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旅軒學의 實用的 面貌: 道德 實踐과 우리 文化에 대한 主體意識 彈調

        朴鶴來 한국인물사연구소 2014 한국인물사연구 Vol.21 No.-

        In previous studies on his learning, many researchers have claimed that Yeoheon`s statecraft merely provided with ideal and abstract stances, and that it disregarded both social realities and historical tradition of his own country in the light of sinocentrism. By criticizing these previous researches, this paper examines a practical aspect of Yeoheon Chang Hyun-kwang`s learning. My approach is based upon a research paper that re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Yeoheon`s learning by inquiring into his compilation of geographies and concerns on fengshui. Yeoheon paid more special attention not only to current issues, but also moral practices of human beings than any other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Based upon Confucian view of the world, he had not only built his comprehensive academic system, but also sought for solution to overcome contemporary problems. Through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especially, Yeoheon actualizes more practical aspect of his learning by focusing on reconstruction of social order via moral practices. By taking a look at concrete realities of local communities, he made the contents of his learning worth, and tried to pay attention to recovery of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social order. Such efforts are key elements to highlight the practical aspect of his learning. After his death they come to fruition by his followers who devoted themselves into various cultural businesses Thus, they can be evaluated as certain momentum to revitalize new academic trend of neo-Confucian culture in Yeongnam area. 1n short, my paper will comprehensively examine the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Yeoheon`s learning by critically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 KCI등재후보

        奇正鎭 性理說에 있어서의 善惡問題

        朴鶴來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民族文化硏究 Vol.36 No.-

        최근 들어 기정진의 이기론에 대한 평가를 두고 학계 일각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기정진의 성리학은 철저한 '理 중심의 철학'이라는 것이다. 기에 대한 理의 절대적 主宰性을 강조하여 기의 운동 변화의 원인으로서의 理를 강조하고, 본체와 현상의 통일적 원리이자 현상계의 다양성의 원인으로서 리를 제시하는 기정진의 이기론은 현실적으로 드러나는 선악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논리적인 문제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악의 문제에 대해 기정진은 생존 당시부터 弟子들을 비롯한 많은 知人들로부터 논란의 대상이 되었고, 기정진 자신도 이에 대한 해명을 적극 시도하였다. 본고에서는 기정진의 성리설에서 선악 문제에 대한 문제가 어떻게 드러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정진의 해명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악문제를 통해 과연 기정진이 의도하고자 하는 내용은 과연 어떠한 것이었으며, 이를 통해 이기에 대한 기정진의 설명이 어떠한 의미인가를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절대적인 도덕적 원리로서의 리가 현실에서 어떻게 구현되는 가에 대한 의미로 볼 수 있는 선악에 대한 기정진의 입장은 결국 그의 이기론 구조와 연결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선악문제는 기정진의 이기론을 해명하는 새로운 단초를 열어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Recently, the appraisement about Ki-Jeongjin's li-ch'i theory(理氣論) is being disputed in academic world. But, it is obvious that his li-ch'i theory is absolutely li centered philosophy. His li-ch'i theory emphasizes li as the cause of ch's movement, by li's categorical superintendence to ch'i and It presents li as unifying principle about substances and phenomena, and li is cause of diversity of the phenomenal world. But his theory has some logical controversial points on solving realistically exposed good and evil problem. So, his opinion on problem about good and evil was criticised by his pupils and his academic acquaintances during his lifetime. Therefore he attempted to elucidate his opinion. In this article, I examined some problems about good and evil problem in his Neo-Confucianism, and how he elucidated his opinion. And I will find his purpose that he made by dealing good and evil problem. and then I investigated the meaning of his explanation about li-ch'i. It can be regarded that his opinion about good and evil - that can be inferred like how li realized actually as categorical moral principle - is ultimately connected to his li-ch'i theory structure. Therefore 'good and evil problem' can be a new point of view in interpreting his li-ch'i theory.

