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지역화의 문제와 개선 방향

        한진호 ( Jinho Han ),임유나 ( Yoona Lim ),홍후조 ( Hoo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2 교육과정연구 Vol.40 No.2

        6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교육과정의 의사결정 권한은 중앙에서 지역과 학교로 분권화되고, 이러한 추세는 교육감 직선제 이후 지속·강화되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적인 편성·운영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과정 지역화의 흐름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과정 지역화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교육과정 지역화의 근거와 특징을 살펴보고, 지역화 과정에서 생긴 문제점을 탐색하였다. 이후 관련 전문가 8인의 심층면담을 거쳐 교육현장의 실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추후 방향 제시를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해 이끌어 낸 교육과정 지역화의 문제점으로는 교육과정적 기회비용의 발생, 고비용·저효율·행정력의 낭비,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저해, 시·도교육청 업무의 비효율성과 비효과성 초래, 교육과정 지역화 수혜 대상자의 전도(顚倒)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문제에 대응하는 개선 방향으로 지역성과 지역의 실정에 대한 재개념화, 국가와 시·도교육청 간의 적절한 의사결정 권한 분배와 지역 교육과정 문서의 실사구시형 개발, 지역 교육과정의 대강화,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지원청의 역할 및 기능 재구조화, 학교와 교육 수요자의 요구에 따른 지역사회와의 쌍방식 협업 등으로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지역화는 결국 단위학교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과정 편성·운영 환경 조성으로 건강한 교육 생태계를 조성하는 과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단위학교를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ow and problems of curriculum localization in Korea and to present directions for curriculum localization to promote autonomous organizations and operations of school curricula. The problems of curriculum localization discove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include causing curricular opportunity cost, high-cost and low-efficiency waste of administrative power, hindering autonomous organization and operations of school curriculum, causing inefficiency and ineffectiveness in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reversed beneficiaries of curriculum localization.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s in response to each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e reconceptualization of locality and the actual state of regions; proper distribution of decision-making authority between state,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mpirical development of local curriculum documents; simplification of local curricula; restructuralization of roles and functions of local,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bottom-up collaboration with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needs of schools and students. Curriculum localization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healthy educational ecosystem by building up the environment for autonomous and creative organization operations of curricula in unit school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support to unit schools.

      • KCI등재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및 성취기준 개정을 중심으로-

        천주영 ( Joo-young Chun ),이경건 ( Gyeong-geon Lee ),홍훈기 ( Hun-gi H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교육과정의 ‘지역화’ 정책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한 방향인 ‘분권화·자율화’ 정책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이러한 교육과정 정책의 변화는 학생들이 지능 정보 사회 도래, 그린 혁명, 저출산 시대라는 미래사회의 뉴노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변화 대처 역량 함양을 꾀한다. 특히 끝없이 확대되고 변화하는 과학과 교육환경과 컨텐츠를 고려하면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다양성을 통한 전문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통해 과학과 교육과정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이하 ‘지침’)’과 성취기준 개정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정 시점의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과 고유의 특성에 기인하여 교육과정 지역화 확장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고, 17개 시·도교육청을 의미하는 지역 수준 지역화와 학교 수준 지역화 사이에 위치하는 시·도내 지역교육청 또는 마을 단위의 지역화 수준을 인식하였으며, 향후 학교 수준까지 지역화가 도달했을 때 교사의 수준이 지역화의 수준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 교사 역량 등 교원 정책과의 연계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과학과 교육과정 ‘지침’의 지역화가 이루어지려면, 이와 병행하여 17개 시·도에 일부 성취기준을 자율적으로 구성할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공통적인 인식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와 연계되는 과학과 ‘성취기준의 지역화’를 위해서는 ‘성취기준의 재구조화 또는 대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교육과정지역화 정책에 의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다양화·자율화 측면이 제고될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성취기준의 설정은 평가와 직결되기에 과학과 ‘지침’ 내 평가 항목의 기술이 새롭게 이루어지는 등의 정책의 정교화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과 특성을 고려할 때, 수업 소재의 지역화를 넘어서서 지침 자체에 지역별 중점 과학교육정책을 명시해 담을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추후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있어서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구체적 거버넌스 구축과 과학과 교육과정 ‘지침’ 및 성취기준 개선에 관한 실질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policy, which is a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ontinuously expanding and changing environment and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the local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has the advantage of advancing to expertise through diversity. In this paper, through experts’ percep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revision were confirmed, focusing on ‘MPOE(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hereinafter referred to as ‘guidelin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In conclusion, study participants considered tha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localization of the curriculum was high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cience practices. And they recognized the level of localization at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or village’-level between MPOE-level and school-level. When localization reaches the school-level in the future,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discuss linkage with teacher policies such as teacher’s competency, noting that the level of teachers could become the level of localiz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common perception that in order for the science ‘guidelines’ to be localized, 17 MPOE must be given the authority to autonomously organize some achievement standards in parallel. It was considered that ‘restructuring or slimming of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precede loca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nnection with this. On the other h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would enhance the aspect of diversification and autonomy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directly related to evaluation, so it recognized the need to refine policies such as new description for evaluation clause in future science ‘guidelines’. Finally, considering science and characteristics, it was mentioned that it is necessary to specify regional intensive science education policies in the ‘guidelines’ themselves beyond the loca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과제와 전망

