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서고고학 20년, 역사고고학

        박순발 호서고고학회 2019 호서고고학 Vol.0 No.42

        The Hoseo Archaeological Society's(HAS) past 20years was just overlapped with the rapid growth phase of archaeology of Korea. A lot of salvage archaeological excavation had been occurred by legal proceeding against land development, therefore archaeology becomes accepted not as a brach of humanities but as a cultural resource management(CRM). Consequently the quality of excavation and its report had been worse. The period of unprecedented over-supply of CRM just has closed with 20th anniversary of HAS. Of course during past 20years we have achieved not a few, especially in the settlement archaeology part resulting from large extent stripping of land. In the real sense, has been possible some settlement archaeological research, which is comprised mortuary site, industrial site and fortification, in the other word a ‘city of underground’. In addition to that the finding of ancient Backje(百濟) capital city archaeology also is remarkable, clarifying of city wall plan and space layout ete. Buddhist temples is characteristic of ancient east asian capital's religious facility, of which overall plan and its change has shed light on that part. Though the key of archaeology's growth is often assumed to the use of affluent mateials, but also requires correct establishment of its pursuit. Hereby suppose the pursue of archaeology as this ; the reconstruction of culture, the history of culture, the human and history orientation and the theory orientation. 호서고고학회 창립 20년의 역사는 한국고고학의 양적 성장시기와정확히 겹친다. 고고학조사가 토지개발 과정의 법적 절차에 포함되면서 고고학은 이제 인문학의 한 분야가 아니라 사회경제적 파급 영향이 막대한 문화재조사로 인식되었다. 고고학조사 수요와 공급의불균형은 조사 및 보고서의 부실로 이어졌고, 그에 따라 고고학의 학문적 수준 제고는 정체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고고학자료 과잉이라는 미증유의 시기가 바로 지난 20년간이라하여도 좋다. 그러나 새로운 자료의 증가를 통해 성과도 없지 않았다. 세종시와 같은 대규모 도시개발에 따른 전면적 발굴을 통해 특히취락고고학의 성과가 많았다. 분묘·생산·방어시설 등을 구비한 도시적 취락의 전모가 드러난 점은 매우 중요한 성과이다. 그리고 각지의 분묘군의 변천을 통해 정치사회적 관점의 지역사 이해가 가능하게 된 것도 중요하다. 공주·부여 등 백제의 고도를 중심으로 한 도성고고학의 진전도 적지 않았다. 외곽성을 구비한 사비도성의 도시공간 구조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고, 도성 내외의 불사 조사를통해 백제의 불교문화가 가지는 고대 동아시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풍부한 고고학자료를 생산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고고학발전의 관건이다. 그를 위해 고고학의 학문적 목표를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다. 문화복원, 문화사, 인간과 역사 지향, 그리고 물질자료와 문화 사이의 관계에서 관찰되는 보편성 추구 등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특징과 전개