      • KCI등재

        해제(解題):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과 경와(敬窩) 김휴(金烋)

        박학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民族文化硏究 Vol.50 No.-

        敬窩의 金烋(1597~1638)의 『海東文獻總錄』은 우리나라 最古의 도서문헌 解題集으로 평가받고 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이후 많은 典籍의 소실로 인해 문화적 타격을 받았던 17세기 초반, 김휴는 스승인 여헌 장현광의 권유로 이 책의 편찬에 착수하여 20여 년간 안동을 위시한 영남지방의 주요 집안을 일일이 방문하여 서적을 확인하고 수집하여 670여종에 이르는 방대한전적의 해제작업을 완성하였다. 하지만 40대 초반 병으로 사망하여 『해동문헌총록』은 草稿本만이 남았고, 그나마도 화재로 일부가 소실되었다. 다행히 몇 권의 필사본이 부족하나마 인근 가문에 전해졌다. 이 책은 이후 조선 학계에 전면적으로 유통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학자들에 의해 그 존재가 확인되고 인용되었다. 하지만 완전한 상태가 아니었던 만큼 그 존재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그러던 중 20세기 중반 뜻있는 선배 학자들의 애정 어린 노력에 의해 이 책이 재조명되었고, 지금 형태의 『해동문헌총록』으로 복원되어 영인본이 발간되었다. 하지만 한정된 부수만 발간되고, 그나마 일부는 유실되어 현재 한국학 연구자들의 관심에 비해 이 저술은 접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이에 <여헌학연구회>의 후원을 받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사상연구소에서 영인사업을 맡아 새롭게 세상에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본 해제는 『해동문헌총록』 재영인과 관련한 저간의 사정을 위시하여 이 책의 저자인 김휴의 생애 및 활동, 그리고 편찬과정, 체제 및 구성, 의의 및 영향 등을 선행 연구 성과를 참고하여 정리한 것이다. 새롭게 영인된 이 책이 서지학 분야는 물론이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a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Haedongmunheonchongnok 海東文獻總錄 written by Kim, Hyoo 金烋(1957~1638). Haedongmunheonchongnok is a significant masterpiece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on the collections of writings published in Korean history and contains annotated bibliography of all kinds of compiled or written documents. The author, Kim, Hyoo not only examined and compiled each available book by himself but also scrutinized all the records related to book publications in almost all kinds of literatures transmitted. Then he completed a catalogue of books and put bibliographical explanation to each book. The number of books he included into the catalogue of books reaches up to approximately 670 and nearly all fields of study are evenly dealt with. This book was published first by phototypography in 1969. However, this book was the lack of quantity, is currently difficult to use this book. So published again sponsored by yeoheonhakyeonguhoe 旅軒學硏究會 in 2009. This book will be helpful to researchers, the field of Korean studies.

      • KCI등재

        鄭載圭의 講學 活動과 蘆沙學의 계승

        박학래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8 No.-

        The differentiation of Confucianism in Joseon, which was embodied since the mid-19th century, continued through the lecture activities of literary people of each school until the middle and late 20th century. The study of each school in this period, which was embodi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interpretation of Neo-Confucianism and the critical review of the issues of the Neo-Confucianism theory of the previous era, became the basis of practical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is aspect continued by the disciples of each school. Through this study, I reviewed the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of Jeong Jae-Gyu, who represents Gangwoo region among the Nosa school disciples who have formed in the background of Honam area and expanded the influence of the study. In addition, I analyzed the disciples who were educated by him comprehensively and confirmed the succession of Nosahak. Jung Jae-Gyu was already evaluated for his academic ability when Ki, Jeong-Jin was alive, and led various academic activities of Nosa school after Ki, Jeong-Jin's death. Through this, he became a key disciple of the Nosa school, and continued his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duced special disciples in Gangwoo region. In particular, he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center of succession of Nosahak, representing the Nosa school literary figures and responding to criticism of Nosahak in the process of controversy over Ki, Jeong-Jin’s theory, which was carried out with a new version of Nosajip. In addition, he has conducted extensive academic fellowship and lecture activities with other scholars in order to promote Confucianism in Gangwoo region. His disciples, who were produced through various education and lecture activities of Jung Jae-Gyu, continu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Confucian topography in Gangwoo region. In this study, I tried to summarize the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that Jung Jae-Gyu has conducted extensively and to summarize various materials about the disciples who were released through his lecture activities. And I tried to analyze the general scale and contents of his disciples together. 19세기 중반 이후 구체화하는 학파 분화는 이후 각 학파의 문인들이 펼친 강학 활동을 통해 그 학맥이 20세기 중후반까지 이어졌다. 주자학에 대한 특징적인 해석과 전 시대 성리학적 쟁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구체화한 이 시기 각 학파의 학문은 급변하는 시대 상황에 대처하는 실천적인 대응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각 학파의 문인들에게도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본고에서는 호남 지역을 배경으로 형성되어 그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한 奇正鎭(1798-1879)의 蘆沙學派 문인 가운데 강우 지역을 대표하는 鄭載圭(1843-1911)의 강학 활동과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문인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기정진 학맥의 계승 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기정진 생전에 이미 학문적 역량을 평가받은 정재규는 기정진 사후에 펼쳐진 노사학파의 다양한 학문 활동을 주도하며 노사학파의 핵심 문인으로 자리 잡았으며, 지속적인 교육 활동을 통해 특기할만한 문인들을 강우 지역에서 배출하였다. 특히 『蘆沙集』 重刊을 계기로 촉발된 기정진 학설에 관한 논쟁 과정에서 그는 노사학파 문인을 대표하여 蘆沙學 비판에 대응하는 반비판을 주도하는 등 노사학 계승의 중심에서 활약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강우 지역의 儒風을 진작시키기 위해 타 학파 문인들과의 광범위한 학문 교유와 강학 활동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재규의 다양한 강학 활동을 통해 배출된 그의 문인들은 이후 계속 이어져 강우 지역 유학 지형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본고에서는 정재규가 폭넓게 진행한 강학 활동을 입체적으로 정리 분석하고, 그의 강학 활동을 통해 배출된 문인들에 대해 다양한 자료를 검토하여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문인들도 정재규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강학 활동을 펼쳐 20세기 중후반까지 적지 않은 문인을 지속적으로 배출하며 기정진으로부터 연원하여 정재규를 통해 이어진 노사학파의 학맥을 계승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정재규의 再傳 및 三傳 제자들의 대체적인 규모와 내용도 함께 정리 분석하였다.

