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분법적용투자주식 공정가치 평가의 유용성에 관한 실증연구

        배기수(Bae Khee-Su),이규진(Lee Kyu-Jin) 한국국제회계학회 2009 국제회계연구 Vol.0 No.26

        우리나라의 경우 1996년 3월 30일 개정된 기업회계기준에서 최초로 지분법을 도입할 당시에는 선택적 적용사항으로 되어 있어서 대부분의 회사들이 지분법을 적용하지 않고 원가법에 따라 회계처리를 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1998년 12월 12일 개정된 기업회계기준에서 지분법을 강제적 적용사항으로 전환하였고 2004년 12월 31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5호에서는 지분법의 회계처리방법을 국제적 회계기준에 맞도록 개정하면서 시장성 있는 지분법적용투자주식에 대해서는 대차대조표일 현재의 시장가격을 주석으로 기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에서 시장성 있는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시장가격이 지분법 적용투자주식의 정보에 추가하여 가치 관련성과 정보유용성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시장성 있는 지분법적용투자주식 시장가격의 주석공시가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증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가설의 예상대로 시장성 있는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시장가격과 장부가치의 차이는 주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어 시장성 있는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시장가격이 가치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익률모형에 의한 분석결과는 재무정보로서 시장성 있는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시장가격 변동과 투자회사의 시장가치 변동이 동시에 일어남을 보여주고 있어 시장성 있는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시장가격이 정보유용성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화 추세에 맞춰 제정된 기업회계기준서 제15호의 시장성 있는 지분법적용 투자주식의 시장가격을 주석으로 공시하도록 하는 규정에 대한 공시의도록효성을 판단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시장성 있는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시장가격이 투자회사에 대한 투자자의 투자의사결정에서 고려되고 있다는 사실은 투자자들이 투자의사결정을 할 경우에 시장성 있는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시장가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In Korea, on adopting firstly equity method in KAS revised on March 30, 1996, because equity method was selectional, most of the firms accounted by cost method not adopting equity method. therefore equity method converted selectional into compulsory in SKAS revised on December 12, 1998. the equity method of fair value footnote disclosures was required explicitly for investments in publicly-traded equity accounted securities after SKAS NO.15 Equity Method became effective on December 31, 2004.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he value relevance and information usefulness of the fair value information provided for publicly-traded equity accounted securities accounted for under the equity metho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positive evidences to understand footnote disclosures of the fair value information provided for publicly-traded equity accounted securities have some meaning. we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fair value information of publicly-traded equity accounted securities and investor firm market values and security returns. So it means that fair value information of publicly-traded equity accounted securities has the value relevance. Returns regressions provided evidence regarding relation between fair value changes of publicly-traded equity accounted securities and value changes in the financial statements of investor firm. It means that the fair value information of equity method investments has information usefulness. Results of our study should be useful in the debate over whether equity method investments should be recognized at fair values, and provide evidence over whether the fair value footnote disclosures for publicly-traded equity method investments required by SKAS No.15. were effective. An important intention of our study is that we only examine the value relevance and information usefulness of fair value information of equity method investments that have a quoted market price.

