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도시계획전시관의 체험형 전시유형에 따른 관람객 만족도에 관한 융합 연구

        탄쥐안,조은길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3

        This study takes the effective allocation scheme of exhibition media required by the urban planning museum as the starting point, which can reflect the needs of visitors for exhibition medi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the exhibition types of the urban planning museum and put forward the design guidelines that reflect the needs of users. Therefore, this paper classifies the exhibition types of urban planning museums, and attempts to analyze the visitors’ understanding of th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rough the cas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panel exhibition in the indirect experience exhibition and the touching exhibition in the immediate experience exhibition are the most used. Secondly, when designing the exhibition types of urban planning museums, if we relatively use more specimen exhibitions and reduce the use of panel exhibitions or replace them with other exhibition types, we can obtain good exhibition effects. Thirdly, when planning exhibition types, it is necessary for urban planning museums to reduce the use of indirect experience exhibitions and improve the use of immediate experience exhibitions. Fourthly, the arms operational exhibition needs to be centrally managed, and the material exhibition and voice and image exhibition need to take immediate measures. Finally, visitors are highly satisfied and important with the type of immediate experience exhibition,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ctively setting up that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user-centered exhibition types when establishing urban planning museum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도시계획전시관에서 관람객의 요구를 반영한 전시매체의 효율적 배치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에서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계획전시관의 전시유형 설계 시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도시계획전시관의전시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대한 관람객들의 인식을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분석을 통해 간접체험형 전시유형 중에 패널전시 유형, 직접체험형 전시유형 중에 촉각 전시유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도시계획전시관 전시유형을 계획 시 표본전시 유형을 상대적으로 많이 전시하고 패널전시 유형을 줄이거나 다른 전시유형으로 대체하면 좋은 전시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도시계획전시관에서 전시유형을 활용 시 간접체험형 전시유형의 활용도를 줄이고 직접체험형 전시유형의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조작 전시유형은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실물전시와 음성 영상전시유형은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다섯째, 직접체험형 전시유형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가 높게 나타나므로 이에대한 적극적인 설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도시계획전시관의 건립 시 이용자 중심의 부합한 전시유형을 계획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전시기획활동 사례연구

        김은정(Kim Eunj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의 전시기획활동이 학생들의 미술 비평역량 및 정의적 영역에 준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교육적 의미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ㅂ공립중학교 교내 미술동아리 및 토요 미술수업에 참여하는 학생 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학생들은 전시를 위한 작품제작 및 작품 선정, 전시주제 선정, 전시장 구성 • 홍보 • 운영의 전체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12개월의 연구기간 동안 전시를 위한 작품을 제작하면서 1차 교내 전시기획을 18차시 실시하고, 2차 교외 전시기획(국내 ㅎ 대학교 건물 내에 위치한 사설 갤러리)을 27차시 진행하면서 연구자의 참여관찰 및 수업 일지, 학습자의 작업결과물과 개별 포트폴리오,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 하고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서 학습자의 주도성 발현, 민주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작품에 대한 애착강화, 미적 대상에 대한 향수의 태도가 생겼고 미 술 비평 능력과 관련하여서는 기준에 맞는 작품선정 및 분류, 재구성 능력의 향상, 머릿속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하는 능력향상, 작품에 의미를 부여하고 타인에게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역량의 강화, 작업의 전체과정을 반성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전시기획 활동이 학습자들에게 사고과정을 통해서 길러지는 비평능력 향상 및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통한 정의적 영역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전시기획활동이 전시를 통한 타인과의 소통매체가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었다. 더불어 일반 교과시간에 다수의 학생 들에게 적용하여 다양한 교육적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a educational means of the leaner centered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from the analyzing and observation the change of students' art criticism and affective domain from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For the observation. 8 students who participate to Saturday art class or campus art club at public middle school were selected. The students were actively participate to overall process of work producing for exhibition. works selection. them of the exhibition selection, and composition • publicity • management of the exhibition center. As producing the work during twelve months of the study. they did 18times primary campus exhibition planning and 27times secondary outside school exhibition planning(private gallery in local ㅎuniversity). Researcher's participant observation. class curriculum. and leaner's works, personal portfolio, and interview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s learner's initiative, increasement of democratic communication ability, strong attachment to the works, and the attitude of nostalgic for the aesthetic object in affective domain. In regard to the ability of art criticism, increasement the ability of selection or classification of works by a standard. recornposition, visualization a idea in mind, meaning, explanation and impress to the works, and the ability of perspective that could help to see the whole processes and have reflective thinking were observed. We could observed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affect to the increasement of art criticism that could be comes from a process of thinking and change In affective domain from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From the results. we conclude this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can be the communication methods with others. Also. this can be applied to many students in general curriculum time and brings variety educational outcome.

