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인권재판소의 개인청구 수리기준에 관한 연구 - 유럽인권재판소의 결정례를 중심으로 -

        이형석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법학논고 Vol.0 No.51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guarantees human rights through the procedure of trying a case that was raised by an individual. Thus,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is being evaluated as the most complete model on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guarantee. Also,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local human rights guarantee system according to a rise in treaty powers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The reason is because it is the human rights guarantee system peculiar to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which directly entertains and tries a claim for an individual issue. This human rights guarantee system is being happened a change according to the effectuation of the protocol No. 14. As for the existing standard of entertaining an individual claim, the problems are being brought up such as an increase and inefficiency in the trial work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nd the weakening in its human rights guarantee function of the treaty pow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tandard of entertaining an individual claim dubbed ‘significant disadvantage’ was inserted into Article 35, Clause 3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simultaneously with the effectuation of the protocol No. 14.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is increasing a specific effort and the efficiency of the court proceedings in order to guarantee human rights, which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ims to secure, along with the seriousness of an issue, as the standard of entertaining an individual clam is generated in this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ncept and application of significant disadvantage, which is the standard of entertaining an individual claim, through the decisions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유럽인권재판소는 개인이 제기한 소송을 심리하는 절차를 통하여 인권을 보장하기 때문에 유럽인권조약을 인권의 국제적 보장에 대하여 가장 완성된 모델로평가받고 있다. 또한 유럽인권재판소는 유럽인권협약의 체약국이 증가하면서 지역적 인권보장 시스템의 유지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이유는 개인적사안에 대한 청구를 직접적으로 수리하고 심리하는 유럽인권재판소만의 특수한인권보장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권보장 시스템이 제14의정서가 발효되면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기존의 개인청구수리 기준으로는 유럽인권재판소의 재판업무의 증가와 비효율성, 그리고 체약국 자체적인 인권보장 기능의 약화 등이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4의정서의 발효와 동시에 유럽인권협약 제35조 제3항에 ‘상당한 불이익(significant disadvantage)’이라는개인청구수리 기준을 삽입하였다. 유럽인권재판소는 이러한 개인적 청구 수리기준이 생성되면서, 사안의 중대성과 유럽인권협약에서 보장하고자 하는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과 재판업무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개인적 청구의 수리기준인 상당한 불이익의 개념과 적용을 유럽인권재판소의 결정례를 통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유럽 선사시대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젠더 - 독일 남부지역 출토 무덤을 중심으로