        황재훈 호서고고학회 2021 호서고고학 Vol.0 No.4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s over time of the Bronze Age tombs in the Hoseo region by reviewing the location, landscape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density, internal-external structures, and burials of the tomb data investigat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result of classifying each tomb based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al features,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tombs were confirmed by region.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material cultures from the early period to the middle period of the Bronze Age in the Hoseo area are linked to the type, distribu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tombs. The results of synthesizing the vari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tructures of tombs, the relative chronology of pottery and stone tools, the intersecting chronology between sites, and the radiocarbon dating are as follows. The Bronze Age tombs in the Hoseo region began to be built around the early point of the 11th century BC. Early tombs were distributed alone or in small scale in an independent location, and were basically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settlemen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living space and the tomb space. However, spaces for rituals and tombs began to be created separately from the late point of the late Early period, when the stone cist tombs and dolmens began to cluster in sequence. From the Middle period when rice farming began to be intensified, the social function of the tomb space was further increased, and the settlement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separation from the living area where residential, production, and storage facilities were built. In addition, as the Songgukri type tomb emerged as a new burial system, megalithic monuments and ritual complex facilities were built within a large-scale collective graveyard. 본 논문에서는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시간상, 분포상 변이를 살피기 위해 일제강점기 이래 현재까지 조사・연구된 무덤 자료를 집대성하여 입지와 경관 특징, 분포와 밀도, 내・외부 구조, 부장유물 등 기초 자료를 요약・정리하였다. 외견과 내부구조에 기초하여 각 무덤을 관찰하고 분류한 결과, 단위 지역별 무덤의 분포상 특징을 변별할 수 있었다. 시간 흐름에 따른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물질문화의 상이성과 상사성은 무덤 종류별 분포 및 변천과정과 직접적으로 결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덤 상・하부 구조의 변이, 출토 토기・석기의 상대편년, 유적 간 교차편년, 방사성탄소연대를 종합한 결과,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은 기원전 11세기 전반 즈음 축조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의 무덤은 독립적인 입지에 단독 또는 소규모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기본적으로 취락과 거리를 둔 공간에 무덤을 축조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주거역과 인접하여 조성된 사례도 있는 것으로 보아 각 영역을 완전히 분리한 취락 설계가 보편화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의례 및 무덤 공간으로서의 경관의 정립은 전기 후반 늦은 시점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순차적으로 조영되는 석관묘군과 지석묘군의 분포 특징은 이러한 변화상을 반영한다. 수도작 농경이 본격화되는 중기 이후에는 분묘 공간의 사회적 기능이 더욱 증대되면서 애초 주거・생산・저장시설 등이 설비된 생활 영역과의 분리를 염두에 둔 취락 설계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송국리형묘제가 새로운 매장시스템으로 등장하며 대규모 집단묘역 내에는 거석 기념물, 의례 복합시설 등이 구축된다.

      • KCI등재

        湖西地域 先史考古學-최근 20년의 발자취-

        김범철 호서고고학회 2019 호서고고학 Vol.0 No.42

        As mentioned in various literatures concerning on the history of Korean archaeology, the last two or three decades witnessed a sort of drastic growth in it. In this light, the archaeology of the Hoseo region, as a part of Korean archaeology, can be expected to experience substantial growth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rms. However, as the trajectories of ‘local’ archaeologies are unlikely to coincide with that of Korean archaeology, the expectation needs to be examined through the substantial analyses. For the substantial examination, I attempt at adopting a form of white paper. So far, writing history of overall Korean archaeology as well as local ones, has been approached in varied ways and the estimation about them has not been in the same way. I find some usefulness in the form of white paper with reference to the current approaches, because the local history of archaeology seems to be written in the same way with overall Korean one, and because infrastructure of local archaeology has not been thoroughly examined in writing its history. In terms of changes in its infrastructure, the prehistoric archaeology of Hoseo region, during the last two decades, shows slightly different trajectory against overall Korean one. On the other hand, archaeological activities in Hoseo region have resulted in bigger contribution to writing and educating prehistory of Korea than any other region in Korea, such as Jungbu, Youngnam and Honam. Specially, Hoseo's prehistoric archaeology have been prevalent in discussion about hot topics relevant to Korean Bronze Age. ‘學史’형태의 글에서 흔히 언급되듯, 한국고고학은 지난 2·30년간 비약적인 성장을 해왔다. 그런 점에 비추면, 최근 20년의 湖西地域先史考古學도 質과 量의 측면에서 성장했을 것을 충분히 기대할수 있다. 다만‘지역’고고학의 발달이 반드시 한국고고학 전체와 동일한 궤적을 밟았는지를 확신할 수는 없는바, 이 문제는 여러 측면의자료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그 실질적인 접근으로 본고는 白書형태의 서술을 시도한다. 그간 한국고고학 전체는 물론이고, 지역 고고학에 대한 학사 서술은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왔고 그 장단에 대한 평가도 엇갈린다. 본고는 그러한 몇 가지 시도를 참조하면서도 새로이 백서 형태의 서술에 주목한다. 지역 고고학의 학사가 한국고고학 전체의 그것과 다르기 때문이며, 그간의 시도들이 소위 지역 고고학을 지탱하는‘物的土臺’ 의 변화는 무척 소략하게 다룬 점에 불편을 느꼈기 때문이다. 물적 토대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호서의 선사고고학은 지난 20년간 한국고고학 전체나 다른 지역 고고학과 유사하면서도 다소 상이한 양상을 보인다. 한편으로, 한국 선사시대 서술과 교육의 토대가되는 정보의 축적에서 호서의 선사고고학은 다른 어떤 지역보다 큰기여를 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한국 청동기시대 주요 쟁점에 관련된 논의에서 호서고고학은 지난 20년 간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해왔다.