      • KCI등재

        과학관 전시기획 프로세스 연구-과천과학관 기초과학분야를 중심으로 -

        장은경 ( Jang Eun-kyung ),임인배 ( Yim Yin-bae ),현혜정 ( Hyun Hye-j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

        과학관이 접근하기 어려운 문화공간이기 보다는 생활 속에 밀접하게 관련된 사회교육 기관으로서 위치해 감에 따라 과학관은 기능과 내용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로 발전하며 시대·국가 및 정책목표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과학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전시의 기획단계부터 그 기능과 내용에 맞게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전시기획은 일정의 공간에서 가장 쾌적하고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행하기 위한 종합기획이다. 인간, 시간, 공간, 전시물의 4가지 사이를 종합적으로 기획하는 것이야 말로 전시의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과학관 전시기획 프로세스의 필요성은 전시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과학관들은 일단 필요한 규모의 과학관을 설계한 다음 주어진 전시공간에 전시물을 끼워 맞추는 순서로 진행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어서 전시물이 갖는 특성이 무시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과학관 전시 기획 프로세스를 연구해 보고 실제 기획서를 통해 구현된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The Science museum has been proceeding constantly for the most effective social education cen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the systematic exhibit project planning. Exhibition project is the complicated one for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ed. Now it is time to transform science museum in to a true place for discovering knowledge by among visitors, time, space, objects. When exhibition planners are working out the exhibition project they need effective exhibition planning for the communicating between objects and the public. However, Korean science museums that have built science exhibition projects have focused on the hasty result. Of course, they ignored the characters of science objects. We should consider the study of objects.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exhibition planners should carry out the responsibility along with the systematic planning practice, whether they want to do or not, here we should address the fact that the study of Science exhibition planning have to grow in accordance with the responsibility of the exhibition plan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correct planning of science exhibition as well as exhibition through case studies and analyses by actual Science exhibition planning documents.