        김종일 호서고고학회 2015 호서고고학 Vol.0 No.32

        Megalithic tombs, represented by stone henge, emerged during the Middle Neolithic period in Europe and played an active role as an ideological medium to emphasise communality and equality within a community. By contrast, the Corded Ware Culture and the Bell Beaker Culture, which originated from Eastern Europe (or the Russian Steppe) and around the Rhine river respectively, and afterwards spread out in Central Europe, witnessed the emergence of individual burials and gender categoris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which were evidenced by body orientation and burial goods. This phenomenon is continuously observed in the Early Bronze Age and understandably becomes a background of the growth of tumulus in the Middle Bronze Age. This process has been interpreted as an incessant process with a gradual growth of individuals and the emergence of elite. This article attempts to point out the fact that the existing accounts suggested by European Prehistorians, have failed to consider the change and the competitions between various structures (or structural principles) based upon the extant Early Bronze Age burials found in South Germany and Austria in a proper way. At the same time, it will be argued that various structures (or structural principle) such as communality, equality and individuality, emerged and competed each other, and thus finally led to construction of massive individual tumulus, which mediated the constitution of power (or its network), and thus consolidated social recognition of social power and institutionalisation of it behind the growth of individuals. In addition, power execution observed in the Middle Bronze Age (such as emphasis on masculinity and masculine body, and individual armoury and ornaments), seems to emerge based upon the change and the competition of such structures (or structural principles). 유럽 중기 신석기 시대에는 스톤헨지로 대표되는 소위 거석무덤이등장하여 공동체의 무덤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공동체 내의 평등성을강조하는 이데올로기적 기제로 사용되었다. 이에 비해 후기에 들어오면 스텝지역 및 동유럽에서 시작된 승문토기(Corded ware)문화와 대서양 연안 혹은 라인 강 근처에서 발달하여 유럽전역으로 확산되어간 벨 비커(Bell Beaker) 문화가 등장하여 주로 개인의 무덤으로 대표되는 동시에 남성과 여성 사이의 구분이 무덤의 두향과 부장품의 차이에서 확연히 확인된다. 이러한 현상은 청동기 초기에도 지속되며 청동기 중기 이후에 등장하는 거대한 봉분을 가진 무덤들의시작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왔다. 또한 유럽고고학계 내에서하나의 연속적인 과정으로써 개인의 성장과권력(자)의 등장이라는 핵심개념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초기 청동기 시대 무덤자료가 잘 남아 있는 독일 남부 및 오스트리아 지역 출토 무덤군의 무덤자료들을 분석하여 지금까지의 유럽학계의 해석이 후기 신석기 시대로부터 초기 청동기 시대 후기까지의 시대적 차이에 따른 구조적 원칙의 변화와 경쟁에 대해 주목하고 있지 않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소위‘개인의 성장’이면에서는 공동체성과 평등성, 개인성 (개인 간 차이와 차별에 대한 강조 등을 포함)과 같은 다양한 사회의 구조적 원칙들이 등장하여 경쟁하는 와중에 최종적으로 거대한봉분을 가진 단독무덤의 조영과 이를 매개로 한 권력(자)의 형성, 그리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권력의 사회적 인식과 내면화가 가능했던 것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적 원칙들의 경쟁과 변화를 거쳐 중기 청동기 시대 이래 관찰되는 권력의 행사 방식(개인의 무구와 장신구, 그리고 남성성의 강조)이 등장하는 것으로이해하고자 한다.

      • KCI등재

        Would Romanian Style Revolution be Possible in North Korea?