      • KCI등재

        湖西地域 百濟住居址의 地上化過程에 관하여

        李建壹 호서고고학회 2011 호서고고학 Vol.0 No.24

        Houses of Ungjin and Sabi periods of Baekje are structurally different from those of precedent periods. Until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floors of the houses were prepared underground; they were prepared above the surface of the earth in the Ungjin and Sabi periods. Previous studies have considered this change as being resulted from making firm walls and heating facility. This thesis examined and analyzed 16 settlement sit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rocess from underground houses to on ground houses. While the settlement sites consisting of only pit houses are sorted to α type, sites only consisting of pit houses and mixed houses (pit houses and on ground houses) are β type. In addition, these sites are classified into three phases to the date of houses: phase I (second half of Hanseong period), phase Ⅱ (Ungjin period), phase Ⅲ (Sabi period). Considered attributes are construction method, house size, postholes and their arrangement, wall-ditch, and cooking and/or heating facility. According to examination of the attributes, expansion of house size, increase of the number of wall-pillars, and improvement of heating facility played a role in the appearance of on ground house, respectively. This thesis attempted to do typological classification based on investigation of attributes of Baekje houses. Houses with inner-post have been transformed into houses with wall-posts, and improvement of heating facility played a role in the emergence of on ground house. In the Hoseo region, this process seems to be appeared later than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than Hoseo region, but earlier than and Honam region. 백제 웅진·사비기의 주거지는 기존 수혈식의 방식을 벗어나 생활면이 구지표 이상인 지상식으로 조성되는 특징이 있다. 기존 연구자들은 이러한 지상화과정에 관하여 견고한 벽체의 형성과 난방시설의 발달을 그 요인으로 추정하였다. 본고에서는 수혈식주거지의 지상화과정을 고찰하고자 16개 유적의 주거지·건물지를 대상으로 수혈식만 단독으로 존재하는 유적을 α유형, 수혈식과 지상식이 혼재 또는 지상식만 단독으로 존재하는 유적을 β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주거지의 존속시기에 따라 Ⅰ기(한성기 후반), Ⅱ기(웅진기), Ⅲ기(사비기)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속성으로는 조성방법, 면적과 입지, 기둥(주공)과 기둥배치, 벽구, 취사·난방시설을 검토하였다. 속성의 검토결과 지상화의 과정에는 면적의 확장과 벽주수의 증가, 난방시설의 발달이라는 요인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속성검토를 통해 유형분류를 시도하였으며, 일반적인 수혈식이 벽주수혈식으로 전환되면서 난방시설의 발달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상식의 주거지가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상화과정은 서울·경기권이 호서지역보다는 좀 더 이른 시기에 진행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호남지역은 호서지역보다 다소 늦게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무안 사창리 일원 부장철기에 대한 일고찰 : 鍛冶具와 蛇曲劍을 중심으로