      • KCI등재

        브랜드 자산의 가치 및 사용료율 평가 : A지주회사 사례

        권혁준,김종일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저널 Vol.31 No.1

        Intangible assets such as brand, customer relationships, industrial property rights such as patents, trade secrets, data, and know-how have become a key driver for the creation of corporate value in most compan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brand in a broad sense including a trademark is defined as a unique combination of design, symbols, names, etc. used to imply the nature, values and attributes contained in a product or service, and has marketing functions such as distinguishing from other products and services, indicating sources, quality assurance, etc.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a holding company that owns a corporate group brand evaluates the value of brand assets and the royalty rate in order to sign a brand license agreement with a brand-using affiliate and receive brand royalties. For the evaluation of brand assets, the concept of a brand is compared with the provisions of registered trademarks under the Trademark Act, and the definition and recognition standards of intangible assets are reviewed through the relevant provisions of Korea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K-IFRS) No. 1038.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K-IFRS No. 1038,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an asset in accounting, identifiability, control of resources, existence of future economic benefits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must be satisfied. For an intangible asset to be identifiable, the asset must be separable or the asset must arise from a contractual or other legal right. In addition, the power to obtain the future economic benefits flowing from the underlying resource and to restrict the access of others to those benefits must be secured. Intangible assets can be measured at fair value. In K-IFRS No. 1113, fair value is the price that would be received to sell an asset or paid to transfer a liability in an orderly transaction between market participants at the measurement date. In principle, fair value measurement is based on the price in an active market. However, if there is no quoted price in an active market, fair value is measured using a valuation technique such as a income approach or a market approach. In the valuation of intangible assets that are difficult to find quoted prices in an active market, such as brand assets, the fair value measurement standard of K-IFRS No. 1113 must be strictly complied with to enhance objectivity. The fair value measurement using the valuation technique is evaluated through the cost method (cost approach), comparison method (market approach), and income method (income approach), and the value of brand assets is evaluated by the excess profit estimation method, which is a type of income method. The excess profit estimation method is a method of estimating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s as a whole, assuming that intangible assets generate profits that exceed the normal profits of the industry. The value of brand assets is estimated by estimating the contribution of brand assets among the values ​​of the entire company's intangible assets. Corporate brands such as this case have the nature of collective asset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estimate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s of the entire company and to estimate the value of brand assets among intangible assets. The value of the intangible assets of an entire company can be defined as the present value of profits that exceed the normal profits generated by other similar companies in the similar size and same industry. Therefore, the excess profit estimation method is applied as the valuation technique in this case in that it estimates the value of the entire company's intangible assets to meet the definition of intangible assets. The valuation technique based on the excess profit estimation method applied in this case is a method of estimating fair value using unobservable inputs (level 3 inputs) in the fair value hierarchy. Assuming the highest and best use (use of an asset that is physicall... 브랜드를 비롯한 고객관계, 특허 등의 산업재산권, 영업비밀, 데이터, 노하우 등의 무형자산은 빅테크 기업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한 대부분의 기업에서 기업가치 창출의 핵심적인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상표를 포함하는 광의의 브랜드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함유된 본질과 가치와 속성 등을 함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독특한 디자인, 상징, 명칭 등의 결합체라고 정의되며, 타 상품 및 서비스와의 구별, 출처의 표시, 품질 보증 등의 본원적 기능과 함께 고객의 인지도와 충성도 제고 등의 마케팅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그룹 브랜드를 소유하는 지주회사가 브랜드 사용 계열사와 브랜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브랜드 사용료를 수취하기 위해 브랜드 자산의 가치와 사용료율을 평가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브랜드 자산의 평가를 위해 우선 브랜드의 개념을 상표법상의 등록상표등의 규정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무형자산의 정의와 인식 기준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제1038호의 관련 규정을 통해 검토한다. 이후 K-IFRS 제1113호에 규정된 공정가치의 정의와 측정방법을 살펴본다. 가치평가기법을 적용한 공정가치 측정을 원가방식(원가접근법), 비교방식(시장접근법), 수익방식(이익접근법)을 통해 살펴보고 수익방식의 일종인 초과이윤추정법에 의해 브랜드 자산의 가치를 평가한다. 초과이윤추정법은 업종의 통상이익을 초과하는 이익을 무형자산이 창출하는 것으로 보고 기업 전체의 무형자산의 가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기업 전체의 무형자산의 가치 중 브랜드 자산의 기여분을 추정하여 브랜드 자산의 가치를 평가한다. 공정가치 측정을 위해 복수의 가치평가기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한 가치평가기법 외에 다른 방식의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합리성을 검토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비교방식에 의한 브랜드 사용료율을 산정한 후 초과이윤추정법과 비교한다. 지주회사 체제로 기업지배구조를 개편하는 대기업 집단이 증가하면서 지주회사의 주 수익원인 브랜드 자산의 가치평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브랜드 등의 무형자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본 사례연구는 기존의 브랜드 자산의 가치평가기법으로 주로 사용되던 로열티 면제법과 다기간초과이익법 외에 초과이윤추정법에 의한 가치평가기법의 추정 사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무형자산 평가 및 재무제표 작성 관련 실무자와 경영자, 학계, 관련 기관 등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현행 주식가치평가의 법적 쟁점과 ‘공정한 가액’에 관한 연구