      • KCI등재

        실감형 콘텐츠를 전시공간디자인에 접목한 사례 연구 -문화 및 집회시설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경묵 ( Kang Kyungm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산학연협력 촉진 및 정부와 기업간에 ICT를 기반으로 한 실감형 콘텐츠가 문화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매우 활발하게 전개해 나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CPU와 인간의 일반적인 정보공유인 IT에서 한층 더 발전된 ICT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미디어콘텐츠가 펼쳐지고 있다. 실감형 콘텐츠는 디지털 콘텐츠로 점점 발전하여 대표적인 킬러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내에 국가 및 지자체가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는 문화 및 집회시설의 전시공간을 선정하고 사례를 통해서 실감형 콘텐츠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실감형 콘텐츠의 개념과 유형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사례를 통해 실감형 콘텐츠의 적용대상률과 실감형 콘텐츠의 전시공간을 조사하였다. 셋째, 각 사례를 통해 실감형 콘텐츠의 기대효과를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 및 지자체에서 실감형 콘텐츠를 계획하고 있는 전시공간 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실감형 콘텐츠는 전시공간에서 가상현실(VR), 증강/혼합현실(AR/MR), 홀로그램 융합,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의 가장 적합하게 전시매체로 활용되고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실감형 콘텐츠 유형 중 몰입형 콘텐츠로 조사하는 것에 제한하였다. (결과) 울산안전체험관은 실감형 콘텐츠 중 VR, AR로 전시연출이 되었으며 전체 적용대상률은 3층 전시면적의 77.6%로 빈도율이 매우 높게 조사되었다. 국립항공박물관은 체험 연계 VR콘텐츠로 전시공간이 구성되었으며 적용 대상률은 20.0%로 박물관에서도 실감형 콘텐츠가 편중되고 있다. 제주 플레이케이팝은 실감형 콘텐츠로 전시 계획한 바와 같이 3D 애니메이션 영상미디어인 ‘라이브360’과 홀로그램 콘서트인 ‘라이브 홀로’로 전시공간이 크게 나누어졌고, 이를 바탕으로 적용대상률은 26%이상을 전시공간으로 구성하고 있다. 경남고성공룡엑스포 공룡AR체험존은 VR, AR로 실감형 콘텐츠로 전시매체가 킬러 콘텐츠로 조성되어 적용대상률은 전시면적 전체 100%로 매우 높은 실감형 콘텐츠로 전시공간이 연출되어 있다. 국립해양과학관은 행잉형 VR시뮬레이터, 5D영상관, 3층 상설전시실의 절반을 활용한 AR 증강현실로 전시공간이 구성되어 있어 실감형 콘텐츠의 VR, AR로 전시매체가 기획되었으며 적용대상률은 약30.0%로 높게 편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문화기반시설의 전시공간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각 사례를 통해 실감형 콘텐츠가 4차 산업 혁명의 대표적인 미디어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킬러 콘텐츠로 전시공간이 구성되었음을 결과로 도출하였다. ICT분야의 국내 기업들도 규모가 영세하여 실감형 콘텐츠를 제작해 기관간의 공유하고 MOU체계를 맺어 지역 간의 문화기반시설의 편 중심을 분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각 사례를 통해 문화기반시설 중 전시공간에서 실감형 콘텐츠의 적용대상률을 통해 중요성에 대해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정부에서도 ICT를 기반으로 하는 킬러 콘텐츠의 수준 높은 실감형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진행하길 기대한다. 실감형 콘텐츠를 전시 기획하는 전시공간의 문화기반시설에 배가되는 것을 기대한다. (Study Background) Cultural infrastructure actively deploys realistic content through the promotion of industry-university -research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f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Media content is developed around evolving digital content, and is increasingly becoming realistic as the virtual and real worlds converge in a variety of fields and spaces. (Method) The study method involved first examining the concept and types of realistic content through a literature survey. Second, it involved investigating the ratio of realistic content used to where it was not in the exhibition space. Third, the expected benefits of realistic content in each case were estimated. The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for use of realistic content in exhibition space design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municipalities. Realistic content is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exhibition media for virtual reality (VR), augmented/mixed reality (AR/MR), hologram convergence, and media facade content in exhibitions. Therefore, this study limited its investigation to immersive types of realistic content. (Results) The exhibition space of the Ulsan Safety Experience Center consists of a 4D stereoscopic video hall, an AR earthquake disaster experience, and a 3D CG cinematic. The realistic content was produced with VR and AR for the exhibition, which accounted for 77.6% of the exhibition area on the third floor. The National Aviation Museum configured its exhibition space with experience-linked VR content, where realistic contents occupied 20.0% of the exhibition space. As exhibits at the Jeju Play K-Pop were planned for realistic content, they are mainly categorized into “Live 360,” which consists of 3D animation video media, and “Live Holo,” which is a hologram concert. The Dinosaur AR Experience Zone at the Gyeongnam Goseong Dinosaur Expo consists of the XR Dinosaur Live Park and the Safari Movie Theater. The exhibition media are produced with realistic VR and AR “killer” content for an application rate as high as 100%, meaning they cover the entire exhibition area. The National Ocean Science Museum has configured its exhibition space with a hanging VR simulator, 5D movie theater, and AR taking up half of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 on the third floor to make it easier to view marine and deep-sea life that are generally not easily accessible. The exhibition media are produced with VR and AR-based realistic content, and occupy a relatively high ratio of the exhibition area, at 30.0%. (Conclusions) An analysis of each case showed that realistic content is firmly established as the leading media content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at the exhibition state is organized of “killer” content. This analysis implies that more cultural infrastructure can be expected that features exhibition space with realistic content.

