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거동의의 본질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현대적 의의

        이흔재(Lee, Hun-Jae) 한국형사법학회 2016 형사법연구 Vol.28 No.1

        우리 형사소송법에서 증거동의 규정의 본질에 관한 논의는 증거법의 체계와 관련하여 아직 현재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수설은 동의의 본질을 반대신문권 포기라고 보아 전문증거만을 동의의 대상으로 한정하고 있다. 따라서 물건과 피의자신문 조서는 동의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러나 이런 해석은 법문의 문리적 해석에 반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무에 있어서 물건과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한 동의가 이루어지고 있어 법이론과 법현실의 괴리가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괴리현상에 대한 이 론적 규율이 불가능하여 전문증거이외의 증거에 대하여는 판례법의 영역으로 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동의규정의 본질에 대한 역사적 해석을 시도하여 보았다. 동의규정은 과거 대정 일본 형사소송법의 제정시 처음으로 입법화되었다. 입법과정의 자료를 검토해보면, 일본은 영국의 당사자 대립구조의 처분권주의에 착안하여 동의규정을 변용하여 직접주의의 예외로 도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 규정이 해방 후 우리나라의 형사소송법 제정과 함께 직접주의의 예외로 계수된 것이다. 그 후 군사혁명정권에서 형사소송법을 개정하면서 일본으로부터 전문법칙을 도입하면서 통설은 동의규정은 전문법칙의 예외규정이며 그 본질은 반대신문권의 포기라고 해석하게 된 것이다. 역사적 해석과 문법적 해석에 비추어 볼 때, 동의의 본질은 처분권주의에 가깝다. 그러나 법문상 당사자가 증거에 동의하더라도 ‘법원에서 진정하다고 인정하여야 증거로 할 수 있다’고 하여 직권주의적 요소를 두고 있어 당사자에게 증거에 대한 완전한 처분권을 부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처분권주의에 대한 제한적 해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물건과 피의자신문조서를 증거의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현대사회에는 새로운 유형의 증거, 즉 디지털 증거가 등장하게 되었고, 법현실에서는 디지털 증거, 예를 들면 전자녹음기, 사인 작성의 컴퓨터문서 등에 대한 증거동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위 증거들은 종래의 전통적인증거와는 다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진술증거이면서 물적증거라는 이중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조작이 용이하고 취약하며 원본과 동일한 사본이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원본과의 동일성, 진정성, 무결성의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반대신문권 포기설은 이러한 디지털 증거에 대한 동의에 있어서 아무런 해답을 줄 수 없다. 진정성의 문제는 반대신문권의 포기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동의규정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해석론이 필요한 시기이다. Discussion of the nature of the evidence consent provisions of our Code of Criminal Procedure,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evidence law, is still progressive. The existing majority theory says, the Article 318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is related only to hearsay evidences. They say, the basis of agreement system of evidence is to give up of confrontation right by parties. However, such an interpretation, has a disadvantage which is contrary to the grammatical interpretation of the code because it excludes a protocol in which the investigative agency recorded a statement of a defendant, or ‘thing’ that is provided in express terms in the article 318 from object of consent. In addition to, it is inappropriate to the reality of law. Paying attention to these problems, the author tried to attempt a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consent provisions. The provision of the agreement was first enacted at the time of Taisho Japanese Code of Criminal Procedure. Japan was focusing on the principle of right to disposal of the United Kingdom’s adversary system and introduced as exception of “Unmittelbarkeitsgrundsatz”. In the light of the literally and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 nature of the consent provisions is similar to the principle of disposal right. However, on the letter of the code, even if the parties are in agreement to evidence, it can be used as evidence by judge’s approval of authenticity, which is the elements of the inquisitorial system. The parties have not granted the full disposal rights of the evidence. Ultimately, the essence of the consent is the parties, in particular the accused’s conduct in procedure which allows the admissibility for evidence and if it passes through the authenticity of examination of the court,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has admissibility of evidenc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was supposed to be new types of evidence appeared in modern society. For example, recording tape, digital evidence may be mentioned. They have the character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evidence. The characters are the vulnerability, variability and duplication. Therefore, the integrity issue has emerged as a new problem. The majority theory can not give any answer them. In this respect, it requires a new interpretation theory for the nature of consent provisions.