        박정오(Park, Jeong 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30 No.-

        Similarities between Romanian and North Korean dictatorship can be understood at the level of common sense even though we do not mention in details. Because among many dictators on earth, Ceauşescu imitated directly the North Korean-style dictatorship. But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som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systems can be found clearly. Although the Romanian clan dictatorship took North Korea as a model, I think that it was just an imitation of the dictatorship of North Korea. And I also believe that the clan dictatorship of North Korea including individual idolatry had some limits to put down roots in Romania. In other words, the soil of Romania and North Korea was different. North Koreans have oriental sentiments and values, while Romanians have strong characteristics of European individualism. Therefore,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peoples ruled by communism under similar absolute dictatorships. Usually, comparing North Korea and Romania, most of people just examine the political system of these two countries. But it is also important to examine how are these two peoples ruled by the nation's system. My opinion is that there are som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peoples who accept the communist dictatorship in their country. Although the censorship has been carried out during Ceauşescu's dictatorship, personal freedoms including religion has been largely recognized and some Romanian writers published their works which criticized indirectly Ceauşescu's dictatorship. Compared to other Eastern European nations, social resistance movements in Romania led by dissidents and dissident groups almost did not exist. This kind of situation also can be found in North Korea. By the way, regarding this,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between Romania and North Korea. In case of North Korea, there are very few activities of dissidents. In contrast, activities of dissidents were very weak in Romania compared to other Eastern European countries, even though they had existed. Around the World War II, Romania was richer than Greece. So Romanians could compare 'good life in the past' and 'hardscrabble life' of the late '80s, figuring it out as the consequence of Ceauşescu's dictatorship. In contrast, North Korean people are just living resignedly because they have never got previous experiences of rich life. Therefore, when we are examining carefully the dictatorship of North Korea compared to Romania, they seem to be similar on a larger scale but we can also find some differences. North Koreans might tremble with horror due to the powerful politics of fear in their country that exterminate a family of a whole three generations, but in accepting the idolatry for Jeong-il Kim and his clan dictatorship it seems to be a little bit different than Romania's situation. 차우셰스쿠는 지구상의 많은 독재자들 중에서 북한식의 독재체제를 직접 모방했기 때문에, 루마니아와 북한의 공통점은 일일이 언급하지 않아도 우리가 생각하는 상식적인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두 체제간의 차이점도 있다. 루마니아 족벌독재체제는 북한을 모델로 삼긴 했지만 ‘북한의 아류’에 불과했던 것으로 생각되고 또 우상숭배를 포함한 북한식의 족벌독재체제가 루마니아에서 뿌리를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마디로 북한식의 강력한 족벌독재체제가 루마니아에 뿌리를 내리는데 루마니아라는 토양과 북한의 토양이 많이 달랐다고 생각된다. 즉 북한 주민들은 동양의 정서와 가치관을 가진 반면에 루마니아인들은 유럽인 특유의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는데, 이 말은 비슷한 독재체제하에서 공산주의의 지배를 받는 두 나라 국민들 간에 차이가 있다는 말이다. 보통 루마니아와 북한을 비교할 때, 대개는 두 국가의 체제만을 비교해서 보는데, 체제의 지배를 받는 국민들이 어떤가도 아주 중요하다. 즉 공산주의 독재 체제를 받아들이는 루마니아인과 북한 주민들 사이에 차이가 있어 보인다. 차우셰스쿠 집권시절, 종교를 포함한 개인의 자유가 상당부분 인정되었고 또 검열제가 실시되었지만 루마니아 일부 작가들은 차우셰스쿠 독재체제를 우회로 비판하는 작품들을 출판하기도 했다. 다른 동유럽 국가에 비해 루마니아에서 반체제 인사와 단체의 활동’이 거의 없는 것은 북한과 닮은 점이다. 그런데 반체제 인사와 단체의 활동과 관련해서도 루마니아와 북한 사이에는 조금의 차이는 있어 보인다. 북한의 경우, 반체제 인사와 단체의 활동이 거의 없는데 반해, 루마니아는 있었지만 다른 동유럽 국가에 비해 아주 미약했다고 언급할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전후 루마니아는 유럽에서도 잘 사는 나라에 속했다. 실제로 당시 루마니아는 그리스보다 잘 사는 나라였다. 그래서 루마니아인들은 ‘살기 힘든 현재’와 ‘잘살았던 과거’를 비교하게 되고 또 그 이유를 공산주의 체제 혹은 차우셰스쿠 독재 때문이라는 해답을 쉽게 찾을 수 있는데 반해, 잘살아본 경험이 없어 살기 힘든 현재를 배교할 곳이 없는 북한 주민들은 그냥 체념하듯이 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1960년대 루마니아는 농업국으로 전락시키려는 소련 흐루시초프 정책에 반 대해 중공업 위주의 스탈린식 경제체제 통한 국가발전 도모하였다. 루마니아가, 농업국으로 전락시키려는 소련 흐루시초프 정책에 반대하여 중공업 위주의 경제발전을 도모한 것은 차우셰스쿠 이전의 대통령인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Gheorghe Gheorghiu-Dej)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런데 차우셰스쿠 시대에 와서 루마니아 공산당은, 루마니아 3대 주력산업(철강업, 기계공업 그리고 중화학공업)을 선정하여 과도하게 발전시켰다. 당시 경공업이 완전히 도외시되었고 또 3대 주력산업은 아무런 시장조사 없이 자의적으로 즉 루마니아 공산당 마음대로 선정하였다. 시장경제 원칙을 무시하다보니 루마니아 경제정책은 당연히 실패했고 결국 80년대 말 루마니아 경제는 파국으로 치달았다. 결국 루마니아와 북한의 독재체제를 살펴보면 큰 틀에서는 비슷하지만 분명‘정도의 차이’는 있어 보인다. 그리고 3대 멸족이라는 북한식의 강력한 공포정치로 인한 두려움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김정일 우상숭배와 족벌독재정치를 받아들이는 북한 주민들의 태도는 루마니아인들과는 차이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후보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국제사례와 양심의 자유