      • KCI등재

        전시회 체험과 계획행동이론의 적용을 통한 참관객 행동에 대한 연구

        강희래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2020 이벤트 컨벤션 연구 Vol.16 No.1

        Purpose – Trade between countries has increased rapidly over the past few decades due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modern society, which it also led the evolution of the exhibition industry. As the exhibition industry evolves and expands in different forms, the scope of exhibition experience has also expanded. Therefore, studying exhibition attendees' experience and behavior are critical to keep pace with the industry chang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factors that affect exhibition attendees' behavior by using the TPB and exhibition experience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By carrying ou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nderlying factors of the TPB and exhibition experience variables were extracted. Using the extracted factors,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Also, Baron & Kenny(1986)'s 3-step regression approach was used for validating the mediation effect. Result – Among the TPB variables, only 'attitud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behavioral intention, and the exhibition experience factors were also foun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behavioral intention.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s of 'attitude toward visiting exhibition' were proven to be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hibition experience factors('educational experience', 'entertainment experience', 'escapist experience')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Conclusions – Exhibition marketers should consider providing positive entertainm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s these are important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 the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of the exhibition attendees.

      • KCI등재

        박물관 전시디자인 연출유형 및 연출기법에 관한 연구

        김원길 ( Kim Wong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의 박물관은 소장품을 수집하고 전시하는 공간만이 아니라 소장품 보존, 교육, 문화콘텐츠 개발, 여가 프로그램 제공 등 역사와 문화를 매개로 하는 종합 문화공간으로 그 운영이 변모되고 있다. 박물관의 전시는 사회적 변화와 관람객 요구 증대에 따라 점차 변모하게 되었고 박물관의 전시디자인 등장은 박물관 전시의 큰 변화를 일으켰다. 전시 디자이너는 전시실의 공간 기획을 통해서 전시주제와 연관된 공간을 연출하고, 다양한 연출기법을 사용하여 관람객의 전시에 대한 참여도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 냈다.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전시의 공간 연출유형과 연출기법을 분석하고 각각의 유형을 도출함으로서, 향후 박물관 전시기획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첫째, 박물관 연출유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박물관에서 개최된 전시를 토대로 연출유형에 대해 조사·분석한다. 둘째, 박물관 디자이너들이 전시연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출기법의 이론적 고찰과 유형을 조사·분석한다. 셋째, 최근 개최된 전시를 사례로 연출유형과 연출기법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넷째, 이를 바탕으로 전시 공간의 연출유형과 연출기법의 행태를 파악하여 향후 전시를 기획하거나 운영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한다. (결과) 첫째, 엘도라도 전과 같은 문명전의 경우에는 해당 문명의 특징인 자연환경과 문화양식을 표현하기 위한 문화적 요소가 연출유형으로 표현되었으며, 문화적 요소를 연출하기 위한 기법 요소로 멀티미디어, 매핑미디어, 실감형 미디어와 같은 영상매체가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역사유물 중심의 역사전시와 주제전시의 경우에는 각 주제에 대한 설명을 위한 설명유형을 일차적 전시연출 유형으로 연출되었으며, 설명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매체를 연출기법으로 주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4차 산업의 발전으로 인한 AI(Artificial Intelligence), AR(Artificial Reality), IOT(Internet of Things) 등 디지털 매체의 사용은 관람객의 참여도와 관람객의 몰입도를 높이는데 전시연출에서 사용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전시 규모나 예산이 높을수록 전시에서 차지하는 매체의 비중은 높아지고 있다. (결론) 박물관에서의 공간연출과 연출기법은 그 기능과 역할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전시에서 사용되는 연출유형과 연출기법의 유형을 분석하고 표현되어지는 과정을 분석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전시 장르별로 구분 분석하여 데이터화 하였으며 향후 전시디자이너가 박물관 전시를 기획하는 과정에서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 Purpose) The exhibition of museums has been gradually changed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increased visitors’ needs, and the appearance of museum exhibition design has caused huge changes in the museum exhibition. The exhibition designers have produced various contents for raising the visitor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of exhibition by directing spaces related to the exhibition theme and also using various directing techniques through the spatial planning of exhibition 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museum exhibition planning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spatial directing types and directing techniques of museum exhibition, and then drawing each type. (Methods) This study is perform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ing types are researched and analyze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museum directing types and exhibitions held in museums. Second, this study conduct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directing techniques used by museum designers for maximizing the exhibition directing effects, and also researches and analyzes the types. Third, the directing types and directing techniques are compar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case of exhibitions recently held. Fourth, the data necessary for planning or operating the exhibitions is presented by understanding the directing types and directing techniques of exhibition space. (Results) First, in case of civilization exhibition like Exhibition El Dorado, a cultural element was used as a directing type for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civilization such as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patterns, and as technical elements for representing the cultural element, the image media like multimedia, mapping media, and immersive media were mostly used. Second, in case of historical exhibition and thematic exhibition focusing on historical relics, the explanation type for explaining each theme was used as the primary exhibition directing type, and the media were mostly used as a directing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explanatory effects. Especially, the digital media like AI(Artificial Intelligence), AR(Artificial Reality), and IOT(Internet of Thing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y, is increasingly used for exhibition directing to raise the visitors’ participation and immersion. When the scale or budget of exhibition is bigger, the percentage of media taking up the exhibition is increasing.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ing types and directing techniques used for museum exhibition, and also analyzed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hanged into data by classifying/analyzing them into each exhibition genre, which could be used as a very useful data for exhibition designers to plan museum exhibi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DMZ박물관의 전시특성과 다크뮤지엄으로서전시개선방안 연구