      • SCOPUSKCI등재SCIE

        Evidence integration on health damage for humidifier disinfectant exposure and legal presumption of causation

        Mina Ha(Mina Ha),Taehyun Park(Taehyun Park),Jong-Hyun Lee(Jong-Hyun Lee),Younghee Kim(Younghee Kim),Jungyun Lim(Jungyun Lim),Yong-Wook Baek(Yong-Wook Baek),Sol Yu(Sol Yu),Hyen-Mi Chung(Hyen-Mi Chung) 한국역학회 2023 Epidemiology and Health Vol.45 No.-

        OBJECTIVES: Inhalation exposure to humidifier disinfectants has resulted to various types of health damages in Korea. To determine the epidemiological correlation necessary for presuming the legal causation, we aimed to develop a method to synthesize the entire evidence. METHODS: Epidemiological and toxicological studies are systematically reviewed. Target health problems are selected by criteria such as frequent complaints of claimants. Relevant epidemiologic studies are reviewed and the risk of bias and confidence level of the total evidence are evaluated. Toxicological literature reviews are conducted on three lines of evidence including hazard information, animal studies, and mechanistic studies, considering the source-to-exposure-to-outcome continuum. The confidence level of the body of evidence is then translated into the toxicological evidence levels for the causality between humidifier disinfectant exposure and health effects. Finally, the levels of epidemiological and toxicological evidence are synthesized. RESULTS: Under the Special Act revised in 2020, if the history of exposure and the disease occurred/worsened after exposure were approved, and the epidemiological correlation between the exposure and disease was verified, the legal causation is presumed unless the company proves the evidence against it. The epidemiological correlation can be verified through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health monitoring, cohort investigations and/or toxicological studies. It is not simply as statistical association as understood in judicial precedents, but a general causation established by the evidence as a whole, i.e., through weight-of-the-evidence approach. CONCLUSIONS: The weight-of-the-evidence approach differs from the conclusive single study approach and this systematic evidence integration can be used in presumption of causation.

      • KCI등재

        상급종합병원 신규간호사와 프리셉터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신념, 간호실무지침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서주희,은영 병원간호사회 2023 임상간호연구 Vol.29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lief in evidence-based practice, awarenes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intravenous infusion and pressure ulcer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s among nurses in a tertiary general hospital.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7 nurses working in a tertiary general hospital.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etween February 11 and February 25, 2022. Data analysis was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 of belief for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novice nurses was 3.34 out of 5, while preceptor nurses scored a mean of 3.41 out of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lief scores between novice nurses and preceptor nurses (t=-1.21, p=.227).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s for intravenous infusion were belief in evidence-based practice (β=.14, p=.009) and importance of intravenous infusion (β=.51, p<.001),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s for pressure ulcer were belief in evidence-based practice (β=.15, p=.002) and importance of pressure ulcer (β=.65, p<.001).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s of two groups were used to identify common and different items. Conclus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evidence-based practice belief and importance of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s. In particular, evidence-based practice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nursing quality through education on items of low-importance and low-performance and items of high-importance but low-performance guidelines identified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KCI등재

