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무성과의 관련성 분석

        차진화(Cha Jin-Hwa) 글로벌경영학회 2015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무성과,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과 재무성과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재무성과(FNP)를 종속변수로 하고 기업지배구조지수(CGI)를 독립 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에서 재무성과(FNP)의 대용변수는 총자산순이익율(ROA), 매출액총이익율 (ROS), 자기자본순이익율(ROE), 부채비율(LEV)을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무성과의 관련 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재무성과(FNP)를 종속변수로 하고 기업지배구조지수(CGI), 기업지 배구조지수의 향상(△CGI), 기업지배구조지수의 단순향상(△CGIn)을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하였다.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지수 세 개의 변수 중 어느 것이 기업의 재무성과 (FNP)와 더 큰 관련성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기간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이며 1,629개(기업/년)의 표본이 실증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기업지배구조지수(CGI)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CGS)에서 제공하는 기업지배구조 점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CGI)은 CGI의 변화율로 측정하였고, 기업지배구조지수 단순향상(△CGIn)은 전년 대비 당해연도 기업지배구조지수의 단순향상 값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무성과의 관련성 분석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CGI)와 총자산순이 익율(ROA)과 음(-)의 관련성, 부채비율(LEV)과는 양(+)의 관련성이 확인되었고, 매출액총이익율 (ROS), 자기자본순이익율(ROE) 간 유의적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 지배구조가 우수하면 재무성과가 우수할 것이라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부분도 있지만 그 반대의 결과를 제시하기도 한다. 둘째,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과 재무성과의 관련성 분석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CGI)는 재무성 과와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CGI)은 매출액총이익율 (ROS)과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채비율(LEV)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pirical relevance of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First, proxy variables of financial performance(FNP)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ancial performance(FNP)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 as independent variables return on assets(ROA), profit margin ratio(ROS), return on equity ratio(ROE), a debt-to-equity ratio (LEV)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inancial performance, followed by financial performance(FNP)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corporate Governance index (CGI),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of the index (△CGI), a simple improvement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n) w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period of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and was used in the empirical sample of 1629(corporate / year). Corporate Governance index in this study (CGI) was measured using a corporate governance score provided by CGS, corporate governance index improved (△ CGI) enhances was measured by the rate of change of the CGI, Corporate Governance index Simple (△CGIn) was used to enhance the value of the previous year the year the simplicity of corporate governance index. The summary of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evant analysis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governance index (CGI) with return on assets(ROA) and negative (-) association, the debt ratio(LEV) and confirms the relevance of the positive(+) was, profit margin ratio(ROS), return on equity ratio(ROE)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If these results are also part of good corporate governance it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have superior financial performance, but also presented the results of its opposition. Second, the relevant analysis of the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 did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inancial performance show,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improved(△CGI) profit margin ratio(ROS) and significant negative(-), and represents the association between, there is shown the relationship of debt (LEV)and a significant positive.

