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06년에 발표된 최석하의 논문 「조세론」에 관한 고찰

        오기수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6 세무와 회계 연구 Vol.5 No.2

        110 years ago from the present time, in 1906, Choe Seokha announced a thesis about tax titled as 「Theory of tax」. He studied abroad in Japan and majored in law at Meiji University. In the 「Theory of tax」, it was stated, “It is natural that a nation needs huge expenses to fulfill national general affairs, and revenue is inevitable to appropriate the expenses. Most of revenue is occupied by tax. As tax has great influence on national wealth(國富), the growth of the national wealth is remarkably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method of collecting tax is proper. Administrators should always take good care of tax problems primarily, then they can avoid mistake for another 100 national years.” Modern ground of tax and great influence of tax on nation economy were mentioned. Then, he said, “After observing Tax Law of Korean government, it is pitiful that its method doesn’t achieve the balance, period for payment is not convenient, national treasury is not enough, and errors from common weal occur.” and “Despite of the obscurity of my birth, I would introduce all theories about tax to our fellow countrymen.” Choe Seokha analyzed tax of Korea at that time and pointed out its problems. He did so on the basis of 6 kinds of tax principles suggested by a famous English financier, Bastable. Efficiency, economy, fairness, flexibility, certainty, and convenience were 6 kinds of tax principles Bastable suggested, In conclusion, as 「Theory of tax」 announced by Choe Seokha was the first tax thesis on Korean tax modernization, it is a very valuable material which shows tax concepts, tax principles, and reasons to select tax kinds discussed 100 years ago. 지금으로부터 110년 전인 1906년에 최석하는 「조세론」이란 제목으로 조세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는 일본에 유학하여 메이지대학 법과에서 공부하고 있었다. 이 「조세론」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봉건시대의 조세에서 근대적 조세로 옮겨지는 과도기에 정립된 조세개념과 조세원칙, 그리고 조세의 종목들의 장단점과 과세대상을 분석한 논문이라고 본다. 그는 「조세론」에서 “국가가 일반정무를 행함에 막대한 비용이 필요한 것은 이치에 당연한 것이고, 그 비용을 충당하고자 하는 수입은 불가피하다. 그러한 수입 중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조세이다. 이처럼 조세가 국부(國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징수하는 방법의 적정성의 여부에 따라 국부의 발전이 현저하게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위정자는 제일차로 조세문제에 대하여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만 국가백년의 실책을 면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근대적인 조세의 근거와 조세가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 정부의 수세법을 관찰하니 그 방법이 균형을 얻지 못하고, 그 납기가 편리하지 못하여, 국고에 여유가 없고, 민부(民富)에서 잘못이 발생하니 한심스럽다”고 하면서, “나는 미천함을 불구하고 조세에 관한 여러 학설을 우리 동포에게 소개하고자 한다”고 하였다. 최석하는 그 당시의 우리나라 조세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다. 이는 최석하가 영국의 유명한 재정학자인 배스터블(Bastable)이 제시한 6가지의 조세원칙에 의거하여 분석한 것이다. 배스터블이 제시한 6가지 조세원칙은 효력, 경제, 공평, 탄력, 확실, 편의였다. 결론적으로 최석하가 발표한 「조세론」은 우리나라 조세 근대화에 대한 최초의 조세 논문으로서, 100여년 전에 논의된 조세개념과 조세원칙, 그리고 조세 종목의 선택 이유 등을 알아 볼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최석하의 「조세론」의 조세사적 가치를 입증하였고, 우리나라 조세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으며, 그 결과 우리나라 세무학의 학문적 토대와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투자-현금흐름 민감도에 따른 조세회피와 투자의사결정의 관계

        신유진,이현진,박정미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2 세무와 회계 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투자-현금흐름 민감도에 따라 조세회피의 수준이 달라지는지, 또한 투자-현금흐름 민감도 수준에 따라 조세회피가 투자규모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투자-현금흐름 민감도가 높은 기업은 투자에 활용할 내부자금조달을 목적으로 조세회피를 더 많이 수행할 유인이 있으며, 조세회피를 통하여 마련된 내부자금은 투자-현금흐름 민감도에 따라 미래 투자로 연결되는 정도가 다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자-현금흐름 민감도에 따라 조세회피의 수준이 달라지는지를 분석한 결과 투자-현금흐름 민감도가 높을수록 조세회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자-현금흐름 민감도에 따라 조세회피가 투자규모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인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투자-현금흐름 민감도가 높을수록 조세회피가 투자지출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자-현금흐름 민감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조세회피를 통하여 확보한 현금을 즉시 투자에 연결하고자 할 것이라는 예상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추가적으로 시장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분석결과는 코스닥 시장에 속한 기업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투자-현금흐름 민감도와 조세회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공헌이 있으며, 조세회피가 기업의 투자재원으로써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조세회피를 통한 내부자금이 투자지출로 연결되는 정도가 투자-현금흐름 민감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실증을 제공한다.