        증거기반정책에 관한 연구 - 증거의 편의(Bias)를 중심으로 -

        김길수 한국자치행정학회 202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6 No.3

        Evidence-based medicine developed after World War II influenced policy studies, and since the 1990s, evidence-based policy received a lot of attention. In particular, after Prime Minister Tony Blair of the UK and President Obama of the US mentioned the evidence-based policy, it has spread t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any countries. Evidence is very important in the policy process. The problem is that the evidence used in the policy process must be good evidence. Various opinions exist about good evidence, but in this study, good evidence is considered to be evidence that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policy reality. In other words, the smaller the bias, the better the evidence. Evidence bias can be divided into methodological bias and value bias. Methodological bias is a bias that occurs due to a wrong application or defect in the methodology without intention or value intervening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interpreting, and using evidence, and value bias is a bias caused by the intervention of a specific value in the policy process. Methodological bias can reduce the size of bias through continuous investigation, review, and revision, but value bias does not. It can be said that adequacy, appropriateness, reliability, and legitimacy have an effect on value bias. 제2차 세계대전이후 발전한 증거기반의학은 정책학에 영향을 미쳐 1990년대 이후 증거기반정책은 많은 관심을 받았다. 특히 영국의 토니 블레어 수상과 미국 오바마대통령이 증거기반정책에 대해 언급한 이후 국제기구와 많은 나라로 확산되었고 적용영역도 건강정책에서 사회복지, 학교교육, 청소년 문제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정책과정에서 증거는 매우 중요하다. 문제는 정책과정에서 활용하는 증거가 좋은 증거여야 한다는 것이다. 좋은 증거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정책현실과 괴리되지 않은 증거가 좋은 증거라고 생각한다. 즉 편의(bias) 크기가 적으면 적을수록 좋은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증거의 편의는 크게 방법론적 편의와 가치 편의로 구분할 수 있다. 방법론적 편의는 증거를 생성․해석․활용하는 과정에서 의도나 가치가 개입하지 않고 방법론을 잘못 적용하거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편의이고 가치 편의는 정책과정에 특정한 가치가 개입되어 발생한 편의라고 할 수 있다. 방법론 편의는 지속적인 조사․재검토․수정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지만, 가치 편의는 그렇지 않다. 가치편의에는 적정성, 적절성, 신뢰성, 정당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증거인멸 행위의 형사법적 의미와 ʻ타인의 형사사건ʼ에 대한 해석

