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가중적 형사특별법에 대한 법이론적 문제점

        최호진 ( Ho Jin Choi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법학논총 Vol.30 No.1

        Korea has a great number of so-called Special criminal acts in addition to the Criminal Code. Among them, the Law on Punishment of Violent Acts and The Act on Aggravating Certain Crime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aggravation special criminal acts. But special criminal acts has a many problem in criminal jurisprudence. The Acts are legislated only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application. And The Acts overlapped with the provisions of the Criminal Law Act. This increase of the Special Criminal Acts is consequent on the confusion of application, decrease of norm power of the Criminal Law Act. The Problem of the Special criminal acts are overlapped with the provisions of the Criminal Law Act, ahabitual offender impose a severely heavy punishment, Overpenalization, Legislating Process.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that inflicting aggravated punishment to habitual criminals is not suitable from the viewpoint of Schuldprizip. and that a few articles of aggravation special criminal acts weave Criminal Law together or simply abolishing the latter.

      • KCI등재

        형법의 훼손과 복원

        박기석(Park, Gi-Suk)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圓光法學 Vol.31 No.3

        The Criminal Code, the basic law of crime and punishment, should be sustained power of rule. Now Korean Criminal Code is threatened by special criminal acts. They have provided many special criminal acts for preparing special crimes. As result the special criminal acts applicate many criminal cases on behalf of the Criminal Code. For this reason ruling power of the Criminal Code is getting deteriorated on. Many provisions of special criminal acts overlapped with the provisions of the Criminal Code. Consequently confusion of application, decrease of ruling power of the Criminal Code, inconvenience of reading acts and decrease of certainty have been made. The countermeasure of this problem is these. First most of special criminal acts should be abolished as soon as possible. Because most provisions of special criminal acts overlapped with those of the Criminal Code. We can regulate most of criminal cases with provisions of the Criminal Code. The overweighting punishment of the special criminal acts are useless in regulating criminal cases. Second we have to revise the Criminal Code often and often. As change of social circumstance aspects and results of criminal actings are still changed. So the Criminal Code have to adapt this changing social circumstances and crimes. The Committee of revising the Criminal Code must be organized and members of this Committee study society-changing and right contents of the Criminal Code. We revise the Criminal Code every 1-2 years at least. Third the trivial illegal acts should be eliminated as provisions of crimes. The criteria of criminalization is severe offensing of legal interests and necessity of punishment with criminal sanctions. So behaviors under this criteria of criminalization have to be regulated not by criminal sanctions but by ethics or administrative law. the Criminal Code is the last countermeasure of regulating illegal offenses. When the ruling power of the Criminal Code restored, simple and reasonable application of criminal law can be possible. The ideal application of criminal law is that the Criminal Code regulates most of crimes simply.

      • KCI등재

        부동산실명법위반과 형법의 적용

        황태윤 ( Hwang Tae-yoo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홍익법학 Vol.22 No.2

        명의신탁자에게로의 등기명의복구라는 행정목적 달성을 위한 부동산실명법과 형법은 다른 역할을 가지고 있다. 부동산실명법이 명의신탁행위를 과징금, 이행강제금 규정을 두고 있는 것은 실제 권리자로의 명의 복원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 조세포탈 등 불법 목적이 없는 개별적 명의신탁 사안까지 형법적 보호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형법 제355조 제1항은 타인의 재물이라고만 하고 있지, 동산, 부동산, 자동차ㆍ건설기계ㆍ선박ㆍ항공기를 따로 구분하고 있지 않다. 자동차ㆍ건설기계ㆍ선박ㆍ항공기 등의 경우는 등록이 아닌 사실상 지배 상태를 기준으로 횡령죄 성립여부를 판단한다. 부동산 실명법으로 인하여 부동산의 경우 명의신탁의 법률관계는 부동산실명법위반이므로 형법상 보호할 가치가 없다는 것이 횡령죄 적용에 대한 대법원판례의 주된 논거이다. 그러나 형법의 역할은 사적 소유권의 보호 자체에 있다. 따라서 형법에서의 소유 개념은 부동산등기와 무관한 사실상 또는 법률상 지배력이 있는 상태 그 자체를 기준으로 독자적으로 파악될 수 있어야 한다. 형법의 독자적 소유 개념에 기초한다면 부동산실명법 위반이 있는 부동산명의신탁 사안이라도 형법 독자적 판단에 기초하여 횡령죄 적용 여부를 결정 할 수 있을 것이다. 부동산실명법 제7조는 명의신탁자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고 있으며, 명의수탁자를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고 있다. 부동산실명법위반에 대하여 형사처벌로 벌금형을 선택할 경우 과징금과 이중처벌의 위험이 있다. 부동산실명법의 형사처벌 규정을 삭제할 필요가 있다. 수사과정을 거쳐 조세포탈 등 불법목적으로 행하여진 명의신탁의 경우에만 형법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다. 그 외에는 이행강제금과 과징금으로 행정목적 달성만 추구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and the Criminal Act have different roles.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pursues to achieve the administrative purpose of restoring registered names to the trustee. The fact that the Real Name Real Estate Act stipulates a penalty surcharge and compulsory payment for title trust acts is for the direct purpose of restoring the title to the actual right holder, and that individual title trust cases without illegal purposes such as tax evasion should not be protected under criminal law. Article 355 (1) of the Criminal Act only refers to the property of others, and does not separate movable property, real estate, automobiles, construction machinery, ships, and aircraft. In the case of automobiles, construction machinery, ships, and aircraft, whether the crime of embezzlement has been established is judged based on the status of de facto control rather than registration. In the case of real estate due to the Real Name Real Estate Act, the main argument of the Supreme Court judgment on the application of the crime of embezzlement is that the legal relationship of a title trust is not worth protecting under the Criminal Act because it violates the Real Real Name Act. However, the role of criminal law lies in the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itself. Therefore, the concept of ownership in the Criminal Act must be independently grasped based on the status of real or legal control independent of real estate registration. If it is based on the concept of independent ownership of the Criminal Act, even in the case of a real estate title trust in violation of the Real Name Act, it will be possible to decide whether to apply the crime of embezzlement based on the independent judgment of the Criminal Act. If a fine is chosen as a criminal punishment for violating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there is a risk of fines and double punishment. It is necessary to delete the criminal punishment provisions of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It is desirable to solve the problem by applying the Criminal Act only in the case of title trusts that have been carried out for illegal purposes such as tax evasion through an investigation process. Other than that, I think that it is better to pursue only the achievement of administrative objectives with the compulsory performance and Administrative fines.