      • KCI등재

        시장 경쟁에 따라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최혁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9 세무와 회계 연구 Vol.8 No.2

        Tax avoidance reduces tax costs and generates non-tax costs. Tax avoidance has an effect on firm value. Market competition is an external governance structure that indicates the level of competition in the industry. Market competition differs by industry.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ax avoidance on firm value according to market competition. In this study, market competition was measured using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Tax avoidance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Desai and Dharmapala(2006). It is found that tax avoidance has a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Tax avoidance decreases firm value as the effect of non-tax costs is significant and resource generated from tax avoidance is not used efficiently. It is foun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tax avoidance on firm value increases as market competition decreases. As the level of market competition is low, information asymmetry increases. Information asymmetry increases agent cost and private profit of management. Firms in low market competition are less efficient than those in high market competition. Resource generated from tax avoidance is not used efficiently as the market competition is less. Therefore the negative effect of tax avoidance on firm value increases as the level of market competition is low. The results show that the negative effect of tax avoidance on firm value increases as the market competition decreases. Market competition is the indicator of market structure. This study suggests the negative effect of tax avoidance increase as industrial concentration increases. 조세회피(tax avoidance)에 의해 조세비용은 감소하지만 비조세비용이 발생하며, 조세회피는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시장 경쟁(market competition)은 외부지배구조로서 산업의 경쟁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산업별로 시장 경쟁 정도가 다르다. 본 연구는 시장 경쟁에 따라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하였다. 시장 경쟁은 허핀달-허쉬만 지수(Herfindahl-Hirschman Index)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조세회피는 Desai and Dharmapala(2006)의 연구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기간 동안 유가증권 및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세회피는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회피로 기업가치가 감소하는 것은 조세회피로 인한 비조세비용의 영향이 크고 조세회피로 확보된 자원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장 경쟁이 적을수록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경쟁 정도가 낮을수록 정보 비대칭이 증가하여 대리인 비용과 경영자의 사적이익 추구가 증가한다. 또한 경쟁이 적은 산업에 속한 기업이 경쟁이 심한 산업에 속한 기업에 비해 효율성이 낮다. 따라서 시장 경쟁이 적을수록 조세회피로 확보된 자원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장 경쟁이 적을수록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증가한다는 실증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시장 경쟁은 시장 구조를 설명하는 지표로서 산업집중도가 높은 시장구조에서 조세회피의 부정적인 영향이 증가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비상장기업의 조세회피와 미래 경영성과와의 관계