        김상민(Kim, Sangmin) 호서고고학회 2021 호서고고학 Vol.- No.50

        최근 삼국시대 영산강유역의 고고학 자료가 증가하면서 그동안 주목받았던 반남고분군 조영집단에 대한 영향력이 재평가되고 있다. 특히 수계별 지역거점의 존재와 성장에 주목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무안 사창리 일원은 영산강 하류역에서도 삼포강과 각 지류를 이어주는 교통의 요지로서 무안 양장리유적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취락 네트워크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지역이다. 본고는 무안 사창리 일원 철기문화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그 중 특수한 사례의 부장된 철기, 즉 사창리 옹관묘의 단야구(鍛冶具)와 덕암고분의 사곡검(蛇曲劍)에 집중하여 영산강하류 지역거점으로서 사창리 일원 지역집단의 성격을 추정하였다. 무안 사창리 일원 부장철기를 살피면서 철기생산과 대외교류의 산물로 여겨지는 단야구와 사곡검을 특수부장철기로 비정하고 이를 부장한 사창리 일원 지역집단의 정체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사창리 옹관묘 내 부장된 단야구를 사용한 집단은 4~5세기 영산강 중하류에 존재하던 거점취락을 중심으로 한 철기생산 네트워크의 중심세력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무안 덕암고분의 사곡검은 일본열도와 관련된 상징적 신물(神物)로서 2회 변곡점을 가진 사곡검은 5세기 전엽 서남해안 도서지역에서 확인되는 왜계고분의 등장과 관련된 것으로 보았다. 이를 통해 사창리 일원의 지역집단은 영산강 하류의 교두보라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5세기 전엽 대외교류에 가담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As the archeological materials on the Yeongsan River basin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crease recently, the influence on the Bannam ancient tombs builders having received attention so far is being reevaluated. Especially, the approach focusing on the existence and growth of the local hub by watershed is being taken. It is noticeable that the area of Sachang-ri, Muan took the role of one axis of the large scale settlement network around the remains of Yangjangri, Muan as the major transportation point connecting the Sampo River with each branch in the downstream basin of the Yeongsan River. The study address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ronware culture of the area of Sachang-ri, Muan and estim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group of the Sachang-ri area as the local hub of the downstream of the Yeongsan River by focusing on the buried ironware of the special case including smith’s tools of the jar coffins of Sachang-ri and the flame-bladed sword of the Deokam tomb. Smith’s tools and the flame-bladed sword considered as the output of ironware production and external exchange were comparatively decided as the special buried ironware by addressing the ironware buried in the area of Sachang-ri, Muan, and the identity of the local group burying them in the Sachang-ri area was comparatively decided as follows. It was asserted that the group using smith’s tools buried in the jar coffins of Sachang-ri was possibly the central force of the ironware production network around the settlement hub existing in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the Yeongsan River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Moreover, it was considered that the flame-bladed sword of Muam Deokam tomb being the symbolic divine thing related to the Japanese islands and having the inflection points two times was related to the emergence of the Japanese Style Tombs found in the island region of the southwestern coast in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It is estimated that the local group in the Sachang-ri area used the geographical advantage of the bridgehead in the downstream of the Yeongsan River accordingly to engage in the external exchange in the 1st half of the 5th century.