        김규수 ( Kyu Soo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당위성 및 실효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과제를 짚어보고 앞으로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과정 자율화 논의의 근거는 유치원교육과정 해설서 총론에 제시되고 있으며, 각 유치원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해야 하는 이유는 교육의 효율성, 적합성, 교원의 자율성과 전문성의 신장을 위해서 그리고 교육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유치원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아교육과정 자율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구성원들의 확고한 의지가 요구된다. 둘째, 원장과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정부와 교육청 그리고 단위 유치원의 역할 분담이 잘 이루어지고 이들의 상호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서 교사의 책무성이 요구된다. 한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해 전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에서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다. 둘째, 정부의 책무성 역시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는 획일적으로 실시하는 것보다는 준비와 역량이 된 유치원부터 점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수준과 질에 대한 평가가 수행될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 자율화 추세는 유·초등 연계 교육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blems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draw a picture for the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background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s based on the summary section of Handbook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References indicate that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s necessary for the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and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e problem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ew understanding on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firm persistency of stake holders are needed. Seco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staffs is needed. Third, cooperation among government, educational district, and individual kindergarten is needed. Fourth, strong accountability of teacher is required. Prospects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increased. Second, the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will be increased. Third,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administrated from the qualified kindergarten. Fourth, the quality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evaluated.

      • KCI등재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 협력 체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관련변인에 따른 요구

        유지은,윤진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helping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for localizing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preparing localized curriculums that meet the needs of particular regions. Under this objective, it examined requests presented by kindergarten teachers regarding this prospective cooperative mechanism, in accordance with their related variables. Employ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48 teachers at national,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Jeollabuk-do (North Jeolla Province). A questionnaire, prepared by using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bibliographies as a guid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For data analysis, an x²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achers' requests regarding when to launch cooperation for localizing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relation to variables such as their academic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age, completion of training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localization, and their type of institution. Secon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achers' requests regarding how to organize those involved in this cooperation process, depending on their academic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age, and their type of institution. But,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relation to the teachers' completion of training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localization. Thir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achers' requests regarding the roles of those involved in the cooperation process for cooperation for localizing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However,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relation to their academic background, age, completion of training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localization, and their type of institution. Fourth,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achers' requests regarding cooperative measures necessary for localizing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However,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relation to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age, completion of training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localization, and their type of institutions. Finall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achers' requests regarding cooperation methods for cooperation for localizing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depending on their age, and completion of training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localization. Bu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relation to their academic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and their type of institu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basic materials in promoting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issue of curriculum localization as well as in preparing and operating kindergarten curriculums appropriate for particular regions. 본 연구에서는 지역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중요성에 기초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자 유치원 교사의 요구 사항을 그들의 관련변인에 따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북 지역에 소재한 국․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 교사 248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을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적절하게 질문지를 제작하였고, 자료분석은 x2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 시기에 대한 요구는 유치원 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 교육과정의 지역화 연수 여부, 설립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 구성원의 주체에 대한 요구는 유치원 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 설립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교육과정의 지역화 연수 여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 구성원의 역할에 대한 요구는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 연령, 교육과정의 지역화 연수 여부, 설립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 내용에 대한 요구는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 연령, 교육과정의 지역화 연수 여부, 설립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 방법에 대한 요구는 유치원 교사의 연령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연수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 경력, 설립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 협력 체계에 대한 바른 이해를 도모할 수 있으며, 각 지역에 적합한 유치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육과정 "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박순경 ( Soon Kyung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3