        이종수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1

        The success of an investigation depends on how quickly and completely the evidence is obtained. The suspects often conceal the relevant evidence, but recently, systematic destruction of evidence and replacement of mobile phones, such as ‘the dailyization of destruction of evidence’ have been a problem. Not only is the act of destroying evidence very frequently, but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in the meantime, despite causing many criminal problems. The first problem is the legal assessment of whether witnesses make false statements or instruct them to give false statements. However, because the object of the crime of destroying evidence does not include human evidence under criminal law, the crime of destroying evidence cannot be established in the above cases. However, investigative agencies often take issue with such acts as a reason for arrest without taking issue with the crime of destroying evidence separately, and should carefully judge the case based on whether it is feared to destroy evidence in the future. The second question is, with regard to the meaning of ‘criminal case against another’, whether the crime of destroying evidence is established if the defendant simultaneously destroys evidence of his or her case and other events.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in such cases, the crime of destroying evidence is not established, but, the standards and grounds are unclear. In practice, courts often reject the claim on the grounds that it was unlikely that the accused would be punished for the crimes, which are also poorly founded. Therefore, I have critically examined whether (a) events before the beginning of an investigation or (b) minor offenses should be excluded from 'self-incident' that cannot be punished for destroying evidence. As a result, (c) the destruction of evidence in a "self-incident" is at the same time equivalent to the destruction of evidence in a "other event," the assessment should be made based on whether the basic facts are the same between the two events. 수사의 성패는 사건 초기에 관련 증거를 얼마나 신속하고도 완전하게 확보하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수사를 받는 피의자로서는 혐의사실을 방어하기 위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증거는 적극적으로 제출하고, 불리한 증거는 가급적 숨기기 마련이다. 다만, 이러한 피의자의 방어권 행사가 그 한계를 일탈하는 경우 증거인멸이 문제 되는데, 최근 들어 회사 차원의 조직적인 증거인멸은 물론 개인들 역시 언제 닥칠지 모르는 압수․수색에 대비하여 주기적으로 휴대전화를 바꾸거나 보안이 철저한 메신저를 사용하는 등 소위 ‘증거인멸의 일상화’가 사회적으로 문제 되고 있다. 실무상 증거인멸 행위는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형법은 물론 형사소송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다. 증거인멸 행위를 둘러싼 첫 번째 문제는, 진범 내지 본범을 은닉하는 것과 같이 참고인이나 증인이 허위진술을 하거나 허위진술을 하도록 지시․부탁․강요하는 경우의 법적 평가이다. 그러나, 형법상 증거인멸죄의 객체로서 ‘증거’에는 인적 증거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경우를 증거인멸죄로 의율할 수는 없으며,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폭행, 협박, 강요죄에 해당할 수 있을 뿐이다. 다만, 수사기관으로서는 별도의 증거인멸죄로 입건하는 대신 ‘구속을 필요로 하는 사유’로서 증거인멸 (시도)행위를 문제 삼는 경우가 많은데, 구속사유로서 ‘증거인멸’은 과거의 행위가 아닌 향후 증거를 인멸할 우려가 있는지 여부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신중히 판단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문제는, ‘타인의 형사사건’의 의미와 관련하여, 피고인이 자신의 형사사건에 관한 증거를 인멸함과 동시에 타인의 형사사건에 관한 증거도 인멸한 경우 증거인멸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이다. 실제 대법원은 위와 같은 경우에 증거인멸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시를 하였고(2011도5329), 실무상 피고인들은 위 판례를 자주 원용하는데, 위 판례는 그 취지와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실제 법원에서는 위 판례에도 불구하고 피고인들이 주장하는 범죄로 처벌될 가능성이 크지 않았다는 등의 이유로 그 주장을 배척하곤 하는데, 그 근거 역시 미약하고 지나치게 자의적이라는 측면에서 이론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증거인멸죄로 처벌할 수 없는 ‘자기사건’에는 (i) 수사가 개시되기 이전이나, (ii) 행정법규위반과 같은 경미한 사건이 배제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보았고, 결과적으로 (iii) ‘자기사건’의 증거인멸이 동시에 ‘타인사건’의 증거인멸에도 해당하는 경우라면, 두 사건 간 기본적 사실관계가 동일한지 여부를 기준으로 ‘타인의 형사사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 KCI등재