        장복희(Chang Bok-Hee) 한국헌법학회 2006 憲法學硏究 Vol.12 No.5

        양심적 병역거부는 군사활동에 참여를 거부하는 것으로 조직적인 살인을 하지 않으려는 양심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는 진지한 신념이다. 양심적 병역거부와 대체복무는 다수의견과 소수의견, 공동선과 개인적 가치를 모두 수용하고 존중하며 이행할 목적으로 화해와 타협으로 이루어낸 영역이다. 양심적 병역거부를 인정하는 국제법의 적용은 기존의 국제인권규범을 해석하는 방법과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위한 새로운 국제법규범을 모색하는 것이다.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보호는 국내적으로 새로운 이행입법을 제정하는 경우와 최근에는 국제소송의 전략이 이용되고 있다.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법적 발전은 소송외적 접근방식으로 이들을 위한 적극적인 국내입법화를 통한 보호와 더불어 국제소송을 선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권리는 국제법상 생명권, 세계인권선언 제18조,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B규약) 제18조에서 보장하는 사상, 양심과 종교의 자유에 근거하며, 양심적 병역거부의 대헌장인 유엔인권이사회 "양심적 병역거부"결의 1998/77에서 기본원칙이 확인되고 있다. 최근 개인통보사건에서 유엔인권이사회는, B규약 상 양심의 자유는 국내병역문제와 과세문제에까지 확대되어 병역제도와 조세제도까지 불법성을 판단하고 양심적 과세거부까지 인정하는 것이 아니며, 대체복무가 전제되지 않는 양심적 병역거부는 인정하지 않고 있고, 대체복무기간의 형평성을“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판단하고 있다. 유럽인권재판소는, 모든 종교집단에 대해 종교의 자유는 동등한 가치로 인정되어야하고 특정종교를 배제시키는 것은 유럽인권협약 상 종교의 자유를 위반하고 종교적 불관용에 따른 차별과 평등권 침해라고 판시하였다. 또한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사후 사회적 불이익을 주는 것은 양심과 종교의 자유의 자속적인 침해로 보았다. 국내적으로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보호는 소수자 인권문제에 대한 인식변화와 정치적인 지지로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정치적 결정은 바로 법적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양심의 자유가 개인의 신념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사회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기 위한 관용의 정신에서 나온 것이라면 헌법 고유의 정신을 찾아내야 할 때이다.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련한 규범의 국제법적 해석과 국내법 조치의 마련은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 주류에 속하지 않는 개인의 삶의 다양성과 인간안보를 보장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21세기 진정으로 정의롭고 민주적인 인권선진국으로서 도약하기 위해서는 선진적인 국가실행에 관심을 갖고 국제인권법에 익숙해지는 일이 그 시작이 될 것이다. Conscientious objection (CO) is to object participating in military activities and is serious conviction motivated by conscience not to engage in organized killing. The question of CO and alternative service is one area in which many societies have worked out such a compromise to accomodate, respect and implement the conflicted values between dominating opinions and minority opinions and between common good and concerns of individuals. The right of conscientious objector is basic on the right to life in international law and freedom of thought, conscience and religion which is recognized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art.18),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art.18) As Magna Carta of CO, Commission on Human Right Resolution 1998/77 confirms the right of conscientious objector and the basic principles of conscientious objection.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law to recognize CO is to interpretate the exist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in way of its instinct meaning and to find new international norms for conscientious objectors. When new national law to accept CO, it begins to interpretate freedom of conscientious under Constitution in another way and to undertake a strategic of international reviewing process by using Individual Communications System of UN Human Rights Committee and reviewing of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The most effective legal development for protecting conscientious objector is to make use of international justice with erecting a domestic law for them. UN Human Rights Committee decides that freedom of conscience and B Covenant do not intervene military system and tax policy and judge its illegality and does not accept CO to tax payment and CO without a prerequisite of alternative service in recent decisions of Individual Communication cases. And also the Committee adjusts equilibrium between any service of a military character and alternative service based on ""the reasonable and objective standards.""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decides that freedom of religion should be the same value to all religious groups and that exclusion to certain religious group like Jehovah"s Witnesses is a violation of right to freedom of religion under European Convention of Human Rights and discrimination according to religious intolerance. In national level, there should be a awareness of conscientious objector"s rights as a minorities" one and political support. These political decision making directly goes to legislation. If freedom of conscience recognizes diversities of individual"s believes and stems from tolerance as a motive power of social development, now it is time to find its inherent constitutional spirit. Interpreting CO according to international law and creating relevant legal systems are to have a aim at assuring diversities of individual lives not pertaining to the majority. In 21 new century, in order to be a genuine just democratic human right developed country, we should begin to be concerned about advanced national practices and to be familar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 KCI등재