      • KCI등재

        최근 저작권 침해에 대한 형사소송법 및 형법총칙 적용 고찰

        이원상 한국저작권위원회 2020 계간 저작권 Vol.33 No.4

        Among the copyright act regulations, articles (penelty provisions) 136, 137 and 138 that stipulate criminal punishment, Article 139 of the confiscation, Article 140 of the complaint, and Article 141 of the joint penal provisions will be related to the criminal law and the criminal procedure law system.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ndividual regulations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in the copyright act fall under individual provisions to which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riminal law apply. According to Article 8 of the Criminal Law, “The general provisions of this Act shall also apply to such crimes as are provided by other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unless provided otherwise by such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Thus, criminal proceedings are carried out in violation of the provisions of the copyright act, and criminal procedures a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refore,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cases in Specifying the Facts Charged, Inclusive Crime, and Joint Principal Offender who conspired to commit a crime were problematic among the Supreme Court cases related to the Criminal Law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re may be differences between the criminal and copyright law circles when interpreting the provisions of the penal provisions stipulated in the copyright. However, if you look at the relationship, the interpretation of criminal law and criminal procedure law becomes the basis, and the interpretation is comple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pyright law. Thus, the value of criminal law to reduce the penalty could be applied equally. 저작권법 규정 가운데 제136조, 제137조, 제138조의 형사처벌 규정과 제139조 몰수규정, 제140조 고소규정, 제141조 양벌규정은 형사법체계와 관련을 맺게 된다. 형사법체계에서 형사처벌이 규정되어 있는 저작권법의 개별규정은 형법총칙이 적용되는 각칙에 해당된다. 이는 형법 제8조에서는 타 법령에 특별한 배제규정이 없는 한 형법총칙규정(형법 제1~86조)은 형사처벌을 규정하고 있는 타 법령에 적용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래서 저작권법의 형사처벌 규정을 어긴 경우 형사절차가 진행되며, 형사절차는 형사소송법에 따라 진행된다. 그렇기 때문에 저작권법상 처벌규정에 대해서는 형사법 영역과 저작권법 영역의 해석이 공존하게 된다. 따라서 이번 논문에서는 최근 형사법체계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 가운데 형사소송법적으로 공소사실 특정이 문제가 된 사례와 실체법적으로 죄수와 공모공동정범이 문제가 되었던 판례를 살펴보았다. 저작권법상 공소사실 특정은 저작권법 제10조 제2항에 따라 저작권의 발생은 절차나 형식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저작권 침해 유형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공소사실을 특정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그러므로 법원도 공소사실 특정에 대해서는 비교적 완화된 판단을 하고 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저작권침해 범죄에 대해 완화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소효력과 기판력 등과 관련을 맺게 되는 죄수 관계에서도 저작권 범죄의 특이성으로 인해 포괄일죄인지 실체적 경합인지에 대한 논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작권법상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 저작물들의 경우에는 여러 개의 침해행위가 있더라도 포괄일죄가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실체적 경합범으로 처리된다. 그리고 법원은 저작권법 위반의 사례에 대해서도 다소 강화된 공모공동정범이론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공모가 아닌 지배나 장악력 있는 기능적 행위지배를 한 경우에는 저작권 침해의 공모공동정범으로 처벌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저작권 처벌규정의 개별조문의 해석에 있어서는 형법학계와 저작권법학계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형법총칙이나 형사소송법 부분의 해석은 형법학계의 해석방법이 고려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처벌을 축소해석하려는 형법학계의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 KCI등재