        김정웅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2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5

        The de-militarized zone (DMZ) Museum, located in Goseong, Gangwon-do,is one of Korea’s representative museums. Despite being located in acivilian-controlled zone, it was popular enough to receive 2 million visitorsin August 2021. The reason for the interest in the DMZ Museum is that thenearby DMZ is relatively unique among conflict zones, with very fewexisting in the world. The DMZ Museum, which uses the DMZ as its topic,talks about the founding philosophy to transform it “From a symbol of warand division to a land of peace and life!” In other words, we approach theDMZ as a place that hopes to shed its negative past and transform to a placeof potential positive future value. The DMZ Museum organizes exhibitionsaccording to its founding philosophy. The DMZ Museum exhibits are dividedinto two main categories. At the beginning of the exhibition, the origin andformation of the DMZ is conveyed. During the middle section, the natureand resources possessed by the DMZ are introduced and emphasized as aplace with high potential. Through this division, ultimately, it proposes aplan for the DMZ to move toward a place of peace and lif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MZ Museum exhibition are as follows. First,it clearly reveals the cause of the DMZ by directing realistic representations based on chronological exhibitions. Second, it pursues future-oriented valuesto promote peace and life as part of the DMZ landmark. Third, ultimately, itseeks to underline the direction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take for thedevelopment and unific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In order to effectivelyutilize these characteristics, the DMZ Museum chooses a method that informsthe history of the past tragedies using dark lighting from the beginning tothe middle of the exhibition, and shows a bright future of peace and lifeusing bright lighting from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onwards. TheseDMZ museum exhibitions are faithfully planning exhibitions according tothe founding philosophy and purpose. In particular, it shows the potential ofdark museums to deliver meaningful topics to future generations in that itnot only delivers historical facts, but also pays attention to the potentialvalue of the DMZ and seeks ways to utilize it. However, the exhibition usesgraphic panels and texts that are repe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exhibition. These should be the key to delivering the message of the theme, however, itnot only lowers the visitor’s ‘exhibition attention’, but also weakens thedelivery of the them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xhibition improvement plan to emphasizethe theme in the DMZ museum exhibition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isproposed that exhibits that focus on ‘personal memory’ as well as publicmemories of tragic events surrounding the DMZ should be actively used. Second, if the first half of the exhibition effectively conveys the cause andhistory of the DMZ through realistic reproduction-oriented production, thesecond half, which talks about the potential of the DMZ and the hope for abright future, should metaphorically convey the theme through CulturalRepresenations. Third, the end of the exhibition,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ultimate goal of the exhibition, should be recomposed as an exhibition that canimprint the idea of the DMZ as a land of peace and life.