      • KCI등재

        국내 인수기업의 지배구조와 피인수기업의 주주가치

        이수진,최정화,최문섭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3

        The objective of improving the corporate governance lies in maximizing the firm value by alleviating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stake holders by coordinating their conflict of interests (Bushman and Smith, 2001; Shleifer and Vishny, 1997). Amongst numerous articles pertaining to corporate governance, a hypothesis associating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firm value has attracted a dense clustering in the literature. Choi and Huang (2008) find that the corporate governance of U.S.-listed acuirers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hareholder values of U.S.-listed targets. This is implied from Gompers et al. (2003)’s claim that reckless managers with impulsive decisions can undermine their shareholders’ wealth. Gompers et al. (2003) document that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firm or shareholder value is positively associated by using an index they derive by summing up to 24 anti-takeover provisions of U.S.-listed firms. Anti-takeover provisions tend to entrench managers by relieving them from the market for corporate control, an external discipline mechanism: The shareholders as a result incur higher agency costs. While Bhagat and Romano (2002) and Palia (2001) record a statistically weakly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board of directors and Tobin’s Q (1969), Cremers and Nair (2005) note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internation and external governance mechanisms and long-run excess stock returns. Mergers and acquisitions (M&As) are a multitasking means of corporate restructuring, corporate governance and transparency improvement. Also, the market for corporate control provides a positive incentive of efficient managerial resource allocation thereby maxiziming the firm value. In Korea, M&As are utilized actively as a restructuring device and a strategic breakthrough of prolonged stagnation sinc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the late 1990’s.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a bid to encourage M&As, amended various legal codes and relaxed regulation by allowing hostile takeovers and shortening the discontent period of merger votes. On another hand, while M&As are expected to positvely affect the sharholder value from the pespective of firm-value management,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have hitherto been mixed. In this regard, it would worth a documentation in the literature if the effects of M&As can be focused on the target firms instead of the acquiring counterparties through the channel of corporate governance. It is a conventional wisdom in the corporate governance literature that the managers in poorly governed firms make sub-optimal investment decisions. A natural question is a possible link between shareholder wealth transfers and the corporate governance of merging entities. By using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Index (KCGI) of Black et al. (2006) to proxy for the firm-level degree of corporate governance, we find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CAR) of an average Korea Exchange (KRX)-listed targe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governance of a KRX-listed acquirer. The economic and statistic robustness of this result is further confirmed by controling for a variety of firm and market-level confounding correlates. 미국의 7대 기업 중 하나로 꼽혔던 Enron의 파산 원인이 회계부정과 경영자 관리감독 등을 포함하는 기업지배구조의 실패에 있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투명성 및 기업지배구조 이슈는 기업 경영의 화두로 떠오르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7년 외환위기 직후, 불투명한 경영과 기업지배구조의 낙후성으로 인해 기업부실이 초래되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기업지배구조와 관련해 많은 제도개혁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유가 증권시장에서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인수합병공시로 인한 피인수기업의 주주가치와 인수기업의 지배구조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취약한 지배구조를 갖는 기업의 경영진일수록 비합리적인 투자결정을 내린다는 것이 기업지배구조 문헌에 알려져 있다. 이에 기업 간 인수합병시의 주주가치 이전효과와 기업지배구조와의 상관 관계를 상정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상장기업에 대한 인수건에 대하여 Black et al.(2006)이 발표한 국내 기업의 지배구조지수(KCGI)로써 인수기업의 지배구조가 열악할수록 피인수기업의 누적초과수익률(cumulative abnormal return)이 상승하는 실증결론을 얻었다. 기업 및 시장수준의 여러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인수기업 지배구조와 피인수기업의 주주가치는 경제․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지배구조가 열악한 인수기업이 피인수기업에 대해 과다한 합병 프리미엄을 지급함에 따른 부의 이전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손평식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3

        기업지배구조 이슈가 IMF 외환위기와 Enron 사태 등 회계분식사건으로 자본시장의 화두가 된 이후,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KCGS)의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와 경영성과(ROA, ROE)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전체기업지배구조지수와 경영성과는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추가로 분석한 기업지배구조와 미래경영성과도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는 기업의 지배구조가 좋을수록 기업의 경영성과는 당해 연도뿐만 아니라 다음 연도까지 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 기업지배구조지수와 경영성과 분석에서는 주주권리 보호와 경영과실배분의 부문별 지배구조 지수가 경영성과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ROA와 ROE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ROA는 기업지배구조에 대응한 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해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에 ROE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Corporate governance has been a hot issue in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area since IMF and Enron crises broke out. In this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studied empirically using corporate governance index produced by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positive. Especially, corporate performance using ROA show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rporate governance.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ROE and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index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results.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5 component coporate governance indices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studied also. Among 5 components(protection of stockholders' rights, board of directors, audit, disclosure and distribution of corporate income), protection of stockholders' rights component and distribution of corporate income component show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rporate performance. Also,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future corporate performance shows that corporate governance index ha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future corporate performance(ROAt+1).