        박종일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6 세무와 회계 연구 Vol.5 No.2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ax avoidance of unlisted firms affects the future operating performance. Unlike listed firms which trade their stocks to the general public, an unlisted firm is held privately by a small number of shareholders without separation of ownership and management. Consequently, unlisted firms have less capital market pressures due to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owners compared to listed firms. The low capital market pressure in turn would give unlisted firms more an incentive to avoid corporate tax at the expense of increasing financial reporting income than listed firms. Therefore, the common notion is that unlisted firms are more tax aggressive as they face lower non-tax costs of financial reporting (e.g. Cloyd, Pratt, and Stock 1996;Mills and Newberry 2001). For example, Cloyd et al. (1996) survey financial executives at listed and unlisted firms and confirm that listed firm managers are less likely to select conforming tax strategies than unlisted firm managers. Mills and Newberry (2001) extend Cloyd et al. (1996) by investigating the book-tax income differences of listed and unlisted firms. Although tax avoidance of listed firms is frequently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but tax avoidance of unlisted firms is almost lack. To fill this gap,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ax avoidance of unlisted firms and the future operating performance. There are two alternative theories on the effect of corporate tax avoidance on firm value. In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tax avoidance activities is considered to increase firm value, because it increases both net income and cash flows. However, agency theory argues that corporate tax avoidance destroys firm value, since it increases firm’s opacity and thus facilitates managerial opportunistic behaviors and rent extraction from shareholders. Then, this study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ax avoidance of unlisted firms affects subsequent operating performance. To investigate the addressed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estimate five-year cumulative GAAP-based effective tax rate (GAAP ETR) and five-year cumulative cash effective tax rate (CASH ETR) following Dyreng et al.(2008). And following Lee (2010), who also analyze future firm’s ROA and CFO, this paper include controls for ROA, firm size, growth opportunities, and leverage level and in this analysis as these variables are correlated both with future profitability. The final sample consists of 42,430 firm-years from unlisted firms based audited by an external auditor and non-financial firms with fiscal month of December between 2004 and 2013. This paper findings are as follows. After controlling for several factors that affect future profitability, this study finds that tax avoidance of past affects a negative effect on the future operating performance (industry-adjusted ROA or CFO) in the next and two subsequent years. This is, tax avoidance of unlisted firms are related negatively to their future performance. This results implies tax avoidance of unlisted firms is likely to be from opportunistic behavior or rent extraction of managers frequently discussed in the listed firm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lated literature as this is the first study which investigates the relations between tax avoidance and future operating performance of unlisted firm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paper can shed a further light to potential creditors who make investment decision on unlisted firms as well as regulatory bodies by providing useful insight on the unlisted firms, which seems to result in the negative relations between tax avoidance and future performance.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에서의 조세회피 성향이 높을 때 미래 경영성과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업의 조세회피활동은 세후순이익과 세후현금흐름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기업가치에는 긍정적인 측면을 제공한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조세회피 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미래 수익성도 향상될 수 있다. 그런데 만일 조세회피에 따라 유보된 자원이 경영자의 사적편익의 추구행위로 효과적으로 운영․관리되지 않는다면 오히려 미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도 있다. 전자의 관점은 조세회피와 관련된 전통적인 측면의 논의라면, 후자의 관점은 대리인 비용 측면의 논의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에서의 조세회피가 미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영향 중 어떤 경우와 보다 관련성이 높은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기업의 조세회피 성향을 Dyreng et al.(2008)의 방법에 따라 5년간의 장기 누적유효세율인 GAAP ETR(전통적인 유효세율)과 CASH ETR(현금유효세율)로 측정하였고, 미래 경영성과는 t+1과 t+2 시점의 기초총자산으로 표준화된 산업조정 ROA와 CFO 변수를 이용하였다. 분석기간은 관심변수(종속변수)를 기준으로 2004년부터 2013년까지(2005년부터 2015년까지)이고, 표본은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법인 중 외부감사를 받은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증 결과는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조세회피 수준이 높은 비상장기업일수록 미래 경영성과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항은 미래 경영성과를 ROA 또는 CFO로 살펴본 경우 모두 동일하였고, 또한 미래 경영성과에 대해 t+1 또는 t+2 시점으로 분석한 경우 역시 일치된 결과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는 비상장기업에서 조세회피 성향이 높을 때 미래 경영성과와는 음(-)의 관계로 나타나 비상장기업에서의 적극적인 조세회피활동은 미래 수익성 측면에서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상장기업이 아닌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세회피와 미래 경영성과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는 실무계에서 비상장기업의 대출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채권투자자 및 정책결정자인 규제당국에게도 비상장기업의 조세회피와 미래 수익성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에도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조세전문법원의 도입가능성 검토