        6차 교육과정 이후 기울여 온 교육과정 분권화 노력은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에서의 지역화와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재량권 확대로 집약된다. 본 연구는 장기간 중앙집중적 교육과정 체제를 견지해 온 국가 교육과정 체제와 기준에 교육과정 분권화의 일환으로 `지역화`의 강점을 어떤 식으로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도 교육청별로 개발되어 온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과 지역 교육청의 장학 자료를 대상으로 지역화의 경향과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6차 교육과정 이후 16개 교육청별로 연구·개발되어 온 `우리들은 1학년` 교과서와 초등학교 `사회과 탐구` 교과서를 대상으로 지역성의 반영 정도와 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에서의 지역화 노력의 성과는 중앙 집중 체제하에서 행정 구역의 구분에 급급한 기계적이고 획일적인 사고로 인하여 고비용·저효율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높은 실효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중앙 정부와 지역 간의 역할 분담과 지역성 반영의 필요성이 담보되어야 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단위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포괄할 수있도록 교육과정 지역화의 개념을 재정립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o incorporate the right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into the school curriculum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um localization and tried to re-establish the meaning of curriculum localiz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among the 16 MPEA-developed curriculum guidelines and textbooks, such as `We are the first Graders` for the primary school orientation program and Social Studies Inquiry` which are localized primary social studies subsidiary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urriculum localization efforts for the last 20 years can be evaluated as high-cost but low-efficiency. So far, the efforts have been simply focused on the division of curriculum decision-making power, neither strengthening the rational role-distribution and nor reflecting the differences and variety according to the local conditions. The impacts of curriculum localization measures have been small becaus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re too regulative and over-detailed. Second, the concept of localization should be re-established to provide the right direction of school curriculum autonomy. To do thi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needed : 1) to identify the ultimate meaning of curriculum localization, 2) to guarantee the necessity of role distribution between the cental government and 16 MPEAs and that of reflecting local distinctions, and 3) to extend the scope of localization to implicate the autonomy of school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역사교육의 지역화와 국사 교과서의 지역사 서술

        장동표 부산경남사학회 2003 역사와 경계 Vol.47 No.-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calization of historical education in terms of the localization of Korean education. The localization of historical education means the curriculum which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students' autonomies and initiatives through the teaching of local history. This curriculum affords not only to comprehend concretely Korean history and cultures, but also to deepen the historical speculation, rais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local dimensions, and inspire the local loyalty through highlighting the life cycle of local people. The localization of historical education embodies its spirits and advances the veritable decentralization. The localization of Korean educational curriculums began with that of making decision of curriculum at the Six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is more outlined presently corresponding to the decentralization tendency with the enforcement of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Therefore, it is time to develope decidedly the localization of historical education for the decentralization policy of education that appreciates the local diversity and initiatives. But the actual curriculum of history for the localization has many difficulties. There are the fundamental limits in the actual Korean history textbook as that of localiz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local history is reconstructed and its textbook is compiled fitting in with the localization of historical education. The developments of local history textbooks have to be accomplished in way that clarifies the independence of local history curriculum as well as reconciles with the national history, even th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method of local history construction must precede them.