        감염형법의 시대 ― 국가는 코로나19의 전염행위를 처벌하는가, 보건행정의무의 위반행위를 처벌하는가? ―

        김정환 ( Kim¸ Jong Hwa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硏究 Vol.31 No.4

        한국에서 2020. 1. 20.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약 22개월이 흐른 2021년 11월의 시점에서 코로나19로 인하여 변화된 형법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코로나19와 관련된 위법행위의 모습을 확인하는 것인데, 코로나19 팬데믹의 상황에서 개인들이 어떠한 존재로 평가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계기이기도 하였다. 먼저 코로나19와 관련된 형법범죄에 있어서 의미 있는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전체 형법범죄의 규모에 비추어 보면 코로나19와 관련된 형법범죄의 비중은 매우 작고, 단순 폭행 상해와 업무방해의 사건이 다수이었다. 학계에서 깊이 있게 논의된 내용이 실제 사례에서 고려된 경우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리고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상해죄보다도 업무방해죄가 실제에서는 많이 다루어졌는데, 업무방해죄의 사례에서 특징은 코로나19의 상황이 업무방해죄의 성립에 있어서 배경이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양형에서 불리한 정상으로 고려되었다는 점이다. 반면 감염병예방법 위반죄의 적용사례는 형법범죄의 경우와 대비하여 매우 많다. 주요한 범죄유형으로는 첫째, 역학조사 거부행위가 있는데, 이것은 자기부죄금지의 원칙에 반한다는 비판이 설득력 있게 제시된다. 둘째, 격리 입원조치 위반행위가 있는데, 격리조치 위반의 정도가 구분되어 있지 않고 개인의 기대불가능성이 범죄성립에 있어 고려되지 않는다. 셋째, 집합제한조치 위반행위가 있는데, 2주 단위로 행해지는 집행제한의 행정명령에 따라서 구성요건이 2주 간격으로 변경되고 있다. 넷째, 신고위반행위가 있는데, 세대주 등의 신고의무위반에 대해서도 형사처벌을 규정하고 있다. 감염병예방법의 형사처벌은 감염으로부터 국민이 안전해지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설정하고, 한 개인으로서의 자유 등은 전체 국민의 안전을 위해 양보 됨을 전제로 한다. 감염된 혹은 감염이 의심되는 개인과 그렇지 않은 개인을 구분하여 후자를 전자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시각이 감염병예방법의 형사처벌에 기조하고 있다. 코로나19와 관련하여 국가는 코로나19의 감염행위가 아니라 보건행정의무의 위반행위를 처벌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상황에서 우리는 ‘감염형법’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여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코로나19의 팬데믹 상황에서 (협의의) 형법으로 감염병의 전염행위를 처벌하여 개인과 사회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감염병예방법의 방역조치에 대한 위반행위를 감염병예방법위반죄로 처벌하여 개인과 사회를 보호하는 ‘감염형법’의 시대에 살고 있다. 감염형법의 특성을 ① 국민 건강이라는 보호법익, ② 사회배제정책, ③ 감염병의심자의 개념을 통한 형사처벌의 극단적 앞당김, ④ 보건행정 종속이라는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다만 ‘감염형법’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고 해서, 지금의 감염형법의 모습이 비판하고 개선할 점이 없다는 것은 아니다. 감염병예방법 위반범죄들이 전통적인 형법의 개념들로 설명하기 어렵더라도 우선 이를 받아들이고, 그 문제점들을 개선하면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국가가 정치적으로 감염형법을 이용하지 않도록, 그리고 가장 근본적으로는 개인을 국민이라는 집단의 일원만으로 보지 않도록 하는 비판과 개선의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In this paper, the changes in criminal law after the first outbreak of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on January 20, 2020 in South Korea are examined. The central issues are the aspects of the illegal acts regarding COVID-19, and these would also help us to look into how individuals are evaluated under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First of all, there seems to be no distinct changes in crimes (the violation cases of criminal act) concerning COVID-19. In light of the overall size, the portion of crimes in terms of criminal act is extremely small; cases of assault, aggravated assault, and obstruction of business constitute the majority. While the objective at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infection of AIDS and the conflict of obligations regarding COVID-19 have been reviewed thoroughly in academia, there has been no such case examined in practice. In addition, the cases on obstruction of business concerning COVID-19 seem to be more frequently dealt with than those on assault; the point here is that COVID-19 situation acted as not only the basis for obstruction of business, but also as an aggravating factor in the sentencing phase. However, there are numerous violations of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The first staple type of crimes would be refusing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a compelling criticism that this type of crime contravenes with the principle of non self-incrimination can be suggested. Secondly, there is a violation of isolation or quarantine and hospitalization measures; in this regard, the degree of violation is not defined, and the impossibility of expectation to legal act is not taken into account. The third type is the violation of restricting measures on assembly; the elements of crime are revised every two weeks in that the administrative orders on executive restrictions changes every other week. Fourthly, there is a violation of report obligation; the criminal punishment of the violations by householders are also stipulated. The primary purpose of criminal punishment in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is to provide a safety net to the public from infection, and presupposes the sacrifice of individuals’ freedom. In terms of COVID-19, the state focuses on punishing violations of health administrative obligations, not the infecting act. In the COVID-19 pandemic era, we need to adopt the concept of the “Criminal Law on Infection.” Under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we are living in the era of the “Criminal Law on Infection,” in which violations of preventive measures in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are punished to protect individuals and society, in stead of the infecting acts being punished by the criminal law (in the narrow sen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iminal Law on Infection are: ① the public health, which is to say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② the social exclusion policies, ③ the hastening of the criminal punishments by applying the concept of suspected cases of infectious diseases, ④ the adherence to the health administrations. However, one should be aware of the fact that just because the concept of “the Criminal Law on Infection” is used, it is not to say that the concept should be pursued nor be deemed impeccable. Even if violations of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which are unexplainable through the concepts of traditional criminal law, are adopted, the relevant problems would have to be solved. A constant endeavor to criticize and improve is needed in order not to let the state use the Criminal Law on Infection as a political tool and not to treat individuals as mere members of an entire group.