      • KCI등재

        湖西地域 無文土器의 變化와 編年

        이홍종,허의행 호서고고학회 2010 호서고고학 Vol.0 No.23

        The Hoseo region, where the largest number of Bronze Age sites in South Korea is reported, provides crucial data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Bronze Age material culture. As such, this region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n particular, it has often been referred to for the establishment of cross-regional chronology.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chronological studies focusing on the Hoseo region itself. In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the problem of chronology tends to be dealt with within the limit of a particular period, region, or settlement type. This makes it difficult to grasp a long-term chronological change of material culture in the Hoseo region. In opposition to that tendency,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chronological variation of Mumun (undecorated) pottery from the Hoseo region over the whole Korean Bronze Age. For this purpose, Bronze Age pots from this region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Garak-dong type, Yeoksam-dong/Heunam-ri type, and Songguk-ri type. Based on time-sensitive attributes, these pots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Then, in consideration of their association with other kinds of pots, their temporal relationship was determined according to houses or settlement types. As a result, it became possible to see a whole chronological variation of Mumun pottery and a chron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ettlement types in the Hoseo region. Moreover, based on radiocarbon dates of each settlement type, the Bronze Age in this region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phases. In the Early Bronze Age, the first stage of the Garak-dong type dates to 13-12C BC, the second 11-10C BC, and the third 10-9C BC, and the first stage of the Yeoksam-dong/Heunam-ri type dates to 12-10C BC, the second and third 11-10C BC, and the fourth 10-9C BC.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age of the Songguk-ri type dates to 10-8C BC, the second 9-7C BC, the third 8-6C BC, and the fourth 7-5C BC. Therefore, the early stage of the Songguk-ri type seems to have coexisted with the third stage of the Garak-dong type and the third and fourth stage of the Yeoksam-dong/Heunam-ri type. 호서지역은 청동기시대 유적이 가장 많이 조사된 곳으로서 우리나라 청동기문화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빼놓을 수 없는 지역이다. 때문에 기존의 많은 연구들도 호서지역의 청동기문화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편년연구 또한 이 지역을 모델로 삼아 각 지역별 편년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호서지역만을 대상으로 한 편년연구는 매우 적고, 연구된 내용 또한 시기별, 지역별, 그리고 취락유형별로 따로 진행되어, 청동기시대 전 기간의 시간적 흐름을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무문토기 전체의 변화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토기에 대한 편년작업을 실시하였다. 편년은 가락동유형, 역삼동·흔암리유형, 송국리유형으로 나누어 시간적 변화상을 가장 잘 반영하는 토기만을 대상으로 형식분류 한 후, 타 토기와의 공반관계 등을 고려하면서 주거지별, 취락유형별 선후관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호서지역 무문토기의 변천과정을 파악하고 나아가 각 취락유형별 단계를 설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탄소연대측정치를 통해 각 단계별 역연대를 제시하였다. 전기의 가락동유형 1단계는 기원전 13C-12C, 2단계는 기원전 11C-10C, 3단계는 기원전 10C-9C, 역삼동·흔암리유형 1단계는 기원전 12C-10C, 2·3단계는 기원전 11-10C, 4단계는 기원전 10-9C까지 이어진다. 뒤를 이은 송국리유형은 전기 가락동유형의 3단계와 역삼동·흔암리유형 3-4단계와 중복되는데 1단계는 대략 기원전 10C-8C, 2단계는 기원전 9C-7C, 3단계는 기원전 8C-6C, 4단계는 기원전 7C-5C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湖西地域 原三國時代 墳墓遺物의 變遷과 周邊地域과의 關係

        서현주 호서고고학회 2016 호서고고학 Vol.0 No.35

        This study set out to sort out the current artifacts excavated from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Hoseo region by the areas and examine the development patterns of tombs artifacts by the periods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in the neighbouring areas including Gyeonggi, Honam, and Yeongnam.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Hoseo region are mainly divided into the ones in the northern(inland) areas and those in the West Coast and southwestern areas like the case of tombs with a ditch. Their patterns are originated in the cultural system differences, starting to become clear in the second century and continuing to be clear in the third century. Entering the second century, there wa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exchange route from southern Gyeonggi through northern Hoseo to eastern Yeongnam and the one from the West Coast in Hoseo through the southwestern areas to the South Coast. It is estimated that the tombs culture was divided into two major regions in the Hoseo region under those influences during Proto-Three Kingdom Period. New changes occurred under the influence of Lorang(樂浪) culture in the third century with som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artifacts between the two regions. The period witnessed the active construction of tombs both in the regions. Foreign artifacts including those of Lorang were introduced, and new types of pottery were made under the influence of Lorang artifacts and then naturalized. The backgrounds included the negotiations with Lorang and the inflows of its concepts and technologies via the migration of its migrants at the end of Hwanryeong(桓靈之末, the middle and late second century). 이 논문은 호서지역의 원삼국시대 분묘 출토유물에 대해 지역별로 출토유물 현황을 정리하고, 경기나 호남, 영남 등 주변지역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분묘 유물의 전개 양상을 시기별로 살펴본 것이다. 호서지역의 원삼국시대 분묘는 주구묘와 마찬가지로 유물에 있어서도 크게 북부(내륙)지역과 서해안·서남부지역으로 대별되는데, 그 양상은 문화적 계통 차이에 연원이 있으며, 2세기대에 뚜렷해지기 시작하며 3세기대에도 이어진다. 2세기대에는 전반적인 철기문화는 유사하지만, 토기나 일부 금속유물에서는 차이가 난다. 이는 경기남부에서 호서북부를 거쳐 영남동부 지역으로 이어지는 교류 루트, 경기 서해안에서 호서서해안을 거쳐 남해안으로 이어지는 교류 루트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었고, 그 영향 하에서 호서지역의 원삼국시대 분묘 문화도 크게 두 지역권으로 형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3세기대에는 낙랑 문물의 영향을 받아 다시 변화가 나타나지만, 유물 내용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3세기대에는 낙랑 문물의 영향 등으로 다시 변화가 나타나지만, 유물 내용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새로운 철기문화와 함께 호서북부지역은 양단환봉철기, 마형대구, 마구 등, 그리고 원통형토기도 본격적으로 사용되며, 호서 서해안과 남부지역은 철정과 양이부호, 이중구연호, 평저호 등이 새롭게 나타난다. 두 지역권 모두 분묘의 조영이 활발해지는 시기로, 낙랑 등 외래계 유물이 유입되기도 하고, 낙랑 유물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기물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 배경에는 낙랑과의 교섭이나 桓靈之末(2세기 중·후엽) 韓濊의 강성으로 낙랑의 유이민이 많이 유입되어 낙랑의 관념과 기술 유입이 이루어졌던 상황이 있다.