        이동식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2 세무와 회계 연구 Vol.11 No.3

        In Korea, the tax law is substantially revised almost every year.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axpayers to keep up with the changes of tax law. As a result, many conflicts arise between tax authorities and taxpayers ove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ax laws. Legislators have institutionalized the tax appeal procedure to fairly resolve these issues. Tax appeal procedures can be classified into those handled by administrative agencies and those handled by courts, depending on the agency in charge.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studies that have researched the improvement of the tax appeal procedure. But most of them were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ppeal procedure. Contrary to that, there were relatively few discussions on improvement of the tax appeal procedure in charge of the courts. Of course, the process in charge of the tax appeal procedure in the courts can also be discu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mong them,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blem of the institution in charge of the tax appeal procedure in the court, that i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tax court as a specialized court and the outline of its plan. We tried to fin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tax court from the need for specialization of the courts. We argued that the necessity of court specialization should be sought from the persuasive power of court decisions to the public. As a domestic case of such court specializ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 of the Patent Court. As examples of foreign legislation, the specialized tax court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were examined. Based on this, we reviewed the introduction of our own specialized tax courts by item.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specialized tax courts in Korea are not yet mature enough.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content of the proposal in this article itself is at a very rudimentary level. However, it is hop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when the discussion about this becomes full-fledged in the future. 우리나라는 거의 매년 상당히 많은 세법규정이 개정되는 상황이다. 그래서 납세자들이 그 변화를 따라가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그로 인해 세법의 해석․적용을 둘러싸고 과세당국과 납세자 간 갈등이 발생할 여지가 크다. 입법자는 이러한 문제를 공정하게 해결하기 위해 조세불복절차를 제도화해두고 있다. 조세불복절차는 그것을 담당하는 기관에 따라 크게 행정기관에서 담당하는 것과 법원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금까지 조세불복절차개선을 연구한 선행연구가 많았지만 이는 대부분 행정불복절차를 전제로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법원에서 담당하는 조세불복절차에 대한 개선논의는 많지 않았다. 물론 법원에서 조세불복절차를 담당하는 절차도 다양한 관점에서 제도개선 논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그중 법원에서 조세불복절차를 담당하는 기관의 문제, 즉 전문법원으로서 조세법원을 설립하는 문제의 필요성과 그 개략적인 방안에 국한하여 논의해 보았다. 우리는 조세법원의 도입의 정당화를 법원의 전문화 필요성에서 구하고자 하였다. 오늘날처럼 사회가 급변하고 경제분야들이 전문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러한 사회현상을 규율해야 하는 법원도 전문화를 해야만 재판의 대국민 설득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법원전문화의 배경으로 이해했다. 이러한 법원전문화의 국내사례로서 이 글에서는 특허법원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외국의 입법례로는 미국과 독일의 조세전문법원제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나름의 조세전문법원 도입방안을 항목별로 검토해보았다. 아직은 국내에서 조세전문법원 도입논의가 충분히 성숙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의 제안내용 자체도 아주 초보적인 수준이라는 한계점은 있다. 하지만 향후 이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시점에는 하나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가 조세회피와 기업가치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기업지배구조 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박주영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8 세무와 회계 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rporate governance on tax avoidanc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x avoidance and firm value. In this study, we used the corporate governance evaluation data provided by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Therefore, we tried to examine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 in a com- prehensive manner. The evalu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of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consists of shareholder rights protection, board of directors, disclosure, audit organization, and management fault distribution. This study is conducted for companies listed on Korea Exchange from 2005 to 2013.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tax avoidance is the result. In the analysis using the GTOTAL, the effect of tax avoidance is shown to be positive (+). Howev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different for each compone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ax avoidance and firm value is negativ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tax avoidance level, the lower the firm value. Finally, it is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x avoidance and firm value.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positive tax avoidance measure and corporate governance item interaction variables showed positive (+). These results were the same when analyzed by using the GTOTAL and analyzed by each component (SR, C, D, W, BN). Among them, GTOTAL, Board of Directors (C), Disclosure (D) and Audit Organization (W)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a relaxation of the negative effects of tax avoidance on corporate value as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that monitors and supervises the management, such as the board of directors and disclosure and auditing organization, is better.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지배구조가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 및 기업지배구조가 조세회피와 기업가치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연구자별로 기업지배구조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요소 중 자료 입수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연구 목적에 적합한 변수를 선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서 제공받은 기업지배구조 평가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자의성을 최대한 배제하고, 보다 포괄적으로 기업지배구조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기업지배구조 평가는 주주권리보호, 이사회, 공시, 감사기구, 경영과실배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3년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유가증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기업지배구조가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기업지배구조 평가총점(GTOTAL)을 이용한 분석에서는 조세회피에 비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구성요소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는 요소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사회(C)와 감사기구(W)는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주주권리 보호(SR)의 경우에는 비유의적인 양(+)의 결과를 나타냈으며, 공시(D)의 경우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보였다. 다음으로 조세회피는 기업가치와 음(-)의 관계를 보임에 따라 조세회피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가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지배구조가 조세회피와 기업가치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조세회피 측정치와 기업지배구조 항목의 상호작용변수는 기업지배구조 평가 총점(GTOTAL)을 이용해 분석한 경우와 각 구성요소별(SR, C, D, W, BN)로 구분해 분석한 경우 모두 양(+)의 회귀계수를 나타내고, 기업지배구조 총점(GTOTAL), 이사회(C), 공시(D)와 감사기구(W)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이사회와 공시 및 감사기구와 같이 경영자에 대한 감시․감독 기능을 수행하는 기업지배구조가 양호할수록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시켜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포괄적으로 기업지배구조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는 점, 그리고 기업지배구조 평가 항목별로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과 조세회피와 기업가치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조세회피 관련 분야의 연구에 공헌한다.