      • KCI등재

        기정진 이기설에 대한 노사학파 문인들의 계승 의식에 관한 검토 - 답문류편(答問類編) 「논도체(論道體)」를 중심으로

        박학래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61 No.-

        답문류편(答問類編)은 노사학파(蘆沙學派) 문인들이 노사집(蘆沙集)과 함께기정진(奇正鎭)의 학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그의 학문적 입장을 올바로 이해하고 계승하고자 간행한 것이다. 단순히 기정진의 학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머물지 않고 답문류편은 일찍부터 조성된 노사학파 내부의 강학 전통에 따라 강학교재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기정진 학문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계승하는 바탕을이루었다. 특히 답문류편에서 주목되는 것은 첫 부분에 기정진의 성리설을 담은「논도체(論道體)」를 배치하고, 가장 앞부분의 ‘총론’을 통해 리 중심의 이기론적 입장을 정리한 점이다. 이것은 주자(朱子)의 사례를 원용한 것이지만, 기정진 학문의요체가 리 중심의 이기론에 있음을 확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 본고는 답문류편의 「논도체」를 중심으로 기정진의 이기론적 입장에 대한 문인들의 계승 의식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답문류편의간행 경위와 편집 체제를 정리하여 노사학파 문인들의 기정진 학문에 대한 전반적인 계승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논도체」의 내용 구성을살펴보고, 「논도체」 가운데 기정진의 이기론적 입장이 집중적으로 수록된 ‘총론’을중심으로 노사학파 문인들의 기정진 이기설에 대한 계승점과 그 주요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호남 유학 연구에 대한 검토와 전망