      • SCOPUS

        Corporate Governance and Cost of Equity: Evidence from Tehran Stock Exchange

        SALEHI, Mahdi,ARIANPOOR, Arash,DALWAI, Tamanna Korea Distribution Science Association 2020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7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 index on the cost of equity in companies listed on the Tehran Stock Exchange. This study collects data from 975 observations during the period 2012 to 2018 to test the hypotheses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for the panel data. In this research, the independent variable of corporate governance index comprises of 27 specific corporate governance attributes.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showed that corporate governance h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apital cost. In other words, the quality of corporate governance can lower the rate of capital cost. This result suggests that, by using a powerful corporate governance system and by declin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increasing transparency) and agency conflict, we would be able to enhance the quality of financial reports. It would strengthen the capital market, attract financial suppliers and investors, and absorb the required financial resources of the firm by a lower rate.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companies are able to reduce the cost of equity by establishing strong corporate governance. This conclusion suggests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corporate governance in the cost of equity.

      • KCI등재

        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기업지배구조의 영향

        이승태 韓國公認會計士會 2010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대규모기업집단의 기업지배구조가 경영성과와 갖는 관계를 조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규모기업집단의 기업지배구조를 그룹총수의 존재여부와 소유지배괴리도(의결권승수)의 크기로 특징짓고 그룹총수의 존재여부 및 소유지배괴리도(의결권승수)의 크기에 따라 경영성과가 달라지는지를 검증한다. 대규모기업집단에서 발견되는 그룹총수의 지위는 수십 년간 한국 경제 및 기업조직을 지배해온 메커니즘이나 1997년 말 금융위기를 계기로 긍정과 부정을 반복하며 개선의 요구가 거세진 것 또한 사실이다. 상당수의 대규모기업집단은 창립과정에서 지금까지 개인인 그룹총수를 중심으로 기업이 운영되어 왔다는 점을 감안하여 그룹총수가 존재하지 않는 주력회사 중심의 대규모기업집단과 비교했을 때 경영성과의 차별성을 보이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아울러 주주의 소유권을 초월하는 지배권 형성과정은 자본주의의 본질 중 하나이지만 지배권이 소유권을 초월하며 점차 확대될 때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 소유지배괴리도(의결권승수)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소유지배괴리도(의결권승수)의 가치평가에 대해 혼재된 결과를 도출하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개별기업 뿐만 아니라 기업집단 차원의 소유지배괴리도(의결권승수)도 함께 이용하여 경영성과와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또한 그룹총수의 존재여부와 소유지배괴리도(의결권승수)의 크기에 따라 결합시켜 4영역으로 구분하고 결합관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살펴본다. 우리나라의 기업지배구조는 소유주가 경영자뿐 만 아니라 지배주주의 역할을 겸하는 특징을 갖고 있어 그룹총수의 존재여부와 소유지배괴리도(의결권승수)의 크기를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대규모기업집단의 그룹총수의 존재는 그룹총수가 존재하지 않는 기업집단과 비교하여 차별적인 경영성과를 보이지 않았다. 단순히 그룹총수의 존재여부가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은 아님을 보여준다. 반면, 대규모기업집단의 소유지배괴리도(의결권승수)의 크기는 경영성과와 양의 관련이 있었다. 지배주주의 지배력이 경영성과를 견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룹총수의 존재여부와 소유지배괴리도(의결권승수)의 크기를 결합한 분석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발견하지 못했다.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performance and both head of the group and VOD(VLI) has attracted in the corporate governance literature. Corporate governance deals with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a controlling shareholder, manager and various stakeholders. There are two main types of agency problem in corporate governance. The first type of agency problem arises from the separation to ownership and management. The separation of corporate managers from shareholders may lead to managers not acting in the best interest of the shareholders. The second type of agency problem arises from conflicts between controlling and non-controlling shareholders. Controlling shareholders may seek private benefits at the expense of non-controlling shareholders. In family frrms, founding family may enjoy substantial control as a result of their concentrated equity holding in their frims, their voting rights exceeding their cash flow rights. The corporate ownership structure of many Korean firms is characterized by a large wedge between control(voting rights) and ownership(cash flow rights) for controlling shareholders, which in considered a major source of agency problems in most emerging markets. This wedge creates incentives for controlling shareholders to divert firm resources for their private benefit at the expense of minority shareholders. Head of group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economic performance of Korean firms. Despite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head of the group have made to the rapid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during the last 40 years, critics claim that owner-managers have expropriated other investors to maximize their own welfare. After 1997 financial crisis, Head of the group had to carry out major restructuring. But Head of the group family haven't changed their ownership, instead, they make professional CEOs to manage their companies.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it is believed that the corporate governance in the key factor to affect the corporate performance. However, in Korea, there are little studies that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head of the group or VOD(VLI).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 firm's corporate govern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rporate performance. Corporate governance of the large business group with head of group and VOD(VLI) are investigated. More specifically, I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head of the group and the different of ownership right and voting right. Previous research have only looked at VOD or VLI, but in this paper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rporate performance and both VOD and VLI. And extant empirical researches use firm-level wedge, this study furthers use group-level wedge to calculate VOD(VLI). The initial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s of all frims that are included in the 2001-2008 Large Business Group by KFTC(Korea Fair Trade Commission)data base. A total of 244 Large Business Group observations are available over the sample period 2001-2008. The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Using a firm-level wedge components, finding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OA and both VOD and VLI. The result also show that controlling shareholders to drive the corporate performance. However Using a group-level wedge components, we fi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ROA and VOD(VLI). Also, The firm-level and group-level wedge components are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OA and VOD(VLI). Second, the Head of the group -HG dummy is not sensitive to the corporate performance, that indicates the Head of the groups firm is not related to corporate performance. Three, HG dummy and VOD(VLI) are not related to corporate performance.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가 발생액 이익조정 및 실제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배한수,김경화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회계정보연구 Vol.30 No.2