      • KCI등재

        지주회사집단 소속회사의 조세회피 성향에 대한 연구

        김혜린,고윤성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7 세무와 회계 연구 Vol.6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holding companies’ propensity of tax avoidance is different from companies in general.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s a holding company has on its tax avoidance, the differences between businesses which belongs and do not belong to a holding company were analyzed, and how the fact whether a company belongs to a holding company or not affects its propensity of tax avoidance were verifi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n actual proof. Firstly, through an established theory related to tax avoidance which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holding company system and an actual proof analysis, it is proven that holding companies avoid tax less than companies in general. This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of a holding company are directly reflected in a subsidiary company’s accounts information. There is little or no reason for subsidiaries to avoid tax since they are taking full advantage of merits their parent companies’ system have. Secondly, an actual proof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affiliated companies and the propensity to tax avoidance is conducted. Businesses which belong to a holding company have less propensity for tax avoidance than companies in general. However, only within the subsidiary companies, it is verified that the more the number of affiliates a companies are, the higher the propensity is. Thus, the second intent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highlight the merits a holding company has with regard to tax avoidance, but also to reveal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subsidiaries and tax avoidance by analyzing the structural aspects of a holding compan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countermeasure for the system of a holding company and business groups which operate it is needed, and more follow-up studies have to be done on the topic. 최근 들어 삼성전자를 포함한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지주회사 전환이 자본시장에서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기업들이 지주회사로의 전환 시 세법에서 정한 세제혜택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논란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주회사의 특성인 지배구조 투명성 및 세제지원 혜택이 조세회피 성향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지주회사집단 소속회사들과 비지주회사들 사이의 조세회피 성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지주회사집단 소속회사가 비지주회사보다 조세회피 성향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주회사집단 소속회사의 투명한 운영방식 및 조세혜택으로 인하여 지주회사집단 소속회사가 비지주회사에 비해 조세회피 동기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지주회사집단 소속회사만을 대상으로 지주회사집단 소속 내의 자회사의 수에 따른 조세회피 성향을 검증한 결과 지주회사집단에 속해 있는 자회사 수가 많을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높아지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주회사 자체는 투명한 운영이 이루어지지만, 자회사가 많을수록 불투명한 거래 등이 증가하기 때문에 조세회피 성향도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지주회사의 이중과세를 방지하기 위한 조세당국의 세제혜택이 지주회사집단 소속회사의 조세회피 성향을 낮추지만, 지주회사집단의 자회사 수가 늘어날수록 지주회사가 비지주회사와 비교하여 우수한 지배구조 상의 특징이 자회사 수의 증가와 상쇄되어 조세회피 성향이 높아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지주회사와 조세회피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여 지주회사 및 지주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자회사 수라는 지주회사집단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최근 몇 년간 정부에서 지주회사의 전환을 긍정적으로 추진하였던 상황 속에서 지주회사와 조세회피 성향 사이의 관련성을 고찰 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의 정보특성에 관한 연구―보수주의를 중심으로―

        장대준,박성종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0 세무와 회계 연구 Vol.9 No.4

