정리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d 19th century Honam neo-confucianism centering on Nosa Ki, jung-jin and his school scholar's doings and its meanings. It was mainly understood that In the current of neo-confucianism in Chosun Korea, there isn't any independent scholaristic school and culture in Honam region comparing to Kiho and Yeong-nam region. However, since the 19th century, Ki jung-jin and his school, jun woo and his students, and other Yeonjae school scholars and Hwaseo school scholars studied actively in Honam region and Honam region became one of the centers of Chosun neo-confucianism. Especially, the Nosa school enhanced academic level by recognition of Li centered monistic world consitution and recognition of real world, and reinforced its homogeneity and unity through the academic debates after the death of Ki jung-jin. Furthermore their unity and orientation was embodied as the righteous army riots in the late chosun period. To understand these aspects, the nee-confucian schools in Honam region will be sorted out by centering Ki jung-jin and his schools. Especially, the Nosa schools' academic status will be acknowledged by comparing other contemporary neo-confucian schools. Moreover, Ki jung-jin's sungri theory will be looked over and one aspect of Nosa schools' sungri theory will be revealed by sorting out the debates on Ki jung-jin's work among Kiho school scholars and Nosa school scholars. Acknowledg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rlier Honam region nee-confucianism and 19th century Honam neo-confucianism, the Nosa school is tentatively understood as an independent school inheriting the formation movement and comprehended as a founder of Honam neo-confucianism

      • KCI등재

        艮齋 田愚의 유학사적 위상과 그 영향

        박학래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50 No.-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who led the academic debate in all directions and led the context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ism in the academic division that accelerated from the 19th century regardless of Kiho and Yeongnam academia is Ganjae Jeon Woo. He was more intense than anyone else in his consciousness to inherit the academic views and heritage of the Yulgok school. He was more intense than anyone else in his desire to inherit the academic views and heritage of the Yulgok School. Therefore, he not only criticized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proposed by Lee Hang-ro and Ki Jeong-jin of Yulgok's lineage, but also raised bold criticism against the theory proposed by Lee Jin-sang of Toegye's line. And through this, he took the lead in inheriting and protecting Yulgok's studies, which he understood as the orthodoxy of Neo-Confucianism. In addition, he presented his theory through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review of the theory of Confucianism of the Confucian scholars and senior Confucian scholars. He also criticized his theory against the criticism of other schools at that time and paid close attention to establishing his theory. In addition, he expanded his academic influence by producing disciples nationwide, unlike the leaders of other schools who produced disciples within a geographically limited range. Through lectures that lasted for about 50 years, he promoted academic unity and homogeneity within the school and constantly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on academic topics with nearly 2,000 disciples, through which he tried to confirm and inherit the orthodoxy of Joseon Confucianism. And his disciples continued this academic position and view not only when he was alive, but also after his death, and decorated the tradition of studying in Korea. In this paper, I tried to confirm the position of Ganjae Jeonwoo's academic position and broad academic activities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Joseon through his academic background, academic awareness, and his academic fellowship. And his academic status was examined in connection with his academic debate, and his academic influence was to be confirmed through the size of the disciples of the Ganjae school, the distribution by region, and the activities of the disciples. 기호 학계와 영남 학계를 불문하고 19세기 이후 가속화한 문호 분립과 학파 분화 속에서 전방위적으로 학술 논쟁을 이끌며 근현대 한국 유학의 맥락을 이끈 대표적인 학자 중 한 사람은 田愚(1841∼1922)이다. 누구보다 율곡학파의 학문 전통과 유산을 계승하고자 하는 의식이 강렬하였던 그는 같은 율곡 계열의 李恒老, 奇正鎭 등이 제기한 성리설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퇴계 계열의 李震相이 제시한 성리설에 대해서도 과감한 비판을 제기하며 스스로 주자학의 정통이라 이해한 栗谷學의 계승과 수호에 앞장섰다. 그뿐만 아니라 주자학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선배 유학자의 성리설에 대한 체계적 검토를 통해 ‘性師心弟’, ‘性尊心卑’ 등 자기 학설을 구체화하였으며, 자신의 학설에 대한 당시 다른 학파의 비판에 맞서 반비판을 전개하며 自家說 확립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지역적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문인을 배출한 다른 학파의 宗匠과 달리 전우는 전국적으로 문인을 배출하며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한 학자였다. 50여 년 동안 지속된 강학을 통해 그는 학파 내 문인들의 학문적 결집과 동질성을 도모하며 2천여 명에 육박하는 문인들과 끊임없이 학문적 주제에 대해 문답을 주고받았고, 이를 통해 조선 유학의 정통을 확인하고 계승하고자 하는 뜻을 분명히 하였다. 그의 문인들은 전우가 생존하였을 때는 물론, 그의 사후에도 이러한 입장을 지속하며 조선 유학 전통의 대미를 장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우의 학문적 입장과 폭넓은 학문 활동이 조선 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그의 학문 연원과 학통 인식, 그리고 그의 학문 교유 등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의 학문적 위상을 그가 펼친 학술 논쟁과 연관하여 검토하고, 그의 학문적 영향력을 간재학파 문인들의 규모와 지역별 분포, 문인들의 활동 등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간재(艮齋) 전우(田愚)와 간재학파(艮齋學派) 연구 현황 및 과제