        증거동의의 의미에 대한 소고

        황태윤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9 동북아법연구 Vol.12 No.3

        In the criminal trial, the defendant's intention to disclose the evidence is the most essential litigation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case, as well as the direction and scope of the investigation. However, the defendants who have not even read the investigation record agree on the evidence. The evidence consent system is basically an unfavorable system to the defendant, since it is a system that allows the defendant to use the evidence adverse to him as evidence of his guilt. Accordingly,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consent in Article 318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shall be reduced for the benefit of the defendant. Therefore, the consent of the evidence must be construed solely as no objection to the act of submitting evidence. Evidence consent does not imply abandonment of right of the opposite examination. It is not a willingness to give evidence directly to the evidence. Such an enlargement interpretation is wrong in terms of "in dubio pro reo". in dubio pro reo also applies to litigation facts. However, if the court of justice explains to the defendant in court that the consent of evidence is effective in giving evidence, and if the content is recorded in the trial, It can be seen that this happens by agreement of evidence. 피고인이 부동의한 전문증거에 대하여만 전문법칙의 예외규정이 적용되어 증인신문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검사 제출 증거에 대한 당사자의 동의 또는 부동의의 의사표시는 증거조사가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관문이다. 특히 형사재판 자체가 조서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조서에 대한 동의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 증거로 하는데 동의한다는 것이 증명력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것에 불과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실무에서는 불리한 조서에 대하여 증거로 하는데 동의를 하면 마치 그 진술조서의 기재내용을 그대로 시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증거동의의 법적 효력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증거동의는 현재 형사소송절차에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형사재판에서 증거에 대한 피고인의 의사표시는 증거조사의 방향과 범위뿐만 아니라 소송 전체의 방향을 결정하는 가장 본질적인 소송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수사기록조차 제대로 열람하지 않은 채 증거에 관한 의사를 표시하고 있다. 증거동의제도는 피고인이 자신에게 불리한 증거를 자신의 유죄의 증거로 사용함을 동의하였을 때, 이를 증거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므로, 기본적으로 피고인에게 불리한 제도다. 따라서 형사소송법 제318조 증거동의에서 동의의 의미에 관한 해석은 피고인의 이익을 위하여 최대한도로 축소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공판절차에서 추구해야 하는 진실은 공판에서 완전한 재현이 불가능한 실체적 진실이 아니라 충분한 방어기회의 보장에 의한 절차적 진실이어야 하는데, 증거동의가 있다고 하여 반대신문권을 포기시키거나 증거능력 및 증명력을 다툴 권리를 차단하는 방식으로는 충분한 방어기회의 보장에 의한 절차적 진실에 도달할 수 없다. 증거동의는 묵시적이거나 이의가 단순히 없다든가 하는 방식이 아니라 검사 제출의 특정 증거에 대하여 증거능력을 부여한다는 적극적 의사 표명의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재판장의 구체적 설명이 공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단순히 이의가 없다는 진술이 반대신문권의 포기를 통하여 증거능력 부여한다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대립당사자구조에 기초한 소송제도와 어울리지 않는다. 반대신문권의 포기는 형사소송절차에서 가장 중요한 권리의 포기를 의미하는데, 그러한 권리의 포기는 당연히 처분의 일종이고, 처분의 의사표시는 내심에서 완전히 이해된 상태에서 외부로 명확하게 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증거동의는 검사의 증거제출이라는 사실행위에 대한 승인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 KCI우수등재

        증거기반정책 연구는 증거가 있는가?: 국내 증거기반정책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양은진 ( Yang Eunjin ),김병조 ( Kim Byeong Jo ) 한국행정학회 2022 韓國行政學報 Vol.56 No.3

        정책의사결정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행정·정책 영역에서 증거기반 의사결정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행정·정책 분야 증거기반 의사결정 연구의 확장 노력의 일환으로 이 연구는 국내 행정·정책 분야에서 그동안 수행되었던 증거기반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의 공백을 식별한 뒤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증거기반 행정 및 정책 연구 전수를 검토하여 분석대상 문헌을 선정하고 상세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는 체계적 문헌검토(systematic literature review)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국내 4개 학술데이터베이스(RISS, KISS, KCI, DBpia)에서 검색된 총 335 편의 연구논문 가운데 기준에 부합하는 49편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연구들은 ‘증거기반(evidence-based)’ 개념에 대한 엄밀한 개념 정의가 부족하였다. 둘째, 개념 정의의 미흡으로 인해 ‘증거기반정책’ 집행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도 부재하였다. 셋째, 척도의 부재는 결국 증거기반정책의 효과성을 실증할 실증연구의 부족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 기존 연구는 대체로 특정 사례 분석을 통해 증거기반정책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이 연구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증거기반 행정 및 정책 연구가 나아갈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Evidence-based decision-making is critical in the public sector as it may improve the quality of decision-making. As part of an effort to expand research on evidence-based policy in South Korea, this study describes current research trends, identifies gaps in existing research,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 this end, we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extant research on evidence-based policy. From a total of 335 research articles retrieved from four academic databases, 49 articles that met the criteria were selected and analyzed. Our findings are threefold. First, domestic studies lacked a rigorous conceptualization of what “evidence-based” means. Second, there was no empirical measure for “evidence-based policy” available due to the insufficient definition of the concept. Third, the lack of adequate measurement has resulted in a paucity of empirical studie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evidence-based policy. Consequently, the majority of existing studies are case studies that merely explore the possibility of evidence-based polic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How to understand and conduct evidence-based medicine