      • KCI우수등재

        형법총칙개정의 필요성과 주요쟁점

        김혜정 한국형사법학회 2024 刑事法硏究 Vol.36 No.1

        1953년 우리 형법이 제정된 이후 70년이 넘는 긴 시간이 흘러 우리사회가 많이 변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변화를 반영한 형법의 전면개정이 이루어지지못하였다. 그 사이 이루어진 일부형법개정은 오히려 제정 형법보다 후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여 형법전면개정이 필요한 것이 작금의 상황이다. 형법총칙을 개정함에 있어 그 방향은 한국형사법학회가 2010년 형법개정시안에서 제시한 내용을 기본적으로 유지하면서 체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주요쟁점으로 먼저 헌법에 죄형법정주의 규정을 두고 있지만, 죄형법정주의는 형법의 보장적 기능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법치국가형법의 최고원리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형법에 명시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형법 제2장제1절 ‘죄의 성립’에 대한 조문 순서는 구성요건, 위법성, 책임의 순서로 배치하고 구성요건의 순서도 일반적인 범죄체계의 순서에 따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구성요건 규정과 관련하여 형법 제15조 제1항 사실의 착오는 발생된 결과에대한 고의 인정여부와 관련된 문제라는 점에서 고의와 함께 규정하고, 제15조제2항의 결과적 가중범은 별도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위법성 규정과 관련하여 긴급피난은 조문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정당화적 긴급피난과 면책적 긴급피난으로 항을 나누어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책임 규정과관련하여 형법 제16조 법률에 착오에 법률의 부지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점에서 입법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필요하다. 미수 규정과 관련하여 형벌의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비ㆍ음모 행위를 스스로 중지한 경우와 결과발생이 불가능한 불능미수 상황에서 행위자가 스스로 결과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진지한 노력을 다한 경우에는 중지미수와 같이필요적 형감면의 혜택을 부여하는 규정을 추가하여 형감면이 동일하게 적용될수 있도록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범 규정과 관련하여 공모공동정범 또는과실범의 공동정범 인정여부를 지금과 같이 해석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에서 입법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고, 간접정범의 정범성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개정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형벌 규정과 관련하여 형사제재 일원주의는 형벌과 보안처분을 일원화하여자칫 보안형벌로 나아갈 수 있는 문제가 있어 형사제재 이원주의 관점에서 보안처분을 형법에 편입하는 방안과 그와 연계하여 자유형의 상한을 20년으로하향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Criminal Act was enacted in 1953, more than 70 years have passed and our society has changed a lot. However, until now, there has been no complete revision of the criminal law to reflect social changes. In the meantime, some revisions to the criminal law were made, but this shows a backwards trend compared to the enacted criminal law. Therefore, a complete revision of the criminal law is necessary. The direction of revision of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riminal Act requires systematic reorganization while basically maintaining the content suggested by the Korean Criminal Law Association in its 2010 Criminal Act Amendment Draft. As a major issue, although there is a provision for Principle of the Legality of Crimes and Punishment in the Constitution, this principle most faithfully reflects the guarantee function of the criminal act and has meaning as the highest principle of criminal act, so it is necessary to explicitly stipulate it in the criminal act. In criminal act, it is desirable to arrange the order of provisions for ‘Section 1 Commission of Crime and Mitigation or Exemption of Sentence’ in the order of constituent elements, illegality, and responsibility, and to arrange the order of constituent elements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general criminal system. In relation to the constituent elements,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e Misunderstanding of Fact in Article 15, Paragraph 1 of the Criminal Act together with intent, and to separately stipulate the offense aggravated by results of a crime in Article 15, Paragraph 2. In relation to illegality,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Necessity into two categoies; justified necessity and exempt necessity. In relation to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amend Article 16 of the Criminal Act to include 'not knowing the law' in Misunderstanding of Law. In relation to attempts, in order to prevent an imbalance in punishmen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sentence so that sentence reduction can be applied in cases where the actor stops the conspiracy and preparation on his own and in cases where the actor prevents the outcome on his own in a situation of an impossible crime. In relation to complicity,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whether or not to recognize co-principles of conspiracy or co-principles of negligence. In relation to punishment,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security measures into the criminal act and lower the upper limit of imprisonment to 20 years.