        박학래 ( Hak Rae Park ) 한국공자학회 2016 공자학 Vol.30 No.-

        본고는 근현대 한국 유학을 대표하는 성리학자 중 한 사람인艮齋 田愚(1841~1922) 및 그를 중심으로 한 문인 집단인 艮齋學派에 관한 연구 현황을 정리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간재 및 간재학파는 근대 이행기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전국 각지에서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하며 한국 유학의 맥락을 이루어왔으며, 지금도 그 학맥이 이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유학자 집단이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지난 30여년간 유학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적지 않은 성과를 이루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이후 부각되기 시작한 간재 및 그의 문인에 대한 연구 개황을 정리하고, 간재 및 간재학파를 대상으로 한 개별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그 내용적 특징을 검토한 후, 간재학파를 포함한 한국 근현대 유학에 대한 연구의 발전적 미래를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to summarize and analyze current research trends of Ganjae艮齋 Jeon, woo田愚(1841~1922),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in modern Korean Confucianism, and his School and to suggest its prospect. Through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Korea and Japanese colonial era, Ganjae and his School has been the representative Confucian group to succeed the tradition of Korean Confucianism and to be so far continued the academic line with the nation-wide influence. Researchers for Confucianism have studied Ganjae and his School For about the past 30years. Thus, I will sketch the landscapeof research on Ganjae and his students, which started to be highlighted after Japanese colonial era, and suggest its prospect for research on modern Korean Confucianism by examining some features of outcomes of studies on Ganjae and his School.