        김홍기 한국상사법학회 2011 商事法硏究 Vol.30 No.1

        Qualifying shareholders disagreeing with particular corporate decisions that are stipulated under the Commercial Act and/or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 Act (“CMFISA”) may dissent and obtain payment for their shares (“appraisal remedy”), provided that the action they wish to challenge is “unlawful or fraudulent.” The dissenter is entitled to the “fair value”standard of value for their shar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air value for shareholders’ shares, and discusses how the term fair value should be interpreted. It then provides a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the use of Market Value as the appropriate standard for valuation. ‘Fair value’ means the value of the corporation's shares, especially,immediately before the effectuation of the corporate action to which the dissenter objects. Three calculation methods of fair value are commonly used: present value of the firm’s existing assets; the market value; and,earning value including future earning opportunities to free cash flow. The Commercial Act and CMFISA, however, suggest that “the details of determining ‘fair value’” within the broad outlines of the definition should be left to the courts. Accordingly, the Supreme Court recently held that fair value is the “normal transaction price that reflect the object exchange value (normal deal price which was reflected objective exchange validity).” At present, however, no clear case law provides an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meaning of normal transaction price. This article is organized in six parts. Part Ⅱ addresses the nature and implication of stock and how it connects to the fair value for shareholders'shares. Part Ⅲ briefly reviews the three calculation methods of fair value for corporate value, and Part Ⅳ analyzes the statutes and case law governing the fair value for shareholders' shares, draw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ifficulties posed by the Supreme Court's decisions. Finally, Part Ⅴ reviews relevant legal issues, fair value, fair issuing price, appraisal right, squeeze-out merger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appraisal methods for corporate value.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ovides a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the use of Market Value as the appropriate standard for valuation.

      • KCI등재후보

        스톡옵션의 회계처리가 보고이익에 미치는 영향

        박종성,이상철,곽지영 대한경영학회 2004 大韓經營學會誌 Vol.17 No.6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methods of accounting for stock-based compensation plans on reported earnings in financial statements. Korean firms were enabled to choose to adopt the preferable one among the methods of accounting for stock options prior to 2004. However, the firms are allowed to use only fair value based method of recording expenses relating to stock options for fiscal years beginning after December 31, 2003. This environment provides a good testing groun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amendments of regulation on reported earnings. The sample consists of 94 cases received stock option over 2001-2001.This study finds that the total compensation cost of stock options under the fair value based method increases to an average of 257 percent compared with that under the method estimating the value of stock options at minimum value. This paper also provides evidence that net income and earning per share under the fair value based method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under minimum value based metho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ce of reported earnings between fair value based method and minimum value based method is shown to hav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본 연구는 스톡옵션의 회계처리가 보고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2003년 말까지 한국은 스톡옵션 보상비용 산출방법으로 공정가액접근법과 최소가치접근법을 모두 허용하였다. 그러나 최소가치접근법을 사용할 경우 보상비용이 과소 계상된다는 비판이 제기됨에 따라 한국회계기준위원회는 2004년부터 공정가액접근법만을 적용하여 보상원가를 산정하도록 회계기준을 개정하였다. 본 연구는 최소가치접근법과 공정가액접근법하의 보고이익이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보상원가 산정방법의 변경이 향후 한국기업의 재무제표에 미치게 될 영향을 분석한다. 2000년과 2001년 현재 임직원들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하고 있는 상장기업의 94개 부여건수를 대상으로 최소가치접근법에 의한 보고이익과 공정가액접근법에 의한 보고이익을 각각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공정가액접근법을 사용하는 경우 최소가치접근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총보상원가는 평균 257% 증가하며, 당기순이익은 1.6%, 주당순이익은 1.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소가치접근법과 공정가액접근법에 의해 계산된 당기순이익, 주당순이익, 총자산이익률 및 주가이익비율의 평균은 모두 유의수준 10% 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경제적 실질은 동일하다 하더라도 스톡옵션 회계처리방법에 따라 보고이익이나 주가이익비율 등이 상당히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주식매수가액결정 사건의 이론적ㆍ실무적 문제에 관한 연구