      • KCI등재

        민주화 이후 형사법의 동향과 과제

        김영철 ( Young Cheol Kim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一鑑法學 Vol.12 No.-

        Looking back at the criminal law of Korea, from the kingdom of ancient Joseon to the Chosun Dynasty, we find that criminal laws were operated with Oriental system, affected by neighboring country, China. Western modern criminal laws were first introduced to Korea in 1911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by operating Chosun Criminal Order, applying Japan Criminal Act. It was not until 1945,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that we Korea had our own criminal laws. The National Assembly enacted Criminal Act by Act No. 239 Sep. 18, 1953, and Criminal Procedure Act by Act No. 341 Sep. 24, 1954. Criminal Administration Act was enacted in 1950, too. As an independent nation, Criminal Act, with reference to Criminal Code and Criminal Act Draft all over the world, was enacted to follow the global current which was to protect the national human rights and to entirely realize freedom and peace. However, until the political democratization of 1987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of 1945, dictators ran laws and decrees arbitrarily, so there were a lot of cases of losing legal force of laws and decrees and it seemed that laws and decrees were decorative. People who were eager for democratization resisted the military dictatorship and finally attained their goals with the pro-democracy movement of 1987. Reflecting their claims, the National Assembly revised several articles, criticized as the poisonous articles, of criminal law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Today, owing to endeavoring to operate laws and decrees democratically, we have better the positive law system and ideal law operating system than any other country. Korea has absorbed and adapted fast as much law system and operating system of the rule of law for about 60 years as the west has achieved for about 200 years. The jury system which people take part in will be introduced on Jan. 1, 2008. In the field of criminal laws, such as Criminal Act, Criminal Procedure Act, Criminal Administration Act and so forth, it`s hard to have roots completely in short Period, however modernized foreign system we introduce. Because criminal laws are the mirror of the time and the culture of the society or the country, it`s impossible for criminal law to surpass the level of people or law operators of the time, To advance and establish firmly these law systems, we have to overcome a lot of trial and error and outdated practices, and to enhance the level of acceptance by locals.

      • KCI등재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의 적용 대상인 ‘법령의 변경’의 의미와 판단 기준