      • KCI등재

        『高山誌』(1964) 편찬과 고산지역 艮齋門人의 역할

        이선아(LEE, Sun-Ah)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2

        Ganjae School in Gosan area published [Gosanji] in 1964. At that time Gosan lost it's administrative position, because of reorganization of the nation's provincial government system in 1895 and inclusion to Wanju province in 1935. However, Gosan's residents have maintained local identity themselves. To remember their local history and culture, they decided to compile [Gosanji]and work together. Ganjae School tried to succeed to Confucian tradition. For this the member of Ganjae School who protected Confucian values and dignity collected writings about their own region and compiled the materials into a book.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y also recognized Korea's tumultuous modern history as the continuity of history, not the age of discontinuity. The composition of [Gosanji]almost resembles a Uepji(town chronicles) published in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As for persons included in Gosanji, there was a gap between [Gosanji] and other Uepji, furthermore character and emphasis is very different. The persons of 80% included in [Gosanji]lived in the 19th century. In the end, [Gosanji] could be a record of people in local history. 1964년에 편찬된 『고산지』는 옛 고산현에 거주하였던 유력가문의 후손과 간재문인이 주도하여 조선시대 읍지편찬의 전통을 계승하여 편찬한 읍지이다. 당시 고산현은 1895년 이후 행정구역이 개편되는 과정에서 폐읍되고 1914년 이후 완주군으로 편입되었다. ‘고산현’이라는 독자적 행정구역이 소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산현민’이라는 자의식을 지니고 있던 지역민 들이 힘을 모아 『고산지』라는 이름으로 읍지를 간행하였다. 『고산지』의 체재는 기본적으로 조선시대의 읍지와 유사하지만 인물 관련 항목에서 그 비중과 내용이 차이가 난다.『고산지』의 ‘인물조’는 이전의 읍지에 비해 그 항목이 더욱 세분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읍지에서는 ‘인물’이라는 항목으로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지만,『고산지』는 ‘인물’ 항목을 謫居, 僑居, 名宦, 鄕賢, 遺逸, 文科, 武科, 生進科,蔭仕, 壽職, 贈職, 才學, 節義, 義擧, 孝行, 慈善, 賢媛, 孝婦, 烈女, 貞節로 세분하여 항목별로 고산의 주요인물을 재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인물과 관련된 항목이 『고산지』전체 분량의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이며, 수록된 인물의 80% 이상이 19세기 인물에 집중되어 있다. 『고산지』는 고산향교에 출입하는 능성구씨를 비롯한 고산의 유림들이 적극 참여하여 편찬된 읍지로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艮齋田愚의 문인으로서의 학문적 정체성을 지니고 있던 유림이었다. 『고산지』편찬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한 간재의 嫡傳, 再傳弟子들은 고산항교의 전교와 장의 등을 맡고 있던 직원으로 고산향교를 기반으로 유도회 고산지부의 회장 및 부회 장을 역임하였다. 고산의 유림을 비롯한 간재문인은 김창숙을 중심으로 유도회에서 주도한 ‘위패매안’에 반대하고 위패복원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결속하였고, 이후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는 작업을 추진하여 읍지와 서원지 등을 편찬, 간행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이들은 ‘유교적 전통’을 계승하는 방편으로 지방지 편찬사업을 추진하여, 해방과 한국전쟁 등 한국 사회의 질적 변화가 진행되는 시대에 전근대사회를 부정하고 단절하는 것이 아니라 극복과 연속이라는 인식으로 지역사회의 역사와 문화의 뿌리를 기록하고 보존하고자 했던 것이다.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신정통주의 성리학

        선병삼 ( Sun Byeongsam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硏究 Vol.44 No.-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는 조선 말기부터 근대 초기를 살다간 성리학자로 기호학맥의 도통을 마무리한 큰 선비다. 본 논문은 독존주자(獨尊朱子)적 학문관과 독선수교(獨善垂敎)의 실천관을 견지한 간재 전우의 성리학을 신정통주의라는 입장을 가지고 조망해보았다. 이를 통하여 현실을 외면한 주자학 묵수주의라는 부정적 평가를 완화하고 간재 성리학의 본래적 의의를 적극적으로 평가하는 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논지를 전개했다. ‘경전(사서)으로 돌아가자’는 경학사상과 ‘주자의 참뜻으로 돌아가자’는 성리학을 통해 간재 성리학의 신정통주의적 특성을 살폈다. 간재 학설의 종설인 성사심제(이심학성)를 분석해 보면, 성사심제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있다. 공부하는 주체가 마음임을 분명히 하여 주자학 말류가 심신 공부를 소홀히 한 병폐를 극복하고자 했으며, 또한 공부하는 대상을 본성으로 상정하여 양명학처럼 이단의 학문이 시심자용(恃心自用) 하여 창광방자 하는 병폐를 막고자 했다. 정리하면, 온 나라의 명운이 백척간두의 끝에 내몰리던 그 한말에 간재는 주자학 말류가 실천을 중시하지 않고 이론적 탐색에 몰두한 폐단을 극복하면서도 창광방자(猖狂放恣) 하는 양명학의 병폐를 막아낼 수 있는 학설을 모색했고 그 결과물이 이 심학성의 성사심제론이었던 것이다. 이것이 간재 도학의 본질이고 간재의 성리학을 신정통주의라고 규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셈이다. Ganjae Jeon Woo(1841-1922) who inherited the Yulgok school tradition and fought to protect the originality of the Yulgok school is a great confucianist of modern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can summarize his theory and practice as dok-zon-zhu xi(獨尊朱子: accepting zhu xi’s theory only) and dok-seon-su-gyo(獨善垂敎: self-regulating to influence in the future). In this paper, I lay stress on his confucian theory in terms of neo-orthodoxy in order to free him from criticism such as turning away from crisis of Joseon Dynasty and adhering to Zhu xi’s theory only. seong-sa-sim-jae(性師心弟: human natur is a master and mind-heart is a disciple) is a Gangae Jeon woo’s overall theory in his confucianism, using it for going with his criticism on the other schools such as Hwaseo Lee Hangro, Nosa Gi Jungjin, Hanju Lee Jinsang. Especially, by theoretical analyzing yi-sim-hak-seong(以心學性: mind-heart conforms hunman nature), which is his another overall theory, we can reach the conclusion what makes him give stress on the seong-sa-sim-jae(性師心弟: human natur is a master and mind-heart is a disciple). By it, he endeavors to overcome zhu xi school’s defect of looking down on mind-heart, also tries to correct yang ming school’s default of follow one's own whims.