        유럽인권협약상 개인청원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이주윤(Joo yun Lee) 국제법평론회 2007 국제법평론 Vol.0 No.26

        1950년의 유럽인권협약은 국제인권보장체제 중 그 효율성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인권침해를 당한 개인에게 사법적 구제 수단을 제공하고 있는 유럽인권협약의 개인청원제도는 가장 모범적인 인권 보장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제 국제법상 개인의 지위는 법의 주체로 상승되고 있는 것이다. 개인청원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결정은 법적 구속력을 가지고 있으며, 유럽심의회 회원국 모두에 대해 강제관할권을 가지고 있다. 이는 다른 기타의 인권조약에 비하여 유럽연권체제가 가지는 최대의 무기일 것이며, 이러한 유럽인권재판소의 개인권리구제방식은 다른 지역인권재판소 및 인권위원회에 그대로 적용되거나 모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유럽심의회 회원국이 46개 국가로 늘어나고 개인청원이 보다 많은 유럽인들에게 알려지면서, 유럽인권재판소가 처리하여야 하는 개인청원의 숫자는 폭발적으로 불어나 현재, 재판소는 말 그대로 위기에 직면하였다. 그리하여 과부하에 걸린 유럽인권체제의 효율적 운영과 신뢰를 보장하기 위하여 2004 년에 제14의정서가 채택되었는데, 중대한 손해 라는 새로운 허용성 요건을 도입하여 개인청원권에 중대한 제한이 가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유럽인권협약상 개인청원의 효율성을 보장하고 계속해서 개인의 실체적 권리 구제에 앞장서기 위해서는 허용성 요건을 엄격하게 하여 그 사법접근권을 제한하는 것보다는 유럽인권재판소 아래 허용성 심사를 전담하는 제l심재판소를 창설하거나 법률고문관제도를 강화하여 단독재판관의 업무수행을 돕고, 국내적으로는 사법 또는 행정당국에 대한 인권교육을 체계화시키거나 금전적 제재를 부과하고, 개인의 남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종의 공탁금과 같은 비용을 청원자에게 징수하는 동의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각료위원회가 제 14의정서를 기초하면서 개인의 실효적 인권보장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삼은 의도를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결국 국제인권법의 실효성은 무엇보다도 인권조약상의 의무를 국내적으로 잘 준수하겠다는 각 개별 국가들의 의지에 달려있다. 극가는 적절한 국내법상 제도를 마련하여 인권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 사얀마다 적절한 집행 및 구제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제법은 더 이상 국가들만의 법이 아닌, 궁극적으로는 개인 의 권리를 준수하고 증진하기 위한 법 이 되어야 할 것이다.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of 1950 is the most effective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up to 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can be contributed to the individual application which provides human rights victims with legal remedies and this is why it is recognised as the most exemplary mechanism of all the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s. With this new mechanism in place, international law that did not formerly recognise individuals as subjects of law have come to recognise the status of individuals as subjects of law. The biggest and most important advantage that European human rights system has over other human rights system is that all member states of the Council of Europe which are party to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ccepted the compulsory jurisdiction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This ensures the judgments by the Court dealing with the individual applications to be legally bound upon member states The subsequently formed human rights courts and human rights committees are following European human rights system as its role model because of its success.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ember states within the Council of Europe rose to 46, and as the Europeans have gotten more accustomed to resorting to individual applications for legal remedies, the number of cases concerning individual applications has increased continuously over the years and the Court faced a serious crisis in dealing with the caseload. Therefore, in 2004 Council of Europe adopted the Protocol No. 14 to the Convention to ensure the effectiveness as well as provide confidence in the European human rights system. The Protocol No. 14 introduces the new admissibility criterion to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nt has suffered a significant disadvantage Although this requirement may provide the Court with some relief with the caseloads, it places serious restriction on the right of individual applications.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application under the Convention without placing restrictions on the substantial rights of individuals but to strengthen it, it would be better to create a Court of First Instance that wiIl examine only the admissibility of a case. Another solution would be to educate human rights to the judicial and administrative authorities in the national level and impose pecuniary damages to the repetitive states rather than to limit the victim s right of access to justice. We sho비 not forget that the intention of the Committee of Ministers when it prepared the Protocol No. 14 was to provide effective human rights protection.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depends on the will of individual states that comply with the obligations under the human rights treaties. Where the human rights violation occurs, states should make the proper internal law and take proper remedies. Eventually, International law should be the law that protects and improves the fundamental rights of individuals, and not for the nation itself.