        하태헌 사법발전재단 2008 사법 Vol.1 No.6

        As there has been changing in the capital market and industrial environment, the disputes where minority shareholders exercise their rights to appraisal opposing to the corporation's appraisal have been on the rise. To ensure these rights to appraisal be practically protected, however, the procedure of determining fair value of the dissenters' shares should be fairly proceeded substantively and procedurally. However, the commercial law of South Korea only has abstract provisions in defining the way of determining the fair value of shares and the appraisal ends up in the court when the parties do not agree to the stock pric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ther special statute having legal formula for the stock value. Therefore, many appraisal cases tend to be decided by the court and the judges comprehensively consider lots of formula in determining the fair value of the stocks. Currently, we have lots of procedural problems since the number of precedents for the appraisal disputes proceedings is not enough to be helpful for the judges to determine the fair value of the shares in the appraisal right cases even though appraisal disputes have been classified into non-contentious litigation cases.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xamine various procedural problems and legal formula in dealing with appraisal right cases in determining the fair value of shares. 자본시장과 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소수주주들이 회사의 결정에 반대하여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주식매수청구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 이후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주식매수가액결정 과정이 절차적으로나 실체적으로나 공정하게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러나 우리 상법은 공정한 주식가액을 산정하는 방법 및 기준에 관하여 매우 추상적인 규정만을 두고 있고, 비교적 자세한 산정기준을 두고 있는 기타 특별법에 의하더라도 당사자 사이의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이의가 있는 경우 최종적인 주식의 가액은 법원이 결정할 수밖에 없어, 결국 공정한 주식의 가액은 여러 기준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법원의 주식매수가액결정 재판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이러한 주식매수가액결정 사건은 비송합의사건으로 분류되어 처리되고 있으나 가액결정절차에 관한 많은 실무례가 축적되어 있지 않아 그 절차상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판례는 델라웨어 가중평균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주식의 시장가치, 순자산가치, 수익가치를 산정한 후 그 반영 여부 및 반영비율 등을 조절하여 공정한 가액을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 그 가액의 결정기준에 관하여도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주식매수가액결정 사건에서 실무상 쟁점이 될 수 있는 여러 절차적인 문제점 및 공정한 가액을 산정하기 위한 여러 기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상장기업의 주식보상비용과 이익조정의 상관관계 연구

        박성환 ( Sung Whan Park ),이호영 ( Ho Young Lee ) 한국회계학회 2006 회계저널 Vol.15 No.특별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상장기업들이 주식보상원가 산정방법의 선택을 통해 이익조정을 했을 가능성이 있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익조정이 옵션가격결정모형에 적용된 변수에 대한 가정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식보상원가의 산정방법으로 최소가치법을 선택한 기업이 공정가액법선택기업 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_년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 보상원가의 산정방법으로 최소가치법을 선택한 기업은 공정가액법을 선택한 기업에 비해 기업규모, 수익성, 안전성, 현금흐름 면에서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소가치법선택기업이 공정가액법을 가정할 경우에 보상비용의 증가가 매우 중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보상비용 증가효과는 공정가액법선택기업이 최소가치법을 가정할 경우의 보상비용 감소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최소가치법선택기업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재무적 상황과 공정가액법 적용시 보상비용 증가가 손익에 미치는 영향의 중대성 때문에 공정가액법 보다는 최소가치법을 선택하여 이익을 상향 조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주식매입선택권 부여 시점에서 최소가치법선택기업과 공정가액법선택기업 모두 기대행사기간을 실제 보다 짧게 선택하여 주어진 평가방법 내에서 보상비용을 손익에 적게 반영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보상원가 산정방법과 이익조정과의 상관성 분석에서 최소가치법선택기업의 재량적발생액이 공정가액법선택기업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식보상비용이 재량적 발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나타났기 때문에 보상원가 산정 방법의 재량적 선택에 의해 이익을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분석가 예측치에의 접근 정도를 이익조정의 대용치로 한 경우에는 최소가치법선택기업과 공정가액법선택기업간에 유의적인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에 따라 공정가액법을 의무화한 기준의 개정은 경영자의 재량적 회계선택을 통한 이익조정의 여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타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ublicly traded firms in Korea have used stock option compensation expense as a means of earnings management. This study also examines whether the assumptions made for a stock option valuation model such as the Black-Scholes could be used for earnings management. We find evidence that firms used the minimum value method tends to be small in size and experience lower profitability and cash flows than those used the fair value method. Assuming firms use the alternative method, incremental option expense is much larger for firms used the minimum value method than those used the fair value method. We find that firms used the minimum value method tend to have relatively high stock return volatility and longer expected exercise period and the requisite service period suggesting that those firms are riskier and allocate the option expense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those used the fair value method. We also find that discretionary accruals are larger for firms used minimum value method than those used the fair value method.