        강현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9 No.5

        Evidence-based medicine (EBM) is the conscientious, explicit, and judicious use of current best evidence in making decisions regarding the care of individual patients. This concept has gained popularity recently, and its applications have been steadily expanding. Nowadays, the term “evidence-based” is used in numerous situations and conditions, such as evidence-based medicine, evidence-based practice, evidence-based health care, evidence-based social work, evidencebased policy, and evidence-based education. However, many anesthesiologists and their colleagues have not previously been accustomed to utilizing EBM, and they have experience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techniques of EBM to their practice. In this article, the author discusses the brief history, definition, methods, and limitations of EBM. As EBM also involves making use of the best available information to answer questions in clinical practice, the author emphasizes the process of performing evidence-based medicine: generate the clinical question, find the best evidence, perform critical appraisal, apply the evidence, and then evaluate. Levels of evidence and strength of recommendation were also explained. The author expects that this article may be of assistance to readers in understand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EBM.

      • Research on Dynamic Trust Computing Method Based on Multi-Dimensional Evidence

        Shi DeJia,Jiang WeiJin,Zhang LianMei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Security and Its Applicat Vol.9 No.9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dibility of evaluating network main body, first consider to improving of evidence source on which trust computing is based, and propose the concept of multi-dimensional evidence. The multi-dimension refers to involvement of multiple types of evidence, and the multi-dimensional evidence, in this paper, involves mainly e-commerce business feedback evidence, online community business feedback evidence and network operation behavior evidence. On this basis, the evidence features can be incorporated into combination rule of evidence, design a new method to calculate the dynamic trust, and propose an improved D-S combination rule to synthesize multi-dimensional evidence, better to solve the problem of uncertainty of evidence. Experiments show it can effectively resist network fraud.

      • KCI우수등재

        불확실성을 대처하는 증거영향행정: 멘탈모델, 증거, 불확실성의 상호관계에 대한 서설적 이해

        최영준 ( Young Jun Choi ),전미선 ( Mi Seon Jeon ),윤선예 ( Sun Yae Yoon ) 한국행정학회 2016 韓國行政學報 Vol.50 No.2

        증거기반행정은 선진국 및 국제기구에서 주창하는 행정의 핵심적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증거의 양과 질이 증가하면서 합리적 행정결정을 내릴 수 있는 환경은 향상되고 있지만, 여전히 주요 행정결정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행정환경에서 존재하는 불확실성에 주목 하면서, 불확실성이 어떻게 증거기반행정과 조화를 이루면서 효과적인 행정결정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서구를 중심으로 제기되었던 증거기반행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장점과 그 한계를 검토 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는 증거, 멘탈모델, 그리고 불확실성 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의견기반행정, 행정 기반증거, 증거기반행정, 그리고 증거영향행정 등 네 가지 행정/정책 의사 결정 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후 네 가지 유형들 중 불확실성이 강한 행정환경 하에서 상이하게 나타나는 행정기반증거와 증거영향행정에 해당되는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고리원전 사례를 탐색적으로 검토하면서 유형의 타당성과 함의를 논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행정환경에서 증거의 질에 대한 한계를 인지하고, 포괄적으로 증 거가 논의되고 채택되어 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민주적 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Evidence-based policy-making has been the major paradigm in policy-making in OECD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hil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vidence has been considerably enhanced in the last decades, social conflicts around major policy-making processes still remain.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uncertainty in policy environments and attempts to discuss how evidence can best be used in policy-making processes under uncertain circumstances. To do this, we examine previous literature on evidence-based policy in western countries and propose are search framework illustr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mental models, evidence, and uncertainty. Based on the framework, we also propose four policy-making models: opinion-based policy-making, policy-based evidence, evidence-based policy-making, and evidence-informed policy-making. Two case studies are conducted to test the usefulness of the four policy-making types and also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limitation of evidence under uncertain policy environments, and it emphasizes the democratic process in which different types of evidence and mental models are discussed and interacted with in a comprehensive and open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