        In recent studies, there have been studies that have demonstrated that tax avoidance and tax risk provide information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studying the relevance between tax risk and tax avoidance and financial reporting quality, while there has been no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ervatism and tax avoidance and tax ris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ax avoidance and tax risk are the same or different by empirically identifying how tax risk relates to conservatis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tax avoidance and conservatism are re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in Basu (1997) shows that tax avoidance has a positive connection to conservatism, but not to tax risk and conservatism, indicating that tax avoidance and tax risk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conservatism. Second, the analysis in the Ball and Shivakumar (2006) found that tax avoidance and tax risk as a result of variability in ETR has a positive connection to conservatism, but not by variability in CashETR. In other words, the tax risk resulting from the variability of the CashETR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ax avoidance. The abov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further confirmed whether tax risk and tax avoidance and conservatism were of the same or different characteristics. It also suggests that, in terms of the motive of tax hedge, tax avoidance and conservatism are highly relevant because conservatism is actively used for tax avoidance, whereas tax risks for uncertainty in future cash flows are not related to conservatism and management does not recognise tax risks as a negative factor. 조세회피에 적극적인 기업은 향후 과세당국으로부터 세무조사의 적발가능성을 증가시키고 미래 부담할 법인세 부담이 높아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세무불확실성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미래 현금흐름의 불확실성에 기인하여 세무위험 역시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조세회피는 세무불확실성의 원인이고 세무위험은 세무불확실성의 결과이므로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이 같은 특성의 정보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에서는 세무위험과 조세회피 간에 음(-)의 관계로 나타나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이 다른 특성의 회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단서를 제공함과 동시에, 세무위험 및 조세회피와 재무보고 품질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은 다른 특성의 정보를 제공함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그러나 보수주의와 조세회피 및 세무위험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이 보수주의와 어떠한 정보특성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asu(1997)의 연구모형을 활용한 분석결과, 세무위험과 보수주의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Ball and Shivakumar(2006)의 연구모형을 활용한 분석결과, 현금유효법인세율의 변동성에 따른 세무위험과 보수주의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보고이익에 대한 세금부담이 높은 기업은 조세부담을 낮추기 위하여 보수주의 회계선택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조세회피와 보수주의는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가진다는 가설이 지지되고 있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조세회피는 세무불확실성의 원인이고 세무위험은 세무불확실성의 결과라는 암묵적 가정이 성립한다면 세무위험과 보수주의도 양(+)의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세무위험과 보수주의가 관련성이 없다는 것은 조세회피와 세무위험이 보수주의와 다른 정보의 특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세무위험 및 조세회피와 보수주의가 같은 특성을 갖는 정보인지, 다른 특성을 갖는 정보인지를 추가로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서로 다른 특성의 정보는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거나 투자자의 재무적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경우에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조세에 관한 철학학문의 가능성과 그 연구방법에 관한 고찰

        김홍규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0 세무와 회계 연구 Vol.9 No.4

        Throughout history taxation has constantly changed as if it were living creatures. In other words, taxation is a creation of the law, and the revision of the tax law is made regularly every year and on demand by the intention of the legislative policy maker, which makes tax law changes a lot in shape. As a matter of tax principle, it is natural that taxes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should equally, predictably and rationally place as little burden on the people as possible. However, the reality does not reflect this categorical proposition. Taxation, which should aim for fairness as the best ideology, has recently turned into a policy tool under the grand purpose of raising the national budget. With efficiency being ahead of fairness and taxation often becoming a political tool, the limitation of the democratic system has been revealed along with taxation. Over time, there have been many revisions to the tax law due to its irrationality from court rulings or unconstitutionality from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ment. But it is also true that tax scholars and practitioners criticize a lot over tax equality or righteous taxation or tax justice. Where is the science of questioning, asking, and finding the basis for how to make taxes? Where do we find the philosophical academic nature of tax science that goes beyond the limits of existing tax science guaranteeing information and knowledge―which asks and criticizes the fundamental proposition on tax and gives rigor to this discussion process? Should tax science continue to remain in the blind spot of academics in future? Now, this is why the discussion of taxation should be born as a method of philosophical studies. Debates on tax-related legitimate issues, that is, valuable, logical and critical issues, can be subsumed into the field of philosophy studies. Fundamental discussions such as tax principles, objects and methods should be pursued in the areas of natural laws, moral laws, and human reason, as in philosophy studies. The methodological study for this can be found in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intrinsic intuition and in Heidegger’s question. This can provide a condition for calculating axioms for the rationality,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ax, along with what we may call ‘the philosophy of taxation’ or ‘philosophical tax discussion’. 조세역사가 보여 주듯이 조세는 살아 있는 생물같이 부단히 변화해 왔다. 자연사물이 아닌 법의 창조물로서 입법정책자의 의도에 따라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조세법 개정을 통해 그 형상을 달리해 온 것이다. 국민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조세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예측 가능하고, 합리적으로 조각화되어 국민들에게 가능한 한 최소의 부담을 지게 하는 것이 조세원칙에 정합하다. 그러나 이 정언적 명령에 현실이 따르지는 않는다. 국가예산 조달을 주된 목적으로 삼고, 공평성을 최고이념으로 지향하는 조세가 최근 정책적 도구로 변질되고 있다. 공평성보다는 효율성이 앞서고, 때로는 정치적 도구로 왜곡되기도 하면서, 조세와 함께 민주주의 제도상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때로는 헌법재판소의 위헌심판으로, 때로는 법원판결에서 조세현실의 불합리성이 밝혀지면서 조세법은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왔지만, 아직도 관련 학자와 실무자들은 조세평등 또는 바른 조세 내지 조세정의를 둘러싸고 많은 비판을 한다. 조세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 것인지, 이를 따지고 물으며 근거를 찾는 학문은 어디에 있는가? 앎과 지식을 담보하는 기존 조세학의 한계를 넘어, 조세에 대한 근본적 명제를 묻고 비판하고, 또 이러한 논의 과정에 엄밀성을 부여하는 조세의 철학적 학문성은 어디서 찾아야 할까. 조세학은 앞으로도 계속 학문의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어야 할까. 이제 조세에 대한 논의가 철학학문의 방법으로써 태어나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조세 관련 당위적인 문제, 가치적인, 논리적인, 비판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는 철학학문의 영역으로 포섭될 수 있다. 조세원칙과 대상과 방법 등 근본적 숙고는 자연법칙, 도덕법칙 등의 근본적 논의가 인간이성과 철학학문에서 다루어진다. 이를 위한 방법론적 연구는 본질직관의 현상학적 방법과 하이데거적 물음 속에서, 이성사유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가능해지는 ‘조세적 철학하기’, 혹은 ‘철학적 조세논의’와 함께 조세의 합리성, 공평성, 객관성을 위한 공준이나 공리들을 산출할 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