      • KCI등재

        간재(艮齋)의 「독맹자(讀孟子)」 연구 - 수양론을 중심으로-

        길태은 ( Gil Tae-eu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2 No.-

        본 연구는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의 「독맹자」를 분석하여 나타난 그의 심본성, 성사심제설을 수양론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연구자는 간재에 의해 편제 되어진 「독맹자」의 주석을 명확하게 살펴보기 위해 분장분절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맹자집주』의 7편 가운데에서 어느 편에 특히 ‘주석을 많이 달았는가’를 검토하여 해석한 장과 주석을 많이 달은 순서에 주목하였다. 간재는 인간에 대한 심성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특히 심성의 수양 방법에서 ‘심기의 검속’, ‘존성’ 등을 강조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수양론을 중시한 해석이라고 보고 분석하였다. 분장분절의 분석에 의하면 간재는 기본적으로 성리학적 세계관에서 경전의 재해석을 통해 심본성·성사심제설 등을 확증하며, 이를 통해 이설을 비판하는 근거로 삼았다. 그리고 이뿐만 아니라 ‘명기’·‘존성의 실천’ 등을 중시하는 수양론적 관점에도 주목하고 있음을 파악 할 수 있다. 간재는 기본적으로 기호낙론의 성리설 입장에 서서 심과 성의 관계를 피력한다. 간재의 심본성, 성사심제설 등을 성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수양론으로 분석 가능한지를 시론적으로 검토하였다. 지금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수양적 측면에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지, 간재가 『맹자』를 주석하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3가지를 추려 분석하였다. 첫째는 부동심에 대해, 둘째는 구방심에 대해, 셋째는 우산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측면은 오늘을 살고 있는 현대인들이 인간다운 도덕[부동심·극기복례] 등을 닦는 수양의 공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This study analyzes Reading Mencius (讀孟子) by Ganjae Jeonwoo (1841-1922) to examine his stance on Seongsa Shimje (性師心弟, let your natural mind govern your cultured mind) and Shimbonseong (心本性, natural mind and cultured mind are one), considering Mencius’s theory of self-improvement at the same time. To examine the annotations of Reading Mencius, the author segmented each chapter and verse for the analysis. In addition,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comments and interpretations added to the seven chapters of Collected Works of Mencius. Ganjae was interested in human mind and stressed its cultivation through “the control of the mind” and “respect.” Thus, this article takes the stance that Ganjae’s interpretations focus on Mencius’s theory of self-improvement and analyzes the commentaries accordingl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ach chapter and verse, Ganjae has reinterpreted the important classics from the worldview of Neo-Confucianism to emphasize Seongsa Shimje and Shimbonseong, and he used the two principles as the foundation to attack his critics. Furthermore, the perspective of his foundation built on Mencius’s theory of self-improvement can be understood based on “clarity of the mind” and “practice of respect.” Ganjae exp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d mind and the natural mind by adopting the position of Kiho (畿湖) school. He built his argument of the cultured and natural mind around Li (理) and Qi (氣), and his theory ultimately reached theoretical consistency for practicing ethical moralit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anjae’s concepts of the cultured and natural mind could be analyzed considering Mencius’s Neo-Confucian theory of self-improvement. The three most important points from Ganjae’s annotation of Mencius’s work for cultivating oneself were selected as implications for the modern human beings: (1) the immovable spirit (不動心), (2) finding one’s own heart (求放心), and (3) cultivating one’s spirit (牛山章). These facets could be of help in cultivating human morality (e.g., developing immovable spirit, and overcoming selfishness and returning to propriety) and one’s own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