        Previous studies about Corporate Governance and Earnings Management have not concerned with not only Accruals Earnings Management(AEM) and Real Earnings Management(REM). Thus these studies have not verified the dominant effect of AEM and REM according to the level of Corporate Governance. O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Accruals Earnings Management(AEM) and Real Earnings Management(REM) using 1,749 firms that had been listed on KRX from 2005 to 2009. Corporate Governance was measured by CGI(Composite Index using 12 variables related to Corporate Governance) and Earnings Management was measured by Discretionary Accruals(DA)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measures(REM, AbCFO, AbPC, AbDE). The results are as follows,Corporate Governance has negative effect both AEM and REM. It means that Corporate Governance is effective monitoring mechanism to reduce AEM and REM. Our research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to future studies about Corporate Governance or Earnings Management and suggests the way related to Corporate Governance to reduce Earnings Management.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기업지배구조와 이익조정에 대한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와 발생액 이익조정 및 실제 이익조정을 동시에 고려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기업지배구조가 발생액 이익조정과 실제 이익조정 중 어느 형태의 이익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지도 검증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749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가 발생액 이익조정 및 실제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기업지배구조는 사업보고서 자료와 재무자료에서 추출한 12개 기업지배구조 관련변수를 지수화한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이익조정은 수정 Jones 모형에 의한 재량적 발생액과 Roychowdhury(2006)의 실제 이익조정 모형에 의한 개별 측정치와 종합 측정치를 이용하여 발생액 이익조정과 실제 이익조정을 모두 연구에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지배구조는 발생액 이익조정과 실제 이익조정 모두를 유의하게 감소시켜 이익조정 수단에 관계 없이 경영자의 이익조정 유인에 대한 효율적 통제 메커니즘으로 작용하며, 발생액 이익조정 보다 실제 이익조정을 더욱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지배구조 및 이익조정에 관한 향후 연구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이익조정 방지를 위한 방안을 기업지배구조 측면에서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김은,김태석 한국상업교육학회 2012 상업교육연구 Vol.26 No.3