      • KCI등재

        일본에서의 주식매수가격 결정 -조직재편시 상장주식의 공정한 가격을 중심으로-

        박수영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0 동북아법연구 Vol.13 No.3

        Corporations created under modern corporation statutes are democratic organizations, subject to majority rule. As a result, minority shareholders are vulnerable to abuse at the hands of the majority. Appraisal rights attempt to preserve the rights of minority shareholders to receive "fair value" for their holdings in the event of a corporate merger or consolidation. Valuation of the equity shares of any corporation, whether it is publicly traded or privately held, is one of the most subjective and challenging tasks the courts will ever deal with. Even financial professionals view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fair value of equity as one of the most daunting tasks that they must face during the course of their careers. The single biggest reason that this task is so challenging is the fact that there is no single prescribed formula that is most effective for valuing the common equity of every company.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hat courts determining fair value in appraisal proceedings be aware of the purposes now served by the remedy. Courts should be willing to entertain all relevant evidence bearing on the fair value of the corporation. While recognizing the reasonableness of referencing the market value as the basic data, it is pointed out that the market value should not be used as the basic data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market value does not reflect the objective value of the corporation.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market value may not be reliable, the discussions on the fair value to be decided by the court in the case of the application for the purchase value determination of listed stocks in Japan were discussed. 일본 회사법에서도 합병, 회사분할, 주식교환 또는 주식이전(이하 “조직재편”이라 총칭한다.)이 행해지는 경우 당해 조직재편에 반대하는 주주는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일본 회사법 제785조 제1항, 제797조 제1항, 제806조 제1항). 그리고, 그 주식의 매수가격에 대하여 당사자(주주와 회사)사이에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때에는, 법원에 대하여 주식매수가격결정의 신청을 할 수 있다(同法 제786조 제2항, 제798조 제2항, 제807조 제2항). 일본에 있어서 상장주식의 매수가격결정 신청사건의 판례에서는 시장가격에 의해 공정한 가격이 결정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시장가격을 기초자료로서 참조하는 것의 합리성을 인정하면서도, 시장가격이 기업의 객관적가치를 반영하지 않은 것을 엿보이는 사정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시장가격을 기초자료로서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도 지적되어있다. 그러나, 기업평가이론을 이용하여도 시장가격보다도 합리적인 가격을 산정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 있다. 왜냐하면, 매우 합리적인 평가방법으로 말해지고 있는 DCF法에서는 자의성이 높다는 지적이 있기 때문이다. 시장가격을 신뢰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는 관점에서 일본의 상장주식의 매수가격결정신청사건에 있어서 법원이 결정하여야 할 공정한 가격에 대한 논의들을 검토하고 그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주식매수청구권 매수가액 결정기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김희철(Heecheol Kim)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19 No.2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가액 결정은 회사와 반대주주간의 합의에 의한 것을 기본으로 하고, 법원의 결정을 최종적인 해결방법으로 정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주식매수청구권의 발생지인 미국의 경우에도 유사하다. 또한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가액의 결정은 공정한 가격이어야 하다는 점도 유사하다. 다만 우리 대법원은 당해 회사의 상황이나 업종의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정한 가액을 산정하여야 한다고 밝히면서 그 방법으로 비상장회사의 경우에는 I) 그 주식에 관하여 객관적 교환가치가 적정하게 반영된 정상적인 거래의 실례가 있으면 그 거래가격을 시가로 보아 주식의 매수가액을 정하고, 실례가 없는 경우에는 ⅱ) 자산가치 · 시장가치 · 수익가치의 3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제반사정을 고려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행사가격을 산정하는 가중산술평균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장회사의 경우에는 시장주가를 배제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시장주가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고 판결하였다. 미국 델라웨어주 판례에서는 상장회사와 비상장회사 모두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는 바,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에 따른 주식 매수가액 결정은 공정한 가격의 산정을 위하여 시장가격을 배제하여야 한다고 한다. 왜냐하면 시장가격은 공개된 정보에만 기초하여 형성되는 거래가격을 의미하지만, 공정한 가격은 미공개 정보도 반영한 가치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기 때문에 시장가격은 거래가격을 의미할 뿐이고, 시장가격이나 거래가격은 공정한 주식가치의 평가수단이 될 수 없다고 한다. 따라서 델라웨어주 및 미국의 많은 주 법원은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가액의 결정을 위하여 사용하던 Delaware Block Method(시장가격을 기초로 시장가치방식 · 순자산가치방식 · 수익가치방식에 가중치를 산정하는 가중산술평균방식)를 포기하고, 미공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계속기업가치를 기준으로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가격을 결정하여야 한다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Korean Commercial Law as well as Korean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codify dissenting shareholder’s appraisal right in the event of transfer of shares, transfer of business, as well as various type of mergers. Even though the appraisal right is originated from the United States, Korean law acknowledges the right in the broader range of events. In this paper the author reviews the current legal framework of appraisal rights between the Delaware and Republic of Korea and then compares the courts standards to appraise the fair value of shares. Korean supreme court examines three elements of value, which are market value, asset value, and earnings value. These values are then averaged in order to determine the fair value of the equity of the company. The standard is almost same as the Delaware Block Method which is used before 1983 and the landmark case of Weinberger v. UOP, Inc. The author insists that the fair value should be evaluated by the business as a going concern, rather than using a prospective merger as the key for determining value. The current Korean Supreme Court standard, therefore, may need to be modified to acknowledge the current generally accepted valuation methods.