      • KCI등재

        현대 패션 전시 트렌드 변화에 대한 연구 - 기획 및 연출을 중심으로 -

        정다운,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4

        Contemporary fashion exhibitions successfully combine artistic and cultural museum contents while maintaining the sponsorship of the fashion corporation. Currently, fashion exhibitions satisfy both expectations of the public entertainment view and the academia’s scholar values. This study investigated fashion exhibition’s curation and its characters in order to grasp the trend of fashion exhibition with a focus on planning and production. The followings are a summary of the results of a survey of various exhibition cases throug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First, fashion curators select suitable exhibition scenarios for its aims, purpo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xhibition. In the case of the brand exhibit with a high commerciality, the exhibition aims at promoting the brand marketing. The curation emphasizes to promote the brand fantasy. Second, the space design is a visualization of the museum context in the space. The exhibition identity is organically integrated with prior two elements, exhibition scenario and the space design, and to make a completed stage. As for the fashion exhibition, the auxiliary media tend to become exhibited contents itself and high-tech equipments’ usage becomes trends for the spectacular sightseeing and interaction experiences. Also the exhibition assistive devices such as mannequins, sketches, and photographs are proved essential. This study is a cornerstone for understanding the know-how and strategies of fashion curating as well as the exhibition trends, and it is helpful to study specific methodology for the exhibition of fashion curators from the planning stage. 현대 패션 전시는 박물관의 권위와 기업의 후원 사이에서 다양한 예술문화 콘텐츠 개발과 연출을 선보이고, 대중과 학계의 관심을 모두 충족시키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획과 연출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 전시의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 패션 전시 준비 과정의 단계와 구성요소들의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패션 전시 전문가의 인터뷰와 문헌연구를 통해 현대 패션 전시의 다양한 활동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전시 트렌드의 특성에 따른 전시 시나리오와 전시물로 기획 연출된다. 상업성이 강한 패션 브랜드 주최 전시에서는 마케팅을 목적으로 최신 컬렉션 위주로 전시물을 선정하고, 구매 촉진과 브랜드에 대한 호감을 높이는 전시 시나리오로 큐레이션 방향이 성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공간연출 디자인은 전시 시나리오를 공간에서 구현하는 세부적인 과정으로, 전시물, 전시 공간, 콘셉트 형상화 요소는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하나의 무대를 완성한다. 패션 전시의 공간을 연출하는 요소로는 마네킹, 영상, 사진과 같은 보조 장치가 높은 비중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패션 전시 트렌드에서는 위와 같은 보조 매체는 최첨단 장치와 함께 화려한 볼거리와 전시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보조 매체가 더 이상 보조가 아니라 전시물과 동등하게 중요한 위치로 큐레이팅 되기도 하며, 자체적으로 전시 콘텐츠가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시 트렌드에 따른 패션 큐레이팅의 노하우와 전략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는 데 초석이 되고, 신진 패션 큐레이터가 전시를 기획하는 단계부터 3차원의 공간에서 전시를 연출하는데 구체적인 방법론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의 ICT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전시유형 및 체험매체의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 과학관의 델파이(Delphi)기법 분석을 중심으로 -