        박학래 한국동양철학회 2022 동양철학 Vol.- No.57

        1990년대 중반 이후에 명시적으로 제시된 한국 유학 연구와 관련한 지역적 범주는 대체로 畿湖儒學과 嶺南儒學이라는 구도이었으며, 이때 ‘호남 유학’은 기호유학의 한 부분으로 규정되었다. 이전 시기까지 畿湖學派와 嶺南學派로 구분하여 이해되었던 지역적 범주와 관련한 학파 구도가 1994년부터 특정 대학의 기획연구와 관련하여 본격적으로 지역과 유학을 결합한 범주의 설정으로 이어지면서 호남 유학은 기호유학의 한 부분으로 명시된 것이다. 17세기부터 본격화한 학파적 결집에 따라 조선 유학의 전개를 학맥에 주목하여 退溪學派와 栗谷學派로 구분하는 것은 어느 정도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퇴계학파와 율곡학파라는 구분을 지역과 연관하여 영남학파와 기호학파로 구분하는 것은 해당 지역 내에 다른 학맥을 가진 일군의 학자들이 없지 않았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일정 정도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한국 유학에 관한 연구에서 제시된 지역적 범주 구분에 대한 그간의 논의가 가지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러한 구분에 유의하여 호남 유학 연구의 독자적인 영역이 가능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논자는 호남 유학의 독자성에 대한 이해가 이미 조선 시대의 여러 유학자에 의해 일관되게 이어져 왔을 뿐만 아니라 호남을 지역적 배경으로 활동한 유학자들의 인식이기도 하였음을 밝혔다. 현재에도 호남이라는 지역을 중심으로 호남의 다양한 유학적 경향과 특징을 호남 유학이라고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대체적인 이해의 방향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호남 유학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성과에 대한 대체적인 내용을 검토하였다. Research on Confucianism in Honam is in full swing in connection with raising interest in regional studies. However, the independent area of Honam Confucianism is still not very prominent in the overall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It can be said that the lack of specific research interest in the independent domain of Honam Confucianism is due to the existing arguments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category of Korean Confucian studies mediated by the region. The regional categories related to the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explicitly presented after the mid-1990s were generally structured as Kiho Confucianism and Yeongnam Confucianism, at which time "Honam Confucianism" was defined as a part of Kiho Confucianism. Honam Confucianism was specified as a part of Kiho Confucianism as the school structure related to regional categories, which had been understood by dividing into Kiho and Yeongnam schools until the previous period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 category combining local and Confucian studies in earnest. To some extent it can be said to be appropriate to divide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Joseon into the Toe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by paying attention to the academic veins of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Joseon according to the scholastic unity that began in earnest from the 17th century. However, the division of the Toe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into the Yeongnam School and the Kiho School in relation to the region has some problems, considering that there lacked a group of scholars with different academic backgrounds in the area. Moreover, organizing the topography of Joseon Confucianism by dividing it into Yeongnam Confucianism and Kiho Confucianism beyo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Yeongnam School and the Kiho School is an over-simplification in that it not only overlooks the various academic flows within each region but also simplifies the flow of Joseon Confucianism. In this study, I try to review the problems of the discussions on regional classification presented in the existing research on Confucianism in Korea, and to confirm that an independent area of Honam Confucian research is possible by paying close attention to this classification. In this process, I reveal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uniqueness of Honam Confucianism is not only consistently passed down by various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but also recognized by the Confucian scholars who were active in Honam as a regional background. Even now, the general direction of understanding is to understand and grasp the various Confucia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Honam as Honam Confucianism, centering on the region called Honam. And based on this point, I review the general contents of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related to Honam Confucianism. Based on this, I have suggested a pilot plan to derive advanced results of future Honam Confucian research.

      • KCI등재

        鳳棲 俞莘煥의 未發論 연구

        박학래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Mibal(weifa, being risen yet, 未發) discourse, one of the core propositions of self-cultivation theory related to moral practice in Neo-Confucianism, was one of the core arguments of Chosun Neo-Confucianism. In the Kiho academic world, after the debate between Yulgok(栗谷) and Ugye(牛溪) on the issue of good and evil in Mibal,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developed around Mibal. In particular, throughout the 18th century, discussions on Mibal revealed various controversies, and discussions on Mibal continu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ithout reaching a clear consensus. Bongseo(鳳棲) Yu Shin-hwan(俞莘煥, 1801~1859),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19th century KIho Nakron(畿湖 洛論), tried to establish a realistic basis for moral practice through discussions on Mibal. And he summarized the Mibal issues until then into three categories: 1)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rdinary person's Mibal, 2) the same and different between an sage and an ordinary person's Mibal, and 3) the depth and shallowness of the Mibal. And he examined Zhu Xi’s theory in various ways and presented his opinion in detail. In this paper, I tried to summarize and analyze Yu Shin-hwan's Mibal theory, focusing on his Mibalseol(未發說). In Mibalseol, not only the Mibal issues of the Kiho academic community developed until that time, but also the theory of Zhu Xi as the basis for claims related to each issue. By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I tried to summarize Yu Shin-hwan's understanding of Zhu Xi’s theory and his views on each issue presented through it. In addition, I tri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Yu Shin-hwan's Mibal theory in connection with the issue of Mibal theory and to present the significance of his Mibal theory. 성리학에서 도덕 실천과 관련한 공부론의 핵심 명제 중 하나인 未發論은 조선 성리학의 주요 논쟁점 중 하나였다. 특히 기호학계에서는 미발에서의 선악 문제를 두고 李珥와 成渾 간의 논변이 전개된 이후 지속해서 미발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특히 18세기 湖洛論爭을 거치면서 未發心體의 善惡 여부와 聖凡心同異 등 미발과 관련한 다양한 논쟁점이 제기되었으며, 19세기 전반기까지도 여러 논쟁점에 관한 뚜렷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한 채 미발 관련 논의가 지속되었다. 미발론을 통해 도덕 실천의 현실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던 19세기 기호 낙론의 대표적인 학자인 兪莘煥(1801~1859)은 「未發說」을 통해 당시까지의 미발론 쟁점을 1) 衆人의 미발 有無 여부, 2) 聖人과 凡人의 미발 同異 여부, 3) 미발의 淺深 여부 등 세 가지로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그의 견해에서 주목되는 것은 각 주장의 근거로 제시한 주자설에 관한 다면적인 검토에 이어 도덕 실천의 근거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미발에 관한 견해가 집중적으로 수록된 「未發說」을 중심으로 유신환의 미발설을 정리 분석하고자 하였다. 당시까지 전개된 기호학계의 미발 관련 쟁점뿐만 아니라 각 쟁점과 관련한 주장의 근거로서 제시된 주자설에 관해 유신환은 객관적이면서도 수용적인 태도를 가지로 미발론을 정리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미발론 쟁점과 결부하여 그의 미발론이 갖는 특징적 면모를 확인하고, 그 의의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蘆沙 奇正鎭 學派의 心說에 대한 考察