      • KCI등재

        嶺南地域에 나타난 京畿·湖西地域馬韓·百濟系土器와 그 意味

        서현주 호서고고학회 2014 호서고고학 Vol.0 No.30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pottery with regard to thepottery materials related to the Gyeonggi and Hoseo region among the Mahan·Baekje artifacts in the Yeongnam region, as well as examine the relations with Mahan·Baekje with a focus on pottery. The study first sorted out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concerned materials in seven areas that had relatively many data or clear features in the Yeongnam region and looked int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reas during the Mahan·Baekje phase(Gaya and Gaya Goji: the 5th century and between the late 5th century to the middle 6th century, the middle 7th century, central Shilla). There were Mahan·Baekje pottery materials related to the Gyeonggi and Hoseo region in the Yeongnam region between the 2nd to the 7th century, and they took various patterns in the central, pivotal, and local areas of Jinhan·Byeonhan and Shilla·Gaya. The related potterymaterials in the areas seem to have been caused by the political negotiations and closerelationships with Mahan·Baekje, the segmentation of Baekje, and the migration, exchange,and participation of local Baekje people. 본 논문은 영남지역의 마한·백제계 유물 자료 중 주로 경기·호서 지역과 관련되는 토기 의 분포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먼저 영남지역의 경기·호서지역 관련 마한·백제계 토기를 비교적 많은 자료들이 확인되거나 특징이 뚜렷한 부산·김해지역, 하동지역, 산청지역, 합천지역, 고령지역, 경주·대구·포항지역, 상주지역 등 7개 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마한단계와 백제단계(가야와 가야 고지: 5세기와 5세기말∼6세기 중엽, 7세기, 신라)로 나누어 지역들간의 관계에 대해 파악해 보았다. 영남지역의 경기·호서지역 관련 마한·백제계 토기 자료는 2∼7세기대에 걸쳐있으며 공간적으로는 진·변한과 신라·가야의 중앙이나 중심지, 지방 등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먼저 마한 단계에는 변진한의 중심 소국이 있었던 경주와 김해 지역에 관련 자료들이 나타나는데, 경주지역은 비교적 이른 2세기 후반∼3세기대의 자료가 많은 편이고 관련 토기도 다양한 편인데 비해 김해지역은 대체로 3세기 이후의 것이며 토기도 단순한 편이다. 이러한 두 지역의 양상은 교류의 경로상 차이와 함께 관계나 영향 정도에서의 차이도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백제단계에는 5세기대부터 호서지역을 중심으로 한 백제의 가야 진출 양상이 경남 서부내륙지역 토기자료에서 드러나기 시작하며, 고배, 개배, 단경호 등의 기종을 중심으로 고령이나 합천 지역에도 백제 토기의 유입이나 영향이 나타난다. 이는 6세기 중엽까지 이어지는데 백제가 帶沙를 병합해가며 이지역에 진출하는 과정, 가야지역에서 임나부흥회의 등이 이루어지면 서 백제와 가야가 정치적으로 긴밀해지는 양상과 관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야 고지(산청 등)에 백제 사비기, 7세기 이후 중요 토기 자료들이 나타나는 것은 백제의 이 지역에 대한 정복과 거점화와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신라 중앙에서도 6세기대에 기술의 전파로 인해 백제 관련 토기나 관련 자료들이 나타난다. 따라서 영남지역의 마한·백제 관련 토기 자료들은 대체로 마한, 백제와의 정치적인 교섭이나 긴밀한 관계, 백제의 영역화, 백제 지방민의 이주와 교류 참여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北韓 考古學界 最近 現況 檢討-『 조선고고연구』에 대 한內容分析을 中心으로-