        공순구 ( Soon-ku Kong ),강경묵 ( Kyung-muk Kang ),이승용 ( Seung-yong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과학전시관은 우리 사회는 어린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오늘날 과학관은 관람객의 참여도를 높이는 것에 그 목적성을 가지고 전시를 기획하는 실정이다. 그 결과 전시관 내부는 체험, 특수영상, 동적영상, 놀이전시, 인터렉티브등의 소요예산과 정책적인 면에서 한계를 가져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과학관은 적절한 체험의 요소와 특수 전시등이 함께 기획되어 다양한 이야기와 체험, 과학적 지식의 이론을 통해 교육의 질적 효과를 끌어올려야 한다. 하지만 오늘날 과학관은 무리한 예산 편성과 고도의 특수장비로 인해 정작 필요한 전시관 교육의 질적 효과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관의 전시기법에서 어떤 전시기획이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의 효과가 나타나는지 그에따른 전시유형과 체험매체의 선호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ICT를 적용한 국내 과학관의 사례분석을 통해 전시와 교육적 효과의 중요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한고, 전시체험공간과 전시형태 및 ICT를 접목한 체험프로그램 요소를 전문가들의 견해와 신뢰 있는 예측으로 연구를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첫째, 국내 전시형태, 전시체험공간의 기능과 목적, 전시공간 구성 등의 특징을 파악한다. 둘째, ICT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그로 인해 구성된 전시형태 및 체험공간 구성을 분석하여 전시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알아본다. 셋째, 실제 국내 ICT를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설치되어 있는 체험공간 구성 및 요소를 전문가들의 견해와 예측을 통해 비교·분석한다. (결과) 국내의 과학관은 ICT를 접목할 경우 변화가능성이 가장 높은 전시유형 중 조사대상지에서 참여전시 30.9%, 동적영상전시 37.9%가 가장 높게 구성이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조작식 전시 30.3%와 인터렉티브 전시 9.3%, 특수영상전시 10.6%로 반영이 일부 되었으며, 반면에 실험전시 1.3%, 놀이전시 3.3%로 매우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ICT를 적용한 국내 과학관의 델파이 분석을 통해 전시프로그램 및 전시형태 구조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고, 그에따른 결과는 조작식, 인터렉티브, 참여, 실험, 동적영상, 특수영상, 놀이 전시와 같은 변화가능성이 높은 전시형태와 체험공간은 관람자의 참여도를 높이고 호기심을 유발하는 체험공간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과학관과 체험관의 전시공간 특성은 과학의 원리와 체험을 통해 그 무엇을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는 전시아이템을 어떻게 구성하지, 또 정보통신기술 (ICT)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있어 과학관의 전시에 학술적 이론으로 큰 도움이 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Science museums have made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education, but nowadays, exhibitions at science museums are planned with the aim of raising the participation of visitors. As a result, the interior of the pavilion has faced limitations in terms of budget and policy that have affected experience, special video, dynamic video, play display, and interactive elements. Science museums should be designed with appropriate experience elements and special exhibitions to raise the qualitative effect of education through various stories, experiences, and theories of scientific knowledge. However, today's science museums have not achieved the qualitative effect of the education of the pavilion, which requires an excessive budget and highly specialized equi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hibition type and the preference of experiential media according to which exhibition plan is most effective in the exhibition techniques of science museums. (Method) In this study, we conducted research on the importance of exhibitions and their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science museums applying ICT, experiential opinions, and reliable prediction. The research proceeds as follows. First, the study gathers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exhibitions’ forms, functions, purposes of exhibition space, and composition of exhibition space. Second, the study analyzes the theoretical examination of ICT and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form and space that are informed by ICT, and its effects on the exhibition. Third, we analyze the case applying ICT in Korea and analyze the structure and elements of experiential space that are installed through expert opinion and prediction. (Results) In domestic science museums, 30.9% of participating exhibits and 37.9% of dynamic image exhibits are the highest among the most common types of exhibits, and 30.3% of operation-operated exhibits, 9.3% of interactive exhibits, and 10.6% of special images were partly reflected, while the experimental exhibitions were 1.3% and the play exhibitions were 3.3%.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exhibition program and exhibition form structure through the Delphi analysis of domestic science museums applying ICT, and the result was derived from the qualities of manipulation, interactive, participation, experiment, dynamic image, and special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 space of science museums and experiential museums, and to understand how to organize exhibition item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accessed by the public through the principles and experiences of science.

      • KCI등재

        근대건축문화재의 전시용도 활용사례 연구

        전병옥,김주열,반상철,김태영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architectural properties, which are reused into exhibition facilitie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case is used to museumart gallery, is being situated in most downtown, and appear most in public office equipment that scale is big. The other side, in case of housing that is small scale is reused by historical hallmemorial hall connected with historical facts and persons. Therefore, according to existing facilities, exhibition characteristic is decided. 2) In case of reuse by exhibition facility, it is 20 items among whole 30 items to use by single function, and it is 10 items that is used by composition type or accessory use. In case of the latter is seen in a historicalmemorial hall and example of the small museums and instance of art gallery is not appearing. 3)For the single-functional exhibition type, a cruising-type of viewing style, in which one moves along the show-cased walls, is selected, whereas in multi-functional exhibition type which maintain the original structure of corridors and interiors, displays tend to be grouped in the center. 4)The average area for an exhibition space is most more than 100㎡, which is sufficient for a type-one exhibition, and the height of ceiling is usually within 3 meters. Museum and a historicalmemorial hall do mainly permanent exhibitions, but art gallery is most special exhib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