        최문수 사법발전재단 2023 사법 Vol.1 No.63

        The gist of the subject case is whether to apply Article 1(2) of the Criminal Act and Article 326 Subparag.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a case where a statute has been amended after a crime was committed, whereby the act in question no longer constitutes a crime or a punishment has been mitigated, to follow a new law that has been amended to the advantage of the defendant. Previously, with regard to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which norms of trial practice to apply, between the principle that the law in effect at the time the crime was committed should be followed (the “ex post facto” rule) and the principle that the law in effect at the time of trial should be followed, in the case where a statute on criminal punishment has been amended to the advantage of the defendant, the Supreme Court adhered to a legal doctrine established by precedents that Article 1(2) of the Criminal Act and Article 326 Subparag.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pply only when the change of law is attributable to legislative inten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unreasonableness of the previous punishment or an excessively harsh sentencing decision. This legal doctrine that legislative inten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the retroactive application of a new law amended to the benefit of the defendant (hereinafter “intention-focused doctrine”) has been formulated since the 1960s through a number of court opinions. Yet, the intention-focused doctrine has been constantly criticized for its ambiguity and obscurity of the standards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legislative intention, which obstructs legal certainty over applicable laws in criminal proceedings, which should be guaranteed for subjects of law. The subject case abolishes the intention-focused doctrine and provides a new legal doctrine that is clearer and more foreseeable. Under the new legal doctrine, Article 1(2) of the Criminal Act and Article 326 Subparag.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pply as a matter of principle in the event that either a criminal penal statute stipulating elements of a crime or a statute that has been entrusted or delegated therefrom is subject to change, whereby the act in question no longer constitutes a crime or a punishment has been mitigated, as this circumstance naturally presupposes a change in criminal legal perspective with regard to punishability of the relevant criminal penal statute; this is likewise the case where a criminal penal statute either entrusted or delegated the authority to determine some elements of a crime to, instead of statutes and order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but public notices, such as administrative rules and orders and ordinances. Since most incidences where changes in law provoked a need to redetermine whether to impose a criminal punishment and, if so, severity of such punishment, has been concerned with the case indicated in this paragraph and, therefore, it has become clear that a new law that is in effect at the time of trial should be applied as the norm of a trial of many cases where the application of Article 1(2) of the Criminal Act and Article 326 Subparag.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ere at dispute. Furthermore, with regard to changes in laws that were not entrusted or delegated, the subject case stated that Article 1(2) of the Criminal Act and Article 326 Subparag.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ere applicable when the pertinent change could be considered to be mainly based on the transformation of criminal legal perspective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and punishment of a crime under the relevant criminal penal statute. In addition, the subject case concluded that the elapse of a specific date or period prearranged by a statute did not constitute a change in law based on the transformation of criminal legal perspective, which is subject to Article 1(2) of the Criminal Act and Article 326 Subparag. 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이 사건의 쟁점은 범죄 후 법령의 변경에 의하여 그 행위가 범죄를 구성하지 아니하게 되거나 형이 가벼워진 경우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를 적용하여 피고인에게 유리하게 변경된 신법에 따를 것인지 여부이다. 종래 대법원은 형사처벌에 관한 법령이 피고인에게 유리하게 변경된 경우 행위시법과 재판시법 사이에서 재판규범을 결정하는 기준에 관하여, 법령의 변경에 관한 입법자의 동기를 보아 종래의 처벌 자체가 부당하였다거나 또는 과형이 과중하였다는 반성적 고려에서 법령을 변경하였을 경우에만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가 적용된다는 판례 법리를 견지해 왔다. 이와 같은 이른바 동기설 판례 법리는 1960년대부터 오랜 기간 다수의 판결들을 통하여 확립되어 있었으나, 그 판단 기준과 방법의 불명확과 모호함으로 인하여 형사재판의 적용법조에 관한 수범자의 법적 안정성을 저해한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대상판결은 이러한 동기설 판례 법리를 폐기하고 보다 분명하고 예측가능한 새로운 법리를 제시한다. 구성요건을 규정한 형벌법규 자체 또는 그로부터 수권 내지 위임을 받은 법령의 변경에 따라 범죄를 구성하지 아니하게 되거나 형이 가벼워진 경우에는 당연히 해당 형벌법규의 가벌성에 관한 형사법적 관점의 변화를 전제로 한 법령의 변경에 해당하므로 원칙적으로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가 그대로 적용되고, 형벌법규가 헌법상 열거된 법규명령이 아닌 고시 등 행정규칙·행정명령, 조례 등에 구성요건의 일부를 수권 내지 위임한 경우에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법령의 변경으로 인해 형사처벌의 가부와 정도가 문제 된 대부분의 사안은 이 경우에 해당하므로,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의 적용이 문제 되는 많은 영역에서 피고인에게 유리한 신법이 재판규범으로 적용되는 것이 분명해지게 되었다. 나아가 이러한 수권 내지 위임을 받지 않은 다른 법령이 변경된 경우에는, 형벌법규와 변경된 법령의 관계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법령의 변경이 해당 형벌법규에 따른 범죄의 성립 및 처벌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형사법적 관점의 변화를 주된 근거로 한다고 해석할 수 있을 때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를 적용할 수 있다는 법리를 제시하였다. 또한 법령이 구체적인 일자나 기간으로 스스로 예정한 유효기간을 경과한 경우는 형법 제1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의 적용 대상인 형사법적 관점의 변화에 근거한 법령의 변경이 아니라고 명시하였다. 대상판결은 형사처벌에 관하여 행위 시와 재판 시 사이에 법령의 변경이 문제 되는 경우 재판규범의 결정에 있어 법문에 기초하여 보다 분명하고 예측가능하며 합리적인 판단 기준과 방법을 제시하고, 대표적인 사안들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법리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상판결이 제시한 새로운 법리의 의미와 논거를 살펴보고, 적용례 등을 통하여 법리의 취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형법 제307조 제1항 명예훼손죄에서 ‘사실 적시’의 의미와 형법 제307조 제2항 ‘허위사실’ 착오 해석방법