      • KCI등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상 부동산평가방법의 문제점 - 공평과세의 원칙을 중심으로 -

        임승순(Lim Seungsoon),김용택(Kim Yongtaek) 한국세법학회 2021 조세법연구 Vol.27 No.2

        우리 헌법재판소는 상속재산 및 증여재산의 가액을 상속개시일 또는 증여일 현재의 시가에 의하도록 하면서 시가의 의미와 시가로 인정되는 범위를 규정한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1996. 12. 30. 법률 제5193호로 개정되고, 2010. 1. 1. 법률 제991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0조 제 1 항 · 제 2 항이 재산권을 침해하거나 평등권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헌법재판소 2010. 10. 28.자 2008헌바140 결정), 상속재산 및 증여재산 가액을 평가함에 있어서 사실상 임대차계약이 체결되거나 임차권이 등기된 재산의 경우 임대료 등을 기준으로 평가한 가액과 개별공시지가 중 큰 금액을 그 재산의 가액으로 보도록 규정한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2003. 12. 30. 법률 제70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1조 제 7 항 역시 납세자의 재산권이나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보았다(헌법재판소 2006. 6. 29.자 2005헌바39 전원재판부 결정). 그러나 헌법재판소의 위와 같은 판단은「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재산평가에 관한 규정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에도 개별규정들을 따로 평가 · 판단하고, 전체적으로 시가의 개념을 중심으로 평가의 적정성에만 초점을 맞추었을 뿐 동일한 담세력을 가진 납세자 사이의 평가의 공평성의 문제에 관하여는 애써 외면하였다는 평가를 피하기 어렵다. 재산의 평가에 있어서 평가의 공평성은 평가의 적정성을 상회하는 가치개념이다.「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평가방법에 관한 규정의 문제점은 현실적으로 동일한 담세력을 가진 납세자들 사이에 과세의 공평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그것이 근본적으로 법 규정의 문제점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이다. 과세대상 평가의 공평성을 확보, 유지하는 것은 세법상 가치평가 체계를 구축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청이며, 어느 납세자에 대하여 적용한 평가방법이 그 내용이 적정하더라도 동일한 담세력을 지닌 다른 납세자들보다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라면 그와 같은 차별을 합리화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위헌 또는 위법하다고 보는 것이 미국이나 독일, 일본 등 외국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법리이다. 이 논문에서는 주로 외국 법제와의 비교를 통하여 우리 법체계의 문제점과 이를 합헌으로 판단한 헌법재판소 논거의 문제점을 다루었다. 구체적으로 우리 세법상 공평과세 원칙의 적용과 관련하여 평등의 의의와 세계 각국의 재산평가제도 및 그 시사점, 우리나라 상속세 및 증여세법 상 평가규정 체계의 개관, 재산평가규정의 특징 및 문제점, 관련 규정들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의 내용 및 문제점등에 관하여 차례대로 살펴보았다.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stated that the value of inherited property and donated property shall be calculated based on the market value as of the commencement date of inheritance or the date of donation, and held that Article 60(1) and (2) of the former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amended by Act No. 5193, December 30, 1996;before the amendment by Act No. 9916, January 1, 2010), which defines the meaning and scope of market value, neither infringes the right of property nor contravenes the right of equality (se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2008Hun-Ba140 Decided October 28, 2010). With respect to the assessment of the value of inherited property and donated property, the Constitutional Court also determined that Article 61(7) of the former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before the amendment by Act No. 7010, December 30, 2003), which stipulates that between the value assessed based on the lease fee of property to which a de facto lease agreement is executed or a right of lease is registered and the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land price, the larger amount shall be deemed the value of said property, did not infringe a taxpayer’s right of property or right of equality (see Constitutional Court en banc Decision 2005Hun-Ba39 Decided June 29, 2006). However, such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based on the review and interpretation of individual provisions - despite the provisions relating to property valuation under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being organically and closely related - and merely focuses on the justification of assessment centering on the overall concept of market value, and appears to have disregarded the issue of fairness of assessment in relation to taxpayers with the same tax-bearing capacity. With respect to property valuation, fairness is a value-oriented concept transcending the adequacy of valuation. In actuality, issues regarding the provisions on assessment method under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mostly arise from the failure to sustain fairness in taxation among taxpayers with the same tax-bearing capacity, which in turn stems from the relevant statutory provisions. Ensuring and maintaining fairness in the assessment of the subject of taxation is the utmost fundamental requirement to develop a valuation system under the tax law. Moreover, albeit the substance of the method of assessment applied to any taxpayer is deemed appropriate, if it imposes heavier tax burden as opposed to other taxpayers with the same tax-bearing capacity, the generally-accepted legal doctrine in such countries as the U.S., Germany or Japan is that such assessment method is considered as unconstitutional or unlawful barring special circumstances that may rationalize such discrimination. This article mainly explores the issues of our country’s judicial system in comparison with those of other major countries and touches upon the issu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rationale that served as a basis for the decision of constitutionality as to the aforementioned matter. In detail, the author addresses such various topics as:(ⅰ) the significance of equality in respect to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fair taxation under the Korean tax law and the property valuation system of other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s;(ⅱ) overview of the valuation provisions under Korea’s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ⅲ)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property valuation provisions;and (ⅳ)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s to the relevant provisions and its issues.