        본 논문은 건전하고 좋은 기업지배구조를 갖춘 기업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수준이 높은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서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평가한 기업지배구조 등급 자료를 이용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검증방법으로는 단변량분석과 다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업지배구조 등급과 CSR 성과는 양(+)의 유의성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우수한 지배구조를 갖추어 지배구조 등급이 높을수록 CSR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즉, 주주의 권리보호를 위한 장치가 잘 갖추어지고, 이사회 구성과 관리가 효율적이고, 지배구조의 내용을 사업보고서에 자세히 공시하고, 재무제표와 같은 기업정보의 공시 빈도가 높아 경영투명성이 높고, 감사기구의 설치, 구성 및 운영이 잘 이루지고, 주주 부의 배분이 적절하게 실현이 되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지배구조원에서 공표한 지배구조 등급이 상위 25%인 그룹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양(+)의 유의성을 보인다. 이는 지배구조 등급이 상위 25%인 그룹이 하위 25%인 그룹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보다 더 수행함을 시사한다. 즉, 건전하고 수준 높은 기업지배구조는 적극적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이는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을 통하여 CSR 활동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실적으로 기업들이 CSR에 대해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는 CSR이 세계시장에서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 상황을 근거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지배구조를 효과적으로 구축하는 것은 무한 경쟁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기업들의 적극적인 CSR 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기업지배구조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을 위한 핵심적인 지원 시스템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 상의 요인들을 개선시킴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성과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으로 규제기관과 학계, 실무계 및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Ratings(CGR) evaluated by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KCGS), which was founded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CGR and CSR achievement. This tells us that corporations with excellent corporate governance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to strengthen CSR i.e. shareholders’ rights are protected; the board of directors has efficient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corporate governance is fully disclosed; corporate disclosures including financial statements are regular, which leads to open management; audit committee is well established, structured, and managed; distribution of wealth is fair and just. Consequently, corporations with excellent corporate governance exhibited higher CSR levels. Second, corporations in the top 25% of CGR, published by KCGS, have mo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to CSR activities, i.e. the top 25% has stronger awareness of CSR than the bottom 25%. Therefore, sound and upright corporate governance leads corporations to active CSR. Subsequently, it means that CSR application can be enhanced through improved corporate governance. Practically, corporation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CSR, which can be a barrier of global market entrance. Based on this fact, this study suggests that effective establishment of corporate governance can be a foundation to lead corporations toward active CSR conduct in an ever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Additionally, corporate governance can be a core supporting system to exercise CSR.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a valuable proposition, that the improved corporate governing factors can enhance the outcome of CSR implementation to supervisory organizations, academics, industries, and investors.

      • KCI등재

        基于公司治理和财务指标的综合财务预警模型研究

        ?志花(Zhang, Zhi Hua),金春洙(Kim, Chun Soo)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8

        The root cause of the financial distress is in the imperfect corporate governance, which leads to a series of agency problems that endanger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enterprise, even to make enterprise fall into financial difficulties. This essay analyzed the reason for corporate"s falling into financial distress, and introduced governance factors into previous financial forecast warning model, compared the validity of combined financial forecast warning model and previous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governance factors, the ownership concentration, the size of the board of directors, independent director number, the meeting times of board of director and board of supervisor and management compensation are negatively related to the probability of financial distress, and CEO dualit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probability of financial distress. Secondly, at the early stage of financial difficulties, Compared with financial analysis index, the warning model based on governance factors have higher fitting degree and prediction accuracy, and the prediction ability of the warning model based on financial analysis index is gradually increased while the financial difficulties draw near. Thirdly, the fitting degree of combined financial forecast warning model based on corporate governance and financial analysis index is higher than that of the previous model. Especially in the early stage of financial difficulties, the higher prediction ability of governance factors will compensate the limitations of the warning model based on financial analysis index.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ave important significance for companies to find financial risk more accurately and earlier, and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improving the financial crisis forecasting mechanism and investor protection.