      • KCI등재

        Underlying Problems and Solutions relating to the Increasing Workload of the ECtHR in view of Protocol No. 14

        Lee Jooyun(이주윤) 대한국제법학회 2009 國際法學會論叢 Vol.54 No.3

        UN 창설 이후, 국제사회는 평화와 인권 보존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인권법의 발전과 함께, 개인이 국제법상 주체로 인정될 수 있음을 주장하는 학자들도 점차 늘어났다. 특히, 유럽인권협약은 인권을 침해당한 피해자들에게 법적 구제를 제공하는 개인청원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덕택에 국제인권감독체제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인권보호체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유럽심의회 회원국이 47개로 늘어나고, 점차 유럽인들 사이에 개인청원이 보편화되면서 최근 수년간에 걸쳐 개인청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는 결국 유럽인권재판소의 효율성에 심각한 위협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인그룹(Group of Wise Persons)은 2006년 유럽인권협약에 내재된 기본 철학은 고수하면서, 동 협약의 감독체제의 장기적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안을 담은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또한, 유럽심의회는 2004년 제14의정서, 2009년 마드리드 협정, 2009년 제14의2의정서와 같은 조약을 채택하였다. 조약 채택 이외에도, 개인청원의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개인의 실체적 권리를 제한하지 않고 오히려 강화하도록 제소적격의 흠결 심사를 전담하는 유럽인권일심재판소를 설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해결책으로 국내적 차원에서 사법 및 행정당국을 상대로 인권교육을 실시하고, 유럽인권재판소 결정을 이행하는 국내조치를 마련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헌법론자들은 판결의 대세적 효력을 증진시키고, 재판소에 보다 헌법적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결국 추가의정서와 재판소 판례에 의해 계속해서 발전되고 개선되어 온것처럼, 유럽인권보호체제가 개혁의 개혁 및 추가 개혁이 필요하다는 사실에 많은 학자들은 동의하고 있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UN, international society became very anxious for the preservation of peace and human rights.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law, more and more scholars insist that individuals have been recognised as the subject of international law. In particular,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can be said to be the most effective human rights protection mechanism since individual application under the Convention provides human rights victims with legal remedies. However, as the member states of the Council of Europe rose to 47 and the Europeans have became more accustomed to resorting to individual applications for legal remedies, the number of cases concerning individual applications has increased continuously over the years and it posed a serious threat to the effectiveness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With a view to solving these problems, in 2006, the Group of Wise Persons issued a final report to make proposals for guaranteeing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the control system under the ECHR, while securing the basic philosophy underlying the ECHR. Besides, the Council of Europe adopted several treaties such as Protocol No. 14 to the ECHR of 2004, Agreement of Madrid of 2009 and Protocol No. 14bis to the ECHR of 2009. In addition to the adoption of Protocol, it would be better to create the European Lower Court of Human Rights that will examine only the admissibility of a case,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application under the Convention without placing restrictions on the substantial rights of individuals but to strengthen it. Another solution would be to educate human rights to the judicial and administrative authorities at the domestic level and provide national measures to enforce the decisions of the ECtHR. Moreover, the constitutionalists claim that it can decrease caseloads by improving erga omnes effects of the judgments and giving more constitutional power to the Court. Finally, many scholars agree that the European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requires the reform of the reform and further reform, as continuously developed and improved by the additional Protocols and the jurisprudence of the ECtHR.