        하태영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영남법학 Vol.0 No.49

        ‘Publicly alleging facts’ in Article 307 Provision(1) and Article 309 Provision(1) of Criminal Act should be interpreted as ‘statements of true facts.’ ‘Fact’ is a fact that has occurred or existed (事實, eine Tatsache, etwas Geschehenes oder Bestehendes). 'What is not a fact that has occurred or existed' is 'false fact' (虛僞 事實, eine unwahre Tatsache). If ‘false fact’ is stipulated in Article 307(2) and Article 309(2) of Criminal Act, ‘true fact’ in Article 307(1) and Article 309(1) must be considered opinions of legislators. Article 310 of Criminal Act clearly states that "the conduct of Article 307(1) is a true fact." This is the way of interpretation that is faithful to our legislators' opinions (literal interpretation, logical interpretation, and purposive interpretation). The ruling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 case seems simple at first glance, but it has a fatal flaw in criminal law dogmatics because Article 15(1) of Criminal Act made by the legislature will become meaningless. Therefore, the Supreme Court's argument should be modified. The Supreme Court is solving the problem of the mistake of truth regarding publicly alleging facts by means of the equivalence theory in Article 310 of Criminal Act. In addition, some scholars are seeking for solutions based on the accepted risk theory. They are all trying to find evidence in Article 310. However, we cannot agree with this interpretation because it cannot be regarded as a correct interpretation faithful to Article 310. The term ‘equivalence’ is not found in Article 310, and ‘duty of review’ does not offset objective requirements. It is assert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310 should be faithful to the literal, logical and purposive analyses. ① Behaviors of Article 307(1) of Criminal Act, ② True Facts, ③ Only Public Interests, ④ Doer's Recognition of the Objective Requirements of ①, ②, and ③. These four requirements are useful in judgment. Mistakes regarding ①, ②, ③, and ④ requirements should be asked for responsibility.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discrepancy of illegal precondition fact. The mistake of specific requirements is the discrepancy of fact while the mistake of recognition of illegality is the discrepancy of law. If a doer believed that publicly alleging facts were true, only the intentional element of Article 307(1) of Criminal Act is admitted. If the doer believed his or her conduct was the justification defense, its solution is to apply the discrepancy of law. When there is a good reason based on Article 16 of Criminal Act, responsibility can be excluded, which, I think, is the best interpretation. The case of the Supreme Court unreasonably extended the meaning of ‘fact’ in Article 307(1), breaking the meaning of Article 310 of Criminal Act. The Supreme Court case does not exclude the illegality of Article 310 and does not admit the discrepancy of law of Article 16 of Criminal Act. The Supreme Court case rules a defamation offense under Article 307(1) of Criminal Act. Article 307(1) specifies statements of true facts, Article 307(2) includes statements of false facts, and Article 307(2) and Article 15(1) contain the mistake of truth. In this light, serious criminal intent can not be admitted. The Supreme Court case applies criminal intent under Article 307(1) of Criminal Act. 형법 제307조 제1항과 제309조 제1항에서 ‘사실 적시’란 ‘진실한 사실 적시’로 제한하여 해석하여야 한다. ‘사실’은 발생하거나 존재한 사실(事實, fact, eine Tatsache, etwas Geschehenes oder Bestehendes)이다. ‘발생ㆍ존재한 사실이 아닌 것’은 ‘허위사실’(虛僞事實, eine unwahre Tatsache)이다. 형법 제307조 제2항과 제309조 제2항이 허위사실로 규정되어 있다면, 형법 제307조 제1항과 제309조 제1항은 ‘진실한 사실’이 입법자 의사라고 보아야 한다. 형법 제310조 조문은 “제307조 제1항의 행위가 진실한 사실로서”라고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 이것이 우리 입법자 의사에 충실한 해석방법이다(문리해석ㆍ논리해석ㆍ목적론해석). 대법원 대상판결 결론은 일견 단순 한 것 같지만, 형법 도그마틱에서 치명적 결함을 갖고 있다. 입법부가 만든 형법 제15조 제1항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법원 논지는 변경되어야 한다. 대법원은 적시사실의 진실성 착오문제를 형법 제310조 상당성이론으로 해결하고 있다. 또 일부 학자들은 허용위험법리이론으로 해결방안을 찾고 있다. 모두 형법 제310조에서 근거를 찾으려는 노력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방법에 동의할 수 없다. 형법 제310조 법문에 충실한 올바른 해석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상당성’이란 용어는 형법 제310조 법문에 없으며, ‘검토의무’로 객관적 요건을 상쇄시킬 수 없다. 생각건대 형법 제310조 해석방법은 문리해석․논리해석․목적론해석에 충실해야 한다. ① 형법 제307조 제1항 행위, ② 진실한 사실, ③ 오로지 공공의 이익, ④ 객관적 요건인 ①②③에 대한 행위자 인식이다. 네 가지를 판단하면 될 것이다. ①②③④에 대한 착오문제는 책임으로 넘겨야 한다. 또한 위법성전제사실착오론도 동의하기 어렵다. 구성요건 착오는 사실착오이고, 위법성인식착오는 법률착오 문제다. 만약 행위자가 적시한 사실을 진실이라고 믿었다면, 형법 제307조 제1항 구성요건 고의만 인정하고, 또 행위자가 자기 행위를 위법성조각사유로 믿었다면, 법률착오로 해결하면 된다. 형법 제16조에 근거하여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 책임을 조각하면 된다. 나는 이것이 최상의 해석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대상판결은 형법 제307조 제1항 ‘사실’의 의미를 무리하게 확장시켜 놓았다. 형법 제310조 법문 의미를 붕괴시키고 있다. 대상판결은 형법 제310조 위법성이 조각되지 않는다. 형법 제16조 법률착오를 인정할 수 없다. 대상판결은 형법 제307조 제1항 명예훼손죄가 성립한다. 형법 제307조 제1항은 진실한 사실 적시, 형법 제307조 제2항은 허위사실 적시, 진실성 착오는 형법 제307조 제2항과 형법 제15조 제1항을 적용하여 중한 고의를 인정할 수 없어, 형법 제307조 제1항을 고의를 적용한다.