      • KCI등재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Information Effect of Future Earnings

        변선영,정현욱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1 세무와 회계 연구 Vol.10 No.3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Hereafter ‘CSR’) activities would be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information effects of future earnings, and empirically analyzed using the futur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FERC) model of Tucker and Zarowin (2006).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mixed results between CSR activity and earnings qualit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SR activity and information effects of future earnings. This is consistent with controlling the effects of the omitted variables. It is also consistent with controlling the size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CSR activities can be interpreted as enhancing the information effect of future earnings. After dividing the group into companies with good corporate governance and companies with weak corporate governance, this study additionally analyzed the effect of CSR activities on the information effect of future earning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CSR activity increased the information effect of future earnings in both the group with good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group with weak corporate governance. Taken together, investors believe that CSR activities are positive, suggesting that CSR activities are an incentive to increase value relevance of future earn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nding that there i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CSR activity and earnings quality in the mixed sit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ctivity and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ay affect stock prices. In this reg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data for investor’s investment decision making and policy maker’s policy making.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act that Korean companies need to strategically utilize CSR activities.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do not measure implied CSR activity.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지수 산출에 관한 연구

        배한수(Bae, Han Soo)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8

        최근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사용한 국외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를 이용한 소수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기업지배구조지수(OldCGI)는 측정방법 상의 문제로 다양한 한계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이용한 기업지배구조지수(NewCGI) 산출방법을 제시하고, NewCGI의 타당성을 몇 가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NewCGI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감사보고서 주석사항에서 추출한 19개 기업지배구조관련 개별변수(개별변수)에 대한 요인분석으로 8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후 설명된 분산을 가중치로 반영한 요인점수를 모두 합하여 NewCGI를 산출하였으며, 이는 OldCGI에 비해 개별변수가 기업지배구조지수에 미치는 상이한 영향과 개별변수 상호간의 영향을 일부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NewCGI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에서는 첫째, NewCGI는 선행연구에서 기업지배구조와 유의한 관련성이 입증된 기업규모, 부채비율,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총자산이익률 모두와 유의한 관련성이 존재하였다. 둘째, OldCGI로 집단을 양분하였을 경우에 비해NewCGI로 양분하였을 경우에만 19개 개별변수의 평균차이가 모두 유의하였다. 또한 기업지배구조지수 산출방법에 따라 각 집단에 속하는 기업의 현황에 큰 차이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일부 변수의 집단별 평균차이의 부호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둘째, NewCGI와 OldCGI에 대한 개별 변수들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NewCGI와 OldCGI는 16개 개별변수에 대한 관련성이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일부 개별변수들에 대해서는 상관계수의 부호도 상이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NewCGI가 OldCGI 산출에 이용되는 개별변수는 동일하지만 OldCGI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업의 지배구조를 보다 적절히 반영하며, 향후 연구에서 기업지배구조의 대용변수로 NewCGI의 사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또한 NewCGI가 기업의 총체적 경영자 감시수준이 적절히 반영된 정보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Many foreign and a few Korean researches use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 to measure firm’s overall control level on managers in these days. But, CGI of prior literatures has some limitations in the way to measure CGI. So the two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suggest a new way to construct CGI using factor analysis focused on 19 individual corporate governance variables(19 variables) from footnotes of annual audit report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in the prior researches. Second, The validity of the new CGI in this study(NewCGI) was verified. First of all, NewCGI was calculated by sum of the weighted factor score using explained variance(% of variance) of each factor through factor analysis. Second, 1) Most 19 variables has a different effect on NewCGI and OldCGI in Univariat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est. 2) NewCGI has significant relation with most firm characteristic variables(SIZE, LEV, ROA, CFO), Although NewCGI and OldCGI were measured from same 19 individual corporate governance variables, this paper proved that NewCGI was differ from OldCGI in prior literatures. Because NewCGI was weighted by explained variance of each factor, that NewCGI reflected a different effect of individual corporate governance variables on CGI. NewCGI appropriately measure the firm’s overall monitoring level to manager that it gives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decision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