      • FTA 시대 세무사 업무의 국제적 확대 및 대응방안 연구

        안창남,손순희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2 세무와 회계 연구 Vol.1 No.1

        The FTA agreements of Korea with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ave opened a new area in the Korean CPTA market. The FTA agreement between Korea and the European Union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as ushered the Korean CPTA's market into a new stage, with new opportunities being created for Korean CPTAs as they can practice their profession without any restrictions in the EU and USA, while there is no reciprocity for foreign counterparts willing to work in the much more restrained Korean market. However the Korean Association of CPTA does not seem to harness such good opportunities, probably due to the general indifference to the international taxation and low level of proficiency in foreign languages. The Korean Association of CPTA may need to prepare measures to such a change, in the same way as the Lawyers and CPAs that have already been actively dealing with the change of the market environment brought by the FTA agreement for several years before the agreement. The measures would include to create the Bureau for international affairs working as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PTA to the foreign customers. Another action that could be taken would consist of reinforcing the education of international taxation and improve the consulting skills for both the domestic and foreign customers. Finally, a Special Purpose Company(SPC) created within the Korean Association of CPTA to support the business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taxation would be needed. Such a structure would firstly be tied with the Chinese and Japanese counter partners and generate a viable revenue model. 현재 한국 세무시장은 FTA 체결로 인해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고 있다. 국내 세무시장이 외국의 세무사에게 개방되는 폭은 좁은 반면, 외국의 세무시장은 한국 세무사에게 제한 없이 개방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 세무사 관련업계는 이와 같은 기회를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 주된 이유 중의 하나는 국제조세 분야에 대한 무관심과 외국어 능력의 부족에서 기인된다고 할 수 있겠다. 이미 변호사나 공인회계사 단체는 대형화 또는 전문화를 통해서 FTA의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세무사 단체도 이들의 대응방안을 잘 분석하여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대책으로는 첫째, 한국세무사회에 국제업무추진단을 구성하여, 외국 고객에게 한국 세무사를 소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 세무사에 대한 국제조세 업무의 교육을 강화하여, 외국의 고객은 물론 국내 고객에 대해 국제조세 분야에 대한 컨설팅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한국세무사회 내에 국제조세 특수목적법인(Special Purpose Company)을 설립하여, 세무사의 국제조세업무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SPC를 바탕으로 하여 우선적으로 한․중․일 세무단체와 연계하여 수익 모델을 만들어서 운용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