      • 유럽공동체법상 직접취소소송제도의 재검토

        이성덕 홍익대학교 2007 홍익법학 Vol.8 No.1

        유럽공동체의 사법제도 가운데 유럽공동체설립협정 제230조가 규정하고 있는 직접취소소송제도를 살펴보는 것이 본 글의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회원국이나 유럽연합기구의 조치나 행위가 일정한 사유,특히 유럽공동체법 위반에 해당하는 경우에 협정 제230조에 규정된 기구나 사인은 제 230조에 근거하여 해당 행위나 조치의 취소를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직접취소소송제도를 운영하는 과정중에 특히 문제되는 부분은 직접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원고적격을 갖는 자들의 범위,특히 사인이 직접취소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어느 범위까지 원고적격을 인정할 수 있는지의 문제 및 직접취소소송을 통하여 공동체 행위의 적법성을 다틀 수 있는 근거로서 유럽공동체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포함될 수 있는 지 등과 관련한 것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유럽사법재판소는 사인에게 직접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원고적격을 인정하는데 있어서 약간 제한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듯 보여진다. 이러한 점은 유럽공동체법의 이행 감시자로사 사인의 역할을 축소하는 측면이 있다고 보이므로,보다 강력한 법의 지배를 달성하기 위하여서 사인의 원고적격을 인정함에 있어 보다 적극적인 입장을 취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직접취소소송을 제기하기 위한 법적인 근거에 직접효력이 없는 국제조약은 배제하고 있는데, 이 점은 국제조약을 유럽공동체법의 일부로 받아 들이고 있는 입장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reviews the European Community's direct annulment actions. First of all, it surveys the requirements to bring an annulment action based on the Treaty provisions and the ECJ's case law. The most difficult issues involved with the requirements are i) against what measures ii) who may bring an action. According to Article 230 of the EC Treaty, a Member State, the European Parliament, the Council, the Commission may bring an action without any limitations against regulations, decisions and directives and other acts sui generis which have binding forces; the Court of Auditios and the European Central Bank may bring an action against measures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ir prerogatives. In addition to this, a natural or legal person may institute proceedings against a decision addressed to that person, or against a decision which, although in the form of a regulation or a decision addressed to another person, is of direct and individual concern to the former. In this paper, I tried to elucidate the concepts of a decision in the form of regulation and the direct and individual concern provided in Article 230.

      • KCI등재

        유럽인권재판소의 관할권에 관한 연구

        오승진 ( Sung Jin Oh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34 No.2

        The European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 has established one of the most effective regional system of protecting human rights.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of the Convention does not reduc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t the heart of it is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The Court has the jurisdiction to decide on individual applications, inter-state cases and advisory opinions. However, many individual applications have been dismissed because of jurisdictional questions or admissibility. Only after cases have passed jurisdictional hurdles such as exhaustion of domestic remedies, could the Court decide on the merits. Anonymous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already submitted to other international procedures shall be dismissed. The Court has been playing a pivotal role in protecting human rights in Europe and has been considered a model for other human rights institutions. Moreover, national courts in Europe are increasingly citing cases of the Court. Asia does not have its own human rights convention, while Europe, America and Africa have their own regional human rights systems covering their continents. Shared values are considered to be essential among regional nations for the success of regional human rights systems. However, culture differences among Asian states are not to be stressed too much. Effective human right systems in Asia could be possible if Asian states try to find common ground based on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If that arises, I believe, the experience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is likely to shed some lights for our future.