      • 지역 교육과정을 다시 생각해보기: 지역 삶을 토대로 하는 인간발달의 교육과 교육과정 설계

        강현석(Hyeon-Suk Kang),노진규(Jin-Gyu Noh)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2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1 No.1

        최근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대항 담론으로 지역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간 지역 교육과정은 국가의 중앙 교육과정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혹은 학교 교육과정과 국가 교육과정을 매개하는 중간적 위치로 기능해온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지역 교육과정에 대한 기존의 이해 방식을 넘어서서 그 본질적 성격을 탐색해본다. 그 중심으로 지역 교육과정과 인간 삶의 문제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지역은 인간 삶의 토대로서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일치한다. 지역 삶을 토대로 하는 인간 발달의 교육을 추구하는 교육과정이 지역 교육과정의 기본 정심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교육 과정의 이해 방식과 이를 구체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 설계 방식을 제안해본다. 이러한 방식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2022 개정 교육과정과의 기본 취지에도 부합한다. 이제 지역 교육과정은 국가 교육과정이나 학교 교육과정과의 매개적이거나 보조적 수단이 아닌 그 자체의 본연의 역할과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as a discourse against the national curriculum,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local curriculum. The local or regional curriculum has a strong tendency to function as an auxiliary means of the national central curriculum or as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in this study, we go beyond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local curriculum and explore its essential characteristics. We would like to approach the problem of the local curriculum and human life as the center of it. Regions or cites are the basis of human life and are consistent with the orientation of the curriculum. A curriculum that pursues education for human development based on local life should be the basic spirit of the local curriculum. To this end, we propose a method of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and a new curriculum design method that can materialize it. This method is also in line with the basic purpose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Now,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local curriculum, not as a mediating or auxiliary means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or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지역교육과정 정체성 논의

        정광순(Kwangso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이 연구는 시⋅도 교육청에서 개발 고시하는 ‘지역교육과정’이 교육과정으로서 정체적으로 존재 할 가능성을 논의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미국 캘리포니아 주와 독일 베를린 주 교육과정 사례를 검토하고, 향후 우리나라 지역교육과정을 개선하는데 시사하는 점을 세 가지(국가교육과정과 지역교육과정 일원화, 국가-지역-학교교육과정이 의미상 동일한 교육과정으로 연계, 국가-지역-학교 교육과정이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 현장에 공존할 수 있다는 가능성) 찾았다. 결과 이 연구를 통해서 다음 세 가지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교육과정을 시⋅도교육과정으로 그 이름을 바꿀 것, 둘째, 지역교육과정을 총론 중심에서 각론 중심으로 개발할 것, 셋째, 지역교육과정은 국가교육과정이나 학교교육과정과 구분되는 역할로 교실교육과정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각자가 거주하는 지역(시⋅도 교육청과 지원청, 학교, 교실 등)에서 개발해서 실천하는 로컬교육과정을 안착시키는 것이 우리나라 교육과정 미래를 열 수 있는 열쇠 중 하나라는 결론을 얻었다. Objectives The paper aim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Local Curriculum,’ which is developed and officialized by local education offices, to exist with an identity as a curriculum. Methods For this, the curriculum cases of California State, USA and Berlin, Germany were reviewed, and three implications were drawn for the Korea’s local curriculum reform in future: Unifiying the national and local curriculum; aligning the national, local, and school curriculum identically by definition;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of national, local, and school curriculum as a curriculum in classrooms. Results Three result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local curriculum should be renamed as municipal-provincial curriculum. Second, the focus of local curriculum should move from general curriculum to subject curriculum. Third, local curriculum should find its own role to support classroom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long with the national and school curriculum.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the stablization of local curriculum developed and enacted in local places(i.e. local education offices, schools, and classrooms, etc.) is one of the keys to open up Korea’s educational future.