        박학래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xplanation on Sim(the heart-mind) of the Nosa School, which leaped into one of the prominent Neo-Confucian schools since the mid-19th century of Korea, by focusing on Ki, Jung-jin(1798~1879) and his major disciples. Unlike Hanju Yi, Chin-sang, Hwaso Yi, Hang-no and Kanjae Chon, U, Nosa’s disciples including Ki, Jung-jin did not provide any specific stance on the heart-mind in the debate on it, which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ontroversies since the late-19th century of Korea. However, they tried to take the li-based perspective to fortify the superintendence of li. Based on this metaphysical view of the li, they wanted to systemize realizing the moral nature of human beings through connection of the heart-mind to the li. Through such an idea of the heart-mind, furthermore, they were eager to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 of practice and cultivation in the real world. The Nosa School’s explanation on the heart-mind is based upon the combination of li with ki. This is not a simple link between li and ki, but a li-based stance implying that li is the center while ki is the ground. This stance is to fortify the superintendence of li as the necessity without any exclusion of ki operating practically in the world. This is a theoretical position to emphasize the thorough going superintendence of li over ki. With emphasis on the superintendence of li, thus, Ki Jung-jin tried to shape the understanding of the heart-mind into a more distinctive idea of It without any exclusion of ki operating practically in the world. Paying attention to the heart-mind as the quintessence of ki, his disciples developed the theories of the heart-mind by attributing li and ki to its real substance(sil-ch’e) and its normative substance(tang-ch’e) respectively. Their explanation on the heart-mind is distinguished from the Kiho School, succeeding to the theoretical tradition, which insists the heart-mind is ki. At the same time, their position can be considered as having a difference from the Hanju School, holding that the heart-mind is li. Generally speaking, the reason they paid attention to the original heart-mind (or illuminative virtue (myong-duk)) is because their theoretical position is deeply related to the discussions of either the Hanju School or the Hwaso School. 본 논문은 19세기 중반 이후 畿湖學界의 주요한 학맥으로 부상했던 蘆沙學派의 心說을 奇正鎭(1798~1879)과 그의 주요 문인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기정진을 비롯한 노사 문인들은 19세기 후반 이후 성리학계 최대 논쟁 중 하나였던 심설논쟁의 과정에서 寒洲 李震相나 華西 李恒老, 그리고 艮齋 田愚 등과는 달리 특정한 학설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들은 리의 주재를 강화하는 주리적 입장을 바탕으로 하여 심을 매개로 도덕적 본성의 실현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현실에서의 수양과 실천의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체적으로 노사학파의 심설은 合理氣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리와 기의 단순한 조합이라는 아니라 ‘理主氣資’라는 리 우위의 입장이 전제되어 있다.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작위하는 기를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필연의 묘로서 리의 주재를 강화하려는 이러한 입장은 기에 대한 리의 철저한 주재를 강조하는 이기론적 입장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기정진은 리의 주재를 강조하면서도 구체적인 현실에서 작위하는 기를 배제하지 않으면서 심에 대한 이해를 구체화하였고, 이를 계승하여 그의 문인들도 기의 精爽으로서 심에 유의하면서 리와 기를 각각 心의 實體와 當體로 구분하여 심론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노사학파의 심설은 心是氣의 전통을 계승한 당시 기호학계 일반의 논의와 구별되며, 동시에 心卽理를 주장한 寒洲 등과도 일정한 차이점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리가 주재하는 本心(혹은 明德)에 보다 주목한 것은 寒洲學派나 華西學派의 의론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