        고일홍 호서고고학회 2018 호서고고학 Vol.0 No.41

        Recent political developments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led to an increase in the possibility of academic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archaeologists. In order to ensure that such exchanges are successful, we must first try to see if a common grounds for research exis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such a common grounds by undertaking a content analysis approach to North Korea’s representative archaeological journal, Joseon Gogo Yeongu.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 culture historical approach is widely used in North Korean archaeology but interpretations of social development are constrained due to the Juche ideology. It was also noted that North Korean archaeologists may not be entirely ignorant of recent theoretical trends in archaeology. North Korean archaeologists were also found to be knowledgable about various scientific analytical approaches, which they obtained information of through recent English publications. It was also confirmed that North Korean archaeologists were well aware of developments in South Korean archaeology. Interestingly enough, the possibility that geoarcheological research may be seen to not belong to the discipline of archaeology was note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Juche ideology had less of an influence on North Korean archaeology than may have been previously believed. 최근 한반도에서 진행되고 있는 국제적 정세변화로 인해 남북한 고고학계의학술교류의 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이에 남한과 북한의 고고학자 모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학술교류의 형태와 방법에 대해 고민할 시점에왔다고 할 수 있다. 그간 남한 고고학계 내에서 북한 고고학의 연구사적 경향과최근 연구 성과를 파악하는 시도들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에서 검토되지 않았던 부분을 중심으로 북한 고고학계의 최근 현황을 살펴보았다. 즉, 북한 고고학의 대표적 학술지인『조선고고연구』를‘북한 고고학의 현주소’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하나의‘텍스트’로 삼고, 그것을 대상으로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진행하였다. 이때 특히 초점을 맞춘 것은 고고학적 연구가‘실천’되고 있는 양상, 다시 말해 북한 고고학의 학문적 환경에 대한파악이었다. 『조선고고연구』에 대한 본고의 내용분석은 성공적인 학술교류의 가능성을 진단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1) 현대고고학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북한 고고학자들의 인식 및 활용의 정도, 2) 남한고고학의 발굴 및 연구 성과에 대한 북한 고고학자들의 인지 정도, 3) 북한 내에서 고고학의 학문적 범위, 4) 북한 고고학이 주체사상에 경도된 정도. 이상과 같은 내용분석을 진행한 결과, 우선 이론적 측면에서는 문화사적 접근이 북한 고고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주체사상의 영향으로 사회 발전 단계에 대한 실증적연구가 위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대 고고학의 최신 이론적 경향들에대해 북한의 고고학자들이 완전히 무지한 것은 결코 아님을 보여주는 단서를 포착하였다. 방법론의 측면에서는 북한의 고고학자들이 현대 고고학의 다양한 분석방법들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특히 연대측정 다음으로 토기 자료에 대한 자연과학적 분석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자연과학적 분석 방법에 대한 정보를 영미권의 최신 출판물로부터 얻고 있다는 정황을포착하였다. 이처럼 북한의 고고학자들이 예상보다 넓은 고고학적 시야를 가지고있음을 알게 되었는데, 이는 남한의 고고학 자료에 대해서도 그러했다. 즉, 『조선고고연구』에는 남한의 고고학적 발견 및 성과를 다루고 있는 글들이 꽤 많이 수록되어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남한 출판물을 참고문헌으로 명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북한 학계 내에서‘지질고고학’의 범주에 포함되는 연구나 고고학과 지리정보체계를 접목시킨 연구가 고고학의 학문적 범위 밖에서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북한에서 고고학적 해석이주체사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 현실이지만, 주체사상이『조선고고연구』에서 노골적으로 재생산되는 경우는 의외로 많지 않으며, 그러한 작업에 동참했던 연구자도『조선고고연구』에 글을 수록한 고고학자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湖西地域 磨製石劍의 變化相