      • KCI등재후보

        국가 교육과정 적용에서의 교육과정 지역화의 실효성 논의 (Ⅰ) : 시·도교육청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연구·개발 과업을 중심으로

        박순경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 적용 과정에서의 교육과정 지역화 노력의 실효성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연구·개발 과업에 주안점올 두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국가수준 지침과 16개 시·도교육청 지침의 일부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고 그를 토대로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지역화 노력의 현황과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교육과정 적용의 각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할 의사결정권의 총화(總和)를 증대하고 지역 단위의 교육과정 전문가 훈련과 의사결정 참여의 공통 분모를 확대해나가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지역화 노력 가운데 부분적으로는 실효성의 면에서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 교육과정 지역화의 노력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지침의 요강화와 함께 국가와 시·도교육청간, 그리고 16개 시·도교육청간의 역할분담 체제를 합리적으로 하고,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과업 수행 역량의 증진과 인프라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것은 명목상의 자율성이 아닌, 권고와 지원을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강구되는 실질적 자율성올 전제로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attempts to localize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o suggest some directions which can substantiate curriculum administr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ions of autonomy of MPEA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stage. As an attempt to complement the limits of centralized curriculum system, curriculum guideline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have been carried out in each MPEA since the 6th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But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role division and specification to carry out the complex curriculum dissemination tasks has been ignored at local level. To improve this state, this study indicates the problem of low efficiency of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the guideline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n the 7th Korean high school elective curriculum. The results mea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role division and specification system in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process.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should be more empowered to have a real authority and professionality in the context of local curriculum management. Strengthening the concept of customer-centerednes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reinforces the authentic autonomy to be internalized in the whole processes of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idea of curriculum localization should be consolidated not as a rhetoric, but as a reality of local curriculum practices.

      • KCI등재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적용

        민윤(Min Yu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0

        역사교육의 대중화와 함께 새로운 지역사가 주목받고 있으며 지역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공공 역사를 통해 찾을 수 있다. 공공 역사는 공적인 역사 서술과 재현의 모든 형식을 포괄한다. 박물관, 미술관, 기념관을 포함해 모든 형태의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역사하기가 포함된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은 지역민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의 측면과 민주시민으로서 자신의 삶과 연결되는 지역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역사적 행위의 주체로서 시민 지향의 역사를 추구한다. 또한, 공공 역사 기반 역사는 과거의 사건 또는 역사 과정을 경험한 참여자, 증인의 인터뷰를 통해 증언을 채록하고 역사를 서술하는 구술사 연구 방법과 만나게 된다. 또한 마을과 학교를 학생이 주도적으로 탐구하면서 학생 주도의 역사탐구가 가능해진다. 공공 역사를 통한 지역사 교육과정을 구성하면서 지역교육과정 체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지역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가지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권한을 지역/학교/교사에게로 돌려주는 것을 의미하며, 지역 수준에 맞게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고 운영할 수 있는 체제를 의미한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적용의 사례로 경기도교육청에서 추진한 구술사 프로젝트와 지역 근현대사 교육자료 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구술사 프로젝트는 구술사 방법론을 중심으로 학교사 아카이브 구축, 구술 생애사, 일제 잔재 청산 등 다양한 활동과 다원적 관점의 역사하기가 적용되었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과 사례를 제시하면서 새로운 지역사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의미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이 내실화하기 위한 한계 혹은 개선점 또한 존재한다. 우선은 시민 지향, 다원적 관점의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을 초·중·고 학교급별로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Along with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education, new local history is drawing attention, and new horizons of local history research can be found throughout public history. Public history encompasses all forms of public historical narratives. The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pursues citizen-oriented as a subject of historical activ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dentity as a local citizen and the learning of areas connected to one s life as a democratic citizen. Public history-based history also meets oral research methods that record testimony and describe history throug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or witnesses who have experienced past events or historical processes. In addition, student-led historical exploration will be possible as students take the initiative in exploring villages and school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local curriculum system while forming a curriculum for local history through public history. A local curriculum means transferring the authority to organize and operate curriculum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local community/schools/teachers, and establishing a system in which content and methods can be select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level. As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an oral history project perform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the region are presented. The oral history project focused on the oralist methodology, and applied various activities such as building archives of school history, oral life history, and liquidation of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 rule. With the direction and examples of the development of a public history-based curriculum for local history,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a new curriculum for local history were identifi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imitations or improvements to the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to systematically promote a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based on citizen-oriented and pluralistic views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