      • KCI등재

        국제경제법 방법론 연구(1)

        金大園(Dae-Won Kim) 대한국제법학회 2007 國際法學會論叢 Vol.52 No.2

        점증하는 국제통상분쟁과 복잡다단해지고 있는 국제경제법 법률관계는 필연적으로 법적 추론의 효율성을 요구하고 있고 따라서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긴요하다. 국제경제법도 일반적인 법학의 구성요소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므로 규범체계를 구성하는 기본요소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방법론을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국제경제법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事象들을 보다 일반적인 개념을 통해 재구성하고 그를 통해 국제경제법 관계를 단순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법적 추론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시도의 처음으로 본고에서는 WTO 반덤핑협정에서 빈번히 나타나고 내재되어 있는 일방적 공정성 개념을 보다 보편성을 갖는 다자적 공정성 개념으로의 轉化를 다루었고, 다자적 공정성 개념을 GATT 23조상의 청구원인으로 제시된 이익침해 개념과 그간의 판례 등을 통해 축적된 관련 법리를 통해 구성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Ever-increasing international trade disputes and consequently complicated relationships in international economic law have evoked the necessity of legal method in international economic law. The legal method is intended to create an efficient legal reasoning which can clarify juristic relations in international trade disputes. Because international economic law is also based on general normative components of legal science, a detailed examination of such conventional components comes in useful for producing an efficient legal method. This article plans to construct the legal method, by means of categorizing concrete incidences in international trade and conceptualizing them in more general forms. One of the forms, treated in this article, is ‘unilateral fairness’ mostly internalized in anti-dumping measures by any WTO Members. Utmost interest of this article then is to transform the concept of unilateral fairness into more acceptable or less conflicting concept of ‘multilateral fairness’. The writer has found a distinct possibility of conceptualizing the multilateral fairness by analyzing WTO/GATT Article XXIII and grouping the concept of “benefits” provided in the 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