      • 목적외 이용과 프로파일링 관련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 EU 개인정보보호지침, 규칙안, 정보통신망법 및

        채성희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6 Law & technology Vol.12 No.1

        최근 유럽 의회와 이사회가 합의한 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 규칙안은 정보처리기술의 발달에 따른 다양한 개인정보 활용 태양에 대하여 기존의 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지침보다 세분화된 규정들 을 두고 있다. 이 중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하여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은, 목적외 이용과 프로파 일링을 비롯한 자동화된 개인정보처리 및 이에 근 거한 개인에 대한 중요 결정에 대한 취급에 관한 사항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의 유럽연합개 인정보보호지침과 새로운 규칙안, 그리고 우리나 라의 정보통신망법과 개인정보보호법의 관련 규 정을 비교해 보았다. 특히 규칙안과 우리나라법을 비교하여 볼 때, 규칙안은 목적외 이용에 관하여 우리나라 법보다 다소 유연한 규정을 두고 있으며, 프로파일링은 물론 프로파일링에 근거한 개인에 대한 자동화된 개별 결정에 대한 규정을 따로 두고 있다. 또한, 목적외 이용 및 프로파일링, 자동화된 개별 결정 과 관련하여 정보주체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조치를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접근은 정 보처리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방식 및 내용의 개 인정보처리가 가능해지고, 이로 인하여 정보주체 의 권익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현실을 감안할 때 우리 법의 입법론으로서도 참고할 만하다고 생각된다. In December 2015,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informally agreed on a new European Data Protection Regulation. The agreed Regulation contains many rules to deal with new data processing practices that came with the recent develop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Among these, provisions on purpose limitation and profiling and automated individual decisions have important impl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use of Big Data. This paper compares these provisions with the corresponding ones in European Data Protection Directive and Korean law. The most prominent features of the newly agreed Regulation, compared to Korean laws, are as follows: 1) the purpose limitation rules of the Regulation give more room for the data controller to use the data for purposes different from those specified at the time of initial collection; 2) while Korean laws do not have a specific rule that handles profiling and automatic individual decisions based on profiling, the Regulation includes detailed rules on these practices, which goes much further even compared with the Directive. 3) In realtion to the purpose limitation and profiling and the automated individual decision, the Regulation seems to focus on the measures to be taken by the controllers to safeguard data subjects’ rights and interests. This approach makes a contrast to Korean laws which tend to put more emphasis on the legitimate ground of data processing, in particlar data subjects’ consent.

      • KCI등재

        유럽의회의 정책책임성: 한-EU FTA 체결과정을 중심으로

        한정훈 ( Jeong Hun Han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1 한국과 국제정치 Vol.27 No.4

        본 논문은 유럽의회 내에서 국가정당과 유럽정당이 서로 다른 피대표자를 대표하면서 나타나는 정책책임성(policy accountability)의 경합(competition) 현상을 분석한다. 특히한-EU FTA 사례 분석을 통해 재분배 정책적 특성을 포괄하는 정책에 대하여 책임성이 경합하는 현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럽의회 내에서 개별적(individual) 책임성보다 집합적(collective) 책임성이 발전하는 요인 및 집합적 책임성을 두고 경합이 이루어지는 요인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한다. 또한 경험적으로 한-EU FTA를 다룬 중요 본회의 회의록과 FTA안에 대한 기명투표기록을 분석함으로써, 재분배적 성격을 지닌 정책에 대한 책임성의 특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분배정책 영역의 정책과 관련한 국가정당과 유럽정당 간 정책책임성 경합은 국가정당이 우위를 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a feature of policy accountability of European Parliament( EP) with a focus on the legislative processes of the Korea-EU FTA.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potential competitions for policy accountability between national parties and European political groups inside the EP. In so doing, it first reviews several institutional features of the EP and redistributiv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EU FTA, which help to develop collective policy accountability rather than individual policy accountability. After analyzing several legislative meeting minutes for the Korea-EU FTA and roll call voting records of the members of EP, it empirically verifies national parties are more likely to work as a collective accountable entity for the Korea-EU FTA than European political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