        손준호 호서고고학회 2009 호서고고학 Vol.0 No.20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Bronze Age stone daggers and its social background in Hoseo region. Through the analysis, the author concluded as below. Firstly, the oldest type is stepped and semi-stepped hilt type in the Early Bronze Age(EBA) which imitated Lute shaped bronze dagger. These daggers show complicated features at the beginning because they had concrete proto-types, and then they were gradually changing simpler. However earlier double burled hilt type shows complicated features. Therefore I supposed the another proto-type, which is Taoshi bronze dagger. Since double burled hilt type obviously received strong influence of preceding stepped hilt type at its beginning, double burled hilt type were produced with selecting particular attribute from Taoshi dagger. In the Late Bronze Age(LBA), stepped-hilt dagger disappeared and changed into earliest stepped double burled hilt type, then simple double burled hilt type became more similar to Taoshi dagger. Single hilted daggers used in LBA divided into 2 ramified types, step connected type and shell formed type in which the influence of Taoshi dagger also observed. Most of shell formed type have rhombic section of hilt. Because this feature is not found neither in Lute shaped nor Taoshi bronze dagger, single hilted type had changed their form in their own transforming process without the influence of bronze dagger, which shows that this type is the newest among whole the stone daggers. On the other hand, the origin of stemmed stone daggers seems to be stone spearhead in Liaodong peninsula. Thus they had changed their form in absolutely different process from the hilted daggers. Stemmed daggers appeared newly as status symbol in LBA, in stead of the role hilted daggers played in EBA, because the character of hilted daggers had already changed into ceremonial goods in LBA. 본고에서는 호서지역에서 출토된 마제석검의 형식별 변화 과정과 그 동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병식석검 가운데 가장 이른 형식은 비파형동검을 모방하여 제작된 유단병식과 유구병식이다. 이들은 처음부터 모방의 대상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발생기의 형태가 가장 복잡하다가 점차 단순해지는 방향의 변화상을 보인다. 이와 달리 유절병식은 상대적으로 늦은 시기에 등장하지만 형식상 더욱 복잡해지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어 다른 청동기물의 모방이 상정되며, 형태적 유사성을 볼 때 도씨검이 그 대상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초현기 유절병식에서 유단병식의 특징이 관찰되는 점은, 유절병식의 발생에 유단병식의 영향이 적지 않았음을 짐작케 한다. 즉, 유절병식이 도씨검을 모방한 것은 분명하지만 처음에는 유단병식과의 관계 속에서 특정 요소만을 받아들여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 후 점차 유단병식의 특징들이 소멸되는 과정을 거쳐, 청동기시대 후기에 좀더 도씨검과 가까운 형태로 변화되면서 유단유절병식, 단순 유절병식의 순서로 등장하였을 것이다. 청동기시대 후기에 본격적으로 이용되는 일단병식은 심부유단식에서 심부유절식으로의 형식 변화가 상정되는데, 이 역시 도씨검의 특징이 부각되는 형태로의 변화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심부유절식 가운데에는 병부의 단면이 능형을 이루는 것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는 비파형동검과 도씨검 양자에서 모두 관찰되지 않는 형태적 특징이기 때문에, 다른 기물의 영향 없이 일단병식의 자체적인 형식 변화 과정에서 새롭게 발생한 요소로 파악된다. 따라서 이 형식을 유병식석검의 전체 변화상에서 가장 마지막 단계에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유경식석검은 遼東半島의 석창에서 그 기원이 구해지므로, 유병식과는 전혀 다른 형식 변화 과정이 상정된다. 유경식은 대부분 청동기시대 후기에 이용되는데, 전기에 주로 주거지에서 출토되면서 유력자의 상징적 성격을 갖던 유병식이 후기에 의례용으로 변화되면서 신분을 상징하는 도구로서 새롭게 유경식이 등장한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