      • KCI등재

        과실의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와 과실범의 구별

        류전철(Ryu, Chen-Chel)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5 No.2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actio libera in causa)란 행위자가 결과발생의 위험을알거나 알 수 있었으면서 스스로 자기 자신을 심신장애(심신상실 또는 심신미약) 상태에 빠지게 한 후 이 상태에서 범죄를 실현시킨 경우를 말한다. 이처럼 불법의 실행(actio) 은 자유롭지 않지만 그 원인설정은 자유로운, 즉 원인이 자유로운 행위는 애초부터 책임능력이 결여된 자의 그것과는 다르기 때문에 이를 처벌해야 한다는 취지를 반영하고있다. 형법 제10조 제3항에 대한 주류적인 해석론에 따른 결론은 이 규정이 고의에 의한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와 과실에 의한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의 인정여부및 그 구별기준을 제시해 주는 것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 결과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를 네 가지로 유형화하고 있다 ① 고의의 원인행위와 고의의 구성요건실현행위의 조합, ② 고의의 원인행위와 과실의 구성요건실현행위의 조합, ③ 과실의 원인행위와 고의의 구성요건실현행위의 조합, ④ 과실의 원인행위와 과실의 구성요건실현행위의 조합 등이 그것이다. 여기서 첫 번째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유형은 과실에 의한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로 이해한다. 그리고 과실에 의한 원인에 있어서자유로운 행위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고의범이 아니라 과실범으로 처벌되어야 한다고한다. 그러나 형법 제10조 제3항은 불법판단을 받은 행위의 주관적 귀속의 전제인 책임능력에 대한 책임요소의 문제이며, 고의 또는 과실이라는 불법판단의 요소와는 무관한 규정인 것이다. 형법 제10조 제3항의 적용대상이 되는 행위가 어떤 특정 구성요건에 해당하고 위법성이 인정되는 행위, 즉 불법행위라면, 고의 또는 과실을 구성요건요소로 보는 범죄체계를 따르는 한, 여기서 말하는 불법행위가 ‘고의’행위인가 ‘과실’행위인가에대해서는 이미 결정이 내려진 상태이다. 따라서 형법 제10조 제3항에 규정된 어떤 개념요소(예컨대, 자의, 예견 등)도 이미 결정된 행위의 고의성 또는 과실성을 바꿀 수 있는작용을 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형법 제10조 제3항의 ‘자의’ 및 ‘위험발생의 예견’이라는 개념은 완전책임을 근거지우기 위한 요건, 즉 비난가능성을 근거지우기 위한 요건으로 이해하여야한다는 점과 과실의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가 과실범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과실의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가 고의범을 과실범으로 변환시키는 듯한 착시적 현상을 구별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Actio libera in causa” refers to a crime committed under a state of physical or mental disorder (loss of physical or mental capacity or deficient physical or mental capacity) caused by the criminal himself/herself who perceived, or could perceive the risk of a criminal outcome. The justification for punishing such act is that an actio libera in causa is different from an act committed by a person who lacked the capacity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for one’s act from the very start, because a person who committed an actio libera in causa was not free (libera) in one’s act (actio), but was free in causing such a state under which the act was committed.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 on Article 10(3) of the Criminal Ac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Article distinguishes between a deliberate actio libera in causa and a negligent actio libera in causa, and provides criteria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Based on such premise, the mainstream theory categorizes actio libera in causa into four combinations: ① A deliberate act which caused lack of capacity and a deliberate act which constitutes a crime. ② A deliberate act which caused lack of capacity and a negligent act which constitutes a crime. ③ A negligent act which caused lack of capacity and a deliberate act which constitutes a crime. ④ A negligent act which caused lack of capacity and a negligent act which constitutes a crime. According to the mainstream theory, the three combinations other than the first constitute actio libera in causa. The mainstream theory also contends that a negligent actio libera in causa should be punished as criminal negligence rather than a deliberate crime. Article 10(3) of the Criminal Act, however, addresses the issue of ‘responsibility,’ that is, one’s capacity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for one’s act, which forms the basis for personal attribution of an act deemed unlawful: it holds no relevance to the issue of intention or negligence, which determines the unlawfulness of an act. If an act subject to Article 10(3) of the Criminal Act is an unlawful act, an act that has the elements required to constitute a certain crime and has been found to be illegal, it means that the issue of whether such unlawful act is a ‘deliberate’ act or a ‘negligent’ act has already been concluded, as long as the current criminal system understands intention or negligence as an element that constitutes a crime. Therefore, none of the conceptual elements contained in Article 10(3) of the Criminal Act (e.g. anticipation, intentional, etc.) can change the deliberate nature or negligent nature of an act once it is determined.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concepts, ‘intentional’ and ‘anticipation of risk’ under Article 10(3) of the Criminal Act, should be understood as elements to set the basis for imposing full responsibility, that is, culpability, and that such aspect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illusion that an actio libera in causa turns a deliberate crime into criminal neg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